굿바이 레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굿바이 레닌!》은 동독의 붕괴와 독일 재통일 이후, 사회주의 신념을 가진 어머니를 위해 아들이 동독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가짜 현실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주인공 알렉스는 어머니가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후 충격을 받을까 봐 동독의 모습을 재현하고, 가짜 뉴스, 동독 제품 등을 통해 어머니를 안심시키려 한다. 이 과정에서 가족애와 희생, 동서독 문화의 충돌, 가짜 뉴스와 진실의 문제 등을 다루며,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개인의 삶과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독일 재통일 이후의 사회적 혼란과 오스탈기(Ostalgie)를 통해, 통일 이후 한국 사회가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존 보인이 2006년에 발표한 소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은 홀로코스트를 배경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소장의 아들 브루노와 유대인 소년 슈무엘의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어린이 시각으로 홀로코스트를 다루어 도덕적 메시지에 집중한 우화로 평가받지만 역사적 부정확성과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영화, 발레, 오페라 등으로 각색되었고 속편도 출판되었다. - 독일의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한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는 16세기 뉘른베르크를 배경으로 마이스터징어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통과 혁신, 사랑과 예술에 대한 갈등을 그린 오페라이다. - 평화 혁명 - 동독 월요 시위
라이프치히 월요 시위는 동독의 평화로운 시위로,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위였으며, 결국 독일 통일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평화 혁명 - 범유럽 피크닉
범유럽 피크닉은 1989년 헝가리에서 열린 행사로,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동독 시민들의 서독 탈출을 묵인하여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기여했다.
굿바이 레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Good Bye Lenin! |
로마자 표기 | Geutbai, Lenin! |
영어 | Good Bye, Lenin! |
일본어 | グッバイ、レーニン! |
영화 정보 | |
감독 | 볼프강 베커 |
제작 | 슈테판 아른트 |
각본 | 볼프강 베커 베른트 리히텐베르크 |
출연 | 다니엘 브륄 카트린 자스 출판 하마토바 플로리안 루카스 마리아 지몬 알렉산더 베이어 |
음악 | 얀 티에르상 클레어 피셰 안토넬로 마라피오티 |
촬영 | 마르틴 쿠쿠라 |
편집 | 페터 R. 아담 |
제작사 | X-필메 크리에이티브 풀 |
배급사 | X 펠라이 AG (워너 브라더스를 통해) |
개봉일 | 2003년 2월 13일 |
상영 시간 | 121분 |
제작 국가 | 독일 |
언어 | 독일어 |
제작비 | 독일 마르크 960만 마르크 (유로 480만 유로) (미화 약 650만 달러) |
흥행 수익 | 7900만 달러 |
2. 줄거리
1989년 10월 7일 동독 건국 40주년 기념일 밤, 알렉스는 반체제 시위에 참여했다가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 이를 목격한 어머니 크리스티아네는 충격으로 심장마비를 일으켜 혼수상태에 빠진다.
영화에는 주인공 가족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알렉스의 어머니 크리스티아네의 주변 인물, 알렉스의 직장 동료, 그리고 역사적 인물 등이 극의 흐름을 풍성하게 만든다.
8개월 후 크리스티아네가 깨어났을 때는 이미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고, 동독의 사회주의 체제는 사라진 뒤였다. 동서 통일도 시간 문제였다. 의사는 크리스티아네에게 "다시 한번 큰 충격을 받으면 생명을 보장할 수 없다"라고 경고했다.[1] 알렉스는 어머니를 보호하기 위해 동독의 사회주의 체제가 변하지 않은 것처럼 꾸미기로 결심한다.
알렉스는 누나 아리안과 애인 라라 등의 도움을 받아 필사적으로 연기를 계속한다. 동독 시절 가구를 다시 가져오고, 서독 상품을 동독 포장지에 옮겨 담는 등 노력했다.[1] 하지만, 서독 차들이 도로를 달리고, 코카콜라 광고가 건물 벽에 걸리는 등 변화는 뚜렷했다.
알렉스는 친구 데니스의 도움을 받아 "코카콜라가 동독 국영 기업과 제휴했다", "서독 경제 악화로 서독인이 동독으로 망명한다"라는 가짜 뉴스를 만들어 어머니에게 보여주며 변화를 속이려 했다.
1990년 7월 1일, 동독 마르크 통화 교환이 시작되었지만, 크리스티아네는 예금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고, 교환 기한을 넘겨 돈은 종이 조각이 되었다.[1]
어느 날, 크리스티아네는 남편 로베르트의 망명이 사실은 자신도 함께 가려던 계획이었음을 고백하고, 상태가 급변하여 입원한다. 아리안은 로베르트의 편지를 발견하고, 알렉스는 로베르트를 찾아가지만, 그는 이미 재혼한 상태였다. 하지만 로베르트는 크리스티아네가 위독하다는 소식에 병원을 방문한다.[1]
라라는 크리스티아네에게 동독 붕괴의 진실을 말해준다. 크리스티아네는 충격을 받지 않고, 알렉스를 위해 모르는 척했다.[1]
알렉스는 마지막으로 동서독이 대등하게 평화 통일한다는 가짜 뉴스를 만들어 크리스티아네에게 보여준다. 현실의 독일 재통일 3일 후, 크리스티아네는 숨을 거둔다. 알렉스는 어머니의 유해를 로켓 장난감에 담아 밤하늘에 쏘아 올린다.[1]
3. 등장인물
이름 역할 및 설명 양석정 알렉스(다니엘 브륄) 한국어 더빙 성우 손정아 크리스티아네(엄마, 카트린 자스) 한국어 더빙 성우 윤병화 로베르트(아빠, 부르크하르트 클라우스너) 한국어 더빙 성우 이연희 아리아네(마리아 시몬) 한국어 더빙 성우 김정희 프라우(크리스틴 쇼른) 한국어 더빙 성우 송연희 어린 알렉스(니코 리더뮬러) 한국어 더빙 성우 최병상 크라프라트(미카엘 그뷔스덱) 한국어 더빙 성우 김수중 라이너(알렉산더 베이어) 한국어 더빙 성우 서광재 간스크(위르겐 홀츠) 한국어 더빙 성우 김관진 지그문트 옌 닮은 택시 기사(스텐판 왈츠) 한국어 더빙 성우 오인성 데니스(플로리안 루카스) 한국어 더빙 성우 주유랑 라라(출판 하마토바) 한국어 더빙 성우 임아영 어린 아리아네(제레나 크라츠) 한국어 더빙 성우 유동균 의사(에버하르트 키르히베르크) 한국어 더빙 성우 김민아 기자(스베아 팀엔더) 한국어 더빙 성우 미카엘 그뷔스덱 크라프라트 역 크리스틴 숀 셰퍼 부인 역 위르겐 홀츠 간스케 씨 역 요헨 슈테른 메르트 씨 역 에버하르트 키르히베르크 바그너 박사 역 한스-우베 바우어 뫼베스 박사 역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주변 인물
데니스 도마슈케(Dennis Domaschkede) : 알렉스의 직장 동료이자 서독 출신 청년이다. '내일의 스탠리 큐브릭'을 꿈꾸는 영화광으로, 알렉스를 도와 가짜 뉴스를 제작한다.[1] 자주 제작 영화를 만들고, 동독의 뉴스 프로그램 녹화 테이프를 바탕으로 가짜 뉴스 영상을 제작하며 직접 가짜 수염을 붙이고 아나운서로 등장한다.[1]
라이너(Rainerde): 아리아네의 새로운 연인으로, 버거킹 매니저이다. 인도 문화에 심취한 오타쿠이며 조금 엉뚱한 면이 있지만 애교 있는 청년이다.[1] 알렉스의 무리한 시도에 마지못해 협력하여 트라반트 새 차를 구입한다.[1]
로베르트 케르너(Robert Kernerde): 알렉스의 아버지로, 의사이다. 가족 모두 망명할 계획으로 먼저 서독으로 떠났으나, 알렉스는 애인에게 속아 망명했다고 들었다.[1] 여러 통의 편지를 보내 3년이나 가족이 오기를 기다렸지만, 기다릴 수 없어 서독에서 재혼하여 정원이 딸린 호화 저택에서 아내와 두 아이와 함께 살고 있다.[1] 알렉스에게 사정을 듣고, 입원 중인 크리스티아네와 재회한다.[1]
지크문트 옌: 동독 출신 우주비행사로, 알렉스의 어린 시절 영웅이다. 작중에서는 베를린 장벽 붕괴 후 택시 운전사가 되어 있다.[1] 우연히 알렉스를 태우고, 알렉스의 마지막 위장 뉴스에 출연하여 통일된 독일의 새로운 수장으로 연설한다.[1]
4. 제작 배경
볼프강 베커 감독은 1999년 여름부터 영화 ''굿바이 레닌'' 작업을 시작했다.[6] 각본가 베른트 리히텐베르크는 독일 재통일 시기에 서베를린 시민으로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이 이야기는 이미 영화에 등장하는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처음에는 몇 년 동안 공개되지 않았다. 리히텐베르크는 "아직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베커의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독일어: ''Das Leben ist eine Baustelle'')를 본 후, 리히텐베르크는 슬픔과 코미디의 조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자신의 영화에서도 이를 구현하고자 했다. 그는 베커 감독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할 적임자라고 믿었다.[7] 제작자 슈테판 아른트는 "갑자기 이런 에너지가 생겨났다"고 회상하며, 베커와 함께 5페이지 분량의 시놉시스를 읽었을 때 "우리가 그렇게나 간절히 말하고 싶었던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정확히 알았다"고 말했다.[8]
각본 완성 과정은 쉽지 않았다. 리히텐베르크와 베커는 여섯 번의 초고와 여러 차례의 중간 버전을 거쳐 각본을 완성했다. 리히텐베르크는 처음 초고를 혼자 썼고, 베커와 긴밀하게 연락하며 등장인물에 대한 비판을 주고받았다. 두 사람은 "등장인물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인물은 데니스로, 주요 인물에서 조연으로 바뀌었다. 이전에는 원치 않는 결혼을 강요받는 터키 출신의 뚱뚱한 소년으로 묘사되었던 데니스는 대담한 상상력과 실용성을 겸비한 아마추어 영화 제작자가 되었다. 각본 완성 후에도 각본가와 제작자는 계속 협력했으며, 실제 촬영 기간 동안 리히텐베르크는 베커가 변경을 원할 때마다 참여했다.[7][9]
5. 영화 속 상징과 주제
알렉스는 어머니를 속이기 위해 과거 동독의 생활 방식과 공산주의 환경을 담은 가상의 뉴스 방송을 제작한다. 그는 어머니를 속이기 위해 슈프레발트 절임 오이와 같은 동독 제품을 사용하는데 열심이었다. 알렉스의 누나 아리아네는 새로운 서구적 이상과 생활 방식을 빠르게 받아들이지만, 알렉스는 그렇지 않았다. '''오스탈기'''는 과거 동독 시절의 삶의 일부 측면에 대한 향수를 나타내는 독일 신조어로, 영화 《굿바이 레닌》의 주요 주제이다. 알렉스는 서구의 변화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면서 오스탈기의 징후를 보인다.[10]
최근 독일계 미국인 역사학자 안드레아스 다움은 오스탈기라는 패러다임을 넘어선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그는 알렉스가 혼수상태에 있는 어머니에게 일어난 일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제시하려는 노력이 과거의 상태를 보존하거나 역사를 왜곡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그들은 극적인 변화의 불안한 경험에 대처하기 위해 반사실적 역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알렉스의 가짜 행동들은 그 자신을 포함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익숙했던 것에서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굿바이 레닌》은 과거에 대한 향수 어린 애착이나 회고적 이상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동독이라는 특정한 배경을 넘어 사회적 변혁을 다루는 창의적인 방식을 보여준다.[11]
5. 1. 오스탈기(Ostalgie)
Ostalgie|오스탈기de는 '동쪽'을 뜻하는 독일어 '오스트(Ost)'와 '향수'를 뜻하는 '노스탈기(Nostalgie)'를 합쳐 만든 신조어이다. 동독 시절의 삶에 대한 향수를 의미한다.[10] 영화에서 알렉스는 어머니를 위해 동독 제품을 구하고, 가짜 뉴스를 만드는 등 오스탈기를 자극하는 모습을 보인다.알렉스는 어머니를 속이기 위해 슈프레발트 절임 오이와 같은 동독 제품을 열심히 찾는다.[10] 또한, 영화광인 친구 데니스의 협력을 얻어 "코카콜라가 동독의 국영 기업과 제휴를 했다", "서독의 경제가 악화되면서 자가용으로 망명하는 서독인이 급증했다"라는 내용의 가짜 뉴스를 제작하여 어머니에게 보여주기도 한다.
최근 독일계 미국인 역사학자 안드레아스 다움은 오스탈기라는 패러다임을 넘어선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그는 알렉스가 혼수상태에 있는 어머니에게 일어난 일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제시하려는 노력이 과거의 상태를 보존하거나 역사를 왜곡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그들은 극적인 변화의 불안한 경험에 대처하기 위해 반사실적 역사를 사용한다. 알렉스의 가짜 행동들은 그 자신을 포함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익숙했던 것에서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굿바이, 레닌!》은 과거에 대한 향수 어린 애착이나 그에 대한 회고적 이상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동독이라는 특정한 배경을 넘어 사회적 변혁을 다루는 창의적인 방식을 보여준다.[11]
5. 2. 동독과 서독의 문화적 충돌
영화에서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동독과 서독의 문화적 충돌은 여러 장면에서 나타난다. 동독 주민들은 갑작스럽게 서독의 자본주의 문화를 접하게 된다.문화적 충돌 양상 | 내용 |
---|---|
코카콜라 광고 | 크리스티아네가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후, 알렉스는 어머니에게 동독이 여전하다는 환상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크리스티아네는 창밖으로 거대한 코카콜라 광고판을 보게 된다. 알렉스는 친구 데니스와 함께 가짜 뉴스를 만들어 코카콜라가 동독 기업과 제휴했다는 식으로 상황을 모면하려 한다.[1] |
서독 자동차 | 동독 거리에는 낡은 동독 자동차 대신 세련된 서독 자동차들이 등장하고, 서독 기업들의 광고가 곳곳에 보인다. 알렉스는 어머니가 이런 변화를 눈치채지 못하도록 동독 시절 물건들을 찾아 집안을 꾸민다. |
슈퍼마켓 | 동독의 국영 소매점은 서구 자본의 슈퍼마켓으로 변모한다.[1] 알렉스는 어머니를 위해 동독 시절 상품을 구하려 애쓰지만, 쉽지 않다. |
버거킹 | 알렉스의 누나 아리아네는 대학교가 폐쇄되자 버거킹에서 일하게 된다. 이는 동독 사회에 침투한 서구 자본주의의 상징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
알렉스는 어머니에게 이러한 문화적 충격을 숨기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그는 오래된 동독 가구를 창고에서 가져오고, 낡은 옷을 입으며, 서양 음식을 오래된 동독 병에 다시 포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동서독의 문화적 차이는 점점 더 뚜렷해진다. 알렉스와 데니스는 가짜 동독 뉴스 테이프를 만들어 어머니에게 보여주지만, 결국 어머니는 레닌 동상이 헬리콥터로 운반되는 것을 보면서 현실을 직시하게 된다.
5. 3. 가짜 뉴스와 진실
알렉스는 어머니 크리스티아네가 충격으로 혼수상태에 빠지자,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동독이 여전히 건재하다는 가짜 현실을 만든다. 그는 친구 데니스와 함께 오래된 동독 뉴스 테이프를 편집하고, 서독의 경제 위기로 동독에 난민이 유입된다는 등의 가짜 뉴스를 제작하여 어머니에게 보여준다.그러나 어머니는 알렉스가 잠든 사이 밖으로 나가 레닌 동상이 철거되는 등의 현실을 목격하게 된다. 알렉스는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더욱 정교한 가짜 뉴스를 만들지만, 결국 진실을 완전히 숨길 수는 없었다.
크리스티아네는 결국 진실을 알게 되지만, 아들의 노력을 이해하고 묵인한다. 알렉스는 마지막으로 동서독이 대등하게 통일된다는 가짜 뉴스를 만들어 어머니에게 보여주고, 크리스티아네는 독일 재통일 3일 후 평화롭게 세상을 떠난다.
5. 4. 가족애와 희생
영화는 어머니 크리스티아네를 위한 알렉스의 헌신적인 사랑과 희생을 감동적으로 그려낸다. 크리스티아네는 열성적인 공산주의자였지만, 아들 알렉스가 반정부 시위에 참여했다가 경찰에 끌려가는 모습을 보고 충격으로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진다.8개월 후, 크리스티아네가 깨어났을 때는 이미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독일 재통일이 진행 중이었다. 의사는 크리스티아네가 다시 충격을 받으면 위험하다고 경고했고, 알렉스는 어머니를 위해 동독이 여전하다는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알렉스는 누나 아리아네, 여자친구 라라와 함께 낡은 동독 가구를 다시 들여놓고, 서독 음식을 동독 병에 옮겨 담는 등 어머니를 속이기 위해 애쓴다. 심지어 친구 데니스와 가짜 뉴스를 만들어 어머니에게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크리스티아네는 점점 건강을 회복하면서 바깥세상의 변화를 눈치채기 시작한다. 알렉스와 아리아네는 서독의 경제 위기 때문에 난민들이 동독으로 몰려오고 있다는 가짜 뉴스를 보여주며 어머니를 안심시키려 한다.
별장에서 크리스티아네는 사실 남편이 서독으로 간 것은 정부를 비난해서가 아니라,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가입을 거부했기 때문이며, 자신도 가족과 함께 서독으로 가려 했었다는 비밀을 밝힌다. 크리스티아네는 동독 정부가 아이들을 빼앗아갈까 봐 두려워 동독에 남았고, 남편이 보낸 편지도 숨겨왔다고 고백하며 남편을 다시 만나고 싶어한다.
알렉스는 서베를린에 살고 있는 아버지 로베르트를 찾아가 어머니를 만나달라고 부탁한다. 또한, 동독 붕괴의 진실을 어머니에게 말하라는 압박을 받지만, 마지막 가짜 뉴스를 만들어 어머니에게 보여준다. 그러나 이미 라라를 통해 진실을 알게 된 크리스티아네는 아들을 위해 모르는 척한다.
결국 크리스티아네는 독일 재통일 3일 후 세상을 떠난다. 알렉스는 어머니의 유해를 어릴 적 장난감 로켓에 담아 하늘로 날려 보내며 어머니와의 작별을 고한다. 이처럼 영화는 이념 대립을 넘어선 가족애와 희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6. 평가 및 영향
이 영화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90%의 평점을, 32명의 평론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68점을 기록했다.[12] 영화 잡지 ''엠파이어''는 이 영화에 별 5개 중 4개를 부여하며 "재치 있는 작은 아이디어로, 웃기고 감동적이며—심지어—생각하게 만든다!"고 평했다.[13] 이 잡지는 또한 2010년에 "세계 영화 100선"에서 이 영화를 91위로 선정했다.[14]
''굿바이 레닌!''은 3년 뒤인 2006년에 개봉한 ''타인의 삶''과 자주 비교된다. 두 영화 모두 동독의 유산을 묘사하지만, 분명히 다른 어조를 사용한다.[15][16][17] 《굿바이 레닌》은 아카데미 국제장편영화상 후보로 출품되었지만, 지명되지 못했다.[18]
시상식 | 시상식 날짜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2004년 2월 15일 | 외국어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후보 | [19]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003년 | 황금곰상 | 볼프강 베커 | 후보 | |
세자르 영화상 | 2004년 2월 | 유럽 연합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수상 | [20] |
유럽 영화상 | 2003년 12월 6일 | 작품상 | 볼프강 베커 | 수상 | |
감독상 | 볼프강 베커 | 후보 | |||
남우주연상 | 다니엘 브륄 | 수상 | |||
여우주연상 | 카트린 사스 | 후보 | |||
각본상 | 베른트 리히텐베르크 | 수상 | |||
독일 영화상 | 2003년 | 최우수 작품상 | 볼프강 베커 | 수상 | |
최우수 감독상 | 수상 | ||||
뛰어난 남우주연상 | 다니엘 브륄 | 수상 | |||
뛰어난 여우주연상 | 카트린 사스 | 후보 | |||
뛰어난 각본상 | 베른트 리히텐베르크 | 수상 | |||
뛰어난 편집상 | 페터 R. 아담 | 수상 | |||
뛰어난 음악상 | 얀 티에르상 | 수상 | |||
뛰어난 프로덕션 디자인상 | 로타 홀러 | 수상 | |||
뛰어난 남우조연상 | 플로리안 루카스 | 수상 | |||
뛰어난 여우조연상 | 마리아 시몬 | 후보 | |||
골든 이글상 | 2004년 1월 31일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후보 | [24] |
골든 글로브상 | 2004년 1월 25일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후보 | [25] |
고야상 | 2004년 1월 31일 | 최우수 유럽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수상 | [26]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2004년 2월 11일 | 올해의 외국어 영화상 | 볼프강 베커 | 수상 | [27] |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굿바이 레닌》은 통일 이후 한국 사회가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한 혼란, 세대 간의 갈등, 이념 대립 등은 동유럽 혁명 이후 탈공산화 과정을 거친 동유럽 국가들처럼 한국 사회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영화는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oodbye Lenin soars in Germany for Warner Bros.
https://www.screenda[...]
2003-02-25
[2]
웹사이트
Good Bye Lenin! - success at home and abroad
https://www.screenda[...]
2003-02-19
[3]
웹사이트
GOOD BYE, LENIN! (2003)
https://www.bfi.org.[...]
2019-10-03
[4]
웹사이트
10 great German film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bfi.org.[...]
2019-10-03
[5]
웹사이트
Good Bye Lenin! - IMDb
http://www.imdb.com/[...]
2019-10-03
[6]
영상매체
Good Bye, Lenin!
X-Editition
2003
[7]
영상매체
Good Bye, Lenin!
X-Editition
2003
[8]
서적
Good Bye, Lenin!
Schwarzkopf & Schwarzkopf
2003
[9]
영상매체
Good Bye, Lenin!
2004
[10]
뉴스
Goodbye Lenin, hello 'Ostalgie'
https://www.greenlef[...]
2017-12-15
[11]
논문
Good Bye, Lenin! (2003): Coping with Change ‒ and the Future in the Counterfactual
Wallstein
2023
[12]
웹사이트
Goodbye Lenin! critic reviews
https://www.metacrit[...]
2024-07-25
[13]
웹사이트
Empire's Good Bye, Lenin! Movie Review
http://www.empireonl[...]
2015-10-15
[14]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http://www.empireonl[...]
[15]
웹사이트
Critiquing The Lives of Others
https://prospect.org[...]
2019-06-06
[16]
학술지
A Few Good Men: Gender, Ideology, and Narrative Politics in The Lives of Others and Good Bye Lenin!
[17]
웹사이트
The Lives of Others
https://www.theguard[...]
2019-06-06
[18]
웹사이트
'Lenin' Germany's Oscar entrant
https://variety.com/[...]
2018-06-23
[19]
웹사이트
Film in 2004
http://awards.bafta.[...]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2016-08-27
[20]
웹사이트
Barbarian Invasions overwhelms Césars
https://www.theguard[...]
2016-08-27
[21]
웹사이트
'Good Bye, Lenin!' Leads European Film Award Nominations
http://www.indiewire[...]
2018-06-23
[22]
웹사이트
Germany's "Lenin" Wins Top Prizes at European Film Awards
http://www.indiewire[...]
2018-06-23
[23]
웹사이트
Lenin comedy wins German awards
http://news.bbc.co.u[...]
2018-06-23
[24]
웹사이트
Золотой Орел 2003
https://ruskino.ru/a[...]
Ruskino.ru
2017-03-06
[25]
웹사이트
Good Bye, Lenin!
https://www.goldengl[...]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2018-06-23
[26]
서적
Great Spanish Films Since 1950
Scarecrow Press
2008
[27]
웹사이트
'Master' lord of London
https://variety.com/[...]
2018-06-23
[28]
웹사이트
相葉雅紀、ドイツ名作『グッバイ、レーニン!』舞台化で主演 日本初演へ「全力で挑ませていただきます」【コメント全文】
https://www.oricon.c[...]
2024-12-09
[29]
웹사이트
嵐・相葉雅紀 来春主演舞台決定 東西ドイツ時代の家族の姿描く「グッバイ、レーニン!」
https://www.daily.co[...]
2024-12-09
[30]
웹사이트
相葉雅紀、日本初演舞台「グッバイ、レーニン!」で主演 2025年3~4月、東京などで上演
https://www.chunichi[...]
2024-12-09
[31]
웹사이트
計画の詳細
http://www.jaxa.jp/j[...]
[32]
방송
NHK『ドイツ語会話』2004年放送回より。
[33]
웹사이트
Drehorte für Good Bye Lenin!
http://www.imdb.d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