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라스노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라스노스트는 '개방성' 또는 '공개성'을 의미하는 러시아어로, 19세기 러시아 제국에서 사법 제도의 개혁을 위해 사용되었고, 20세기 중반 소련에서 인권 운동의 요구로 부각되었다. 1980년대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페레스트로이카(개혁) 정책과 함께 정치적 슬로건으로 채택하여 소련 정부의 투명성을 증대하고 체제 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하도록 장려했다. 이로 인해 언론의 자유가 확대되고 소련 시민과 서방 세계 간의 교류가 증가했으나, 공산당 간부들의 부패가 폭로되면서 소련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글라스노스트는 동유럽의 민주 개혁에 영향을 미쳤지만, 중국 등 일부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수용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민주화 운동 -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는 러시아 내전 시기 볼셰비키 정부의 권력 독점과 정책에 반발한 사회혁명당, 멘셰비키, 아나키스트 등 좌파 세력의 봉기로, 볼셰비키의 적색 테러에 의해 진압되어 이들의 쇠퇴 및 해체, 그리고 스탈린 시대 정치적 숙청의 빌미가 되었다.
  • 소련의 개혁 -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는 침체된 소련 경제 회복과 사회주의 체제 개혁을 위한 정치, 경제 개혁 정책이었으나, 경제난 심화, 민족 갈등,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냉전 종식과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주의 체제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소련의 개혁 - 신경제정책
    신경제정책은 1921년 레닌이 전시 공산주의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소련의 경제 정책으로, 농민의 사유지 소유 허용 및 농산물 거래 자유화 등 시장 경제의 일부 요소를 도입하여 농업 생산량 증대에 기여했으나, 스탈린에 의해 폐지되고 계획 경제 체제로 전환되었다.
  • 1985년 소련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 1985년 소련 - 테트리스
    테트리스는 1985년 알렉세이 파지트노프가 개발한 퍼즐 게임으로,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가로 줄을 채워 없애는 방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뇌 활성화 및 PTSD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글라스노스트
지도
명칭
러시아어гласность
로마자 표기glasnost'
문자적 의미공개, 투명성
한글 표기글라스노스트
개요
정의198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정책으로, 정보 공개와 자유를 장려함
추가 정보

2. 역사적 배경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에서 '글라스노스트'는 '개방성', '공개성'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정치와 사법 제도에 적용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 치하에서 언론과 대중의 재판 참석을 허용하는 등 일부 자유화가 이루어졌으나, 이후 재판 공개는 다시 제한되었다.[1] 인권 운동가 류드밀라 알렉세예바는 "글라스노스트"라는 단어가 수백 년 동안 러시아어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고 언급했다.[2]

1960년대 중반, 소련의 냉전 시대 내정 정책 변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에서 '글라스노스트'는 다시 주목받았다. 1965년 12월 5일, 모스크바에서 글라스노스트 집회가 열렸는데, 이는 소련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시위대는 율리 다니엘과 안드레이 시냐프스키의 비공개 재판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며, 공개 재판을 허용하는 '글라스노스트'를 요구했다. 안드레이 사하로프 등 인권 운동가들은 비공개 재판에 대한 시위를 지속하며 글라스노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

2. 1. 고르바초프 시대

1986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페레스트로이카(개혁) 정책과 함께 글라스노스트를 정치적 슬로건으로 채택했다.[4] 고르바초프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실시한 이유는 페레스트로이카 경제 정책을 막으려는 공산당 내 보수파들 때문이었다. 고르바초프는 공개 토론, 비판, 열린 포럼 등을 통해 더 많은 러시아인들에게 페레스트로이카 개혁 정책을 홍보하려 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프로그램 배후에는 알렉산드르 야코블레프 소련 공산당 선전부장이 있었다.[4]

1965년 12월 5일, 모스크바에서 글라스노스트 집회가 열렸는데, 이는 소련 시민권 운동의 출현에 있어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푸쉬킨 광장에서 알렉산드르 예세닌-볼핀이 이끄는 시위대는 율리 다닐과 안드레이 시냐프스키의 비공개 재판에 대한 접근을 요구했다. 시위대는 형사소송법 제111조에 명시된 "글라스노스트", 즉 특정 공개 재판에 대중, 독립적인 관찰자 및 외국 언론인의 입장을 허용하는 것을 요구했다.

비공개 재판에 대한 시위는 스탈린 사후 시대 내내 계속되었다. 안드레이 사하로프1976년 세르게이 코발레프의 재판 접근을 요구하며 빌뉴스 법원 건물 밖에서 공개 시위를 벌였기 때문에 노벨 평화상을 받기 위해 오슬로로 가지 않았다.[3]

페레스트로이카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틀을 넘어서는 발상이 필요했다. 따라서 그동안 억압당해 왔던 개혁파 지식인이나 학자들을 페레스트로이카에 참여시킬 필요가 있었다. 1986년 말까지 일부 TV와 신문은 소련 사회의 문제점을 솔직하게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브레즈네프 정권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비판하고 고리키(현 니즈니 노브고로드)에 유폐되었던 과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도 석방되었다.

2. 1. 1. 글라스노스트의 의미와 영향

글라스노스트는 소련 정부 기관 및 활동에 대한 개방성과 투명성(Transparency (social))을 증대시키는 것을 의미했다.[5] 이는 소련 시민들이 자국의 체제 문제와 잠재적 해결책을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허용하려는 고르바초프 정권의 의지를 반영했다.[6] 고르바초프는 지도자들에 대한 대중의 감시와 비판, 그리고 대중 매체에 의한 특정 수준의 노출을 장려했다.[7]

글라스노스트는 사전 검열 감소와 정보의 자유 증대로 이어졌다.[10][11] 시민들의 언론 자유와 언론의 개방성이 확대되었다. 1980년대 후반 대부분의 소련 국민들은 스탈린의 만행과 이전에 억압되었던 사건들에 대해 알게 되었다. 스탈린 시대의 소련 역사가 재검토되었고,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검열된 문헌들이 더 널리 이용 가능해졌다.[10][11]

"글라스노스트 시대"에는 소련 시민과 서구 세계, 특히 미국 간의 접촉이 증가했다. 많은 소련 시민에 대한 여행 제한이 완화되어 소련과 서구 간의 국제 교류가 활발해졌다.[9] 미국과 서유럽의 소비재와 삶의 질이 더 높다는 정보가 서구 대중문화와 함께 소련 국민들에게 전파되기 시작했다.[12][13]

1986년 4월 발생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서기장 고르바초프에게는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이는 소련의 분파주의와 비밀주의가 국가 최고 지도자의 행정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고르바초프는 격분하여 체제 경직화로 인한 여러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론, 사상, 집회, 출판, 보도 등의 자유화와 민주화를 추진했다.

1987년부터 브레즈네프 시대에 상영이 금지되었던 영화들이 공개되었고, 당의 통제를 받지 않는 시민 단체의 결성도 나타났다. 역사학에서도 NEP(신경제정책)의 재평가, 1930년대홀로도모르(대기근)에 대한 고찰, 대숙청 희생자 명예 회복 등 금기시되었던 주제들이 다뤄지기 시작했다.

군사 정보도 점차 공개되었다. 1986년에는 공군의 신형 전투기 MiG-29가 핀란드 쿠오피오 리살라 기지를 친선 방문한 영상이 전 세계에 배포되었고, 1988년에는 영국의 판보로 국제 항공쇼에 출품되었다. 1989년에는 Su-27, Su-25, Mi-28 등 최신예 군용기가 파리 에어쇼에 출품되는 등 적극적인 공개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소련의 민주화에 크게 기여했지만, 공산당 간부들의 호화로운 생활과 부정부패 등이 폭로되면서 국민들의 반공산당 정서를 높였고, 결국 소련 해체로 이어졌다.

2. 1. 2. 글라스노스트에 대한 비판

일부 비평가들은 소련 당국의 새로운 슬로건(글라스노스트)을 더 기본적인 자유에 대한 모호하고 제한적인 대안으로 간주했다. 글라스노스트 방어 재단 회장인 알렉세이 시모노프는 이 용어를 "언론의 자유를 향해 기어가는 거북이"라고 비판했다.[8]

이러한 일련의 개혁은 소련의 민주화에 크게 기여했지만, 어려움을 겪는 민중의 삶과는 전혀 다른 세계에 있는 공산당 간부들의 공산 귀족이라 불릴 만큼 호화로운 생활과 부정부패 등이 폭로되면서 국민들의 반공산당 정서를 급격히 높였고, 궁극적으로 소련 해체로 이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3. 소련 붕괴 이후

1993년 채택된 러시아 연방 헌법 제29조에는 검열 전면 금지가 명시되어 있다.[25] 그러나 현대 러시아에서는 인터넷 검열 등 정부 개입 강화로 러시아 시민들의 정보 접근 제한 문제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정부 운영 언론 매체들은 특정 사건이나 주제를 공개하거나 논의하지 않도록 압력을 받아왔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언론 자유 침해 사례를 모니터링한 결과, 검열 사례가 가장 많이 보고된 위반 유형이었다.[26]

4. 다른 국가에 대한 영향

소련의 글라스노스트는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폴란드, 체코 등에서 민주화 운동이 촉진되었다.[14] 불가리아,[15] 체코슬로바키아, 동독,[16] 헝가리,[17] 몽골,[18] 폴란드,[19] 베트남(쇄신)[20] 등에서도 글라스노스트와 유사한 개혁이 시도되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슬로베니아를 중심으로 비슷한 개혁이 진행되었다.[21]

4. 1. 글라스노스트에 대한 저항

중국, 쿠바, 라오스, 북한[20], 루마니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의해 반대됨)[24] 등 일부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글라스노스트와 같은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북한은 글라스노스트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 통제하며, 주민들에게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있다. 중국은 자체적인 소련식이 아닌 개혁을 실시했다.[22][23]

참조

[1] 논문 Гласность
[2] 서적 The Thaw Generation: Coming of Age in the Post-Stalin Er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3] 웹사이트 Before the Trials of Kovalyov and Tverdokhlebov, March-October 1975 (38.2) https://chronicle-of[...] 2016-03-07
[4] 뉴스 Alexander Yakovlev, 81 https://web.archive.[...] 2005-10-20
[5] 서적 Milestones in Glasnost and Perestroyka: Politics and People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6]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 1945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6-26
[7]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 1945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6-26
[8] 웹사이트 Фонд Защиты Гласности http://www.gdf.ru/
[9] 학술지 International Tourism In The Soviet Union In The Era Of Glasnost And Perestroyka
[10] 학술지 Glasnost im sowjetischen Bibliothekswesen http://www.ib.hu-ber[...]
[11] 학술지 Совершенно несекретно
[12] 서적 Dismantling Utopia: How Information Ended the Soviet Union Ivan R. Dee
[13] 서적 Dismantling Utopia: How Information Ended the Soviet Union Ivan R. Dee
[14] 학술지 Gorbachev's glasnost: the Soviet media in the first phase of perestroika http://dx.doi.org/10[...] 2000-04-01
[15] 뉴스 Back Seat for Glasnost Amid Bulgarian Drive https://www.nytimes.[...] 1987-10-03
[16] 학술지 Glasnost Comes to East Germany 1990
[17] 웹사이트 Hungary Jumps Gun on Glasnost https://www.afr.com/[...] 1988-12-06
[18] 웹사이트 Mongolia faces glasnost and perestroika https://www.rand.org[...] 1989-01-01
[19] 뉴스 GORBACHEV'S POLICY OF OPENNESS CHEERED BY POLISH LEADERS https://web.archive.[...] 1987-02-24
[20] 웹사이트 Can Vietnam's Doi Moi Reforms Be an Inspiration for North Korea? |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 ASPI https://www.aspi.org[...]
[21] 뉴스 Slovenes set reform pace. In Yugoslavia, there is a group for nearly every cause as activists test limits of one-party state https://www.csmonito[...] 1988-09-13
[22] 웹사이트 China's Gorbachev phobia https://www.aspistra[...] 2022-09-02
[23] 웹사이트 A glasnost moment? Unlikely. The Chinese remember what happened to the https://www.independ[...] 2013-11-16
[24] 학술지 Ceausescu Against Glasnost 1987
[25] 웹사이트 Поиск по сайту |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constitut[...]
[26] 웹사이트 mediaconflictsinrussia.org - mediaconflictsinrussia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ww16.mediac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