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보의 자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보의 자유는 정부 및 민간 기관이 보유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권리이다. 이는 소비자의 정보 선택, 부패 방지, 정부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관련 법률 제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보의 자유는 인터넷 및 정보 기술과 관련하여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며, 디지털 격차, 개인 정보 보호, 미디어 다원주의 등 다양한 측면과 연관된다.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기구들은 정보 접근의 자유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의 자유 - 해적당
    해적당은 2000년대 초반 스웨덴에서 시작된 정치 운동으로, 자유로운 정보 공유와 지적 재산권 개혁을 주장하며, 저작권법 개혁, 정보 자유, 개인정보 보호, 정치 개혁 등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국제 해적당 연맹을 통해 활동한다.
  • 정보의 자유 - 알 권리
    알 권리는 국민주권주의에 기반하여 민주주의 실현에 기여하며 표현의 자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자유권적, 청구권적, 생활권적 성격을 가지나, 법률로 제한될 수 있고 여러 국가에서 법률 및 제도를 통해 보장되는 권리이다.
  • 주제별 인권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주제별 인권 - 무기 소지의 자유
    무기 소지의 자유는 개인이 무기를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이나 법률로 인정되지만, 총기 관련 사회 문제로 인해 총기 규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더 엄격하게 규제되는 경향이 있다.
  • 권리 - 기본권
    기본권은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해 헌법 등에 의해 보장되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보편성, 고유성, 항구성, 불가침성, 자연권성을 특징으로 하고,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로운 쟁점과 과제가 존재한다.
  • 권리 - 일조권
    일조권은 건물이나 토지 소유주가 햇빛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침해 시 소송을 통해 권리 확보 및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고, 영국과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관련 제도가 존재한다.
정보의 자유
지도
개요
정의정보를 출판하고 소비할 수 있는 개인 또는 집단의 자유
관련 개념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지적 자유
역사적 맥락 및 중요성
역사적 중요성민주주의 사회의 핵심 요소
책임 있는 정부 운영의 필수 요소
다양한 아이디어의 교환 촉진
사회적 진보와 발전 도모
역사적 배경계몽주의 시대의 사상에 근거
여러 국가에서 법률과 정책을 통해 공식화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강조
정부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법률 제정
정보 접근의 중요성
정보 접근의 필요성시민들이 정부 활동을 감시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
사회적 문제에 대한 정보에 접근
투명성 및 책임성을 강화
사회적 혁신과 창의력 촉진
법률 및 규정
정보 공개법여러 국가에서 정보 공개법 시행
정보 접근권 보장
정부 기관의 정보 공개 의무화
정보 공개법의 내용시민의 정보 요청 권리
공공 기관의 정보 공개 의무
예외 조항 및 제한 사항 존재
정보 공개법의 시행정보 공개에 대한 공공 기관의 적극적인 태도 필요
정보 공개법의 효과적인 실행 및 모니터링
정보 접근과 관련된 문제점 해결 노력 필요
정보 공개의 장애 요인
정보 공개의 어려움정부의 정보 은폐
정보 공개에 대한 저항
정보의 복잡성 및 기술적 어려움
정보에 대한 잘못된 인식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문제
과도한 정보 공개 비용
정보 공개와 기술
기술의 역할인터넷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정보 접근성 향상
새로운 정보 공개 플랫폼 및 도구 등장
온라인 정보 공유 및 협업 활성화
정보 공개 관련 기술의 발전과 활용
디지털 기술의 도전가짜 뉴스 및 허위 정보 확산
디지털 격차 문제
온라인 감시 및 검열 문제
개인 정보 보호 문제
정보의 자유의 도전 과제
정보의 자유의 중요성사회의 건강한 기능에 필수적
정부와 공공 기관의 투명성을 증진
시민들이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
사회의 발전과 진보에 기여
정보의 자유의 과제정보 불균형 및 정보 격차 해소
허위 정보 및 가짜 뉴스 확산 방지
정보 공개 관련 법률과 정책의 개선
개인 정보 보호와 정보 공개의 균형
기술 발전과 정보 공개 사이의 조화
국제적 협력을 통한 정보의 자유 보장 노력
정보 공개 관련 단체 및 이니셔티브
관련 단체 및 이니셔티브프리넷 프로젝트
해적당
위키리크스
관련 정부 기관
시민 사회 단체
추가 정보
참고 자료호주 계획 연구 및 실무를 위한 정보 자유: 사례, 영향 및 잠재적 해결책
정보 접근
프리넷을 이용한 온라인 자유 표현 보호 - IEEE 인터넷 컴퓨팅
정보 자유법이란 무엇인가?
해적당은 무엇이며, 왜 위키리크스를 돕고 있는가?

2. 법

2006년 기준 약 70개국이 정보의 자유법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이 중 19개국은 민간 기관에도 적용했다.[126] 정보 접근은 소비자의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촉진하고, 부패를 방지하며,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전제 조건으로 인식된다.[1]

1983년 UN 다국적 기업위원회는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적절한 정보에 대한 소비자 접근"을 포함하여 8가지 소비자 권리를 규정하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국제연합 지침을 채택했다.[127]

회사 이사들의 비밀스러운 의사 결정과 기업 스캔들로 인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공개 법률이 생겨났다. 21세기 초, 엔론, 월드컴 등 여러 기업 스캔들로 인해 미국 의회는 사베인스-옥슬리법을 통해 기업의 정보 공개 의무를 강화했다.[127]

정보 공개 법률을 보유한 국가는 늘어나고 있지만, 그 시행과 효과는 국가별로 차이가 크다. '세계 정보 접근권 평가'는 법적 체계의 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제공한다.[111][112] 유네스코가 기여한 2017년 유엔 사무총장의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 공개법 시행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109개국 중 43%가 대중 홍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43%는 공개 예외 조항이 너무 광범위하여 투명성 증진에 역행하고 있다.[114]

공공 정보 접근에 대한 논의는 정부 투명성을 위한 열린 데이터 접근 방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9년 미국에서 data.gov 포털이 출시된 후, 전 세계적으로 정부 데이터 공개가 확산되었다. 2011년 설립된 열린 정부 파트너십을 통해 약 70개국이 국가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116] 2015년에는 '열린 데이터 헌장'이 설립되어 17개국 정부가 채택했다.[116][117]

월드 와이드 웹 재단의 2017년 열린 데이터 지표에 따르면, 조사 대상 115개국 중 79개국에 열린 정부 데이터 포털이 있지만, 대부분 "적절한 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공개된 데이터 세트의 범위와 품질이 충분하지 않다".[73][118]

정보 공개는 정치 및 행정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비효율이나 불공정을 방지하고, 국민과 언론의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125] 그러나 정보 공개는 개인 정보 보호 침해 우려를 낳기도 한다. 공문서를 다루는 기록관리사는 정보 공개 전 공개 적합성을 심사해야 하며, 국가 기밀이나 국가 안전 관련 정보는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스웨덴은 정보 공개 제도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1776년 출판 자유법에서 검열 금지와 함께 국민의 공문서 공개 청구 제도를 확립했다.[125]

2. 1. 정부 기관

2006년을 기준으로 70개국이 공공기관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의 자유법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중 절반은 지난 10년 동안 제정되었다.[126] 이러한 법률은 추가로 50개국에서 계류 중이었다.[126]

정보 접근은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위한 필수 요건으로, 소비자의 정보에 입각한 선택 능력을 용이하게 하고, 관리 부실 및 부패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는 것으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1] 이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정보 공개 법률을 제정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109]

2. 2. 민간 단체

2006년 6월 기준으로 약 70개국이 정보의 자유법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이 중 19개국은 민간 단체에도 정보의 자유법을 적용했다.[126] 정보 접근은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부패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며,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1] 민영화와 규제 완화로 인해 과거 공공기관이 수행하던 은행, 통신, 병원, 대학 등의 기능을 민간 단체가 수행하게 되면서, 정보의 자유법을 민간 단체에도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126]

정보의 자유법이 민간 단체에 적용되는 범위는 국가별로 다양하다.[126]

적용 범위국가
공공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기업앙골라, 아르메니아, 페루
공적 자금을 받는 민간 단체체코, 도미니카 공화국, 핀란드, 트리니다드 토바고, 슬로바키아, 폴란드, 아이슬란드
특정 부문의 개인 기관에스토니아, 프랑스, 영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정보 접근 촉진법을 통해 개인이 대출 신청 거부 이유를 확인하거나, 기업 프로젝트로 인한 환경 피해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126]

2. 3. 소비자 보호

1983년 UN 다국적 기업위원회는 "개인의 희망과 필요에 따라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적절한 정보에 대한 소비자 접근"을 포함하여 8가지 소비자 권리를 규정하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국제연합 지침을 채택했다.[127] 정보에 대한 접근은 기본적인 소비자 권리로 간주되었고, 예방적 공개, 즉 인간의 삶,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위협에 대한 정보의 공개가 강조되기 시작했다.[127]

2. 4. 투자자

회사 이사들의 비밀스러운 의사 결정과 기업 스캔들로 인해 투자자의 이익을 위한 정보 공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법률은 20세기 초 영국에서 처음 채택되었으며, 이후 북아메리카 등 다른 국가에서도 채택되었다.[127] 21세기 초, 회계 부정 및 회사 감독 기밀과 관련된 엔론, 월드컴, 타이코, 애덜피아, 글로벌 크로싱 등 수많은 기업 스캔들로 인해 투자자를 위한 정보 공개 제도가 다시 주목받았다.[127] 이에 미국 의회는 2002년 사베인스-옥슬리법을 통해 기업에 새로운 정보 공개 의무를 부과했다.[127]

3. 인터넷 및 정보 기술

정보의 자유는 인터넷 및 정보 기술과 관련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 보호를 의미한다. 정보의 자유는 정보 기술 환경에서의 검열, 즉 검열이나 제한 없이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

검열 편집자 Jo Glanville은 "인터넷은 자유 언론을 위한 검열 혁명"이었다고 주장한다. 정보의 자유라는 개념은 주 정부가 후원하는 검열, 모니터링 및 인터넷 감시에 대한 응답으로 출현했다.

2010년,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모든 인류가 지식과 아이디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단일 인터넷을 지지한다"라고 선언했다. 그녀는 '인터넷 자유에 관한 발언'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발표를 인용하며, "정보가 자유롭게 흐를수록 정보 네트워크가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정부에 더 많은 책임감을 갖도록 돕는 방법"에 관심을 쏟는 사회가 된다고 말했다.[136]

인터넷 접속은 크게 증가하여 2024년에는 53억 5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가 나왔으며, 이는 세계 인구의 약 66%에 해당한다.[7] 그러나 디지털 격차는 여전히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 특히 여성과 소녀, 그리고 아프리카[8]와 최빈개도국 및 여러 소규모 도서개발도상국에서 배제되고 있다.[9] 더욱이, 장애인의 경우 기술 설계 또는 훈련 및 교육 유무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다.[10]

3. 1. 정보 사회와 표현의 자유

2003년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 선언은 정보사회에서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선언은 모든 사람이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언론을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찾고, 받고, 전달할 자유를 포함한다고 명시했다.[128][129]

3. 2. 글로벌 네트워크 계획 (GNI)

2008년 10월 29일, 글로벌 네트워크 이니셔티브(GNI)(Global Network Initiative)는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원칙"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131] 이 계획은 세계인권선언(UDHR)(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UDHR에 명시된 표현과 사생활의 자유와 인권에 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법률과 기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및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ESCR)(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에 명시되어 있다.[132] 이 계획에는 전자프런티어재단(EFF)(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휴먼라이츠워치(HRW)(Human Rights Watch), 구글(Google)(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Microsoft), 야후(Yahoo)(Yahoo), 기타 주요 기업, 인권 NGO, 투자자 및 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132]

보도에 따르면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Cisco Systems)는 초기 논의에 초대되었지만 이 사업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시스코가 인권 이사회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 해링턴 인베스트먼츠(Harrington Investments)(Harrington Investments)는 GNI를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발적 행동 강령으로 기각했다. 존 해링턴(John Harrington) 최고 경영자(CEO)는 GNI를 "무의미한 소음"이라고 불렀지만 대신 이사회가 인권 책임을 수락하도록하는 조례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133]

3. 3. 인터넷 검열

인터넷 검열은 인터넷상의 정보 공개 또는 접근을 통제하거나 억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국경 없는 기자단(RSF)은 쿠바, 이란, 몰디브, 미얀마/버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리아, 튀니지,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을 "인터넷 적대국"으로 지정하여 이들 국가가 광범위한 인터넷 검열을 자행하고 있다고 밝혔다.[45] 대표적인 예로 중국 방화벽이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방화벽의 역할과 고대 만리장성을 모두 지칭한다.[46] 이 시스템은 IP 주소가 라우팅되는 것을 막아 콘텐츠를 차단하고, 인터넷 관문에 표준 방화벽과 프록시 서버를 사용한다. 또한 특정 사이트가 요청될 때 DNS 변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정부가 인터넷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46] 중화인민공화국 인터넷 검열은 다양한 법률 및 행정 규정에 따라 수행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60개가 넘는 인터넷 규정을 제정했으며, 국유 ISP, 기업 및 단체의 지방 지부에서 검열 시스템을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다.[47][48]

2010년,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모든 인류가 지식과 아이디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단일 인터넷"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그녀는 "인터넷 자유에 관한 발언"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정보가 자유롭게 흐를수록 정보 네트워크가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정부에 더 많은 책임감을 갖도록 돕는 방법"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49]

3. 4. 디지털 접근

정보 접근의 자유는 인터넷 및 정보 기술과 관련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 보호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보의 자유는 정보 기술 환경에서의 검열, 즉 검열이나 제한없이 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

2003년에 채택된 세계 사회 정보 사회 정상 회의(WSIS) 선언은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 의존성을 재확인한다. 이 선언문은 또한 "정보 사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우리는 정보 사회의 필수 기반이자 세계 인권 선언 제 19 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모든 사람이 의견과 표현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한다. 이 권리는 간섭 없이 의견을 보유하고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언론을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찾고 받으며 전달할 자유를 포함한다. 의사소통은 근본적인 사회적 과정이며,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와 모든 사회 조직의 기초이다. 그것은 정보 사회의 중심이다. 누구나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하며 누구도 정보 사회에서 제공하는 혜택에서 제외해서는 안된다.[128][129]

2004 WSIS 선언은 "인권 존중하면서 범죄 및 테러 목적을 위한 정보 자원 및 기술의 사용을 방지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다. 볼프강 베네 데크(Wolfgang Benedek)는 WSIS 선언은 인권에 대한 수많은 언급을 포함하고 있지만, 실제로 인권이 고려됨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130]

1999년에 설립된 디지털 권리 단체 해크티비즘(Hacktivismo)은 정보 접근이 기본적인 인권이라고 주장한다.

2008년 10월 29일, 글로벌 네트워크 계획(GNI)은 "표현 및 개인 정보의 자유에 관한 원칙"에 기초하여 창안되었다.[131] 이 계획은 세계 인권 선언(UDHR) 창립 60 주년을 맞이하여 UDHR에 명시된 표현과 사생활의 자유와 인권에 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법률과 기준, 시민적 및 정치적 국제 규약 권리(ICCPR) 및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ICESCR)에 기반한다. 이 계획에는 전자 프론티어 재단, 휴먼 라이츠 워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다른 주요 기업, 인권 NGO, 투자자, 학계 등이 참여했다.[132]

보고서에 따르면 시스코 시스템즈는 초기 논의에 초청받았지만 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았다. 시스코가 인권 이사회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 Harrington Investments는 GNI를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발적 행동 강령으로 평가절하했다. 존 해링턴(John Harrington) 최고 경영자(CEO)는 GNI를 "무의미한 소음"이라고 부르며, 대신 이사회가 인권 책임을 수락하도록 하는 조례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133]

Jo Glanville 검열 편집자는 "인터넷은 자유 언론을 위해 검열 혁명"이었다고 주장한다. 정보의 자유라는 개념은 주 정부가 후원하는 검열, 모니터링 및 인터넷 감시에 대한 응답으로 출현했다. 인터넷 검열에는 인터넷상의 정보 공개 또는 액세스 제어 또는 억제가 포함된다.

국경 없는 기자단(RSF)의 "인터넷 목록"에 따르면 쿠바, 이란, 몰디브, 미얀마/버마, 북한, 시리아, 튀니지, 우즈베키스탄 및 베트남과 같은 국가에서는 퍼베이시브 인터넷 검열에 관여한다. 널리 알려진 예로는 중국의 Great Firewall(네트워크 방화벽 역할과 고대 중국 만리장성)이 있다. 이 시스템은 IP 주소가 라우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텐츠를 차단하고 인터넷 게이트웨이에서 표준 방화벽 및 프록시 서버로 구성된다. 또한 특정 사이트가 요청될 때 선택적으로 DNS 중독에 관여한다. 정부는 기술적으로 비현실적인 것으로 보이므로 인터넷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중화 인민 공화국에서의 인터넷 검열은 다양한 법률 및 행정 규정에 따라 수행된다.[134] 이 법률에 따라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는 60개가 넘는 인터넷 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국영 ISP, 기업 및 조직의 지방 지부에서 검열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135]

2010년,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 장관은 미국을 대표하여 "모든 인류가 지식과 아이디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단일 인터넷을 지지합니다"라고 선언했다. 그녀는 '인터넷 자유에 관한 발언'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발표를 인용하며, "정보가 자유롭게 흐를수록 정보 네트워크가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정부에 더 많은 책임감을 갖도록 돕는 방법"에 관심을 쏟는 사회가 된다고 말했다.[136]

인터넷 접속은 크게 증가하여 2024년에는 53억 5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에 도달했으며, 이는 세계 인구의 약 66%에 해당한다.[7] 그러나 디지털 격차는 여전히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 특히 여성과 소녀, 그리고 아프리카[8]와 최빈개도국 및 여러 소규모 도서개발도상국에서 배제되고 있다.[9] 더욱이, 장애인의 경우 기술 설계 또는 훈련 및 교육의 유무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다.[10]

3. 4. 1. 정보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접근은 공식 및 비공식 교육 환경에서의 학습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인터넷 접근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의미한다.[36]

3. 4. 2. 개방형 표준

(ITU)에 따르면, "개방형 표준"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고 협업적이며 합의 중심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또는 승인) 및 유지 관리되는 표준이다. "개방형 표준"은 서로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 간의 상호운용성과 데이터 교환을 촉진하며 광범위한 채택을 목표로 한다. 유네스코 연구에서는 개방형 표준 채택이 시민들이 정보를 자유롭게 찾고, 공유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공유지(digital commons)’ 비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102] 비용이 무료이고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는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장려하는 것은 소외된 사용자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수 집단을 위한 옹호 활동, 예를 들어 표적화된 홍보, 인터넷 접근의 개선된 제공,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민간 기업과 조직에 대한 세금 감면, 그리고 사회적 및 경제적 불평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 등이 포함된다.[102]

3. 4. 3. 해크티비즘

1999년에 설립된 디지털 권리 단체 해크티비즘(Hacktivismo)은 정보 접근이 기본적인 인권이라고 주장한다.[40] 이 단체의 신념은 "해크티비즘 선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 선언은 세계인권선언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을 인터넷에 적용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이 선언은 ICCPR에 따라 회원국이 인터넷과 관련하여 표현의 자유를 보호할 의무를 상기시키며,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의 자유를 언급한다.[40]

해크티비즘 선언은 "인터넷에서 정보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과 관련된 인권 침해에 맞서 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해커 커뮤니티에 "국가가 지원하는 인터넷 검열을 우회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정보 권리 침해에 맞서는 기술을 구현하라"고 촉구한다. 그러나 해크티비즘 선언은 표현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며, "우리는 정부가 적절하게 분류된 국가기밀, 아동 포르노그래피, 개인 프라이버시 및 특권과 관련된 문제 등 다른 허용되는 제한 사항에 대한 공개를 금지할 권리를 인정한다"고 명시한다. 하지만 해크티비스트 선언은 "우리는 국가 권력이 비평가, 지식인, 예술가 또는 종교 지도자들의 작품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힌다.[40]

4. 디지털 격차

정보 접근에는 세계적인 디지털 격차로 인해 큰 어려움이 존재한다. 디지털 격차는 정보통신기술(ICT)에 대한 접근, 사용 또는 영향과 관련된 경제적 불평등사회적 불평등을 의미한다.[11] 국가 내부의 격차(예: 미국의 디지털 격차)는 개인, 가구, 기업, 지리적 지역 간의 불평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다른 인구 통계 범주에서 발생한다.[11]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세계 지역 간의 격차는 세계 디지털 격차로 언급되며, 국제적 규모에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기술 격차를 조사한다.

4. 1. 인종적 격차

유색인종 공동체는 디지털 격차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인종과 민족에 따른 가정용 인터넷 접속률을 보면 명확하게 드러난다. 백인과 아시아계는 가정용 인터넷 접속률이 높은 반면, 히스패닉계, 흑인, 아메리카 원주민/알래스카 원주민, 하와이 원주민/태평양 섬 주민은 상대적으로 낮은 접속률을 보인다. 소득이 가정용 인터넷 접속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저소득층 내에서도 인종 및 민족적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디지털 검열알고리즘 편향 역시 인종적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페이스북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의 증오 표현 규칙과 알고리즘은 여성과 유색인종과 같은 사회적 소외 집단보다 백인 남성과 엘리트 집단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소수 집단의 언어는 증오 표현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편견으로 인해 자동화된 증오 감지 도구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온라인 플랫폼은 유색인종에 대한 증오스러운 콘텐츠는 용인하면서 유색인종의 콘텐츠는 제한하는 것으로 관찰되기도 한다. 호주 통신 미디어청(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의 조사 결과, 원주민을 열등하게 묘사하는 인종차별적인 콘텐츠가 포함된 페이스북 페이지가 삭제되지 않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유머'로 분류되어 그대로 유지되었다. 반면, 식당에서 유일한 유색인종이라는 불편함을 토로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의 게시물은 인종차별적인 메시지로 공격받았고, 페이스북에 신고하자 오히려 해당 여성의 계정이 정지되기도 했다.

4. 2. 장애로 인한 격차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에는 정보기술 접근에 불평등이 존재한다.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장애인이 있는 가구의 54%만이 가정용 인터넷에 접속하는 반면, 장애인이 없는 가구는 81%가 가정용 인터넷에 접속한다. 사지마비나 손 장애와 같은 신체적 장애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화면과의 상호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인지 장애나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 또한 기술 및 가정용 인터넷 접근성이 부족하다. 정보기술 사용 증가가 장애인에게 기회를 제공하여 평등을 증진할지, 아니면 불평등을 심화시켜 장애인을 사회에서 소외시킬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사회적 장애 인식, 연방 및 주 정부 정책, 기업 정책, 주류 컴퓨팅 기술, 실시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등이 장애인의 디지털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은 온라인 괴롭힘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레너드 체셔(Leonard Cheshire).org의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에서 온라인 장애 혐오 범죄가 1년 동안 33% 증가했다. 2019년 모델 케이티 프라이스(Katie Price)의 아들이 장애를 이유로 온라인 괴롭힘을 당한 사건은 장애인에 대한 온라인 혐오 괴롭힘의 사례이다. 케이티 프라이스는 영국 국회의원들이 장애인에 대한 온라인 괴롭힘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도록 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장애인에 대한 온라인 괴롭힘은 온라인 참여를 꺼리게 하고,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배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많은 장애인들은 복지 사기 혐의나 금전적 이득을 위한 장애 "가짜" 주장이라는 형태의 온라인 괴롭힘을 당하며, 이는 불필요한 조사를 초래하기도 한다.

4. 3. 성별 격차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정보 접근 및 이용의 자유는 남성보다 낮다. 문맹과 디지털 역량 부족과 같은 사회적 장벽으로 인해 정보 접근 도구를 이용하는 데 심각한 불평등이 발생하여, 성 건강과 같이 여성과 성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인식 부족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지역 사회 당국이 지역 사회의 소녀들과 미혼 여성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등 더욱 극단적인 조치의 사례도 있다. 와튼 경영대학원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의 확장은 여성의 ICT 접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불균형을 초래했으며,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성별 격차가 최대 31%, 2016년 전 세계적으로는 12%에 달했다.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장벽은 디지털 격차라고 한다. 저소득 국가와 저소득 지역 모두에서 인터넷 접근의 높은 가격은 여성에게 장벽이 되는데, 여성은 일반적으로 임금이 적고 유급 노동과 무급 노동 간의 불균형적인 분배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특정 국가의 문화적 규범은 여성이 특정 수준의 교육을 받거나 가계의 가장이 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여성의 인터넷 및 기술 접근을 금지할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가계 재정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나 여성이 ICT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에도 디지털 격차는 여전히 만연하다.

4. 4. LGBTQIA 격차

여러 국가에서 LGBTQI 공동체의 목소리와 관련 콘텐츠에 대한 검열을 실시하여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에 관한 정보 접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데 강력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튜브는 2017년 LGBTQIA 관련 비명시적 비디오를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콘텐츠"를 걸러내기 위한 분류인 '제한됨'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했다.

인터넷은 LGBTQIA 공동체와 같이 소외된 집단이 다른 사람들과 연결하고, 자신의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직한 대화와 담론에 참여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조성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LGBTQIA 공동체는 변화의 주체로 간주될 수 있으며, 사회 정의에 참여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농촌 지역이나 고립된 지역에 거주하는 LGBTQIA 개인은 자신의 지역 시스템 내에 없는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LGBT 개인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 관리, 파트너 및 뉴스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게이 헬스(Gay Health)는 온라인 의료 및 건강 정보를 제공하며, 게이 및 레즈비언 명예훼손 방지 동맹(Gay and Lesbians Alliance Against Defamation)은 인권 캠페인과 LGBTQIA 문제에 초점을 맞춘 온라인 간행물과 뉴스를 제공한다. 인터넷은 LGBTQIA 개인이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원격 농촌 지역의 광대역 접근 부족으로 인해 인터넷 접근이 부족하면 이러한 것들이 방해받을 수 있다. LGBT 테크(LGBT Tech)는 5G 기술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출시하여, LGBTQIA 공동체 구성원이 건강 관리, 경제적 기회 및 안전한 공동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고 빠른 기술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잃을 수 있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강조해왔다.

LGBTQI 구성원이 온라인으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정보를 남용당하게 만드는 다른 요소들도 있다. 인터넷 필터는 공립학교와 도서관에서 LGBTQIA 공동체와 관련된 LGBTQIA 콘텐츠를 검열하고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온라인 포식자가 LGBTQIA 구성원을 대상으로 개인 정보를 찾고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대가 존재한다. 인터넷 사용은 LGBTQIA 개인이 치료적 조언, 사회적 지원 시스템, 아이디어와 우려 사항에 대한 협업을 촉진하고, LGBTQIA 개인이 앞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온라인 환경을 통해 사회적 좌절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증거와 평가를 통해 인터넷을 활용하여 커밍아웃과 그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에 직면하고 있는 LGBTQIA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간 서비스 전문가를 통해 촉진될 수 있다.

5. 개인 정보 보호

국민의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하지만, 정보 공개로 인해 개인 정보 보호가 침해될 우려도 있다.[125] 공문서를 다루는 기록관리사는 정보를 공개하기 전에 내용이 공개에 적합한지 심사해야 하며, 국가 기밀이나 국가 안보와 관련된 내용은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125]

5. 1. 개인 정보, 감시 및 암호화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이 변화하면서, 국가와 기업이 개인의 행동, 의견, 관계망을 추적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각국은 국민과 국가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통신 감시를 허용하는 법률과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테러 방지법으로 인해 정부의 감시 권한이 강화되고 정보 당국이 시민 데이터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73] 그러나 이러한 법률이 인권 침해의 소지가 없는지, 즉 필요성, 비례성, 정당한 목적과 같은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토해야 한다.[73]

한편, 2008년 10월 29일에는 글로벌 네트워크 계획(GNI)이 "표현 및 개인 정보의 자유에 관한 원칙"을 바탕으로 출범했다.[131] 이 계획은 세계 인권 선언 60주년을 맞아 표현과 사생활의 자유, 인권에 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법률과 기준을 따르고 있다. 전자 프론티어 재단, 휴먼 라이츠 워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등 주요 기업, 인권 단체, 투자자, 학계 등이 참여하고 있다.[132] 다만, 시스코 시스템즈는 초청을 받았으나 참여하지 않았고, Harrington Investments는 GNI가 강제성이 없는 행동 강령이라며 비판했다.[133]

정보 공개는 정치 및 행정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비효율적이거나 불공정한 사례를 방지하고 국민과 언론의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125] 그러나 정보 공개로 인해 개인 정보 보호 침해 우려도 존재한다. 공문서를 다루는 기록관리사는 정보 공개 전 내용의 적합성을 심사해야 하며, 국가 기밀이나 국가 안보 관련 내용은 신중히 처리해야 한다.

5. 1. 1. 국제적 프레임워크

유엔 인권이사회는 온라인 개인정보보호의 보편적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해왔다. 2015년, 디지털 시대의 개인정보보호권에 관한 결의에서 유엔 개인정보보호권 특별보고관을 설립했다.[50] 2017년, 인권이사회는 ‘불법적이거나 자의적인 통신 감시 및/또는 감청, 그리고 불법적이거나 자의적인 개인정보 수집은 매우 침해적인 행위이며, 개인정보보호권을 침해하고 표현의 자유 및 간섭 없는 의견 표명의 권리 등 다른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51]

5. 1. 2. 지역적 프레임워크

유럽 평의회의 108호 협약(자동 개인 정보 처리와 관련하여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협약)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화되었다.[52] 2012년 이후 유럽 평의회 회원국 4개국과 아프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의 비회원국 3개국이 이 협약에 서명하거나 비준했다.[52]

2015년 유럽 사법 재판소는 사기업이 '유럽 가입자의 개인 정보를 미국으로 '합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이른바 '세이프 하버 협정'[53]이 유럽 시민의 데이터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제공하거나 임의적인 감시로부터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유럽법에 따라 유효하지 않다고 판결했다. 2016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미국 정부는 세이프 하버를 대체하기 위한 협정인 EU-미국 프라이버시 실드에 합의했는데, 여기에는 유럽연합으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업에 대한 데이터 보호 의무, 미국 정부의 데이터 접근에 대한 안전장치, 개인에 대한 보호 및 구제, 그리고 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례 공동 검토가 포함된다.[53]

유럽 사법 재판소의 2014년 구글 스페인 사건 판결은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 투명성 간의 균형에 대한 논쟁이 많은 접근 방식에서 사람들이 "잊힐 권리" 또는 "삭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54]

5. 1. 3. 국가적 프레임워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20개의 유네스코 회원국이 최초로 데이터 보호법을 채택하여,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보호법을 갖춘 국가는 총 101개국이 되었다.[59] 이 중 아프리카 9개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4개국,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3개국, 아랍 지역 2개국, 서유럽 및 북미 지역 1개국이 새롭게 데이터 보호법을 채택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23개국은 디지털 시대의 데이터 보호에 대한 새로운 과제를 반영하여 데이터 보호법을 개정했다.[73]

글로벌 파트너스 디지털에 따르면, 국가 법률에 암호화에 대한 일반적인 권리를 확보한 국가는 4개국뿐이며, 31개국은 법 집행 기관에 암호화된 통신을 가로채거나 해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국가 법률을 제정했다.[60]

5. 1. 4. 민간 부문 시사점

2010년 이후로, 많은 기업들은 사용자의 정보와 통신을 더욱 보호하고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61] 대표적인 사례로는 왓츠앱의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완벽한 종단 간 암호화 구현[62]과 애플이 테러 공격 가해자들이 사용한 아이폰의 잠금 해제를 위한 법 집행 영장에 대해 제기한 이의제기가 있다.[63]

5. 2. 기밀 정보원 및 내부 고발자 보호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디지털 통신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널리즘 정보원 보호에 새로운 위험이 초래되고 있다. 주요 위협으로는 대량 감시 기술, 데이터 보관 정책, 제3자에 의한 개인 디지털 활동 공개 등이 있다.[64] 기자와 정보원이 디지털 통신 및 흔적 보호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자신도 모르게 신원이 노출될 수 있다.[64] 테러 대응 법률과 같은 국가 안보 관련 법률을 사용하여 정보원 보호를 위한 법적 보호를 무력화하는 관행도 늘어나고 있다.[64] 많은 지역에서 비밀 유지 법률 또는 새로운 사이버 보안 법률이 정보원 보호를 위협한다. 예를 들어, 국가 안보의 정의가 지나치게 광범위하여 정부가 온라인 통신을 감청할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65]

2015년 기준으로 최소 60개국이 내부고발자 보호를 채택했다.[67] 국제적으로는 유엔 부패방지협약이 2005년에 발효되었으며,[68] 2017년 7월까지 전 세계 대다수 국가(총 179개국)가 이 협약을 비준했다.[69]

2012년 이후 협약을 비준, 수락 또는 가입한 23개 유네스코 회원국 추가.


내부 고발자 보호를 포함하는 지역 부패 방지 협약도 널리 비준되었다. 여기에는 33개 회원국이 비준한 미주 부패 방지 협약[70]과 36개 유네스코 회원국이 비준한 아프리카 연합 부패 방지 및 퇴치 협약이 포함된다.[71]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이사회는 국제 비즈니스 거래에서 외국 공무원 뇌물 수수 방지에 대한 권고안을 채택했다.[72]

6. 미디어 다원주의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했다. 인터넷은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모바일 사용의 급증으로 사용자 수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73]

6. 1. 인터넷 모바일

유엔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유네스코가 공동 의장을 맡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광대역위원회의 활동, 그리고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의 ‘다음 10억 명 연결하기’에 대한 회기간 활동은 모두 전 세계 사람들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려는 국제적 노력의 증거이다.[74]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으로 약 48%의 개인이 정기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했는데, 이는 2012년 34%에서 증가한 수치이다.[74] 그러나 절대적인 수치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인터넷 사용자의 연간 증가율은 둔화되어 2017년 5%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2년 10%의 성장률에서 감소한 것이다.[75]

고유한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2년 명에서 2016년 명으로 증가하여 세계 인구의 3분의 2에 달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위치해 있다. 가입자 수는 2020년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거의 60%가 4G 광대역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 이는 2015년의 거의 50%와 2012년의 11%에서 증가한 수치이다.[76]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에 접근하는 데 사용자가 직면하는 제한은 인터넷의 광범위한 분열 과정과 일치한다. 특정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무료 접속을 허용하는 인터넷 제공업체의 관행인 제로레이팅은 개인이 경제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지만, 비판가들로부터 ‘이중 구조’의 인터넷을 만든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제로레이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등 레이팅’이라는 대안 모델이 등장하여 모질라와 오렌지가 아프리카에서 실험하고 있다. 동등 레이팅은 특정 유형의 콘텐츠 우선 순위를 방지하고 지정된 데이터 상한선까지 모든 콘텐츠를 제로레이팅 한다. 이 지역의 일부 국가는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를 통틀어) 선택할 수 있는 요금제가 소수였던 반면, 콜롬비아와 같은 다른 국가는 30개의 선불 요금제와 34개의 후불 요금제를 제공했다.[77]

2012년-2017년 인터넷 사용 개인 비율

6. 2. 방송 미디어

서구 유럽과 북미에서는 인터넷이 주요 정보원으로서 텔레비전의 중요성을 위협하고 있지만, 아프리카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역사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미디어 플랫폼이었던 라디오보다 텔레비전의 시청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73] 연령은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중 어떤 것이 주요 뉴스 소스인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7년 로이터 연구소 디지털 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36개국 및 지역의 성인 중 55세 이상의 51%가 텔레비전을 주요 뉴스 소스로 여기는 반면, 18~24세 응답자는 24%에 불과했다.[78] 온라인 미디어의 경우는 그 패턴이 반대다. 18~24세 사용자의 64%가 주요 소스로 온라인 미디어를 선택한 반면, 55세 이상 사용자는 28%에 불과했다.[78] 아랍 청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16년 인터뷰에 응한 젊은이 중 45%가 소셜 미디어를 주요 뉴스 소스로 여겼다.[79]

위성 텔레비전은 많은 시청자에게 국가적 시청 선택권에 대한 세계적 또는 초국가적 대안을 계속 추가해왔다. BBC 뉴스, 알자지라, AFP(Agence France-Presse), RT(TV network)(구 Russia Today), 스페인어 방송 EFE(Agencia EFE)와 같은 세계적인 뉴스 제공업체들은 인터넷과 위성 텔레비전을 사용하여 국경을 넘어 시청자에게 더 잘 다가가고 있으며, 특정 외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방송을 추가했다. 더욱 개방적인 방향을 반영하여, 중국중앙텔레비전(China Central Television)이 소유 및 운영하는 다국어 및 다채널 그룹인 CGTN(China Global Television Network)은 2017년 1월 CCTV-NEWS에서 이름을 변경했다. 수년간의 예산 삭감과 축소되는 세계적 운영으로 인해, BBC는 2016년에 12개의 새로운 언어 서비스(Afaan Oromoom, Amharicam, Gujaratigu, Igboig, Korean한국어, Marathimr, Pidginpcm, Punjabipa, Telugute, Tigrinyati, Yorubayo)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1940년대 이후 최대 규모의 확장'의 일환으로 브랜드화되었다.[80]

비선형 시청을 통한 사용 패턴의 변화 또한 콘텐츠 접근을 확대하고 있다. 온라인 스트리밍이 사용자 경험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1월 글로벌 서비스를 130개국으로 확장한 이후, 넷플릭스는 가입자 수가 급증하여 2017년 2분기에 1억 명을 돌파했는데, 이는 2012년 4천만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1997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 회사의 사용자 중 47%가 미국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등 시청자층도 더 다양해졌다.[81]

6. 3. 신문 산업

인터넷은 정보와 의견의 대안적 원천으로서 언론에 도전했지만, 신문사들이 새로운 독자층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도 제공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인쇄 신문의 발행 부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감소세를 지속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일부 특정 국가의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일본대한민국과 같은 역사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아시아 시장의 감소세를 상쇄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인도의 인쇄 부수는 89% 증가했다.[82] 많은 신문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함에 따라 디지털 구독과 디지털 광고 수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을 더 많이 확보하는 방법은 신문사들에게 여전히 시급한 과제이다.[82]

7. 국제적 프레임워크

유네스코세계은행 등 여러 국제기구는 정보 접근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네스코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6.10에 따라 정보 접근 보장을 위한 노력을 주도하며, 2015년 9월 총회에서 9월 28일을 세계 정보 접근의 날로 선포하였다.[85] 2006년 6월 기준으로 약 70개국이 정보의 자유법을 제정하여 정부 및 특정 상황에서 개인 기관이 보유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고 있다.[126] 민영화와 규제 완화 추세에 따라 민간 단체가 운영하는 은행, 통신 회사, 병원, 대학 등에도 정보의 자유법을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126]

세계은행은 2010년 정보 접근 정책을 발표하여 요청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104] 이에 따라 개인 정보, 변호사-의뢰인 특권 등 예외 목록에 해당하지 않는 한 요청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105]

2003년 채택된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 선언은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 의존성을 재확인하고,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에 명시된 표현의 자유를 정보 사회의 필수 기반으로 강조한다.[128][129] WSIS는 2003년 제네바와 2005년 튀니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개발도상국의 인터넷 접근 확대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었다. 이 회의들은 5월 17일을 세계 정보사회의 날로 제정하였다.[106]

7. 1. 유네스코의 활동

유네스코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6.10에 따라 정보에 대한 공개 접근 보장을 위한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

7. 1. 1. 권한

2015년 9월 유네스코 총회는 9월 28일을 세계 정보 접근의 날로 선포하였다.[85]

7. 1. 2. 역사

2006년 6월, 약 70개국이 정부 기관 및 특정 상황에서 개인 기관에 보유한 정보에 적용되는 정보의 자유법을 가지고 있었다. 이 국가들 중 19개국에서는 정보 입법의 자유가 민간 단체에도 적용되었다. 정보에 대한 접근은 소비자의 정보에 입각한 선택권을 촉진하고, 그릇된 관리와 부패에 대비하여 시민을 보호하는 등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에 대한 전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10년 간 정보의 자유법을 제정하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민간 단체는 이전에 공공기관이 수행한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민영화와 규제 완화로 민간 단체가 운영하는 은행, 통신 회사, 병원, 대학 등이 민간 단체를 포괄하는 정보의 자유법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126]

유네스코는 정보 접근과 관련된 다양한 선언과 권고를 채택해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2015년제38차 총회 결의 제38 C/70호: 9월 28일을 "세계 정보 접근의 날"로 선포
해당사항 없음세계인권선언 제19조[87]
해당사항 없음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88]
해당사항 없음브리즈번 선언[89]
해당사항 없음다카르 선언[90]
해당사항 없음핀란디아 선언[91]
해당사항 없음마푸토 선언[92]
해당사항 없음뉴델리 선언[93]
2003년다국어 사용 및 사이버 공간의 보편적 접근 촉진 및 활용에 관한 권고[94]
해당사항 없음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유엔 협약[95]


7. 1. 3. 국제커뮤니케이션개발프로그램(IPDC)

유네스코(UNESCO) 프로그램인 국제커뮤니케이션개발프로그램(IPDC, International Programm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은 개발도상국의 대중매체 발전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3년 이후 IPDC의 임무는 "...개발도상국과 전환 국가의 전자 매체 및 인쇄 매체 분야 역량 강화를 통해 정보와 지식에 대한 보편적 접근 및 배포를 촉진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 민주주의 및 거버넌스에 기여하는 것"이다.[96]

국제커뮤니케이션개발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 16의 지표 16.10.1 및 16.10.2를 통해 후속 조치를 담당한다. 2년마다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유네스코가 규탄한 각 살인 사건에 대한 사법 조사 현황에 대한 회원국 정보를 담은 보고서를 IPDC 이사회에 제출한다.[97] 언론인 안전 지표는 유네스코가 개발한 도구로, 유네스코 웹사이트에 따르면 언론인의 안전을 평가하고 언론인에 대한 범죄에 대한 적절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주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PDC 토크는 또한 프로그램이 정보 접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98] IPDC는 또한 유엔 사무총장의 SDG 후속 조치에 관한 세계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정보 접근 법률을 모니터링하고 보고하는 프로그램이다.[73]

2015년 9월 28일, 유네스코는 제38차 회의에서 세계 정보 보편적 접근의 날을 채택했다.[99] 세계 정보 보편적 접근의 날 동안 IPDC는 고위급 참가자들이 모인 "IPDC 토크: 정보 접근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추진" 행사를 개최했다.[100] 이 연례 행사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 1. 4. 인터넷 보편성 프레임워크

인터넷 보편성(Internet Universality)은 "인터넷은 단순한 인프라와 응용 프로그램을 넘어 경제적 및 사회적 관계 네트워크이며, 인권 신장, 개인과 공동체의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개발 촉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이다.[101] 이 개념은 인터넷이 인권 기반, 개방적, 접근 가능하며 다자 이해관계자 참여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네 가지 원칙(ROAM)에 기초한다.[101]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넷을 이해하면 기술과 공공 정책, 권리 및 개발과 관련된 인터넷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101]

유네스코는 인터넷 보편성 개념을 통해 정보 접근을 더 나은 인터넷 환경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로 강조한다. 이는 더 넓은 사회 통합 원칙에 대한 인터넷의 특별한 관련성을 지닌다. 이는 기술, 읽기 쓰기 능력, 언어, 성별 또는 장애에 기반한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불평등, 그리고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는 데 있어 접근성의 역할을 제시한다. 또한 인터넷 활동에 대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정보 및 지식의 보존, 품질, 무결성, 보안 및 진위성에 대한 신뢰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접근성은 권리와 개방성과 상호 연관되어 있다.[102] 유네스코는 ROAM 원칙에 기반하여 정부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자국의 인터넷 환경을 평가하고 정보 접근과 같은 인터넷 보편성과 관련된 가치를 증진하도록 돕는 인터넷 보편성 지표를 개발하고 있다.[103]

7. 2. 세계은행 이니셔티브

2010년, 세계은행은 정보 접근에 관한 정책을 발표했는데, 이는 요청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운 것입니다.[104] 이 원칙에 따라 세계은행은 "예외 목록"에 해당되지 않는 한 요청된 정보를 공개해야 합니다. 예외 목록에는 다음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 개인 정보
  • 이사회 및/또는 상임이사 사무국의 의사소통
  • 윤리위원회
  • 변호사-의뢰인 특권
  • 보안 및 안전 정보
  • 별도 공개 체계
  • 기밀 고객/제3자 정보
  • 기업 행정
  • 심의 정보
  • 재정 정보[105]


세계은행은 공개 데이터, 공개 금융 및 공개 지식 저장소를 통해 공개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105]

7. 3. 정보 사회 세계 정상 회의 (WSIS)

2003년에 채택된 세계 정보 사회 정상 회의(WSIS) 선언은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 의존성을 재확인한다. 이 선언문은 또한 "정보 사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우리는 정보 사회의 필수 기반이자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모든 사람이 의견과 표현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음을 재확인한다. 이 권리는 간섭 없이 의견을 보유하고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언론을 통해 정보와 아이디어를 찾고 받으며 전달할 자유를 포함한다. 의사소통은 근본적인 사회적 과정이며,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와 모든 사회 조직의 기초이다. 그것은 정보 사회의 중심이다. 누구나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하며 누구도 정보 사회에서 제공하는 혜택에서 제외해서는 안된다.[128][129]

2004년 WSIS 선언은 또한 "인권을 존중하면서 범죄 및 테러 목적을 위한 정보 자원 및 기술의 사용을 방지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다. 볼프강 베네데크(Wolfgang Benedek)는 WSIS 선언은 인권에 대한 수많은 언급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로 인권이 고려되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130]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는 정보, 통신, 그리고 광범위하게 정보사회에 관한 국제연합이 후원한 2단계 정상회의로, 2003년 제네바와 2005년 튀니스에서 개최되었다.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인터넷 접근을 개발도상국에 확대함으로써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를 분리하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었다. 이 회의들은 5월 17일을 세계 정보사회의 날로 제정하였다.[106]

8. 지역적 프레임워크

유네스코의 SDG 16 10.2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2023년 현재 112개국이 정보 접근의 자유 관련 법률 또는 유사한 행정 규정을 채택했다.[73][107] 2012년 이후 22개국이 새로운 관련 법률을 채택했다. 지역별로는 아프리카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지난 5년 동안 10개국이 정보 접근의 자유 관련 법률을 채택하여 해당 법률을 보유한 국가 수가 9개국에서 19개국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높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지난 5년 동안 7개국이 정보 접근의 자유 법률을 채택하여 총 22개국이 되었다. 또한 보고 기간 동안 아랍 지역의 2개국,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2개국, 서유럽 및 북미 지역의 1개국이 정보 접근의 자유 관련 법률을 채택했다. 세계 인구의 대다수가 현재 정보 접근의 자유 법률을 보유한 국가에 거주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현재 정보 접근의 자유 관련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73]

9. 일본의 정보 공개 제도

일본에서는 2001년에 정보공개법(행정기관의 보유하는 정보의 공개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1988년 공문서관법이 시행되어, 일본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공문서 보존과 일반 공개 의무가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2016년 현재도 도도부현의 절반 정도만 공문서관이 설립되었다.

사법부 및 국회가 보유하는 정보 공개 청구 관련 법률은 없다. 그러나 사법부는 심리와 판결이 공개된다(일본국 헌법 제82조 1항, 사법소법 제70조 참조). 민사소송법 제91조 제1항에 따라 누구든지 민사소송 기록 열람을 청구할 수 있으며, 동법 제92조 제1항에 따른 열람 제한 결정이 없으면 열람할 수 있다. 민사재판 기록 보존은 사건 기록 등 보존 규정(쇼와 39년 12월 12일 최고재판소 규정 제8호)에서 규정한다. 형사소송 기록은 형사소송법 제53조 제1항에 따라 “누구든지, 피고 사건 종결 후, 소송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단, 소송 기록 보존 또는 사법부 또는 검찰청 사무에 지장이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고 규정하며, 확정판결된 형사재판 기록 보존은 형사확정소송기록법에서 규정한다.

또한, 국회는 본회의·위원회의 공개와 의사록 공표가 정해져 있다(헌법 제57조, 국회법 제62조·제63조 참조).

참조

[1] 논문 Freedom of Information for Planning Research and Practice in Australia: Examples, Implications, and Potential Remedies https://www.tandfonl[...] 2020-12-08
[2] 웹사이트 Access to information http://people.ischoo[...]
[3] 서적 Freedom of Expression Hodder Arnold
[4] 웹사이트 Protecting Free Expression Online with Freenet - IEEE Internet Computing http://freenetprojec[...]
[5] 웹사이트 What is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https://ico.org.uk/f[...] 2019-04-04
[6] 잡지 Avast Network, What is the Pirate Party—and why is it helping Wikileaks? http://www.tnr.com/a[...] 2011-01-24
[7] 웹사이트 Internet Usage Statistics In 2024 https://www.forbes.c[...] 2024-03-01
[8]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concerning the promotion and use of multilinguisme and universal access to cyberspace http://www.unesco.or[...]
[9] 웹사이트 Towards Inclusive Knowledge Societies: A Review of UNESCO Action in Implementing the WSIS Outcomes http://unesdoc.unesc[...] UNESCO
[10] 웹사이트 Photos http://unesdoc.unesc[...]
[11] 웹사이트 FALLING THROUGH THE NET: A Survey of the "Have Nots" in Rural and Urban America http://
[36] 웹사이트 UNESCO (2013a), UNESCO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ctor with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Country Readiness and Competencies. Paris: UNESCO http://unesdoc.unesc[...] 2021-01-03
[37] 서적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7
[38] 서적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7
[39] 서적 Internet Governance and the Information Society https://books.google[...] Eleven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11-27
[40] 웹사이트 cDc communications - CULT OF THE DEAD COW - Hacktivismo - Ninja Strike Force https://www.cultdead[...] 2019-05-02
[41] 웹사이트 Global Network Initiative, FAQ http://www.globalnet[...] 2009-03-09
[42] 웹사이트 Internet Rights Protection Initiative Launches https://www.hrw.org/[...] 2016-12-04
[43] 웹사이트 Global Network Initiative, Participants http://www.globalnet[...] 2008-11-16
[44] 뉴스 The big business of net censorship https://www.theguard[...] 2016-12-11
[45] 웹사이트 List of the 13 Internet enemies http://www.rsf.org/a[...] RSF 2008-01-02
[46] 뉴스 War of the words https://www.theguard[...] 2010-05-02
[47] 웹사이트 II. How Censorship Works in China: A Brief Overview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6-08-30
[48] 웹사이트 Chinese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Internet http://www.chinaecla[...] 2012-02-20
[49] 웹사이트 Remarks on Internet Freedom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website 2010-12-18
[50]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Council. 2016. The promotion, protection and enjoyment of human rights on the Internet. A/HRC/32/13. Retrieved 23 June 2017 http://www.un.org/en[...] 2021-01-03
[51]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Council. 2017. The right to privacy in the digital age. A/HRC/34/L.7/ Rev.1. ga/search/view_doc.asp?symbol=A/HRC/34/L.7/Rev.1. Retrieved 24 May 2017 http://www.un.org/ga[...] 2021-01-03
[52]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2017. Chart of signatures and ratifications of Treaty 108. Council of Europe Treaty Office. Retrieved 7 June 2017. http://www.coe.int/w[...] 2021-01-03
[53] 웹사이트 EU-US data transfers https://ec.europa.eu[...] 2021-01-03
[54] 간행물 Privacy, free expression and transparency: Redefining their new boundaries in the digital age UNESCO
[55] 간행물 Europe's 'Right to Be Forgotten' in Latin America Centro de Estudios en Libertad de Expresión y Acceso a la Información (CELE), Universidad de Palermo
[56] 웹사이트 Towards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Latin America http://ecija.com/en/[...] ECIJA 2022-07
[57] 웹사이트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2016/67: Recital 153. Text http://www.privacyre[...] 2017-06-07
[58] 간행물 Human rights and encryption http://unesdoc.unesc[...] UNESCO Pub.; Sense 2018-06-26
[59] 간행물 Global Tables of Data Privacy Laws and Bills (5th ed.) Privacy Laws & Business International Report
[60] 웹사이트 World map of encryption laws and policies https://www.gp-digit[...] Global Partners Digital 2019-09
[61] 웹사이트 Schulz, Wolfgang, and Joris van Hoboken. 2016b. Human rights and encryption. UNESCO series on internet freedom. France. http://www.unesco.or[...] 2021-01-03
[62] 웹사이트 WhatsApp. 2016. end-to-end encryption. WhatsApp.com. Retrieved 25 May 2017. https://blog.whatsap[...] 2021-01-03
[63] 뉴스 Apple Fights Order to Unlock San Bernardino Gunman's iPhone https://www.nytimes.[...] 2017-05-25
[64] 간행물 The Global Principles on National Security and the Right to Information (Tshwane Principles) Open Society Justice Initiative
[65] 웹사이트 Protecting Journalism Sources in the Digital Age. UNESCO Series on Internet Freedom. Paris, France: UNESCO Publishing. Retrieved 24 May 2017. http://www.unesco.or[...] 2021-01-03
[66] 웹사이트 Posetti, Julie. 2017b. Fighting back against prolific online harassment: Maria Ressa. Article in Kilman, L. 2017. An Attack on One is an Attack on All: Successful Initiatives To Protect Journalists and Combat Impunity. International Programm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Paris, France: UNESCO Publishing. http://unesdoc.unesc[...] 2021-01-03
[6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s://www.un.org/e[...] 2021-01-03
[68] 웹사이트 UN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A/58/422. Retrieved 25 May 2017. https://www.unodc.or[...] UN Office on Drugs and Crime 2021-01-03
[69] 웹사이트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Signature and Ratification Status.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UNODC). https://www.unodc.or[...] UN Office on Drugs and Crime 2018-06-13
[70] 웹사이트 InterAmerican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Signatories and Ratifications. http://www.oas.org/e[...]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2021-01-03
[71] 웹사이트 List of countries which have signed, ratified/acceded to the African Union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Corruption https://au.int/sites[...] 2022-07-00 #Dead link
[72] 웹사이트 Committing to Effective Whistleblower Protection http://www.oecd.org/[...] OECD 2017-06-25
[73]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Global Report 2017/2018 http://www.unesco.or[...] UNESCO 2021-01-03
[74] 웹사이트 World Telecommunication/ICT Indicators Database https://www.itu.int/[...] 2021-01-03
[75] 웹사이트 Status of the transition to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 Statistics https://www.itu.int/[...] 2021-01-03
[76] 웹사이트 The Mobile Economy 2019 https://www.gsma.com[...] 2021-01-03
[77] 웹사이트 Galpaya, Helani. 2017. Zero-rating in Emerging Economies. London: Chatham House https://www.cigionli[...] 2022-07-00 #Dead link
[78] 웹사이트 Reuters Institute Digital News Report 2017 https://reutersinsti[...]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2019-09-00 #Dead link
[79] 웹사이트 Arab Youth Survey Middle East – Findings http://www.arabyouth[...] ASDA'A Burson-Marsteller 2022-05-24
[80] 뉴스 BBC World Service announces biggest expansion ‘since the 1940s’ https://www.bbc.com/[...] BBC 2017-08-21
[81] 뉴스 Netflix Has More U.S. Subscribers Than Cable TV http://fortune.com/2[...] Fortune 2017-08-21
[82] 서적 World Press Trends 2017 WAN-IFRA
[83] 웹사이트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ww.un.org/ga[...] UN General Assembly 2017-05-24
[84] 웹사이트 Unpacking Indicator 16.10.2: Enhancing public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Agenda 2030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en.unesco.or[...] UNESCO 2021-01-03
[85] 웹사이트 38 C/70. Proclamation of 28 September as the 'International Day for the Universal Access to Information' http://unesdoc.unesc[...] UNESCO 2021-01-03
[86] 웹사이트 Finlandia Declaration: Access to Information and Fundamental Freedoms – This is Your Right! https://en.unesco.or[...] UNESCO 2017-05-24
[87] 웹사이트 Resolution http://www.ohchr.org[...] 2021-01-03
[88] 웹사이트 Treaty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21-01-03
[89] 웹사이트 Brisbane Declaration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UNESCO 2021-01-03
[90] 웹사이트 Dakar Declaration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UNESCO 2021-01-03
[91] 웹사이트 Declaration https://en.unesco.or[...] UNESCO 2021-01-03
[92] 웹사이트 Maputo declaration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UNESCO 2021-01-03
[93] 웹사이트 Images http://unesdoc.unesc[...] UNESCO 2021-01-03
[94] 웹사이트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promotion and use of multilingualism and universal access to cyberspace http://www.unesco.or[...] 2018-06-12
[95]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Articles – United Nations Enable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21-01-03
[96] 간행물 Amendments to the Statutes of the International Programm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IPDC) Resolution 43/32
[97] 웹사이트 Areas of Work https://en.unesco.or[...] 2021-01-03
[98] 웹사이트 About the IPDCtalks https://en.unesco.or[...] UNESCO 2021-01-03
[99] 웹사이트 Images http://unesdoc.unesc[...] UNESCO 2021-01-03
[100] 웹사이트 International Day for Universal Access to Information https://en.unesco.or[...] UNESCO 2021-01-03
[101] 웹사이트 Internet Universality https://en.unesco.or[...] UNESCO 2017-10-30
[102] 서적 Keystones to foster inclusive Knowledge Societies http://unesdoc.unesc[...] UNESCO 2021-01-03
[103] 웹사이트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https://en.unesco.or[...] UNESCO 2017-11-01
[104]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worldban[...] 2021-01-03
[105] 웹사이트 Brochure https://web.archive.[...] World Bank 2021-01-03
[106] 웹사이트 About – WSIS Forum 2018 https://www.itu.int/[...] 2021-01-03
[107] 웹사이트 2016-0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설정했습니다.
[108]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09]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10]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11] 웹사이트 Global Right to Information Rating http://www.rti-ratin[...] 2021-01-03
[112] 웹사이트 Centre for Law and Democracy & Access Info. 2017b. Global Right to Information Rating Map. Global Right to Information Rating. Retrieved 24 May 2017. http://www.rti-ratin[...] 2021-01-03
[113] 웹사이트 About. Global Right to Information Rating http://www.rti-ratin[...] 2017-05-24
[114] 웹사이트 — SDG Indicators https://unstats.un.o[...] 2021-01-03
[115] 웹사이트 error http://documents.wor[...] 2021-01-03
[116] 웹사이트 Open Data Charter. 2017b. Who we are. Open Data Charter. Retrieved 24 May 2017 https://opendatachar[...] 2021-01-03
[117] 웹사이트 Open Data Charter. 2017a. Adopted By. Open Data Charter. Retrieved 24 May 2017 https://web.archive.[...] 2018-06-12
[118] 간행물 Open Data Barometer: Global Report Fourth Edition https://opendatabaro[...] World Wide Web Foundation 2017-05-24
[119]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0]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1]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2]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3]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4] 논문 Exclusion of Private Sector from Freedom of Information Laws: Implications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10-10-01
[125] 서적 日本はスウェーデンになるべきか PHP新書
[126] 뉴스 "언론자유라는 기본권 존중은 상식" http://www.bulkyo21.[...]
[127] 뉴스 표현의 자유와 고소 전성시대 http://news.hankyung[...]
[128] 뉴스 "文정부, 인터넷 표현 자유 구체적 정책 필요" http://news.inews24.[...]
[129] 뉴스 "민간기구가 인터넷상 정치적 표현 분쟁 해결해야" https://web.archive.[...]
[130] 뉴스 “사이버 명예훼손과 표현의 자유…균형점 찾아야” http://www.asiae.co.[...]
[131] 뉴스 전 세계를 시장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 http://www.munhwa.co[...]
[132] 뉴스 한투증권, 중국 푸싱CMF와 손잡고 글로벌IB 공략 http://www.bizwatch.[...]
[133] 뉴스 현대일렉트릭,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지속 http://www.electimes[...]
[134] 뉴스 만리장화벽 덕에 중국 인터넷이 발전하는 아이러니 http://www.sisain.co[...]
[135] 뉴스 아마존, 中클라우드 사업 일부 신넷에 매각…인터넷 검열 강화 영향 http://www.edaily.co[...]
[136] 뉴스 中 SNS 글 1천 개 중 3개는 사라진다…"검열 강화 탓"(종합)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