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트리스는 1985년 알렉세이 파지트노프가 개발한 퍼즐 게임으로, 4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가로 줄을 채워 없애는 방식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 테트리스는 뇌의 활성화와 PTSD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테트리스 효과와 중독성을 유발하기도 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테트리스 컴퍼니가 라이선스를 관리하며 게임 규칙을 통일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테트리스는 역대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게임보이 버전은 3,500만 개 이상 판매되었다. 2023년에는 테트리스의 개발과 관련된 법적 분쟁을 다룬 영화가 개봉했다.
테트리스의 역사는 많은 법적 분쟁으로 점철되어 있다. 1985년 6월 알렉세이 파지트노프는 소련 과학기술원에서 일렉트로니카 60으로 가동되는 테트리스를 처음 개발했으며, 드미트리 파블롭스키와 바딤 게라시모프는 IBM PC로 이식하였다. 이때 테트리스라는 이름은 파지트노프가 테트로미노와 테니스를 합쳐서 지었다.[181]
테트리스는 테트로미노라고 불리는 4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회전시키고 움직여서 가로줄을 빈틈없이 채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가로줄이 완성되면 해당 줄은 사라지고 위에 있던 블록들이 아래로 떨어진다.[2] 플레이어는 테트로미노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90도씩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 대부분의 버전에서는 떨어지는 조각의 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수는 없지만 가속할 수는 있다.[3][4]
2. 역사
최초의 IBM PC 버전은 1986년에 개발되었는데,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여러 플랫폼으로 퍼져나가면서 영국의 소프트웨어 회사 안드로메다에게 발견되었다. 안드로메다는 파지트노프와 PC 버전 권리를 협의하기 전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 권리를 팔았고, 파지트노프로부터 권리를 사는 데 실패한 안드로메다는 헝가리 프로그래머로부터 사용권을 구입하게 된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가 만든 IBM PC 버전의 테트리스는 1986년 미국에 유통되었다. 테트리스의 인기는 폭발적이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테트리스에 푹 빠져들게 되었다.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라는 게임잡지는 테트리스를 "믿지 못할 만큼 간단하고 방심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적이다"라고 표현했다.[192]
1987년 안드로메다는 IBM PC 판과 다른 여러 홈 컴퓨터 시장에서의 테트리스 저작권을 구입하게 되었다. 아미가와 아타리 ST 두 가지 판의 테트리스가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와 미러 소프트에서 출시되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의 테마는 러시아풍이었던 반면, 미러 소프트에서 개발한 테트리스의 테마는 존재하지 않았다. 테트리스는 게임이 간단하여 저렴하게 판매되었다. 스펙트럼이 애플 II 판으로 출시한 세 디스켓에는 애플 II+, 애플 IIe, 애플 DOS 3.3과 프로도스 판이 5.25인치 디스켓에, 애플 IIgs 용은 3.5인치 디스켓에 들어 있었다. 이 디스켓에는 복제 방지 장치가 없었으며, 동봉된 문서는 구매자들이 테트리스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는 등의 행위로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지 말라고 권고했다.
1988년, 소련 정부는 Elorg(Eletronorgtechnica)를 통해 테트리스의 권리를 주장하고 나섰으며, 파지노프는 10년 동안 일한 컴퓨터 센터를 통해 소련 정부에 자신의 테트리스 권리를 제공하였다.[193] 그러나 Elorg는 안드로메다 측으로부터 저작권료를 받지 못했으며, 안드로메다는 서브 라이선스 권리와 라이선스를 가지지 못하였다.
1989년, 6개의 다른 회사들이 게임기와 컴퓨터, 그리고 휴대용 게임기에서의 테트리스 권리를 주장하고 나섰다. Elorg는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권리를 아타리에 팔고, 닌텐도에는 일본 외 지역의 게임기 및 휴대용 게임기 권리를 승인하였다. 테트리스는 1988년 1월 라스베이거스 CES(Consumer Eletronics Show)에 등장하였으며, 헨크 로저스라는 네덜란드 게임 판매사가 일본에서 개발한 테트리스를 판매하려 했으나, 닌텐도에 의해 계약이 취소되고 닌텐도는 테트리스를 모든 게임보이에 번들로 제공했다.[187]
텐겐(아타리의 게임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게임기용 테트리스 권리를 닌텐도가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개발한 오락실용 테트리스를 기반으로 한 'TETЯIS: The Soviet Mind Game'을 출시하였다. 닌텐도는 아타리가 테트리스 권리를 훔쳤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한 달 후 닌텐도가 승소하여 텐진의 TETЯIS는 회수되었지만, 얼마나 많은 카피가 판매되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195]
닌텐도는 테트리스를 패미컴과 게임보이(패미컴과 게임보이 버전은 일본 내 저작권을 가지고 있던 Bullet-Proof Software에서 개발)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하여 약 300만 장을 판매했다. 일부 플레이어들은 텐진의 테트리스와 비교했을 때 닌텐도의 테트리스가 부족하다고 평가했지만, 게임보이 버전은 3300만 장을 판매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닌텐도와 텐진의 테트리스 판권 소송은 1993년까지 이어졌다.
세가도 메가 드라이브 판 테트리스를 출시했으나, 법적 문제로 인해 급히 중단했다.
1996년, 테트리스 저작권은 파지노프에게 돌아갔다.[187] 같은 해 테트리스 컴퍼니가 설립되어 미국 내 저작권을 확보하고,[196][197] 테트리스를 전 세계 국가에 등록 상표로 등록했다.[198] 테트리스 컴퍼니는 여러 회사에 라이선스를 제공했고, 미국 법원과 세관은 테트리스 유사 게임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지만,[199] 미국 저작권 사무소는 테트리스의 게임 규칙은 저작권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00][201]
1997년 후반부터[202] 2006년 중반까지,[203] 테트리스 컴퍼니(TTC)의 법적 대리인들은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무단 사용한 웹사이트에 중지 권고 편지를 보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게임 테트리스가 판권료를 지불하고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수익성 문제로 2006년까지 서비스했다가 중단한 후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면서 다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9년 9월 24일부터는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도 한게임 테트리스 서비스를 시작했다.[204] 1990년대부터 테트리스 컴퍼니와 계약 없이 서비스하는 테트리스가 많았지만, 2003년에 판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판권료 경쟁도 치열해져 대부분의 게임 회사들은 서비스를 포기했다.
2024년 1월 3일 미국에서 13세 소년이 끝판까지 클리어했다.[194]
2. 1. 개발
알렉세이 파지트노프는 소리 인식 및 인공 지능 연구원이자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도로드니친 컴퓨터 센터(Dorodnitsyn Computing Center of the Academy of Sciences)의 연구원이었다. 1979년, 음성 인식 연구자였던 파지트노프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컴퓨터 센터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그가 그 직장에서 주어진 일은 신규 하드웨어의 성능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가 진정으로 원했던 것은 컴퓨터를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었다.[136]
파지트노프는 소련의 검열을 거쳐 들어온 팩맨 등의 서방 국가의 컴퓨터 게임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 하지만, 당시 소속되어 있던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머신은 서방 국가의 컴퓨터와 같은 화려한 그래픽 표시를 할 수 없었고, TUI로 움직였으며, 즉 문자나 기호 등밖에 표시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 속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퍼즐을 창조한다는 발상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137]
직장에서 당시에는 귀중한 컴퓨터였던 엘렉트로니카 60을 할당받은 파지트노프는, 그것으로 먼저 퍼즐 게임을 몇 개[138],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수수께끼 게임, 퍼즐 게임, 보드 게임류의 프로그래밍을 하였고[134], 테트리스는 그 중 하나였다고 한다.[134]
; 착상의 씨앗
그는 자신이 어릴 적부터 좋아했던 펜토미노를 바탕으로 새로운 놀이를 창조하려고 했다.[139](펜토미노는 다양한 형태의 조각을 틀에 끼워 넣는 퍼즐이며, 상자 채우기 퍼즐의 일종이다).
"테트로미노가 위에서 떨어져 겹쳐진다"라는 규칙은 파지트노프가 수족관을 방문했을 때, 넙치가 춤추며 내려와 해저와 동화되거나, 그 넙치가 모래 위를 헤엄칠 때 다른 넙치와 겹치지 않고 헤엄치는 모습을 우연히 본 것에서 착상을 얻어 고안되었다.
; 규칙의 다듬기 및 획기적인 아이디어
파지트노프는 처음, 펜토미노의 조각이 무작위로 등장하여 내려와 플레이어가 그 조각을 틈새 없이 채워 넣는다는 것을 생각했다.
하지만, (앞뒤를 구분하지 않고 총 12종류의) 펜토미노를 사용하는 게임으로 만들 경우, 불필요하게 게임이 복잡해진다고 생각하여, 조각을 (앞뒤를 합쳐 총 7종류의) 테트로미노로 좁혔다.[139]그리고 단순히 "틈새 없이 조각을 채워 넣는다"라는 규칙만으로는, 실제로는 화면이 곧 조각으로 가득 차게 된다는 것을 깨닫고, "한 줄이 틈새 없이 채워지면 한 줄이 소멸하여 아래로 채워진다"라는 시스템, 즉 테트리스라는 게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생각해냈다.[139] 처음 완성된 버전에는 "점수"도 없었고 "레벨"도 없었지만, 그래도 그 전까지 파지트노프가 제작한 퍼즐 게임과는 확연히 다른 매력적인 것이 되었다.[140]
1984년에 엘렉트로니카 60 위에서 완성된 첫 번째 버전은 흑백 화면이었으며, 모두 CUI로 표시 가능한 문자 캐릭터로 그려야 했다(검은색 화면이므로 문자는 흰색으로 그렸다). 떨어지는 조각을 구성하는 사각형 블록 하나하나는, 처음에는 [ 와 ] 를 조합하여 즉 []로 그렸고, 필드 안팎의 경계는 왼쪽에 를 위아래로 겹쳐서 그렸으며, 필드 바닥의 단은 등호를 늘어놓아 "========="와 같이 그렸다.
최초의 플레이 가능한 버전은 1984년6월 6일에 완성되었다.[134]
파지트노프는 Electronika 60의 RT-11 운영 체제를 위해 파스칼을 사용하여 게임을 작성했고 다양한 버전의 게임을 실험했다. Electronika 60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없었기 때문에 파지트노프는 공간과 대괄호를 사용하여 필드와 조각을 모델링했다. 파지트노프는 펜토미노의 12가지 모양 변형으로 게임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질 것이라고 생각하여 개념을 7가지 변형이 있는 테트로미노로 축소했다.[11] 그 후, 그는 수직 화면에서 테트로미노를 회전시키고 줄을 지우는 기능을 포함한 게임의 기본 메커니즘을 프로그래밍했다. 파지트노프는 "4"를 의미하는 "tetra"와 그가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인 "테니스"를 결합하여 만든 단어인 ''테트리스''라는 제목을 게임에 붙였다. 파지트노프는 ''테트리스''의 첫 번째 버전을 1985년에 완성했다. 이 초기 버전의 ''테트리스''에는 점수 시스템과 레벨이 없었지만,[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지트노프의 동료들은 게임에 매료되었다.
파지트노프는 Electronika 60보다 더 나은 품질의 디스플레이를 갖춘 IBM PC에 ''테트리스''를 적용하려고 했다. 파지트노프는 동료 드미트리 파블로프스키와 16세의 컴퓨터 신동 바딤 게라시모프를 모집했다. 이들은 터보 파스칼을 사용하여 2개월에 걸쳐 ''테트리스''를 IBM PC에 적용했으며, 게라시모프는 색상을 통합하고 파블로프스키는 점수판을 통합했다. 이 버전의 ''테트리스'' 플로피 디스크 사본은 도로드니친 컴퓨터 센터 전체에 자유롭게 배포된 후 모스크바 컴퓨터 서클에서 "산불처럼" 번져나갔다. 파지트노프는 이 시기에 ''테트리스''의 입소문에 대한 간접적인 설명을 기록했다. ''테트리스''는 1985년 11월 젤레노돌스크 컴퓨터 게임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고, 1986년까지 모스크바와 유사한 도시의 IBM 컴퓨터를 가진 거의 모든 사람이 ''테트리스''를 플레이했다.
최초의 IBM PC 버전은 1986년에 개발되었는데,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테트리스가 여러 가지 플랫폼으로 퍼져나가면서 안드로메다란 영국 소프트웨어 회사에게 발견되었다. 그들은 파지노프와 PC버전에 대한 권리를 협의하기 전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란 회사에 권리를 팔았으며, 파지노프로부터 권리를 사는데 실패한 안드로메다는 헝가리 프로그래머로부터 사용권을 구입하게 된다.
그동안, 스펙트럼 홀로바이트가 만든 IBM PC버전의 테트리스는 1986년 미국에 유통되었다. 테트리스의 인기는 폭발적이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테트리스에 푹 빠져들게 되었으며,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라는 게임잡지는 테트리스를 가리켜 "믿지 못할 만큼 간단하고 방심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적이다"란 기사를 내었다.[192]
테트리스의 저작권문제가 불분명하였지만, 1987년 안드로메다측에선 IBM PC 판과 다른 여러 홈 컴퓨터 시장에서의 테트리스의 저작권을 구입하게 되었다. 아미가와 아타리 ST 두가지 판의 테트리스가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와 미러 소프트에서 출시되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의 테마가 러시아풍이었는 데 비하여, 미러 소프트에서 개발한 테트리스의 테마는 존재하지 않았다. 테트리스는 게임이 간단함에 따라 값이 싸게 팔렸다. 스펙트럼이 애플 II판으로 출시한 세 디스켓에는 세가지 다른 판의 테트리스가 들어있었는데, 애플 II+용과 애플 IIe, 그리고 애플 DOS 3.3과 프로도스판이 그것으로, 5.25인치 디스켓에 들어갔다. 그리고 나머지 한장은 애플 IIgs용으로 3.5인치 디스켓에 들어갔으며, 아무런 복제 방지장치도 없었다. 포함된 문서에서는 구매한 사용자들이 테트리스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거나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지 말라고 충고하고 있다.
1988년, 소련 정부는 Eletronorgtechnica 혹은 Elorg를 통해서 테트리스의 권리를 주장하고 나섰으며, 파지노프는 10년동안 일한 컴퓨터 센터를 통하여 소련 정부에 자신의 테트리스 권리를 제공하였다.[193] 그러나 Elorg측에선 여전히 안드로메다 측으로부터 저작권료를 받지 못했으며, 그리고 심지어 안드로메다측도 서브 라이선스 권리와 라이선스를 가지지 못하였다.
이후 테트리스를 비즈니스로 키운 것은 기업가 헹크 브라우어 로저스이다[134]
2. 2. 전 세계적 확산과 법적 분쟁
테트리스의 역사는 수많은 법적 분쟁으로 얼룩져 있다. 1985년 6월, 알렉세이 파지트노프는 소련 과학기술원에서 근무하며 일렉트로니카 60에서 작동하는 테트리스를 처음 개발했고, 드미트리 파블롭스키와 바딤 게라시모프가 IBM PC로 이식했다.[181] 게라시모프는 파지노프가 테트라미노와 테니스를 결합하여 만든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제안했다.[181] 이렇게 시작된 테트리스는 대중에게 퍼져나가 모스크바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81]
1986년에 개발된 최초의 IBM PC 버전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여러 플랫폼으로 퍼져나갔고, 영국의 소프트웨어 회사 안드로메다의 주목을 받았다.[181] 안드로메다는 파지노프와 PC 버전 권리 협상을 시도하기 전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 권리를 판매했고, 파지노프로부터 권리를 얻는 데 실패하자 헝가리 프로그래머로부터 사용권을 구입했다.
한편, 스펙트럼 홀로바이트가 만든 IBM PC 버전 테트리스는 1986년 미국에 유통되었다. 테트리스의 인기는 폭발적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테트리스에 몰두했다.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라는 게임 잡지는 테트리스를 "믿을 수 없을 만큼 간단하고 방심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적"이라고 평가했다.[192]
테트리스의 저작권 문제는 불분명했지만, 1987년 안드로메다는 IBM PC 판과 여러 홈 컴퓨터 시장에서 테트리스 저작권을 구입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와 미러 소프트는 각각 아미가와 아타리 ST 버전의 테트리스를 출시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 버전은 러시아풍 테마를 사용한 반면, 미러 소프트 버전은 테마가 없었다. 테트리스는 단순함 덕분에 저렴하게 판매되었다. 스펙트럼은 애플 II 판으로 세 가지 다른 버전의 테트리스가 담긴 세 개의 디스켓을 출시했는데, 애플 II+, 애플 IIe, 애플 DOS 3.3 및 프로도스 판이 5.25인치 디스켓에, 애플 IIgs 용은 3.5인치 디스켓에 담겨 있었다. 이 디스켓에는 복제 방지 장치가 없었으며, 동봉된 문서에서는 구매자들이 테트리스를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는 등의 행위로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지 말라고 권고했다.
1988년, 소련 정부는 Elorg(Eletronorgtechnica)를 통해 테트리스 권리를 주장했다. 파지노프는 10년 동안 일한 컴퓨터 센터를 통해 소련 정부에 테트리스 권리를 제공했다.[193] 그러나 Elorg는 안드로메다로부터 저작권료를 받지 못했고, 안드로메다 역시 서브 라이선스 권리와 라이선스를 보유하지 못했다.
1989년, 6개의 다른 회사들이 게임기,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에서 테트리스 권리를 주장했다. Elorg는 아케이드 게임 권리를 아타리에, 일본 외 지역의 게임기 및 휴대용 게임기 권리를 닌텐도에 승인했다. 테트리스는 1988년 1월 라스베이거스 CES(Consumer Eletronics Show)에 등장했고, 네덜란드 게임 판매사 헨크 로저스가 일본에서 개발한 테트리스를 판매하려 했으나, 닌텐도에 의해 계약이 취소되고 닌텐도는 테트리스를 모든 게임보이에 번들로 제공했다.[187]
텐겐(아타리의 게임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게임기용 테트리스 권리를 닌텐도가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개발한 오락실용 테트리스를 기반으로 한 'TETЯIS: The Soviet Mind Game'을 출시했다. 닌텐도는 아타리가 테트리스 권리를 훔쳤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한 달 후 닌텐도가 승소하여 텐진의 TETЯIS는 회수되었지만, 얼마나 많은 카피가 판매되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95]
닌텐도는 테트리스를 패미컴과 게임보이(패미컴과 게임보이 버전은 일본 내 저작권을 가지고 있던 Bullet-Proof Software에서 개발)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하여 약 300만 장을 판매했다. 일부 플레이어들은 텐진의 테트리스와 비교했을 때 닌텐도의 테트리스가 부족하다고 평가했지만, 게임보이 버전은 3300만 장을 판매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닌텐도와 텐진의 테트리스 판권 소송은 1993년까지 이어졌다.
세가도 메가 드라이브 판 테트리스를 출시했으나, 법적 문제로 인해 급히 중단했다.
1996년, 테트리스 저작권은 파지노프에게 돌아갔지만, 그는 테트리스로 큰돈을 벌지 못했다.[187] 1996년 테트리스 컴퍼니(The Tetris Company)가 설립되어 미국 내 저작권을 확보하고[196][197] 테트리스를 전 세계 국가에 등록 상표로 등록했다.[198] 테트리스 컴퍼니는 여러 회사에 라이선스를 제공했고, 미국 법정과 세관은 테트리스 유사 게임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지만,[199] 미국 저작권 사무소는 테트리스의 게임 규칙은 저작권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00][201]
1997년 후반부터[202] 2006년 중반까지,[203] TTC의 법적 대리인들은 테트로미노 게임에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잘못 사용한 웹사이트를 찾아 중지 권고 편지를 보냈다.
2. 3. 테트리스 컴퍼니 설립
1996년, 파지노프에게 테트리스 저작권이 돌아왔다.[187] 같은 해, 테트리스 컴퍼니가 설립되어 미국 내 저작권을 확보하고,[196][197] 테트리스를 전 세계 국가에 등록 상표로 지정했다.[198] 테트리스 컴퍼니는 여러 회사에 라이선스를 제공했으며, 미국 법원과 세관은 테트리스 유사 게임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199] 그러나 미국 저작권 사무소는 테트리스의 게임 규칙은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200][201]
1997년 후반부터[202] 2006년 중반까지,[203] 테트리스 컴퍼니(TTC)의 법적 대리인들은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무단 사용한 웹사이트에 중지 권고 편지를 보냈다.
1996년 4월, 파지노프는 10년 전 아카데미와의 합의 및 로저스와의 계약에 따라 ''테트리스''에 대한 권리를 되찾았다.[24] 파지노프와 로저스는 1996년 6월 테트리스 컴퍼니를 설립하여 모든 플랫폼에서의 권리를 관리했으며, 이전 계약은 만료되었다. 파지노프는 현재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각 ''테트리스'' 게임 및 파생 상품에 대한 로열티를 받는다. 테트리스 컴퍼니는 1996년 이후 ''테트리스'' 라이선스를 받기 위한 내부 사양 및 가이드라인(''테트리스'' 가이드라인)을 정의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버튼과 동작의 대응, 게임 필드 크기, 회전 시스템 등을 규정한다.[25][26][13]
2002년, 파지노프와 로저스는 소련 해체 이후 사기업이 된 엘로그(Elorg)로부터 게임의 나머지 권리를 구매하여 테트리스 홀딩을 설립했다. 테트리스 컴퍼니는 현재 ''테트리스'' 브랜드의 모든 권리를 소유하고, 라이선스 없는 복제품을 시장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한다.[24] 2000년대 이후 인터넷 버전 게임이 개발되었다. 테트리스 컴퍼니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업용 버전은 회사 정책에 따라 삭제되는 경향이 있으며, 회사는 불법 버전을 모바일 앱 스토어에서 제거하기 위해 애플과 구글에 정기적으로 요청한다.[27][28]
2. 4. 대한민국에서의 테트리스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장르에서 TTC(The Tetris Company)의 지원을 받는 테트리스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고 있는데, PC용 테트리스로는 한게임의 테트리스가 TTC의 지원을 받는 유일한 합법 소프트웨어이다. 그 외 닌텐도에서 닌텐도 DS용으로, 컴투스에서 휴대 전화용으로 TTC의 지원을 받아 출시되고 있다. 2009년 9월 24일부터는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도 한게임 테트리스 서비스를 개시하였다.[204]
한게임 테트리스는 판권료를 지불하고 2006년까지 테트리스를 서비스했으나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한때 접었다가,[205] 이후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면서 다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1990년대부터 테트리스 컴퍼니와 계약 없이 서비스하는 테트리스가 많았지만, 2003년에 판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판권료 경쟁도 치열해져 대부분의 게임회사들은 서비스를 포기했다.
3. 게임 방법
블록을 꼭대기까지 가득 채워 테트로미노가 더 들어갈 공간이 없게 되면 게임이 끝난다.[2] 각 게임이 끝나면 플레이어는 완성된 라인 수에 따라 점수를 받는다.[3]
테트리스 게임의 매뉴얼은 테트로미노를 I, J, L, O, S, T, Z와 같이 7개의 종류로 구분한다.[189] 각 테트로미노 명칭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그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는 경우가 많다.
테트로미노가 필드 맨 아래 또는 다른 테트로미노 위에 착지하면, 그 테트로미노는 블록으로 필드에 고정되고, 새로운 테트로미노가 필드 위에 나타난다.
격자의 1~4단이 모두 블록으로 채워지면, 그 단이 사라지고, 단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며 점수를 얻는다. 동시에 많은 단을 지울수록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막대, L자, 역L자형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싱글을 2번 동시에 지우는 것도 가능하며, 더블로 처리된다. (신)세가 테트리스에서는 이 지우기를 '''스플릿'''이라고 부른다.
막대형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싱글과 더블을 동시에 지우는 것도 가능하며, 트리플로 처리된다. (신)세가 테트리스에서는 이 지우기를 '''원・투'''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현재 조작 중인 테트로미노 다음에 떨어질 테트로미노를 예고하는 란도 표시된다.
3. 1. 기본 규칙
테트리스는 4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테트로미노를 움직이고 회전시켜 수평선을 빈틈없이 채우는 규칙을 가진 게임이다.[2] 수평선이 만들어지면 그 선은 사라지고, 그 위의 블록이 아래로 떨어진다.[2] 테트리스 게임이 진행될수록 테트로미노는 더 빨리 떨어지며, 블록을 꼭대기까지 가득 채워 테트로미노가 더 들어갈 공간이 없게 되면 게임이 끝난다.[2]
테트리스 게임 메뉴얼은 테트로미노를 I, J, L, O, S, T, Z와 같이 7개의 종류로 구분한다.[189] 각 테트로미노 명칭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그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는 경우가 많다.
플레이어는 테트로미노를 90도 단위로 회전시키거나,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빠르게 낙하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다.[2] 테트로미노가 필드 맨 아래 또는 다른 테트로미노 위에 착지하면, 그 테트로미노는 블록으로 필드에 고정된다. 그리고 새로운 테트로미노가 필드 위에 나타난다.
격자의 1~4단이 모두 블록으로 채워지면, 그 단이 사라지고, 단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리며 점수를 얻는다. 동시에 많은 단을 지울수록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막대, L자, 역L자형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싱글을 2번 동시에 지우는 것도 가능하며, 더블로 처리된다.
막대형 테트로미노를 사용하여 싱글과 더블을 동시에 지우는 것도 가능하며, 트리플로 처리된다.
고정된 블록이 필드의 꼭대기까지 쌓이면 게임 오버가 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조작 중인 테트로미노 다음에 떨어질 테트로미노를 예고하는 란도 표시된다.
3. 2. 테트로미노 종류 및 색상
테트리스 게임 매뉴얼에서는 ''I'', ''J'', ''L'', ''O'', ''S'', ''T'', ''Z''와 같이 7개의 단면 테트로미노를 지칭한다.[189] 이들은 비슷한 글자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지만,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이 조각들을 다르게 부르기도 한다.[190]
테트리미노 | Vadim Gerasimov의 오리지널 테트리스 | 마이크로소프트 테트리스 | 세가/아리카 (TGM 시리즈) | 더 뉴 테트리스 | TTC 세계 표준 | 아타리/ 아케이드 | TETЯIS 더 소비에트 마인드 게임 | 한게임 테트리스 |
---|---|---|---|---|---|---|---|---|
I | 빨강 | 빨강 | 빨강 | 하늘색 | 하늘색 | 빨강 | 빨강 | 하늘색 |
J | 노란색 | 자홍색 | 파랑 | 보라색 | 파랑 | 노란색 | 귤색 | 파랑 |
L | 자홍색 | 노란색 | 귤색 | 자홍색 | 귤색 | 자홍색 | 자홍색 | 귤색 |
O | 파랑 | 하늘색 | 노란색 | 옅은 회색 | 노란색 | 파랑 | 파랑 | 노란색 |
S | 연두색 | 파랑 | 자홍색 | 연두색 | 연두색 | 하늘색 | 연두색 | 연두색 |
T | 갈색 | 회색 | 하늘색 | 노란색 | 자주색 | 연두색 | 올리브색 | 자주색 |
Z | 하늘색 | 연두색 | 연두색 | 빨강 | 빨강 | 귤색 | 하늘색 | 빨강 |
I 조각은 빨간색이 많이 쓰였지만, 정작 TTC 표준에서는 하늘색(빨간색은 Z 조각)을 사용한다. TTC 세계 표준에서 적용되는 테트로미노의 색상은 I, S, Z 조각의 경우에는 TNT 시리즈와 동일하고, J, L, O 조각의 경우에는 TGM 시리즈와 동일하다.
개별 테트리미노의 명칭은 특별히 엄격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그 모양에 따라 왼쪽에서부터 다음과 같은 통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색상은 가이드라인(후술) 제정 이후의 것을 기재).
- I-테트리미노 (하늘색): 4열을 지우는 "테트리스"를 할 수 있는 유일한 테트리미노.
- O-테트리미노 (노란색): 회전시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테트리미노.
- S-테트리미노 (녹색)
- Z-테트리미노 (빨간색)
- J-테트리미노 (파란색)
- L-테트리미노 (주황색)
- T-테트리미노 (보라색): 가이드라인 제정 후의 작품에서는 T-Spin(후술)이 가능하다.
3. 3. 점수 시스템
대다수 테트리스의 점수 방식은 더 어려운 줄을 없앨수록 더 많은 점수를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에서 한 줄을 없앨 시엔 100점을 주지만, 백투백 테트리스(테트리스를 연속 2번 할 경우)에는 1200점을 받을 수 있다.[191]거의 모든 테트리스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버튼을 눌러 현재 떨어지는 테트로미노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다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도 있다. 전자를 Hard Drop, 후자를 Soft Drop이라고 부른다(어떤 게임의 경우 Hard Drop 혹은 Soft Drop만 존재하는 게임도 있으며, 버튼이 다른 게임도 있다.). 많은 종류의 테트리스는 테트로미노를 떨어뜨리는 높이에 따라서 높은 점수를 주기도 한다.
대부분의 ''테트리스'' 제품의 점수 공식은 더 어려운 줄 삭제에 더 많은 점수를 부여한다는 개념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 존''에서 한 줄 삭제는 100점, 네 줄을 동시에 삭제(이것을 ''테트리스''라고 부름)하면 800점이며, 연속으로 테트리스를 할 때마다 1,200점이 부여된다.[6] 플레이어는 특정 게임에서 연속으로 여러 줄을 삭제하는 경우 콤보 점수를 받을 수도 있다. 콤보 시스템은 게임마다 다르다.[7]
거의 모든 ''테트리스''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버튼을 눌러 현재 조각의 낙하 속도를 높이거나, 조각을 즉시 떨어뜨려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를 각각 "소프트 드롭"과 "하드 드롭"이라고 한다. 소프트 드롭을 하는 동안, 플레이어는 조각이 자리에 고정되기 전에 버튼을 떼서 조각의 증가된 속도를 멈출 수도 있다. 어떤 게임에서는 소프트 드롭이나 하드 드롭 중 하나만 허용하며, 다른 게임에서는 각 기능에 대한 별도의 버튼이 있다. 많은 게임에서 조각이 고정되기 전 떨어진 높이에 따라 일정 점수를 부여하므로, 하드 드롭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더 많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3. 4. 조작법
테트리스는 기본적으로 "테트로미노"라고 불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의 조각들이 경기장 상단에서 내려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2] 이 조각들을 움직이고 회전시켜 수평선을 빈틈없이 채우는 것이 게임의 목표이다.- 플레이어는 테트리미노를 좌우 90도 단위로 4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격자 단위로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고속으로 (또는 순식간에) 낙하시킬 수 있다.
- 테트리미노를 떨어뜨릴 장소가 되는 필드의 크기는 공식적으로 '''세로 20행 × 가로 10열'''로 되어 있다.
- 테트리미노가 필드 최하단 또는 다른 테트로미노 위에 착지하면 블록으로 필드에 고정된다.
- 격자의 임의의 1~4단이 모두 블록으로 채워지면, 그 단이 소멸하고 득점이 된다. 동시에 많은 단을 지울수록 고득점을 얻을 수 있다.
- 1단 지우기…싱글
- 2단 지우기…더블
- 3단 지우기…트리플
- 4단 지우기…테트리스[142]
- 일반적으로 현재 조작 중인 테트리미노 다음에 떨어질 테트리미노를 예고하는 란도 표시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고득점을 얻는 방법을 학습한다.
1. 규칙・조작법을 이해하는 단계
2. 테트리미노를 틈 없이 늘어놓게 되는 단계(회전시키지 않음)
3. 테트리미노를 회전시키면 어떤 모양이 될지를 예상하고, 노려서 회전시키는 단계
4. 다음에 떨어질 테트리미노도 보고 생각하는 단계
5. 고득점을 노려, 여러 단을 함께 지우는 것을 노리게 되는 단계
6. 4단 지우기를 노려, 가장자리의 1열만을 남겨두고 쌓는 단계
개별 테트리미노의 명칭은 특별히 엄격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그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은 통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 I-테트리미노 (하늘색)
- O-테트리미노 (노란색)
- S-테트리미노 (녹색)
- Z-테트리미노 (빨간색)
- J-테트리미노 (파란색)
- L-테트리미노 (주황색)
- T-테트리미노 (보라색)
4. 게임 규칙 심화
초대 "세가 테트리스"는 완전한 엔드리스 게임이었지만, 이는 게임센터 측의 수익 (인컴) 감소 문제를 야기했다. 그래서 이후 출시된 아케이드용 작품에는 엔드리스 모드가 사라지고, 대부분 규정된 수의 라인을 지우면 게임이 종료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 시리즈는 테트리미노 출현 수와 라인 삭제 수에 따라 레벨이 999까지 올라가면 엔딩으로 이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또한, 플레이 시간을 실력의 지표로 삼아 랭킹에 스코어 대신 시간을 기록하는 등, 단순한 라인 삭제를 넘어 레벨 999에 도달하는 시간(혹은 단수)을 겨루는 새로운 게임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조작을 최적화하고 테트리미노를 빠르게 쌓는 목표를 가지게 되었다.
아타리 게임즈의 아케이드판 테트리스나, BPS의 패미컴판 등에서는 라인 수 목표에 따른 면 클리어 개념이 있었다. 고차 면이 될수록 미리 배치되는 블록이 높게 쌓이는 등, 초기 배치가 불리한 형태로 난이도를 높였다. 특히 이 두 작품은 접지 후의 "여유" 시간이 없어, 초기 배치와 속도 상승의 난이도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매우 높았다.
이처럼, 테트리스는 기본 규칙을 유지하면서, "익숙해질수록 새로운 사고 단계로 나아가, 더욱 오래 지속하고, 더욱 빠르게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추가 규칙을 구축하였다.
4. 1. 테트리미노 낙하 속도
''테트리스''에서는 테트리미노의 낙하 속도가 게임 레벨에 따라 점점 빨라진다.[2] 대부분의 버전에서 플레이어는 떨어지는 조각의 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수는 없지만, 가속할 수는 있다.[3][4]게임이 오래 지속될수록 테트리미노 낙하 속도는 더욱 빨라져, 플레이어는 순간적인 판단력을 요구받는다. 장시간 플레이로 인한 집중력 저하와 맞물려, 판단 오류나 조작 실수로 이어져 게임 오버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트리미노의 속도는 1프레임에 이동하는 테트리미노 칸 수에 따라 "G" 단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1초에 60프레임이 표시되는 환경에서 1초에 1칸씩 떨어지면 1/60G, 0.5초에 1칸씩 떨어지면 1/30G로 표기한다.
초대 세가 테트리스의 최고 속도는 1G였고, 게임보이판 ''테트리스''의 최고 속도는 1/20G였다.[3] 그러나,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TGM)』 시리즈에서는 2G 이상의 속도를 도입, 게임 후반부에는 '''20G'''(테트리미노가 나타나자마자 필드 최하단에 떨어지는 상태)에 도달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테트리스 게임에서는 테트리미노가 바닥에 닿은 후에도 완전히 고정되기 전까지 약간의 "여유" 시간(최대 0.5초)이 주어진다.[3] 이 시간 동안 이동이나 회전이 가능하며, 이는 낙하 속도가 매우 빠른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패미컴판, NES판, 아타리 게임즈판 등 초기 버전에서는 이러한 "여유" 시간이 없어, 테트리미노가 닿는 즉시 고정되었다.
아리카는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에서 "'''20G'''"를 구현하여, 테트리미노가 나타나는 즉시 착지 후 위치로 이동하게 했다. 이 상태에서는 "여유" 시간 동안만 조작이 가능하여, 플레이어는 "굴리기"를 활용한 전략적인 테트리미노 쌓기를 요구받는다.
『테트리스 지 아브솔루트 더 그랜드 마스터 2』 이후 작품에서는 20G 상태에서 레벨이 올라갈수록 테트리미노 고정 후 다음 테트리미노 출현까지의 시간 단축,[143] 라인 삭제 애니메이션 단축, 여유 시간 감소 등 난이도를 더욱 높이는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4. 2. 테트리미노 고정 시간 (Lockdown)
현재 시판되는 테트리스 작품의 거의 모든 구현에서는 게임성을 높이기 위해, 테트리미노가 착지한 후 고정되기 전까지 약간의 "여유" 시간(최대 0.5초 전후)이 주어진다.[26] 이 시간은 기본적으로 레벨이 상승해도 "1단 분 낙하에 걸리는 시간"만큼 줄어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이러한 추가 규칙으로 인해, 테트리미노가 착지한 직후에도 이동이나 회전과 같은 조작을 할 여유가 있지만, 이는 게임이 오래 지속되어 테트리미노의 낙하 속도가 매우 빨라진 단계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여유" 시간 내에 정확하게 조작하면, 의도한 위치에 테트리미노를 배치할 수 있고, 게임을 계속할 수 있다.
패미컴판, NES판, 아타리 게임즈판과 같은 기존 구현에서는 "여유"가 존재하지 않아, 접지하는 순간 테트리미노가 고정되어 버린다(겉보기에는 여유 시간이 "1단 분 낙하에 걸리는 시간"과 동일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레이어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키는 속도도 느린 경우가 많아, 테트리미노의 낙하 속도가 극단적으로 빨라지거나, 블록이 중앙 부분에서 높게 쌓여있는 상태에서는, 더 이상 좌우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기 전에 착지해버려, 의도대로 쌓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단, 이러한 구현의 경우, 접지 후 여유 시간을 도입한 작품보다 낙하 속도의 상한이 비교적 느린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유"가 구현된 경우, 테트리미노를 중앙 부근에 산처럼 쌓음으로써, 먼저 테트리미노를 "산"의 "정상"에 한 번 착지시킨 후, "중턱"을 내려오듯이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킴으로써, 목적 위치까지 테트리미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되기까지의 시간을 벌 수 있다. 가이드라인 도입 이전에 여유 시간을 구현한 테트리스에서는, 테트리미노가 착지한 후 추가로 1단 이상 낙하하면 여유 시간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그 중 몇몇 작품에서는 레버 아래 방향을 입력하면 여유 시간을 중단하고 설치하는 사양도 도입했다.
세가의 초대 아케이드판에서 발견된 이러한 고도의 플레이 기법은, 마치 테트리미노가 경사면을 굴러가는 것처럼 보여, "''굴리기''"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리카는 "''굴리기''"의 게임성에 주목하여,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테트리미노의 낙하 속도를 실질적으로 무한대(공중 대기 시간이 0이 됨)까지 가속시키는 "'''20G'''"를 테트리스 더 그랜드 마스터에서 구현했다. 이 상태에서는, 테트리미노는 나타나는 순간 이미 착지 후의 위치에 있으며, 테트리미노가 공중에서 떨어지는 동안 좌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중에서의 이동이 전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착지 후에 주어지는 짧은 "여유" 시간만을 이용하여 테트리미노를 이동시키고 회전하게 된다. 지형과 시간에 따라 가능한 조작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굴리기"를 의식하면서, 더욱 기술적인 테트리미노 쌓기를 요구받는다.
테트리스 지 아브솔루트 더 그랜드 마스터 2 이후의 작품에서는, 더욱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20G 상태에서의 레벨 상승을 거칠 때마다 다음과 같은 조정이 이루어져, 테트리미노를 쌓기 위해 주어지는 사고 시간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
- 테트리미노가 고정된 후, 다음 테트리미노가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143]을 단축한다.
- 라인을 지울 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을 단축한다(=라인 삭제 시에도 다음 테트리미노가 나타날 때까지의 간격[143]이 연장되기 어려워진다).
- 또한 일정 레벨 이상에서는 굴릴 수 있는 여유 시간이 (0.3초 정도로) 대폭 감소한다.
한편, 가이드라인 구현에서는 테트리미노를 평지에서 1칸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것 자체로도, 고정될 때까지의 시간을 리셋하여, 지형에 관계없이 "여유" 시간이 완화될 수 있는 설계를 제정했다.
4. 3. 올 클리어 (All Clear)
화면 내의 모든 블록을 지우면 통상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올 클리어' 또는 '퍼펙트 클리어'라고 부른다.[144]초대 "세가 테트리스"에서는 해당 라인을 지운 순간 들어가는 점수가 10배가 되었다.[144] 테트리스 온라인 재팬의 테트리스, 테트리스 파티 등 2007년 이후 발매·발표된 작품에서는 대부분 보너스 점수를 받거나, 대전 플레이 시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TAP·TI에서는 "AC" 메달 획득 등 점수 외 특전이 주어지기도 한다.
올 클리어는 블록 크기와 화면 너비(4와 10)의 최소공배수인 5n번째 블록에서만 달성 가능하다.
미노 순서에 강한 법칙성이 있고, 홀드나 미노의 복수 예고 표시도 있는 가이드라인 구현 작품에서는, 게임 시작 시점부터 올 클리어를 노리는 여러 정석이 발견되어, 패턴화되지 않은 경우나 패턴에서 벗어난 경우에 비해 올 클리어 달성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졌다.
반면 가이드라인 도입 전 대부분의 작품에서는 무작위 추첨 방식 때문에 홀드나 미노 출현 순서 표시가 있어도 올 클리어 달성이 매우 어려웠다.
5. 가이드라인
1996년, 알렉세이 파지트노프는 10년 전 소련 아카데미와의 합의 및 헹크 로저스와의 계약에 따라 ''테트리스''에 대한 권리를 반환받았다.[24] 같은 해 6월, 파지트노프와 로저스는 테트리스 컴퍼니를 설립하여 모든 플랫폼에서 권리를 관리했으며, 이전 계약은 만료되었다. 이후 파지트노프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각 ''테트리스'' 게임 및 파생 상품에 대한 로열티를 받게 되었다.[24]
1996년 이후 테트리스 컴퍼니는 퍼블리셔가 ''테트리스'' 라이선스를 받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내부 사양 및 가이드라인을 정의했으며, 이를 ''테트리스'' 가이드라인이라고 한다. 이 가이드라인은 버튼과 동작의 대응, 게임 필드 크기, 회전 시스템과 같은 요소를 설정한다.[25][26][13]
『테트리스』는 세상에 처음 등장한 이래 다양한 개발자에 의해 여러 플랫폼을 위해 많은 버전이 개발되었지만, 기존의 『테트리스』의 기본적인 규칙 외의 세세한 튜닝(예를 들어 세밀한 조작 감각, 테트리미노의 회전 법칙, 신규 모드 등)에 관해서는 모두 각 개발자의 창의적인 연구에 맡겨져 있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에 따라 조작 감각, 세부 규칙, 편곡된 규칙, 신기능이 전혀 다른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2002년에 더 테트리스 컴퍼니(The Tetris Company)의 사장 헹크 브라우어 로저스(Henk Rogers)에 의해 이러한 세세한 부분을 통일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 이 내용의 대부분은 로저스 자신이 디자인하여 2001년(일본에서는 2002년)에 각 플랫폼에서 발매된 『테트리스 월드』의 규칙이 기반이 되었다.
5. 1. 주요 가이드라인 내용
2002년 더 테트리스 컴퍼니(The Tetris Company)의 사장 헹크 브라우어 로저스(Henk Rogers)에 의해 테트리스의 세부적인 내용을 통일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이 내용의 대부분은 로저스가 직접 디자인하여 2001년(일본에서는 2002년)에 여러 플랫폼에서 발매된 테트리스 월드의 규칙을 기반으로 하였다.
가이드라인의 정식 명칭이나 자세한 내용은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았지만, 통칭 "월드 룰", "세계 기준", "TETRIS 2002 가이드라인", "TETRIS 2005 가이드라인" 등으로 불리며, 게임이나 제작사에 따라 부르는 방식이 다르다.
2002년에 최초로 제정된 "TETRIS 2002 가이드라인"[145]과 2005년에 개정된 "TETRIS 2005 가이드라인"[146]이 존재한다. 또한 TGM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미하라 이치로가 운영하는 블로그에서 "2008년 가이드라인"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내용[147]과 "2010년 가이드라인"이 존재하며, 퍼블리셔가 반드시 모두 구현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내용[148]도 확인되었다.
테트리스 온라인 재팬의 콘텐츠에서 T-Spin 판정 방법의 차이, 스핀 보너스 Mini 판정 도입, T 테트리미노 이외의 스핀 보너스 도입 등으로 2008년, 2009년, 2010년 등 해마다 가이드라인은 점차 개정되고 있다고 추측된다.
가이드라인 제정 후에 탄생한 테트리스는 대략 다음과 같은 공통된 사양을 가지고 있다 (일부 채용되지 않거나 변경 가능한 게임도 있으므로 반드시 모두 구현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5. 2. 슈퍼 로테이션 시스템 (SRS)
2002년 더 테트리스 컴퍼니의 사장 헹크 브라우어 로저스는 테트리스의 세부 규칙을 통일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2001년(일본에서는 2002년)에 발매된 테트리스 월드의 규칙을 기반으로 한다.[145]가이드라인의 정식 명칭과 상세 내용은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았지만, "월드 룰", "세계 기준", "TETRIS 2002 가이드라인", "TETRIS 2005 가이드라인" 등으로 불린다.[146]
2002년에 제정된 최초의 "TETRIS 2002 가이드라인"과 2005년에 개정된 "TETRIS 2005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TGM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미하라 이치로의 블로그에서 "2008년의 가이드라인"과 "2010년의 가이드라인"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내용이 확인되었다.[147][148]
테트리스 온라인 재팬의 콘텐츠에서 T-Spin 판정 방법, 스핀 보너스 Mini 판정 도입, T 테트리미노 이외의 스핀 보너스 도입 등으로 보아 2008년, 2009년, 2010년 등 해마다 가이드라인이 점차 개정되고 있다고 추측된다.
5. 3. T-스핀 (T-Spin)
2002년 더 테트리스 컴퍼니(The Tetris Company)의 사장 헹크 브라우어 로저스(Henk Rogers)에 의해 테트리스 세부 규칙 통일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145] 이 가이드라인은 테트리스 월드의 규칙을 기반으로 하며, "월드 룰", "세계 기준" 등으로 불린다. 테트리스 온라인 재팬 콘텐츠에서 T-Spin 판정 방법, 스핀 보너스 Mini 판정, T 테트리미노 이외의 스핀 보너스 도입 등으로 가이드라인이 매년 개정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6. 테트리스가 뇌에 미치는 영향
리처드 하이어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테트리스를 오래 할수록 뇌가 더 많이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206] 처음 테트리스를 하면 뇌 기능이 급격히 증가하고, 뇌에서 에너지를 엄청나게 소모하는 것을 글루코스 대사로 볼 수 있다. 테트리스 플레이어가 능숙해지면 뇌는 글루코스 소모를 줄이는데, 이는 테트리스에 대한 뇌 활동이 효율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207] 테트리스를 하루에 반 시간씩, 3달 동안 규칙적으로 하면, 비판적 사고, 추리, 언어와 순서 등의 일반적인 인지 활동 증가와 함께 대뇌 피질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08]
2009년 1월, Emily Holmes 박사가 이끈 연구 그룹은 건강한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PLoS ONE에 테트리스가 정신적 쇼크가 떠오르는 플래시백을 감소시켰다고 발표하였다. 연구진은 컴퓨터 게임의 현란함과 소리가 기억을 혼란하게 하여 정신적 쇼크가 유지되면서, 무의식적으로 다시 처리되어 플래시백이 줄어든다고 생각하였다. 이 그룹은 이 연구를 기반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잠재적인 간섭을 하여 플래시백을 없애는 것을 희망하지만, 이는 준비 단계일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209]
테트리스는 또한 반복성 스트레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것은 뇌가 테트리스를 하지 않는데도 테트로미노 조합이 생각나는 것이다. 이런 증상은 다른 컴퓨터 게임이나 직소 퍼즐 같은 반복된 이미지나 각본을 보여주는 것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테트리스 효과
''테트리스''의 심리적, 중독성 효과는 1985년경 소련의 임상 심리학자 블라디미르 포힐코에 의해 처음 과학적으로 인식되었다.[119] 그는 모스크바에서 IBM 버전의 ''테트리스''를 받고, 게임을 하면서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심리적 효과에 관심을 가졌다. 모스크바 의료 센터의 동료들에게 ''테트리스'' 사본을 배포했으나, 끊임없는 게임 플레이로 의료 연구가 방해받자 배포한 사본을 파기하며 후회했다. 하지만 새로운 사본이 시설에 다시 도입된 후, 환자 테스트에 ''테트리스''를 사용했다.
1992년 미국 심리학자 리처드 J. 하이어의 연구를 시작으로,[120][121] ''테트리스''는 인지 평가와 뇌 영상 촬영의 한 형태로 자주 사용되었다.[122][123]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및 갈망과 같은 심리적 중재의 잠재적 형태로 연구되었으며,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122] ''테트리스'' 효과는 ''테트리스''와 같은 반복적인 활동에 참여한 후 꿈과 정신적 이미지에서 특정 패턴을 인식하는 현상을 말하며, 1994년 ''와이어드'' 기사에서 제프리 골드스미스가 처음 사용했으며, 그는 ''테트리스''를 "전자 약물"에 비유했다.
『테트리스』에 익숙해져 순간적인 판단과 조작을 반복하게 되면, 점차 사고가 자동화된다. 게임이 진행될수록 테트리미노는 점점 고속으로 낙하하여 더 이상 눈으로 따라갈 수 없는 속도가 되지만, 수십 분에서 수 시간 동안 게임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의 뇌는 이러한 상태에 놓이면 일종의 최면 상태가 되어 쾌감이 유발된다. 이 쾌감은 "테트리스 하이"라고 불리며, 때로는 중독적이기도 하다.
일본 대학 교수인 모리 아키오는 이 중독적인 상황을 바탕으로, 『테트리스』 등의 컴퓨터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의 뇌파 특징이 치매 환자와 유사하다며 "게임뇌" 가설을 제창했다. 그러나 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컴퓨터 게임 이외의 작업도 익숙해지면 게임뇌와 같은 상태가 된다'''는 등 게임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는 지적도 있어, 전문가 대부분은 이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더욱이, 모리는 각지 강연에서 "『테트리스』는 소련 군대에서 사람을 죽이기 위한 교육의 하나로 개발된 것"이라고 발언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한편, 농담이지만 "테트리스는 서방 국가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기 위한 소련의 함정이라는 설"은 당시부터,[176] 오늘날에도 가끔 언급된다.
테트리스를 장시간 몰두하면, 주변의 상자 모양이 테트리스로 보이거나, 테트리스와 같은 도형이 떨어지는 꿈이나 환각을 보는 경우도 있다. 이는 테트리스 효과라고 불린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인한 플래시백을 예방하는 "인지 백신"으로서 테트리스가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177] 실험 내용은 테트리스와 관련 없는 트라우마적 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 30분 휴식을 취하고 테트리스를 하게 한 다음, 1주일간 플래시백 관련 모니터링을 실시했다.[177] 트라우마적인 영상을 시청한 후 테트리스를 플레이하면 트라우마의 불필요한 기억의 플래시백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적절한 기억 정리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177]
7. 평가
''테트리스''는 초창기부터 여러 상을 받았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Spectrum HoloByte) 버전은 1989년 소프트웨어 퍼블리셔 협회(Software Publishers Association)에서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과 소비자가 뽑은 비평가 선택상을 포함하여 3개의 소프트웨어 우수상을 수상했다.[56] ''Macworld''는 ''테트리스''를 1988년 ''Macworld'' 게임 명예의 전당의 최고 전략 게임 부문에 헌액했다. ''Macworld''는 "게임의 중독성"을 칭찬하며 "단순함이 매혹적이다"라고 말했다.[57]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는 ''테트리스''에 1989년 아케이드 게임 부문 Compute! 초이스 어워드를 수여하며, "단연코 역대 가장 중독성 있는 게임"이라고 묘사했다.[58] ''엔터테인먼트 위클리''(Entertainment Weekly)는 1991년 이용 가능한 최고의 게임 8위로 이 게임을 선정하며 "닌텐도의 끊임없는 홍보 덕분에 ''테트리스''는 가장 인기 있는 비디오 게임 중 하나가 되었다"라고 말했다.[59]
''테트리스''는 역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널리 선정되었다. ''테트리스''가 선정된 주요 매체는 다음과 같다.
- ''플럭스(Flux)''(1995)[60]
- ''넥스트 제너레이션(Next Generation)''(1996년과 1999년)[61][62]
-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Electronic Gaming Monthly, 1997)[63]
- ''게임스팟''(GameSpot, 2000)[64]
- ''게임 인포머''(Game Informer, 2001년과 2009년)[65][66]
- ''IGN''(2007년과 2021년)[67][68]
- ''타임(Time)''(2012년과 2016년)[69][70]
- ''게임스레이더+''(GamesRadar+, 2015년과 2021년)[71][72]
- ''폴리곤(Polygon)''(2017)[73]
- ''USA 투데이''(USA Today, 2022년과 2024년)[74][75]
- ''더 타임스''(The Times, 2023)[76]
- ''GQ''(2023)[77]
''테트리스''는 또한 ''PC 포맷''(PC Format, 1991),[78] 및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 1996)에서 최고의 컴퓨터 게임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게임프로''(GamePro, 2007),[80] ''IGN''(2007),[81] ''1Up.com''(2010),[82] ''게임스레이더+''(2013),[83] 및 ''가디언''(2017)에서 역대 가장 영향력 있는 게임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84]
''테트리스''는 다음 출판물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테트리스''는 게임 목록의 일부로 2007년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의 헨리 로우우드가 미국 국립 영화 보존 위원회를 모델로 하여 의회 도서관의 보존 대상으로 고려해야 할 10개의 게임 목록으로 발표되었다.[89][90][91] 2012년 11월, 뉴욕 현대 미술관은 ''테트리스''를 다른 13개의 비디오 게임과 함께 소장했다.[92] 2015년 초반에, 스트롱 국립 놀이 박물관은 ''테트리스''를 상징적인 특성을 인정하여 세계 비디오 게임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93]
로저스와 닌텐도는 대중적인 인기에 대한 잠재력을 믿었기 때문에, ''테트리스''는 미국에서 게임보이의 묶음 상품이자 주요 홍보 게임이 되었다. 그 결과 대중들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테트리스''는 출시와 동시에 게임보이의 킬러 앱이 되었고,[94][95] 비 게이머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테트리스''를 플레이하기 위해 게임보이를 특별히 구매했다. 이러한 출시는 ''테트리스''와 게임보이의 인기에 동시에 기여했으며, 번들 팩은 출시 직후 초기 물량 100만 개가 매진되었다.[94] 이러한 성공은 닌텐도가 휴대용 게임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경쟁사들이 따라잡기 어려운 기준을 설정했다.[82][96][97]
''테트리스''는 퍼즐 비디오 게임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81][98] 평론가들은 ''테트리스''를 캐주얼 게임의 초기 사례로 간주했으며, ''1Up.com''은 ''테트리스''가 보편적인 매력을 가진 퍼즐 비디오 게임 시장을 구축했다고 평가했다.[82] 고정된 화면에서 블록을 관리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퍼즐 게임의 일반적인 요소들은 ''테트리스''에서 유래되었으며,[81] ''테트리스''의 인기를 따라 하려는 수많은 클론 게임들이 제작되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테트리스''의 영향을 받은 비디오 게임으로는 닌텐도의 ''닥터 마리오''(1990), 세가의 ''컬럼스''(1990), 컴파일의 ''뿌요뿌요''(1991), 타이토의 ''퍼즐 보블''(1994), 캡콤의 ''슈퍼 퍼즐 파이터 II 터보''(1996), 팝캡 게임즈의 ''보석 팡팡''(2000) 등이 있다.
8. 음악
테트리스가 러시아/소련에서 만들어졌다는 이유로, 애니메이션이나 배경 이미지(타이틀의 성 바실리 대성당, 부란, 소유즈 발사 애니메이션 등) 및 러시아 민요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음악(트로이카, 칼린카, 소비에트 연방 국가(후의 러시아 연방 국가와 같은 곡) 등이 사용되고 있다.[135] 특히 코로부치카는 게임보이판 테트리스의 후기 버전 BGM: A-TYPE 등으로도 채용되어 테트리스 자체의 이미지 BGM으로 세계적으로 정착되었으며, 현재에도 그것을 기반으로 편곡된 BGM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나중에 테트리스에서 파생된 게임을 포함하여, 전혀 이미지를 분리한 것도 있다.
9. 라이선스 분쟁
테트리스의 라이선스 분쟁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여러 회사들이 테트리스의 권리를 주장하면서 발생했다. 1989년, 6개의 다른 회사들이 게임기,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에서의 테트리스 권리를 주장했다.[187] Elorg는 아케이드 게임 권리를 아타리에, 닌텐도에는 일본 외 지역에서의 게임기 및 휴대용 게임기 권리를 승인했다.
텐겐(아타리의 게임기 소프트웨어 부문)은 게임기용 테트리스 권리를 닌텐도가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개발한 오락실용 테트리스를 기반으로 한 'TETЯIS: The Soviet Mind Game'을 출시했다. 닌텐도는 아타리가 테트리스 권리를 훔쳤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결국 닌텐도가 승소하여 텐겐의 TETЯIS는 회수되었다.[195]
닌텐도는 패미컴과 게임보이 두 가지 버전으로 테트리스를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게임보이 버전은 3천 3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95] 닌텐도와 텐겐의 테트리스 판권 소송은 1993년까지 이어졌다.
세가도 메가 드라이브판 테트리스를 출시하려 했으나, 법적 문제로 인해 출시를 포기해야 했다.
1996년, 테트리스 저작권은 알렉세이 파지트노프에게 돌아갔지만, 그는 테트리스로 인해 큰돈을 벌지는 못했다.[187] 같은 해, 더 테트리스 컴퍼니가 설립되어 미국 내 저작권을 확보하고[196][197] 테트리스를 전 세계 국가에 등록 상표로 등록했다.[198] 더 테트리스 컴퍼니는 여러 회사에 라이선스를 부여했으며, 미국 법원과 세관은 테트리스 유사 게임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199] 그러나 미국 저작권 사무소는 테트리스의 게임 규칙은 저작권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00][201]
1997년 후반부터[202] 2006년 중반까지,[203] 더 테트리스 컴퍼니의 법적 대리인들은 테트로미노 게임에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잘못 사용한 웹사이트에 중지 권고 편지를 보냈다.
9. 1. 복잡한 라이선스 관계
테트리스의 역사는 수많은 법적 분쟁으로 얼룩져 있다. 1985년 6월, 알렉세이 파지트노프는 소련 과학기술원에서 엘렉트로니카 60으로 작동하는 테트리스를 처음 개발했으며, 드미트리 파블롭스키(Dmitry Pavlovsky)와 바딤 게라시모프(Vadin Gerasimov)는 이를 IBM PC로 이식했다. 게라시모프는 파지트노프가 만든 테트리스라는 이름(테트라미노와 테니스의 합성어)을 사용하여 게임을 발표했다.[181]198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테트리스가 여러 플랫폼으로 퍼져나가면서 영국의 소프트웨어 회사인 안드로메다의 주목을 받았다. 안드로메다는 파지트노프와 PC 버전 권리에 대한 협상을 시도하기도 전에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 권리를 판매했고, 파지트노프로부터 권리를 얻는 데 실패한 안드로메다는 헝가리 프로그래머로부터 사용권을 구입했다.
스펙트럼 홀로바이트가 제작한 IBM PC 버전 테트리스는 1986년 미국에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컴퓨터 게이밍 월드'(Computer Gaming World)는 테트리스를 "믿을 수 없을 만큼 간단하고 방심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적"이라고 평가했다.[192]
1987년, 안드로메다는 IBM PC 판과 다른 여러 홈 컴퓨터 시장에서 테트리스 저작권을 구입했다. 아미가와 아타리 ST 두 가지 버전의 테트리스가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와 미러 소프트에서 출시되었는데, 스펙트럼 홀로바이트 버전은 러시아풍 테마를 가진 반면, 미러 소프트 버전은 테마가 없었다. 스펙트럼은 애플 II판으로 세 가지 다른 버전의 테트리스를 담은 세 개의 디스켓을 출시했는데, 여기에는 애플 II+, 애플 IIe, 애플 DOS 3.3 및 프로도스판이 포함되었다.
1988년, 소련 정부는 Elorg를 통해 테트리스 권리를 주장했다. 파지트노프는 10년 동안 일한 컴퓨터 센터를 통해 소련 정부에 테트리스 권리를 제공했다.[193] 그러나 Elorg는 안드로메다로부터 저작권료를 받지 못했고, 안드로메다는 서브 라이선스 권한조차 없었다.
2024년 1월 3일, 미국의 13세 소년이 테트리스 끝판을 깨 화제가 되었다.[194]
아래는 테트리스의 복잡한 라이선스 관계를 보여주는 관계도이다.
알렉세이 파지트노프 / Elorg |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 |
, |
텐겐 / 아타리 게임즈,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 / 닌텐도 |
세가, BPS |
- 알렉세이 파지트노프가 고안하고, 소비에트 연방 외국 무역성의 산하에 있는 국영 기업인 Elorg가 원작의 저작권을 소유.
- Elorg가 헝가리의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에 IBM PC 및 그 호환기(PC/AT 호환기)용 라이선스를 허가.
- 안드로메다 소프트웨어가 영국의 데일리 미러의 그룹 회사였던 미러소프트(Mirrorsoft), 및 미국의 스펙트럼 홀로바이트(Spectrum HoloByte)에 IBM PC 및 그 호환기용 서브 라이선스를 허가.
- * 1987년, 스펙트럼 홀로바이트에서 발매된 IBM PC 및 그 호환기용 테트리스가 미국에서 붐을 일으킴.
- 1988년 5월, 미러소프트가 미국의 텐겐에 서브 라이선스를 허가.
- ** 여기서 텐겐은 IBM PC 및 그 호환기 이외의 것에 대해서도 허가를 받았다고 생각했다.
- 텐겐은 BPS()・세가에 서브 라이선스를 허가.
- * 1988년 11월 18일, BPS는 IBM PC 호환기용으로 발매.
- * 같은 해 12월, 텐겐, 세가는 아케이드 게임용으로 발매.
- * 같은 해 12월 22일, BPS는 패밀리 컴퓨터용으로 발매.
- * 또한 텐겐은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용으로, 세가는 메가 드라이브용으로 개발.
- 1989년 4월 7일, 한편 Elorg가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에 가정용 게임기용 라이선스 및 독점 사용권을 허가[162].
- * 이로 인해 BPS는 텐겐에서 닌텐도의 라이선스로 변경[162].
- 같은 해 4월 18일, 이에 대해 텐겐은 저작권 침해라고 하여 닌텐도 오브 아메리카 및 닌텐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163].
- 같은 해 5월 25일, 반대로 닌텐도는 텐겐이 닌텐도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하여 반소를 제기[164].
- 같은 해 6월 21일, 미국・샌프란시스코의 연방 지방 법원은 닌텐도의 주장을 인정하고, 텐겐에 가처분을 내림[165].
- 같은 해 11월 13일, 같은 연방 지방 법원은 닌텐도의 독점적 제조・판매권에 관해 닌텐도 측에 권리가 있다는 약식 판결을 내렸고, 이에 대해 텐겐은 즉시 항고를 했다[166].
- * 이로 인해 텐겐으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은 세가도 라이선스가 무효가 되어, 이미 생산을 마친 메가 드라이브판 테트리스의 판매를 단념하고, 생산한 상품의 폐기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테트리스의 규칙을 완전히 따라 만든 세가의 아케이드 게임 플래시포인트와 블록시드는 테트리스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았고, 판권 문제 발생 후 Elorg로부터 업무용으로만 허가를 받아 판매했다. 블록아웃(California Dreams, 일본에서의 이식은 테크노스 재팬)이나 지오큐브(테크노스 재팬), 그리고 알렉세이 파지트노프 자신이 참여한 웰트리스(비디오 시스템)와 같이 테트리스를 3차원으로 만든 게임도 있었다.
9. 2. 라이선스 일괄 관리
1996년 더 테트리스 컴퍼니가 설립되어 판권 관리 및 라이선스 절차를 담당하게 되면서, 여러 회사에서 테트리스 게임이 출시되었고, 기존의 "독점 판매권을 획득하는 것"은 없어졌다.[161]일본에서는 1996년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BPS의 『테트리스 X』와 자레코의 『테트리스 플러스』가 출시되었다. 1998년 11월에는 닌텐도 64용으로 세타의 『테트리스 64』와 캡콤의 『매지컬 테트리스 챌린지 featuring 미키』가 동시기에 출시되었다. 이 기간 동안 각 회사에서 다양한 방식을 추가한 『테트리스』가 등장했다.
1999년, 아리카가 출시 예정이었던 플레이스테이션 버전 『테트리스 더 그랜드마스터』가 더 테트리스 컴퍼니의 '''"『테트리스』의 상품화는 1 플랫폼당 1개 회사만 허용한다"'''는 방침에 따라 출시 중지될 수밖에 없었다.[167] 그러나 이후에도 ''"1개 플랫폼에서 2개 이상의 회사에서 출시된다"''는 상황은 변하지 않았고, 이 출시 중지의 이유와 목적에 대한 사실 관계는 아직 불분명한 상태이다.
2005년 12월에는 일본에서의 판권 및 라이선스 관리를 위해 테트리스 온라인 재팬이 설립되었고, 헨크 브라우어 로저스가 이 회사의 이사로 취임했다.[168]
닌텐도 DS[169] 와 닌텐도 3DS[170] 에서는 새로운 테트리스가 출시되면 구작의 생산과 디지털 다운로드 판매가 종료되므로, 동시에 여러 테트리스가 출시 중인 상황이 되기 어렵다.
1999년 이후 "1개 플랫폼에서 2개 이상의 회사에서 출시"된 테트리스는 다음과 같다.
플랫폼 | 타이틀 | 출시원 | 비고 |
---|---|---|---|
플레이스테이션 (PS) | |||
플레이스테이션 2 (PS2) | |||
플레이스테이션 3(PS3) | |||
플레이스테이션 4(PS4) |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 |||
Xbox 360 | |||
Xbox One | |||
닌텐도 DS (DS) | |||
닌텐도 3DS (3DS) | |||
닌텐도 스위치,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 | |||
아케이드 기판 | |||
휴대폰 앱 (피처폰) - 거의 모두 배포 종료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폰 앱(Android/iOS)에 대해서는 정식 라이선스 제품 및 클론 게임이 다수의 벤더에서 난립하고 있으므로 생략
10. 영화
2023년 영화는 2023년 3월 31일에 Apple TV+에서 공개된 전기 영화이다. 게임 개발자인 헨크 로저스를 주인공으로 한다.[135]
참조
[1]
웹사이트
'Tetris ! video gam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18
[2]
웹사이트
About Tetris
https://tetris.com/a[...]
The Tetris Company
2019-11-14
[3]
Game Boy instruction booklet
Tetris
[4]
Instruction booklet
Tetris DS
[5]
웹사이트
'Original Tetris: Story and Download'
https://vadim.oversi[...]
2007-06-10
[6]
웹사이트
Tetris Zone Manual
http://zone.tetris.c[...]
[7]
웹사이트
Tetris advanced guide: T-spins, perfect clears, and combos
https://www.polygon.[...]
2019-03-06
[8]
웹사이트
Tetris Worlds for Game Boy Advance Review
http://www.gamespot.[...]
2001-09-05
[9]
웹사이트
Tetris Worlds for PlayStation 2 Review
http://www.gamespot.[...]
2002-04-19
[10]
웹사이트
Tetris DS Review
https://www.gamespot[...]
2006-03-20
[11]
뉴스
"''Tetris'': how we made the addictive computer game | Culture"
https://www.theguard[...]
2014-06-02
[12]
웹사이트
Anniversary: Is Tetris Really 40 This Year?
https://www.timeexte[...]
2024-06-24
[13]
웹사이트
How Tetris conquered the world, block by block
https://www.theguard[...]
2009-06-01
[14]
웹사이트
A chat with Gary Carlston of Brøderbund
https://spillhistori[...]
2024-09-03
[15]
뉴스
Soviets Play Capitalist Game With New Computer Puzzle
https://www.latimes.[...]
1988-01-28
[16]
뉴스
New Software Game: It Comes From Soviet
https://www.nytimes.[...]
1988-01-29
[17]
간행물
From Russia with Litigation
Imagine Media
1997-02
[18]
간행물
The Wish List
[19]
웹사이트
'Game Machine: "Nintendo Offers Home Video Game Tetris"'
https://onitama.tv/g[...]
Amusement Press
2020-03-08
[20]
웹사이트
You Could Own This Copy of Tetris for Only $1,000,000
https://kotaku.com/y[...]
2011-07-18
[21]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5-03-29
[22]
웹사이트
IGN Presents the History of Game Boy
https://www.ign.com/[...]
2009-07-27
[23]
간행물
The History of Tetris
2018-09
[24]
웹사이트
'The Story of Tetris: Henk Rogers (Part 5)'
https://www.sramanam[...]
2009-09-20
[25]
웹사이트
History of Tetris
https://tetris.com/h[...]
The Tetris Company
2019-11-18
[26]
웹사이트
Tetris from the Top: An Interview with Henk Rogers
http://www.nintendow[...]
2006-04-06
[27]
웹사이트
Tetris Co. strikes again: another iPhone app clone is pulled
https://arstechnica.[...]
2008-10-08
[28]
웹사이트
Google blocks Tetris clones from Android market
https://arstechnica.[...]
2010-06-02
[29]
간행물
Judge Declares iOS Tetris Clone 'Infringing'
https://www.wired.co[...]
2012-06-21
[30]
웹사이트
'EA to Acquire JAMDAT Mobile Inc. -- the Leader in North American Mobile Interactive Entertainment; Accelerates EA''s Objective of Global Expansion in Mobile'
https://www.business[...]
2005-12-08
[31]
웹사이트
EA is shutting down its mobile Tetris games
https://www.engadget[...]
2020-01-22
[32]
웹사이트
Most ported computer game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0-10-01
[33]
웹사이트
Most variants of a videogame
https://www.guinness[...]
[34]
논문
"'From Russia with Fun!': Tetris, Korobeiniki and the ludic Soviet"
https://intellectdis[...]
2015-10
[35]
논문
Blip, Bloop, Bach? Some Uses of Classical Music on the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https://www.jstor.or[...]
2009-03
[36]
뉴스
Tetris is the most popular mobile game ever: 100 million paid downloads since 2005
https://www.pocketga[...]
2024-12-14
[37]
간행물
With 100M Downloads, Tetris Is World's Hottest Mobile Game
https://www.wired.co[...]
2024-12-14
[38]
인터뷰
'Mr. Tetris' explains why the puzzle game is still popular after three decades
https://venturebeat.[...]
2024-08-25
[39]
뉴스
Minecraft becomes first video game to hit 300m sales
https://www.bbc.com/[...]
2024-08-25
[40]
간행물
Minecraft Just Surpassed 300 Million Sales—Here's The Only Video Game Still Beating It
https://www.forbes.c[...]
2024-08-25
[41]
뉴스
Tetris has passed 425 million downloads on mobile, not including free-to-play
https://www.polygon.[...]
2024-08-25
[42]
뉴스
Minecraft Is the Highest-Selling Game of All Time, Behind Tetris
https://gizmodo.com/[...]
2024-08-25
[43]
웹사이트
The Most Famous Version Of Tetris Is 35 Today
https://www.timeexte[...]
2024-12-05
[44]
서적
Entertainment in the Cyber Zon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Electronic Pub.
2021-11-18
[45]
웹사이트
Tetris® By The Numbers
https://tetris.com/b[...]
2024-12-05
[46]
웹사이트
US Platinum Game Chart
http://www.the-magic[...]
The Magic Box
2024-12-05
[47]
간행물
The Century's Top 50 Handheld Games
http://www.next-gen.[...]
2024-12-05
[48]
간행물
The Top 100 Games of the 21st Century
http://www.next-gen.[...]
2024-12-05
[49]
웹사이트
Nintendo Sales Update
https://www.ign.com/[...]
2024-12-05
[50]
인터뷰
Puyo Puyo Tetris 2 Interview: Producer Mizuki Hosoyamada on Sequels, 'Manzai Demos' and More
https://www.silicone[...]
2024-12-05
[51]
웹사이트
Media Create Sales: 11/5/18 – 11/11/18
https://www.gematsu.[...]
2024-12-05
[52]
웹사이트
Famitsu Sales: 8/26/19 – 9/1/19 [Update]
https://www.gematsu.[...]
2024-12-05
[53]
웹사이트
9.8 Million Switch Owners Have Signed Up To The Online Service And 2.8 Million Have Played Tetris 99
https://www.nintendo[...]
2024-12-07
[54]
웹사이트
Famitsu Sales: 10/14/24 – 10/20/24 [Update]
https://www.gematsu.[...]
2024-12-05
[55]
웹사이트
Famitsu Sales: 10/14/24 – 10/20/24 [Update]
https://www.gematsu.[...]
2024-12-05
[56]
뉴스
the Envelope, Please
https://archive.org/[...]
2013-11-11
[57]
간행물
The Game Hall of Fame
https://archive.org/[...]
PCW Communications, Inc
1988-12
[58]
뉴스
The 189 Compute! Choice Awards
https://archive.org/[...]
2013-11-10
[59]
간행물
Video Games Guide
https://ew.com/artic[...]
2018-09-09
[60]
간행물
Top 100 Video Games
https://archive.org/[...]
Harris Publications
1995-04
[61]
간행물
Top 100 Games of All Time
Imagine Media
1996-09
[62]
간행물
Top 50 Games of All Time
Imagine Media
1999-02
[63]
간행물
100 Best Games of All Time
Ziff Davis
1997-11
[64]
웹사이트
The 100 Games of the Millennium - 39. ''Tetris''
http://www.gamespot.[...]
2024-11-12
[65]
간행물
Game Informer's Top 100 Games of All Time (Circa Issue 100)
http://www.gameinfor[...]
2013-12-10
[66]
간행물
The Top 200 Games of All Time
2009-12
[67]
웹사이트
IGN Top 100 Games of All Time – 2007
http://top100.ign.co[...]
Top100.ign.com
2012-11-22
[68]
웹사이트
The Top 100 Video Games of All Time - 28. ''Tetris''
https://www.ign.com/[...]
2024-11-12
[69]
간행물
All-TIME 100 Video Games - ''Tetris''
http://techland.time[...]
2024-11-12
[70]
간행물
The 50 Best Video Games of All Time
https://time.com/445[...]
2024-11-12
[71]
웹사이트
The 100 best games ever
http://www.gamesrada[...]
2024-11-12
[72]
웹사이트
The 50 best games of all time
https://www.gamesrad[...]
2024-11-12
[73]
웹사이트
The 500 best games of all time: 100-1
https://www.polygon.[...]
2024-11-12
[74]
뉴스
The 100 best video games of all time, ranked
https://ftw.usatoday[...]
2024-11-12
[75]
뉴스
A definitive ranking of the top 30 video games of all time
https://ftw.usatoday[...]
2024-11-12
[76]
뉴스
20 best video games of all time — 4. ''Tetris''
https://www.thetimes[...]
2024-11-12
[77]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video games of all time, ranked by experts
https://www.gq-magaz[...]
2023-05-10
[78]
간행물
The 50 best games EVER!
1991-10
[79]
간행물
The 15 Most Innovative Computer Games
http://www.cgwmuseum[...]
2016-03-25
[80]
간행물
The 52 Most Important Video Games of All Time (page 4 of 8)
http://www.gamepro.c[...]
2024-12-03
[81]
웹사이트
IGN's Top 10 Most Influential Games
https://www.ign.com/[...]
2024-12-03
[82]
웹사이트
Essential 50: ''Tetris''
http://www.1up.com/f[...]
2024-12-03
[83]
웹사이트
The 50 most important games of all time
https://www.gamesrad[...]
2024-12-03
[84]
뉴스
The 10 most influential video games of all time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24-12-03
[85]
간행물
Hall of Fame — New Inductees - ''Tetris'' (Spectrum Holobyte 1988)
https://archive.org/[...]
1999-04
[86]
웹사이트
The ''Gamespy'' Hall of Fame - ''Tetris''
http://archive.games[...]
2024-11-12
[87]
웹사이트
They'll Keep Playing It Long After All of Us Are Dead
http://www.gamespot.[...]
2024-11-12
[88]
웹사이트
''IGN'' Hall of Fame - ''Tetris''
http://games.ign.com[...]
2024-11-12
[89]
뉴스
Is That Just Some Game? No, It's a Cultural Artifact
https://www.nytimes.[...]
2013-11-01
[90]
웹사이트
10 most important video games of all time, as judged by 2 designers, 2 academics, and 1 lowly blogger
https://web.archive.[...]
Joystiq
[91]
웹사이트
Yes, The Library of Congress Has Video Games: An Interview with David Gibson
https://web.archive.[...]
blogs.loc.gov
2013-01-18
[92]
간행물
'All Hell Broke Loose': Why MoMA Is Exhibiting Tetris and Pac-Man
https://www.wired.co[...]
2024-12-03
[93]
뉴스
Pong and Doom enter first video game Hall of Fame
https://www.bbc.com/[...]
2024-12-02
[94]
웹사이트
How Nintendo introduced the Game Boy, Tetris, and Pokémon to the West
https://www.polygon.[...]
2024-12-03
[95]
웹사이트
Thirty Years Ago, Game Boy Changed the Way America Played Video Games
https://www.smithson[...]
2024-12-03
[96]
서적
The Golden Age of Video Games: The Birth of a Multi-Billion Dollar Industry
https://archive.org/[...]
CRC Press
2011
[97]
웹사이트
After 25 years, Tetris has sold 125 million copies
https://venturebeat.[...]
2024-12-03
[98]
간행물
Brain Strain: A Bluffler's Guide to Puzzle Games
2013-09
[99]
간행물
Tetris — how a game of logic took over our minds
https://www.ft.com/c[...]
2024-12-04
[100]
간행물
Tetris Turns 25, and It's Still an Addictive Pleasure
https://www.wired.co[...]
2024-12-04
[101]
서적
A Casual Revolution: Reinventing Video Games and Their Players
https://archive.org/[...]
MIT Press
2010
[102]
뉴스
Oklahoma teenager finally defeats the unbeatable game: Tetris
https://www.cnn.com/[...]
2024-11-12
[103]
웹사이트
Tetris back in the record books for 29-story game
https://venturebeat.[...]
2024-12-02
[104]
웹사이트
Revisiting Nintendo's novelty pop hit
https://www.eurogame[...]
2024-12-02
[105]
뉴스
What makes Tetris 'the perfect game'? Experts break down an addictive classic
https://www.latimes.[...]
2024-11-12
[106]
웹사이트
Tetris movie: why the story of the game's origins is legendary
https://theconversat[...]
2023-04-12
[107]
웹사이트
Anyone can play Tetris, but architects, engineers and animators alike use the math concepts underlying the game
https://theconversat[...]
2024-02-28
[108]
뉴스
Why Tetris is the 'perfect' video game
https://www.bbc.com/[...]
2023-03-29
[109]
웹사이트
A missing piece of NES history is finally coming to Switch
https://www.polygon.[...]
2024-12-03
[110]
뉴스
A New Generation Stacks Up Championships in an Old Game: Tetris
https://www.nytimes.[...]
2021-12-28
[111]
웹사이트
Teens are rewriting what is possible in the world of competitive Tetris
https://www.polygon.[...]
2022-06-21
[112]
뉴스
Why Tetris Consumed Your Brain
https://www.nytimes.[...]
2023-03-31
[113]
간행물
Why Everyone Is Obsessed With the Kid Who Beat Tetris
https://www.wired.co[...]
2024-01-05
[114]
웹사이트
'Tetris' Movie Planned as an Epic Sci-Fi Adventure
http://www.movieweb.[...]
2014-09-30
[115]
간행물
'Tetris' Movie to Be $80M U.S.-China Co-Production
https://www.hollywoo[...]
2016-05-17
[116]
웹사이트
Is this 'Tetris' movie for real? Too many key blocks are missing to be sure
https://mashable.com[...]
Mashable
2016-05-17
[117]
웹사이트
Tetris
Metacritic
[118]
간행물
Chris Evans & Ana de Armas Skydance Spy Action Pic 'Ghosted' Earns Record Movie Debut For Apple TV+
https://deadline.com[...]
2023-04-26
[119]
서적
Encyclopedia of Video Games: The Culture, Technology, and Art of Gaming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8-31
[120]
논문
Regional glucose metabolic changes after learning a complex visuospatial/motor task: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1992-01
[121]
논문
The virtual brain: 30 years of video-game play and cognitive abilities
2013-09-13
[122]
논문
The neural basis of Tetris gameplay: implicating the role of visuospatial processing
2021-08-02
[123]
논문
Meta-T: TetrisⓇ as an experimental paradigm for cognitive skills research
https://link.springe[...]
2015-03-12
[124]
간행물
The Complicated True Story Behind Apple TV+'s Tetris Movie
https://time.com/626[...]
2023-03-31
[125]
간행물
This Is Your Brain on Tetris
https://www.wired.co[...]
[126]
학위논문
Can you win at Tetris?
https://open.libra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92-03
[127]
웹사이트
Discussion of the Tetris Applet
http://www.math.uic.[...]
1996-01-07
[128]
문서
Heidi Burgiel. [http://www.geom.umn.edu/%7Eburgiel/Tetris/tetris.PS How to Lose at Tetris]
[129]
학회자료
Tetris is Hard, Even to Approximate
http://erikdemaine.o[...]
2003-07-25
[130]
서적
Power-up: Unlocking the Hidden Mathematics in Video Gam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131]
문서
'[https://arstechnica.com/science/news/2009/05/the-thermodynamics-of-tetris.ars The Thermodynamics of Tetiris]'
[132]
논문
Structure, Thermodynamics, and Solubility in Tetromino Fluids
[133]
웹사이트
Review: Tetris for iPhone.
https://www.macworld[...]
Macworld
[134]
뉴스
At 25, Tetris still eyeing growth
https://www.reuters.[...]
ロイター
2009-06-02
[135]
웹사이트
Tetris Story by Vadim Gerasimov
http://vadim.oversig[...]
[136]
서적
La Saga des Jeux Vidéo
Pix'N Love Editions
[137]
서적
テトリス・エフェクト
https://www.worldcat[...]
白揚社
2017.10
[138]
서적
Game Over: Press Start to Continue
Cyberactive Media Group
[139]
뉴스
''Tetris'': how we made the addictive computer game | Culture
https://www.theguard[...]
2014-06-02
[140]
웹사이트
How ''Tetris'' conquered the world, block by block
https://www.theguard[...]
2009-06-01
[141]
문서
本来の英語名は「テト'''ロ'''ミノ」(Tetromino)であるが、テトリスの版権を有するテトリスホールディングは「テトリミノ」(Tetrimino)を[[商標]]として採用している。また、ゲームによっては「'''テトラミノ'''」(Tetramino)または単に「'''ミノ'''」(Mino)と呼ぶこともあり、若干の[[表記揺れ]]がある。
[142]
문서
初めQuadruple(4倍)という名称だったが、[[ヘンク・ブラウアー・ロジャース]]のアイディアでこの名称に変更された。
[143]
문서
テトリミノが固定されてから、次のテトリミノが出現するまでの時間を示す用語の通称として{{要出典範囲|date=2023年9月|「'''ARE'''(あれ)」と呼ばれることもある}}。
[144]
문서
初代「セガテトリス」では[[電源パターン]]を利用し、出現する順番を暗記しつつ対応した手順を組むことで、全消しを効率的に決めて得点の[[カウンターストップ]]を早期に達成させることもできる。
[145]
웹사이트
TETRIS BLUE
http://www.g-mode.jp[...]
ジー・モード
[146]
웹사이트
TETRIS BLACK
http://www.g-mode.jp[...]
ジー・モード
[147]
웹사이트
2008年3月17日付より
http://mihara.sub.jp[...]
[148]
웹사이트
2010年8月5日付より
http://mihara.sub.jp[...]
[149]
문서
このタイトルロゴは「国際登録番号:881009、名義人:Tetris Holding, LLC(テトリス ホールディング,エルエルシー)、ウィーン図形分類:26.13.25.3; 27.5.1.9; 27.5.1.20; 27.5.5; 27.5.12; 27.5.17; 27.5.21; 27.5.23.92」で[[商標登録]]されている。
[150]
웹사이트
The Tetris Company
http://www.tetris.co[...]
[151]
문서
ガンホー・エンターテイメント管理のテトリスオンライン(旧)
[152]
문서
テトリスオンライン(ベータ版時代。正式版では非課金の初期状態の場合は1つしか表示されない。ただし後年の「みんなでテトリス」、Flash版のテトリスでは最初から3つ表示される)、デカリス、および海外で発売された[[:en:Tetris Evolution|Tetris Evolution]]
[153]
문서
『[[テトリス ザ・グランドマスター3 -Terror Instinct-]]』など一時期の作品では、Iテトリミノのスーパーローテーションを応用して自然落下を再発させたときのリセットにのみ制限が無いため、操作ミスが発生しない限り無限にミノを回転させることが可能。現行ガイドラインでは『テトリミノが到達した最も低い位置が更新されたときのみ、操作制限回数がリセットされる』ように制定されている。
[154]
문서
TGMシリーズでは「最初にO,S,Zピースが来ない」「直近4個までに出現していたピースが再び抽選されると、数回までランダム抽選をやり直す」「また、S-ZとL-Jはそれぞれ出現間隔に関わらず、必ず交互に登場する」というテトリミノの仕様がある。
[155]
문서
初期のテトリスオンラインでは偏り補正が採用されていなかった。『みんなでテトリス』をはじめ、後のテトリスオンラインのテトリスでは採用されている。
[156]
문서
[[テトリス ザ・グランドマスター エース|TGM-ACE]]では'''SRS'''とも呼ばれる('''S'''uper '''R'''otation '''S'''ystemの略)。
[157]
문서
Mini T-Spinや、『テトリスパーティープレミアム』など一部の作品においての、特殊な回転入れによるライン揃え全般も含む。
[158]
문서
初期レベルを上げてスタートした場合、初回のみレベル上昇までのライン数が初期レベルに応じて増加する作品もある。
[159]
문서
『TETRIS 2002』など、レベル15がエンドレスで続く作品もある。
[160]
웹사이트
13歳少年がテトリス「完全攻略」 世界初か、ゲームが白旗―米
https://www.jiji.com[...]
2024-01-04
[161]
뉴스
NESソフト訴訟と「テトリス」著作権 対立深めるアタリゲームズ社対米国任天堂 関連する”サードパーティー”各社は注目
https://onitama.tv/g[...]
1989-07-01
[162]
뉴스
「テトリス」家庭用 米国任天堂がソ連から独占使用権を獲得
https://onitama.tv/g[...]
1989-05-01
[163]
뉴스
家庭用「テトリス」の独占使用権で 米国のテンゲン社が任天堂に著作権訴訟 英国ミラーソフトからの許諾もとにNES用「テトリス」の権利を主張
https://onitama.tv/g[...]
1989-05-15
[164]
뉴스
NES用「テトリス」の独占使用権で 米国任天堂が逆提訴 テンゲンの「テトリス」めぐる命令申請も
https://onitama.tv/g[...]
1989-06-15
[165]
뉴스
NES用「テトリス」で テンゲン社に仮処分 連邦地裁が任天堂の申請認め、予備的差し止め
https://onitama.tv/g[...]
1989-07-15
[166]
뉴스
家庭用「テトリス」の独占権めぐる訴訟 連邦地裁が略式で任天堂に勝訴判決 アタリゲームズ/テンゲンは控訴の方針 業務用にも影響及ぶライセンス関係解明
https://onitama.tv/g[...]
1989-12-15
[167]
웹사이트
アリカの「テトリス ザ・グランドマスター」版権元の方針によって発売中止に
http://plusd.itmedia[...]
[168]
웹사이트
テトリスオンライン・ジャパン、「テトリスオンライン」を正式発表 ImpressGAME Watch
https://game.watch.i[...]
テトリスオンライン・ジャパン
[169]
웹사이트
ファミコンプラザゲーム最新情報ページ (0720)生産終了のテトリスDS、ちょっぴり再入荷!!
http://www.famicom-p[...]
[170]
웹사이트
テトリス | ニンテンドー3DS | 任天堂
https://www.nintendo[...]
[171]
서적
PlayStation Software Catalog 1994-1998
ビーエヌエヌ
1998-01-01
[172]
뉴스
BPSら3社が提訴 ミニ「テトリス」問題に ゲームテックに対し海賊版の破棄など求める
https://onitama.tv/g[...]
1997-02-15
[173]
웹사이트
エポック社EL-SPIRITS テトリスシリーズ
http://epoch.jp/gt/e[...]
2007-09-28
[174]
웹사이트
テトリスミニ
http://gametech.co.j[...]
게임テック
2021-04-21
[175]
간행물
80年代アイドルcollection
別冊宝島
[176]
서적
電脳騒乱節 Vol. 1
[177]
논문
Can Playing the Computer Game “Tetris” Reduce the Build-Up of Flashbacks for Trauma? A Proposal from Cognitive Science
https://journals.plo[...]
2009-01-07
[178]
뉴스
At 25, Tetris still eyeing growth | Reuters
http://www.reuters.c[...]
[179]
웹사이트
The Tetris saga
http://www.atarihq.c[...]
2007-08-24
[180]
웹사이트
Pajitnov interview, G4 "Icons", ep. 305
http://www.g4tv.com/[...]
2005-03-11
[181]
웹사이트
Original Tetris: Story and Download
http://vadim.oversig[...]
2007-06-10
[182]
문서
테트리스의 변종은 기존 테트리스의 스타일을 바꾼 테트리스들을 말한다. 예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테트로미노의 개수가 4개로 고정이 되어있지 않은 것.스테이지의 너비가 넓은 것.입체형으로 된 것. 이른바 3차원 테트리스라 불린다.
[183]
웹인용
HP 54600B Oscilloscope Easter Eggs - Eeggs.com
http://www.eeggs.com[...]
Eeggs.com
2008-11-12
[184]
웹인용
La Bastille: A Tech House Art Installation
http://bastilleweb.t[...]
Bastilleweb.techhouse.org
2008-11-12
[185]
웹인용
Huge Tetris Game Played On Dorm Building - Geekologie
http://www.geekologi[...]
Geekologie.com
2008-11-12
[186]
웹인용
IGN Top 100 Games of All Time - 2007
http://top100.ign.co[...]
2010-02-24
[187]
뉴스
How Tetris conquered the world, block by block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9-06-02
[188]
웹사이트
» Tetris atteint les 100 millions de téléchargements payants (et une petite histoire du jeu) - Maximejohnson.com/techno: actualités technologiques, tests et opinions par le j...
http://www.maximejoh[...]
[189]
문서
테트리스 DS 매뉴얼
닌텐도
2006
[190]
웹사이트
The Tetris Taxonomy: The Pieces
http://www.arkmay.co[...]
2007-05-01
[191]
웹사이트
Tetris Zone manual
http://zone.tetris.c[...]
2008-11-12
[192]
논문
Puzzling Encounters
1988-05
[193]
웹사이트
Q&A Tetris creator Alexey Pajitnov
http://www.gamespot.[...]
2007-10-31
[194]
뉴스
AI만 깨던 테트리스 끝판왕 탄생…13세 美소년 '인류 첫 챔피언'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4-01-04
[195]
논문
The Wish List
[196]
법률
Blue Planet Software, Inc. v. Pajitnov, 334 F. Supp 2d 425 (S.D.N.Y. 2004).
[197]
법률
See, e.g., Copyright Registration Nos. PAu 1-214-036; PAu 1-214-035; PA 412-169; PA 412-170, among others.
[198]
법률
See, e.g., Trademark Registration Nos. 1,753,062 (USA); 1,657,499 (USA); 1,742,325 (USA); 1,382,544 (UK); 1,382,543 (UK); 507644 (Taiwan); 498703 (Taiwan); 098,381 (Peru); 097, 244 (Peru); 266/36 (Saudi Arabia), among others.
[199]
법률
Luxury Int’l, Inc. v. U.S., No. 99-02-00093, Slip Op. 00-27
http://www.cit.uscou[...]
2010-05-27
[200]
법률
Title 17, United States Code, section 102
http://www.copyright[...]
U.S. Copyright Office
2009-03-12
[201]
법률
"Publication FL-108: Games."
http://www.copyright[...]
U.S. Copyright Office
2009-06-25
[202]
웹사이트
"The Tetris Company's Activities"
http://abednarz.net/[...]
2006-08-13
[203]
뉴스
"Tetris blocks Mac Quinn game"
http://www.pcpro.co.[...]
MacUser
2006-08-13
[20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lubcity.[...]
2011-01-12
[205]
웹사이트
http://www.dt.co.kr/[...]
[206]
논문
MRI assessment of cortical thickness and functional activity changes in adolescent girls following three months of practice on a visual-spatial task
http://www.biomedcen[...]
[207]
논문
Regional glucose metabolic changes after learning a complex visuospatial/motor task: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http://linkinghub.el[...]
[208]
뉴스
Tetris 'could boost brain power'
http://www.telegraph[...]
Telegraph news
2009-09-02
[209]
논문
Can playing the computer game "Tetris" reduce the build-up of flashbacks for trauma? A proposal from cognitive science
http://dx.plos.org/1[...]
[210]
웹인용
Tetris
http://www.allgame.c[...]
AllGame
2014-06-09
[211]
웹인용
Tetris
https://web.archive.[...]
AllGame
2014-06-09
[212]
웹인용
Tetris
https://web.archive.[...]
AllGame
2014-06-09
[213]
웹인용
Tetris
https://web.archive.[...]
AllGame
2014-06-09
[214]
웹인용
Tetris
https://web.archive.[...]
AllGame
2014-06-09
[215]
잡지
Tetris Mastertronic
http://live.worldofs[...]
2012-11-22
[216]
잡지
Reviews: Tetris
http://live.worldofs[...]
2012-11-22
[217]
웹인용
TETЯIS: Arcade Review
http://live.worldofs[...]
2012-11-22
[218]
웹인용
Tetris
http://www.ysrnry.co[...]
The Your Sinclair Rock'n'Roll Years
2012-08-08
[219]
웹인용
Gold Standard
http://www.zzap64.co[...]
The Def Gui to Zzap!64
2012-08-08
[220]
웹인용
Tetris: Can MIRRORSOFT pack them in?
http://live.worldofs[...]
ACE (games magazine)
201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