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응선은 평안남도 안주 출신으로, 청일 전쟁 당시 일본 육군 장교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띄어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교장을 거쳐 친일 행위로 훈장을 받았다. 한일 병합 이후 일본군에서 복무하며 소장으로 진급했고, 만주사변 관련 단체 위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그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육군 소장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 일본 육군 소장 - 이희두
이희두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소장으로 복무하며 일진회에 가담, 친일 행적을 보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 훈6등 단광욱일장 수훈자 -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대신,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하며 해군력 확장, 문화 통치 추진, 만주국 승인, 국제연맹 탈퇴 등의 행적을 남겼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훈6등 단광욱일장 수훈자 - 가토 도모사부로
가토 도모사부로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쓰시마 해전 승리에 기여한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해군 대신과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서 군축 협상을 주도하고, 총리 재임 중에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이행, 산둥반도 일본군 철수, 시베리아 출병 종결 등의 업적을 남겼다. - 훈5등 쌍광욱일장 수훈자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훈5등 쌍광욱일장 수훈자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김응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김응선 |
한글 | 김응선 |
한자 | 金應善 |
로마자 표기 | Gim Eung-seon |
생애 | |
출생 | 1881년 음력 5월 26일 |
사망 | 1932년 양력 8월 2일 |
군인 정보 | |
![]() | |
복무 |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
복무 기간 | 1903년 ~ 1931년 |
최종 계급 | 대한제국 육군 참령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러일 전쟁 |
2. 생애
김응선은 평안남도 안주군 출신으로, 청일 전쟁 때 참전한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띄어 189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했다.[2] 1902년 일본육군사관학교 제15기로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교장에 임명되었고, 1905년 특파대사 수행원으로 일본에 가 훈6등 단광욱일장을 받았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당시 육군 보병 참령이었으며, 군대 해산 직후 황태자궁 배종무관에 임명될 정도로 일본에게 신뢰를 받았다. 러일 전쟁 공로로 훈5등 쌍광욱일장 및 은사금 500JPY을 받았고,[3] 그해 11월 황태자 이은의 일본 유학을 수행하고 훈4등 서보장을 받았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구 한국군 장교 중 우수장교로 평가받아 조선주차군사령부 소속으로 이은의 왕세자궁 무관으로 계속 근무했다. 1920년 "조선 군인을 육군 장교 동 상당관으로 임용 등에 관한 건"(다이쇼 9년 칙령 제118호)에 의해, 조선군인인 육군 보병 부령[5]에서 육군 보병 중좌[5]로 전관되었다. 1923년 일본 제국 육군 보병 대좌, 1931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
일본 정부로부터 1909년 황태자도한기념장,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다이쇼대례기념장, 1920년 훈3등 욱일중수장을 받았다. 1931년 소장 예편 시 특별상여액 2970JPY과 퇴직특별사금 및 수당액 8925JPY을 받았다. 은퇴 직후 만주사변 관련 관제 단체인 만몽재주동포협의회 위원을 지냈으나, 1932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일본 유학
평안남도 안주군 출신으로, 집안 배경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2] 1894년부터 1895년까지 벌어진 청일 전쟁 때 참전한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띄어, 16세였던 189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게 되었다. 3·1 운동 당시 조선군 사령관이었던 우쓰노미야는 이후 '김응선의 아버지'로 불렸다는 일화가 있다. 김응선은 20세 연상의 우쓰노미야에게 형제처럼 귀여움을 받았고, 보호를 받았으며, 나중에는 '''우쓰노미야 긴고'''라는 일본식 이름을 사용했을 정도였다.1902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03년 11월 30일에 제15기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에는 일본 근위보병 제1연대에서 견습사관으로 복무했으며, 곧 러일 전쟁 (1904년~1905년)이 발발하여 김응선도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참전했다. 1904년 3월에 진남포에 상륙하면서 처음에는 정찰 활동을 맡았고, 5월에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2. 2.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및 러일 전쟁 참전
청일 전쟁 때 참전한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띄어 1896년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게 되었다. 1902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제15기로 졸업하였다. 졸업 후에는 일본 근위보병 제1연대에서 견습사관으로 복무했으며, 곧 러일 전쟁이 발발하여 김응선도 참전했다. 1904년 3월 진남포에 상륙하면서 처음에는 정찰 활동을 맡았고, 5월에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2]2. 3. 대한제국 군 복무와 친일 행적
김응선은 평안남도 안주군 출신으로, 청일 전쟁 때 참전한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띄어 189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게 되었다.[2] 1902년에는 일본육군사관학교 제15기로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이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교장에 임명되었고, 1905년 특파대사 수행원으로 일본에 가서 훈6등 단광욱일장을 수여받는 등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당시에는 육군 보병 참령이었으며, 군대 해산 직후 황태자궁 배종무관에 임명될 정도로 일본에게 신뢰를 받았다. 러일 전쟁 때의 공로로 훈5등 쌍광욱일장 및 은사금 500JPY을 받았고,[3] 그해 11월 황태자 이은의 일본 유학을 수행하고 훈4등 서보장을 수여받았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구 한국군 장교 중 우수장교로 평가받아 조선주차군사령부 소속으로 이은의 왕세자궁 무관으로 계속 근무했다. 1923년 일본 제국 육군 보병 대좌, 1931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
일본 정부로부터 1909년 황태자도한기념장,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다이쇼대례기념장, 1920년 훈3등 욱일중수장을 받았다. 1931년 소장으로 예편할 때는 특별상여액 2970JPY과 퇴직특별사금 및 수당액 8925JPY이 주어졌다. 은퇴 직후 만주사변 관련 관제 단체인 만몽재주동포협의회 위원을 지냈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2. 4. 한일 병합 이후 일본군 복무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구 한국군 장교 중 우수장교로 평가되어 조선주차군사령부 소속을 명 받았다. 김응선은 왕세자로 격하된 이은의 왕세자궁 무관으로 계속 근무했다. 1923년에 일본 제국 육군 보병 대좌, 1931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일본 정부로부터 1909년 황태자도한기념장,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1915년 다이쇼대례기념장, 1920년 훈3등 욱일중수장을 받은 바 있다. 1931년 소장으로 예편할 때는 공이 특별히 크다면서 특별상여액 2970JPY과 퇴직특별사금 및 수당액 8925JPY이 주어졌다.[2]
3. 사후 평가
민족문제연구소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김응선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했다.
3. 1. 친일반민족행위자 규정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군인 부문에도 포함되었다.3. 2. 상반된 평가
대한민국에서 2005년에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리스트'(1차 명부)의 군인 부문에 김응선을 수록하였다.[1] 2007년에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부'의 군인 부문에도 김응선이 수록되어 있다.[1]참조
[1]
문서
金は[[1881年]]に[[李氏朝鮮]]で出生しているが、主なキャリアが[[大日本帝国陸軍]][[軍人]]としてのものであるため、理解の便宜上、[[西暦]]に[[大日本帝国]]の[[元号]]を付した。以下も同じ。
[2]
문서
[[日清戦争]]の際には13歳 - 14歳であった金が、[[宇都宮太郎]]・[[大日本帝国陸軍]]歩兵大尉の知遇を得るより前の経歴は不明である。
[3]
서적
[4]
간행물
奉訣式当日陸軍ニ於ケル国葬係員
https://www.jacar.ar[...]
[5]
간행물
陸軍歩兵中佐金応善外四名叙勲並勲章加授ノ件
https://www.jacar.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