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까마귀가 나는 밀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빈센트 반 고흐가 1890년 7월 프랑스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서 그린 그림이다. 이중 사각형 캔버스에 그려진 이 작품은 밀밭 위를 나는 까마귀 떼를 묘사하며, 고립감과 절망감을 나타내는 중앙의 길, 검푸른 하늘과 황금빛 밀밭의 대비를 통해 불안과 희망 등 상반된 감정을 표현한다. 반 고흐는 이 그림에서 까마귀를 죽음과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했으며, 슬픔과 고독을 나타내고자 했다. 이 작품은 반 고흐의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 제작된 여러 밀밭 연작 중 하나로, 종종 그의 마지막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실제 마지막 작품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센트 반 고흐의 오베르쉬르우아즈 그림 - 가셰 박사의 초상
    《가셰 박사의 초상》은 빈센트 반 고흐가 1890년에 그린 폴 가셰 박사의 초상화로,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한 버전은 1990년 경매에서 최고가 기록을 세웠으나 현재 행방이 묘연하고, 다른 한 버전은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빈센트 반 고흐의 오베르쉬르우아즈 그림 - 오베르의 교회
    오베르의 교회는 빈센트 반 고흐가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서 그린 그림으로, 북방에 대한 향수와 내면적 갈등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드라마의 주요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 1890년 회화 작품 - 가셰 박사의 초상
    《가셰 박사의 초상》은 빈센트 반 고흐가 1890년에 그린 폴 가셰 박사의 초상화로,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한 버전은 1990년 경매에서 최고가 기록을 세웠으나 현재 행방이 묘연하고, 다른 한 버전은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1890년 회화 작품 - 영원의 문
    영원의 문은 빈센트 반 고흐가 제작한 작품으로, 1882년 석판화와 1890년 유화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며,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과 종교적 신념을 담고 있다.
  • 반 고흐 미술관 소장품 - 감자 먹는 사람들
    《감자 먹는 사람들》은 빈센트 반 고흐가 1885년에 그린 유화 작품으로, 농부들의 진솔한 모습을 담아 단순하고 소박한 삶의 방식을 표현했으며, 반 고흐는 이 작품을 자신의 가장 성공적인 그림으로 여겼다.
  • 반 고흐 미술관 소장품 - 해바라기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가 꽃병에 꽂힌 해바라기를 그린 유화 작품군인 해바라기는 총 7점이 제작되었고 현재 6점이 남아 있으며, 아를의 '노란 집'을 장식하기 위해 비슷한 구도로 여러 점 제작되었으나 일부는 위작 논란과 나치 약탈 문화재 반환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
작품 정보
까마귀가 나는 밀밭 그림
까마귀가 나는 밀밭
원어 제목 (네덜란드어)Korenveld met kraaien
다른 제목 (프랑스어)Champ de blé aux corbeaux
다른 제목 (네덜란드어)Korenvelden onder dreigende luchten met kraaien
화가빈센트 반 고흐
제작 연도1890년 7월
종류유화, 캔버스
소장 위치암스테르담
미술관반 고흐 미술관
좌표52
작품 목록 번호F779
JH2117
매체캔버스에 유채
크기 (높이)50.2 cm
크기 (너비)103 cm

2. 작품 배경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빈센트 반 고흐가 생애 마지막 몇 주를 보낸 프랑스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서 1890년 7월에 그려졌다.[6]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주장하지만, 반 고흐 미술관은 이 그림을 반 고흐의 마지막 작품으로 추정하지 않는다.

이중 사각형 캔버스에 그려진 이 작품은 밀밭 위로 까마귀가 가득한 극적인 구름 낀 하늘을 묘사하고 있다.[6] 어디로도 이어지지 않는 중앙의 길과 까마귀의 불확실한 비행 방향은 고립감을 더욱 고조시킨다. 바람에 날리는 밀밭은 캔버스의 3분의 2를 채우고 있다.

반 고흐가 좋아했던 작가 쥘 미슐레는 까마귀에 대해 "그들은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모든 것을 관찰한다"라고 썼다.[7] 캐슬린 에릭슨은 이 그림이 슬픔과 삶의 끝을 동시에 표현한다고 보았다.[8] 반 고흐는 까마귀를 죽음과 부활, 또는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했다.[9][10] 에릭슨은 또한, 빨간색과 녹색의 대조적인 색상으로 이루어진 길을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 기반한 설교의 은유로 보았는데, 순례자는 긴 여정에 슬퍼하지만 영원한 도시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에 기뻐한다는 내용이다.[11][12]

우르릉거리는 구름 아래 밀밭(1890)

2. 1. 제작 시기 및 정황

반 고흐는 1890년 7월 10일경 동생 테오와 그의 아내 요 봉거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에서 세 개의 큰 캔버스를 더 그렸다고 언급했다.[13] 이 중 두 개는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을 묘사한 것으로,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까마귀가 나는 밀밭》으로 추정된다. 그는 이 그림들을 통해 슬픔과 "극도의 고독"을 표현하고자 했다.[13]

하지만 반 고흐는 동시에 이 캔버스들이 시골에 대해 자신이 건강하고 힘이 된다고 생각하는 바를 보여주기를 바랐다고 덧붙였다.[13] 그는 이 그림들을 가능한 한 빨리 파리로 가져갈 생각이었다고 한다.

2. 2. '까마귀가 나는 밀밭'에 대한 오해

반 고흐 미술관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빈센트 반 고흐의 마지막 작품으로 자주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1890년 7월 10일경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이 그림으로 추정되는 작품에 대한 언급이 있어, 실제로는 7월 상순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17] 또한, '1890년 7월 14일, 오베르 마을 회관'이나 '도비니의 정원', '나무 뿌리와 줄기' 등 7월 중순 이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작품이 마지막 작품일 가능성은 낮다.

이러한 오해는 1956년 영화 '열정의 랩소디'의 영향이 크다. 영화에서는 커크 더글러스가 연기한 빈센트 반 고흐가 까마귀가 나는 밀밭에서 이 작품을 완성하고 권총 자살을 하는 장면이 묘사된다. 하지만, 실제로 그가 자살 직전까지 그림을 그렸다는 증거나, 자살을 시도한 장소가 밀밭이었다는 확증은 없다.[18] 그럼에도 이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면서 "빈센트 반 고흐가 죽기 직전에 그린 작품"이라는 이미지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

1908년 독일 뮌헨의 모데르네 쿤스트한들부르크 화랑 등을 순회한 빈센트 반 고흐 전시회 카탈로그에서 처음으로 이 작품이 "거장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언급되었다. 1914년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열린 현대 미술전 카탈로그에서는 "까마귀 떼가 날아다니는 밀밭"이라는 제목으로 "화가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설명되었다. 이후, 검은 새가 까마귀이며[17] 빈센트 반 고흐의 절필이라는 견해가 근거 없이 퍼져나갔다.

" 수확"은 성경에서 종종 사람의 죽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언급되며, 빈센트 반 고흐 자신도 죽음의 이미지로 밀밭을 주제로 그리곤 했다. 그림 속 검은 새가 까마귀였다면 "불길한 죽음"을 나타내는 그림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며,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예술가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주제가 된다. 또한, 빈센트 반 고흐의 전기에서는 그의 생애를 순교성인전에 적용하는 기술이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이 작품을 둘러싼 여러 전설(속설)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현대에도 이 그림은 전시회나 화집의 마지막에 놓이는 경우가 많으며, "엄밀히 말하면 절필은 아니지만, 화가의 제작 활동을 마무리하는 작품으로서 적합하다"라는 식으로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고정된 해석에서 벗어나려는 탈신화화의 움직임도 있다. 1990년 BBC가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반 고흐'에서는 고흐가 까마귀가 있는 밀밭에서 죽지 않는 것으로 묘사된다. 같은 해 로버트 알트만 감독의 영화 '고흐'에서도 이 그림을 절필로 다루지 않았지만,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에서 방 구석에 이 그림이 놓여 있는 연출을 사용했다.

3. 작품 분석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반 고흐가 1890년 7월,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 그린 그림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마지막 작품은 《나무 뿌리》일 가능성이 높다. 이 작품은 이중 사각형 캔버스에 그려졌으며, 밀밭 위로 까마귀가 가득한 극적인 구름 낀 하늘을 묘사하고 있다.[6]

1890년 7월 10일경, 반 고흐는 동생 테오와 그의 아내 요 봉거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에서 세 개의 큰 캔버스를 더 그렸다고 언급했다.[13] 이 중 두 개는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을 묘사한 것으로,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까마귀가 나는 밀밭》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하나는 《도비니의 정원》이다. 그는 이 그림들을 통해 슬픔과 극도의 고독을 표현하고자 했지만, 동시에 시골에 대한 건강하고 힘이 되는 인상을 보여주고자 했다.[15]

발터와 메츠거는 《반 고흐: 완전한 그림》에서 반 고흐의 편지에는 예술적 불안이나 절망과 같은 해석을 뒷받침할 내용이 없으며, 그가 자살했을 때 이 그림을 이젤 위에 놓고 있었다는 믿음에 대한 증거도 없다고 말한다. 그들은 반 고흐가 1880년 6월의 편지에서 자신을 새장에 갇힌 새에 비유한 것을 언급하며, 그림 속 까마귀가 반 고흐 자신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매우 개인적인 상징이었음을 시사한다.[14][15]

이 시기 반 고흐의 그림들은 모두 길쭉한 이중 사각형 캔버스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까마귀가 나는 밀밭》도 마찬가지다. 이 그림은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함께 암스테르담반 고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1년,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다른 19점의 반 고흐 그림과 함께 도난당했다가 곧 회수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그림이 심하게 손상되기도 했다.[16]

인도네시아 작곡가 아난다 수카를란은 이 작품과 다른 세 점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동명의 곡을 작곡했다.

3. 1. 구도 및 구성

Korenveld met kraaiennl은 가로로 긴 특이한 규격(50cm × 100cm, 실제는 51cm × 103.5cm)으로, 장대한 풍경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19] 그림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황금빛 밀밭, 세 갈래로 갈라지는 붉은 길, 그리고 검푸른 하늘을 나는 까마귀 떼가 그것이다. 중앙의 길은 어디로도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끊겨 있어 고립감과 절망감을 더한다. 밀밭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색채 대비가 두드러진다.

어떤 화가도 빈센트만큼 이 까마귀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소나무 버섯 색깔과 같은 검은색, 화려한 연회의 느낌을 주는 검은색, 그리고 저녁 시간 사라져 가는 빛에 놀라 날갯짓하며 떨어뜨리는 배설물과 같은 검은색을 더 잘 만들어 낼 수는 없을 것이다.[20]

3. 2. 색채 및 상징

검푸른 하늘과 황금빛 밀밭의 강렬한 대비는 불안과 희망, 절망과 생명력 등 상반된 감정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그림 위쪽에는 검푸른 색 하늘을 나는 검은색 까마귀 떼가 보이고, 아래쪽에는 황금색 밀밭에 붉은 세 갈래 길이 나뉘어 있으며, 그중 가운데 길은 뚝 끊겨 있어 우울한 분위기를 나타낸다. 밀밭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쪽 그림 색과 아래쪽 그림 색이 대비를 이룬다.[19]

"어떤 화가도 빈센트만큼 그 까마귀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소나무 버섯 색깔과 같은 검은색, 화려한 연회의 느낌을 주는 검은색, 그리고 저녁시간 사라져 가는 빛에 놀라서 날갯짓하며 떨어뜨리는 배설물과 같은 검정색을 더 잘 만들어 낼 수는 없을 것이다."[20]

반 고흐가 가장 좋아했던 작가 중 한 명인 쥘 미슐레는 까마귀에 대해 "그들은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모든 것을 관찰한다."라고 썼다.[7] 캐슬린 에릭슨은 까마귀를 죽음과 부활의 상징으로 보았으며,[8][9][10] 붉은색과 녹색의 대조적인 색상으로 이루어진 길을 존 번연의 《천로역정》에 기반한 설교의 은유로 보았다. 순례자는 길이 너무 길다는 것에 슬퍼하지만, 영원한 도시가 여정의 끝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것에 기뻐한다.[11][12]

4. 반 고흐와 까마귀

반 고흐까마귀를 죽음과 부활, 또는 재생의 상징으로 사용했다.[9][10] 그가 좋아했던 작가 쥘 미슐레는 까마귀에 대해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모든 것을 관찰한다"라고 썼다.[7]

4. 1. 편지에서의 언급

반 고흐는 편지에서 까마귀에 대해 언급하며 "하느님은 땅의 표면을 새로이 한다"라는 성경 구절을 인용했다.[21] 이는 까마귀를 통해 자연의 순환과 부활의 희망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9][10] 1880년 6월의 편지에서 반 고흐는 자신을 새장에 갇힌 새에 비유했는데,[14] 이는 까마귀가 그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상징이었음을 보여준다.[15]

4. 2.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

반 고흐 미술관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반 고흐의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인 1890년 7월에 그려졌다.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마지막 작품은 《나무 뿌리》일 가능성이 높다.

이중 사각형 캔버스에 그려진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밀밭 위로 까마귀가 가득한 극적인 구름 낀 하늘을 묘사하고 있다.[6] 반 고흐가 가장 좋아했던 작가 중 한 명인 쥘 미슐레는 까마귀에 대해 "그들은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모든 것을 관찰한다."라고 썼다.[7] 캐슬린 에릭슨은 이 그림이 슬픔과 그의 삶이 끝나가고 있음을 동시에 표현한다고 보았다.[8] 까마귀는 반 고흐에 의해 죽음과 부활 또는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9][10]

1890년 7월 10일경 반 고흐는 동생 테오와 그의 아내 요 봉거에게 7월 6일 파리를 방문한 이후 오베르에서 세 개의 큰 캔버스를 더 그렸다고 썼다.[13] 이 중 두 개는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까마귀가 나는 밀밭》으로 추정되며, 세 번째는 《도비니의 정원》이다.

발터와 메츠거는 《반 고흐: 완전한 그림》에서 "반 고흐의 말에는 예술적 '불안'과 절망과 같은 단순한 해석을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없으며, 그가 자살했을 때 이 그림을 이젤 위에 놓고 있었다는 널리 퍼진 믿음에 대한 증거도 없다"고 말한다.[15] 그들은 1880년 6월 반 고흐의 편지를 언급하며, 그가 자신을 새장에 갇힌 새에 비유했고,[14] "다시 말해, 그림 속의 까마귀는 반 고흐 자신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매우 개인적인 상징이었다."라고 언급했다.[15]

이 그림들은 모두 반 고흐가 1890년 6월과 7월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 독점적으로 사용했던 길쭉한 이중 사각형 캔버스의 예이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1991년 다른 19점의 반 고흐 그림과 함께 도난당했다가 즉시 회수되었으며, 이 그림은 절도 과정에서 "심하게 손상"되었다.[16]

인도네시아 작곡가 아난다 수카를란은 이 작품과 다른 세 점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같은 제목의 곡을 "빈센트의 샘"이라는 주기로 작곡했다.

5. 동시대의 다른 밀밭 그림들

반 고흐는 '까마귀가 나는 밀밭' 외에도 같은 시기에 여러 점의 밀밭 그림을 그렸다. 1890년 7월 10일경 동생 테오와 그의 아내 요 봉거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에서 세 개의 큰 캔버스를 더 그렸다고 언급했는데[13], 이 중 두 개는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을 묘사한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까마귀가 나는 밀밭》으로 추정된다.

반 고흐가 1890년 6월과 7월,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에 그린 그림들은 모두 길쭉한 이중 사각형 캔버스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1991년 다른 19점의 반 고흐 그림과 함께 도난당했다가 즉시 회수되었는데, 절도 과정에서 "심하게 손상"되었다.[16]

인도네시아 작곡가 아난다 수카를란은 이 작품과 다른 세 점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같은 제목의 곡을 "빈센트의 샘"이라는 주기로 작곡했다.

반 고흐의 사망 직전인 같은 해 7월에 그려진 작품은 총 25점 정도 존재하며, 이 중에는 밀밭을 그린 작품도 많다. 비교적 밝은 색채를 사용한 작품도 보이며, 본 작품과 유사한 필치로 떼를 지어 나는 새의 모습이 그려진 작품도 몇몇 보인다.

5. 1. 1890년 7월의 밀밭 연작

반 고흐 미술관에 소장된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반 고흐가 생애 마지막 몇 주 동안인 1890년 7월에 그린 작품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마지막 작품은 《나무 뿌리》일 가능성이 높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밀밭 위로 까마귀가 가득한 극적인 구름 낀 하늘을 묘사하고 있으며, 어디로도 이어지지 않는 중앙의 길과 까마귀의 불확실한 비행 방향으로 고립감이 고조된다.[6] 바람에 날리는 밀밭이 캔버스의 3분의 2를 채우고 있다.

반 고흐는 1890년 7월 10일경 동생 테오와 그의 아내 요 봉거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베르에서 세 개의 큰 캔버스를 더 그렸다고 썼다.[13] 이 중 두 개는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을 묘사한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과 《까마귀가 나는 밀밭》으로 추정된다. 그는 슬픔과 "극도의 고독"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동시에 그 캔버스들이 그가 시골에 대해 건강하고 힘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과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작품으로는 《우르릉거리는 구름 아래 밀밭》, 《오베르 근처의 평야》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반 고흐 특유의 이중 사각형 캔버스에 그려졌으며, 격동적인 하늘 아래 펼쳐진 밀밭을 묘사하여 당시 반 고흐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작품명제작 시기소장처특징
|| 1890년 7월 || 반 고흐 미술관 || 어두운 먹구름 아래 밀밭, 새는 보이지 않음.
--1890년 7월노이에 피나코테크새가 낮은 하늘을 날고 있음.


6. 한국과의 관련성 (더불어민주당 관점)

이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으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강조하는 가치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인간의 고독과 소외, 희망과 절망의 관계를 표현하며, 특히 억압받고 소외된 노동자, 농민들의 고통과 희망을 동시에 나타낸다는 점에서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고자 하는 진보 진영의 정서와 연결된다. 반 고흐의 삶은 권위와 기득권에 저항한 예술가의 전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는 진보 진영의 가치와도 연결된다.

6. 1. 문화 예술계의 영향

1956년 영화 '열정의 랩소디'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커크 더글러스가 연기한 빈센트 반 고흐가 까마귀가 있는 밀밭에서 이 작품을 완성하고 그 자리에서 권총 자살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비록, 실제로 그가 자살 직전까지 그림을 그렸다는 확증은 없지만[18], 이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흥행하면서 "빈센트 반 고흐가 죽기 직전에 그렸던 작품"이라는 이미지가 더욱 널리 퍼졌다.

성경에서 수확은 종종 사람의 죽음을 상징한다. 빈센트 반 고흐 자신도 죽음의 이미지로 밀밭을 주제로 즐겨 그렸다. 그림 속 검은 새가 까마귀였다면 "불길한 죽음"을 나타내는 그림이라는 해석도 성립하며,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예술가의 이미지와도 어울린다. 후년에 출판된 여러 빈센트 반 고흐의 전기에서는 화가의 생애를 순교성인처럼 묘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이 작품을 둘러싼 일련의 전설(속설)이 생겨난 것으로 추측된다.

현대에도 이 그림은 전시회나 화집의 마지막에 놓여지고, "엄밀히 말하면 절필은 아니지만 화가의 제작 활동을 마무리하는 작품으로서 적합하다"라는 식의 결론을 내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고정된 해석으로부터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탈신화화 움직임도 있다. 1990년 BBC가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반 고흐'에서는 고흐가 까마귀가 있는 밀밭에서 죽지 않는다. 같은 해 로버트 알트만 감독의 영화 '고흐'에서도 이 그림을 절필로 취급하지 않았지만,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에서 방 구석에 이 그림을 놓아두는 연출을 했다.

참조

[1] 서적 Cézanne to Picasso: Ambroise Vollard, Patron of the Avant-garde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2] 서적 Art, Literature and Culture from a Marxist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3] 뉴스 A Clue to van Gogh's Final Days Is Found in His Last Painting https://www.nytimes.[...] 2022-09-28
[4] 웹사이트 Auvers-sur-Oise: May – July 1890 (75 paintings) http://www.vggallery[...] vggallery.com 2010-07-29
[5] 서적 The Complete Van Gogh: Paintings, Drawings, Sketches Harrison House/Harry N. Abrams
[6] 웹사이트 Wheat Field with Crows http://www.vangoghmu[...] Van Gogh Museum 2011-03-31
[7] 서적 Van Gogh and God: A Creative Spiritual Quest https://books.google[...] Loyola Press
[8] 서적 At Eternity's Gate: The Spiritual Vision of Vincent Van Gogh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sman Publishing
[9]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World Art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10] 서적 Modern Painting and the Northern Romantic Tradition: Friedrich to Rothko Harper & Row 1975
[11] 서적 At Eternity's Gate: The Spiritual Vision of Vincent Van Gogh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sman Publishing
[12] 웹사이트 Van Gogh's First Sunday Sermon: 29 October 1876 http://www.vggallery[...] vggallery.com 2011-07-17
[13] 웹사이트 To Theo van Gogh and Jo van Gogh-Bonger. Auvers-sur-Oise, on or about Thursday, 10 July 1890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1-07-16
[14] 웹사이트 To Theo van Gogh. Cuesmes, between about Tuesday, 22 and Thursday, 24 June 1880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2011-07-17
[15] 서적 Van Gogh: The Complete Paintings Taschen
[16] 뉴스 20 STOLEN VAN GOGHS ARE QUICKLY LOCATED https://www.washingt[...] 1991-04-15
[17] 문서 英語:「Wheatfield with Crows 」やフランス語:「Champ de blé aux corbeaux 」などでも同様に「カラス」となっている。
[18] 문서 고ッホの自殺直前の行動については、酒を飲んでいた、絵を描いていたものの自殺を図った後画材を何者かに持ち去られたなど諸説ある。また発砲時の目撃者は無く現場は特定できなかった事、また右利きであったはずの彼にしては弾丸の入射角が不自然であった事など、自殺についてもいくつか不可解な点が報告されている。
[19] 웹사이트 개미탐험가 http://www.antexplor[...] 2018-05-24
[20] 웹사이트 안토닌 아르토드-출처: http://www.antexplorer.net/entry/Wheat-Field-with-Crows-070710 [개미탐험가] http://www.antexplor[...] 2018-05-24
[21] 웹사이트 개미탐험가 http://www.antexplor[...] 2018-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