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바샤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바샤 호는 케냐 지구대에 위치한 해발 1884m의 담수호로, 화산암과 퇴적암 지질 구조를 가지며 말레와강과 길길강에 의해 물이 공급된다. 2010년 이전 139km²였던 호수 표면적은 2020년 198km²로 증가했다. 주변에는 올도이뇨 에부루, 올카리아 화산체, 마우 단층애 등이 위치하며, 다양한 야생동물과 조류가 서식한다. 호수 주변에서는 화훼 재배가 주요 산업이며, 지열 발전소도 운영되고 있다. 호수의 수위 변동, 관개로 인한 수위 감소, 어류 개체 변화 등의 환경 문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호수 - 빅토리아호
빅토리아호는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에 걸쳐 있는 거대한 호수로, 존 해닝 스피크가 빅토리아 여왕을 기려 명명했으며, 고유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이지만, 환경 문제와 외래종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변국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호수이다. - 케냐의 호수 - 투르카나호
케냐 북부에 위치한 투르카나호는 '옥해'라고도 불리며 짙은 염분과 풍부한 플랑크톤으로 청록색을 띠고, 아프리카 최대의 나일 악어 서식지이자 철새 기착지이며, 호모 루돌펜시스 등의 화석이 발견된 '인류의 요람'으로 불리지만 오모 강 댐 건설로 수량 감소 위기에 처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나이바샤호 | |
---|---|
지도 정보 | |
호수 정보 | |
![]() | |
위치 | 케냐 |
유역 국가 | 케냐 |
면적 | 139 km² |
평균 깊이 | 6 m |
최대 깊이 | 30 m |
해발 고도 | 1,884 m |
지정 정보 | |
람사르 습지 | 지정일: 1995년 4월 10일 등록 번호: 724 |
2. 지리
나이바샤 호는 케냐 지구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올도이뇨 에부루, 올카리아 화산체, 롱고노트 산, Mau Escarpment|마우 단층애영어, Kinangop Plateau|키난고프 고원영어, Aberdare Range|아버데어 산맥영어 등 다양한 지형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서쪽에는 오로이덴 호와 소나치 호 등 작은 호수들이 있다.
2. 1. 지형
나이바샤 호수는 케냐 지구대에서 가장 높은 해발 1884m에 위치하며, 더 큰 플라이스토세 시대 호수에서 형성된 화산암과 퇴적암의 복잡한 지질학적 조합을 이룬다. 간헐적인 개울 외에, 호수는 연중 흐르는 말레와강과 길길강에 의해 물이 공급된다. 눈에 보이는 유출구는 없지만, 호수 물이 비교적 깨끗하기 때문에 지하 유출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2010년 이전에는 호수의 정상적인 표면적이 139km2였으나,[3] 2020년에는 198km2로 증가했다.[4] 면적이 64km2인 늪이 호수를 둘러싸고 있지만, 이는 강우량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해발 1884m에 위치한 호수는[3] 평균 수심이 6m이며, 최대 수심은 크레센트 섬으로 30m이다.[3] 은조로와 협곡은 한때 호수의 유출구를 형성했지만, 현재는 호수보다 높이 솟아 있으며 헬스 게이트 국립공원의 입구를 형성한다. 나이바샤 마을(구 이스트 나쿠루)은 호수의 북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나이바샤 호 주변의 지형은 다음과 같다.
방향 | 지형 |
---|---|
북쪽 | 올도이뇨 에부루 |
남쪽 | 올카리아 화산체와 롱고노트 산 |
서쪽 | Mau Escarpment|마우 단층애영어 |
동쪽 | Kinangop Plateau|키난고프 고원영어과 Aberdare Range|아버데어 산맥영어 (화산체) |
3200km2에 달하는 넓은 집수역을 가지고 있으며, 동쪽의 아버데어 산맥에 내리는 많은 비가 유입된다. 이것이 인근의 엘멘테이타 호와 나쿠루 호가 강알칼리 염호인 데 반해 나이바샤 호가 담수호인 이유 중 하나이다. 주요 유입 하천은 Malewa River|말레와 강영어과 Gilgil River|길길 강영어이다. 나이바샤 호에는 지상의 유출구는 없지만, 소실분의 30%가 지하수가 되어 흘러나간다고 생각된다.[12] 나이바샤 호는 동부 지구대의 계곡 바닥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은조로와 협곡은 한때 나이바샤 호의 유출구를 형성했지만, 지금은 호수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헬스 게이트 국립공원으로 가는 입구가 되었다.
나이바샤 호의 동쪽 끝에는 지름 약 1.5 km의 마르가 있으며, 원형 언덕 부분이 크레센트 섬(Crecent Island)이다. 서쪽에는 두 개의 작은 호수가 있는데, 남서쪽 끝에 인접한 오로이덴 호(Lake Oloiden / Oloiden Bay)와 서쪽으로 약간 떨어진 소나치 호(Lake Sonachi / Crater Lake)이다. 크레이터 레이크 사냥 보호구역이 근처에 있다.
2. 2. 수문
나이바샤호는 관개를 위한 무분별한 호수물 사용으로 수위가 낮아지고 있으나, 주변에서 화훼 재배가 주산업이고 어업도 성하다. 수위는 자주 달라지는데 1890년대에는 거의 마를 뻔한 적도 있었으며, 대개 해당 지역 강수량에 따라 정해진다.나이바샤호는 간헐적인 개울 외에 연중 흐르는 말레와강과 길길강에 의해 물이 공급된다. 눈에 보이는 유출구는 없지만, 호수 물이 비교적 깨끗하기 때문에 지하 유출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2010년 이전에는 호수의 정상적인 표면적이 139km2[3]였으나, 2020년에는 198km2로 증가했다.[4] 면적이 64km2인 늪이 호수를 둘러싸고 있지만, 이는 강우량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호수는 해발 1884m에 위치하며,[3] 평균 수심은 6m, 최대 수심은 크레센트 섬으로 30m이다.[3] 은조로와 협곡은 한때 나이바샤호의 유출구였지만, 현재는 호수보다 높이 솟아 헬스 게이트 국립공원의 입구를 형성한다.
주요 유입 하천은 Malewa River|말레와 강영어과 Gilgil River|길길 강영어이다. 나이바샤호에는 지상의 유출구는 없지만, 소실분의 30%가 지하수가 되어 흘러나간다고 생각된다.[12]
2. 3. 주변 지역
화훼 재배는 나이바샤호 주변의 주산업이지만, 관개를 위해 무분별하게 호수 물을 사용하여 수위가 낮아지고 있다. 이 외에 어업도 성하다.나이바샤 호 주변에는 북쪽으로 올도이뇨 에부루, 남쪽으로 올카리아 화산체와 롱고노트 산, 서쪽으로 Mau Escarpment|마우 단층애영어, 동쪽으로 Kinangop Plateau|키난고프 고원영어과 Aberdare Range|아버데어 산맥영어이 있다. 3,200 km2에 달하는 넓은 집수역을 가지고 있으며, 동쪽의 아버데어 산맥에 내리는 많은 비가 유입된다. 이것이 인근의 엘멘테이타 호와 나쿠루 호가 강알칼리 염호인 데 반해 나이바샤 호가 담수호인 이유 중 하나이다. 주요 유입 하천은 Malewa River|말레와 강영어과 Gilgil River|길길 강영어이다. 나이바샤 호에는 지상의 유출구는 없지만, 소실분의 30%가 지하수가 되어 흘러나간다고 생각된다[12]。
은조로와 협곡은 한때 나이바샤 호의 유출구를 형성했지만, 지금은 호수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헬스 게이트 국립공원으로 가는 입구가 되었다.
나이바샤 호의 동쪽 끝에는 지름 약 1.5 km의 마르가 있으며, 원형 언덕 부분이 크레센트 섬(Crecent Island)이다. 서쪽에는 두 개의 작은 호수가 있는데, 남서쪽 끝에 인접한 오로이덴 호(Lake Oloiden / Oloiden Bay)와 서쪽으로 약간 떨어진 소나치 호(Lake Sonachi / Crater Lake)이다. 크레이터 레이크 사냥 보호구역이 근처에 있다.
3. 생태
나이바샤 호수는 400종 이상의 다양한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야생동물과 상당수의 하마가 서식하는 곳으로, 1995년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3]
나이바샤 호수 인근에는 올로이덴 호수와 소나치 호수 (녹색의 화산호) 두 개의 작은 호수가 있다. 크레이터 호수 게임 보호구역이 근처에 있으며, 호숫가는 유럽 이민자와 정착민의 거주지로 알려져 있다.
3. 1. 동식물
이 호수는 400종 이상의 다양한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야생동물과 상당수의 하마가 서식하고 있다. 호수의 어류는 기후 변화, 어획 노력, 침입종 도입의 영향을 받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다양해졌다. 가장 최근의 어류 개체군 변화는 2001년 잉어의 의도치 않은 유입에 따른 것이다.[5] 9년 후인 2010년, 잉어는 호수에서 잡힌 물고기 질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6]
이 호수에는 남세균과 다양한 야생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400종 이상의 조류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저어새류, 흰머리수리, Goliath heron|오니아오사기영어, 아프리카대머리황새, 아프리카쇠물닭 등의 물새이다. 호수 및 그 부근에서는 Vachellia xanthophloea|피버트리영어, 사초, 가래속 등의 식물 및 기린, 영양, 하마, 누, 아프리카물소, 워터벅 등이 관찰된다.[13]
1995년에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3]
3. 2. 어류
나이바샤 호수의 어류는 기후 변화, 어획, 침입종 도입의 영향을 받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다양해졌다. 2001년에는 잉어가 의도치 않게 유입되었는데,[5] 9년 후인 2010년에는 잉어가 호수에서 잡힌 물고기 질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6]이 호수에는 400종 이상의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는데, 저어새류, 흰머리수리, 오니아오사기(Goliath heron), 아프리카대머리황새, 아프리카쇠물닭 등의 물새가 대표적이다.[13]
3. 3. 보전
나이바샤 호는 400종 이상의 다양한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야생동물과 상당수의 하마가 서식하고 있는 호수이다. 호수의 어류는 기후 변화, 어획 노력, 침입종 도입의 영향을 받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다양해졌다. 가장 최근의 어류 개체군 변화는 2001년 잉어의 의도치 않은 유입에 따른 것이다.[5] 9년 후인 2010년, 잉어는 호수에서 잡힌 물고기 질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6]
나이바샤 호수 인근에는 올로이덴 호수와 소나치 호수 (녹색의 화산호) 두 개의 작은 호수가 있다. 크레이터 호수 게임 보호구역이 근처에 있으며, 호숫가는 유럽 이민자와 정착민의 거주지로 알려져 있다.
이 호수에는 남세균과 다양한 야생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400종 이상의 조류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저어새류, 흰머리수리, Goliath heron|오니아오사기영어, 아프리카대머리황새, 아프리카쇠물닭 등의 물새이다. 호수 및 그 부근에서는 Vachellia xanthophloea|피버트리영어, 사초, 가래속 등의 식물 및 기린, 영양, 하마, 누, 아프리카물소, 워터벅 등이 관찰된다.[13]
1995년에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3]
4. 역사
1937년부터 1950년까지 이 호수는 영국 사우스햄튼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가는 임페리얼 항공의 여객 및 우편 노선의 비행정 착륙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키수무와 나이로비를 연결했다. 자유의 몸(Born Free)의 저자인 조이 아담슨은 1960년대 중반 호숫가에서 살았다. 호숫가에는 오세리안("Djinn 궁전")이 있는데, 이는 두 세계 대전 사이의 Happy Valley set|해피 밸리 세트영어 시대에 악명을 얻었다.
화훼 원예는 호수 주변의 주요 산업이 되었다. 그러나 관개를 위해 통제 없이 호수를 사용하면서 호수 수위가 감소하여 케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호수에서의 어업 역시 지역 주민의 고용 및 수입원이다. 호수는 수위가 크게 변동하여, 1890년대에는 거의 완전히 말랐다가 다시 물이 찼지만, 현재 수위는 다시 떨어지고 있다.
1981년, 나이바샤 호수에 최초의 지열 발전소가 운전을 시작하여 1985년까지 이 지역에서 45MW의 전력이 발전되었다[12]。
나이바샤 호수의 수위는 1945년에 수심 0.6m에 달했지만, 수위가 다시 올라가 몇 차례 하락을 반복하면서도 1968년에는 최대 수심이 6m 가까이에 달했다[12]。1987년에도 큰 수위 감소가 일어나 호저에서 225cm까지 되었다[12]。
1987년에 호수의 수위 감소는 지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키웠고, 나이바샤 호수의 지하수가 올카리아의 지열 저류층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되었다[12]。앞으로 호수 수위 감소는 지열 산업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1. 정착과 이주
1937년부터 1950년까지 나이바샤 호수는 영국 사우샘프턴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가는 임페리얼 항공의 여객 및 우편 노선의 비행정 착륙장으로 사용되었다. 이 호수는 키수무와 나이로비를 연결했다. 자유의 몸(Born Free)의 저자인 조이 아담슨은 1960년대 중반 호숫가에서 살았다. 호숫가에는 오세리안("Djinn 궁전")이 있는데, 이는 두 세계 대전 사이의 Happy Valley set|해피 밸리 세트영어 시대에 악명을 얻었다. 1999년, 나이바샤 호수 연안 협회는 나이바샤 호수 람사르 협약 지역에 대한 보존 노력으로 람사르 습지 보전상을 수상했다.[12]나이바샤 호반은 유럽 이민자 거주자가 많기로 알려져 있다.
5. 농업과 산업
나이바샤호 주변의 주된 산업은 화훼 재배이다. 그러나 관개를 위해 호수 물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호수 수위가 낮아지고 있어 케냐에서 우려하고 있다.[7] 어업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고용 및 소득원이다. 호수 수위는 매우 크게 변동하며, 1890년대에는 거의 완전히 말랐던 적도 있다. 일반적으로 호수 수위는 유역의 강수량 패턴을 따른다.
한때 동아프리카 호수의 보석으로 묘사되었던 나이바샤호는 최근 수십 년 동안 해안선을 따라 거대한 원예 및 농업 산업이 설립되었고, 퇴적, 하수 및 기타 호숫가 인구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로 인해 영양소가 증가하는 등 인적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호숫가 인구는 백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8]
1937년부터 1950년까지는 임페리얼 항공의 여객 및 우편 노선(영국 사우샘프턴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비행정의 착륙 장소로 사용되었다. 키수무와 나이로비를 연결했다.
나이바샤 호반은 유럽 이민자 거주자가 많기로 알려져 있다. 《야생의 엘자》 ''Born Free''의 저자인 조이 아담슨은 1960년대 중반에 이 호반에 살았다. 호반의 Happy Valley set|해피 밸리영어에는 두 번의 세계 대전 전간기에 악명을 얻었던 진 팰리스(Djinn Palace)도 있다. 이곳은 현재 Oserian|오세리안영어사의 절화 농장의 일부가 되었다.
5. 1. 지열 발전
1981년 나이바샤호 최초의 지열 발전소가 가동되었고, 1985년까지 이 지역에서 총 45 MW의 전력이 생산되었다.[3] 1987년에 호수 수위 감소로 인해 지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고, 나이바샤 호수의 지하수가 올카리아의 지열 저류층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12] 앞으로 호수 수위 감소는 지열 산업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6. 환경 문제와 과제
나이바샤호 주변의 주요 산업은 화훼 산업으로, 관개를 위해 호수 물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호수 수위를 낮추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케냐에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7] 어업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고용 및 소득원이지만, 호수 수위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한때 동아프리카 호수의 보석으로 묘사되었던 나이바샤호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인구 증가와 함께 거대한 원예 및 농업 산업, 퇴적, 하수, 호숫가 인구 유출수의 영양소 증가 등 인위적인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8]
6. 1. 수위 변동
나이바샤호의 수위는 자주 변동하는데, 1890년대에는 거의 마를 뻔한 적도 있었다.[7] 수위는 대개 해당 지역 강수량에 따라 정해진다.[7] 1945년에는 수심이 0.6m까지 낮아졌으나, 이후 수위가 상승하여 1968년에는 최대 수심이 6m에 근접했다.[3] 1987년에는 다시 수위가 크게 감소하여 호저에서 2.25m 높이에 도달했다.[3]최근 수십 년 동안 나이바샤호는 해안선을 따라 거대한 원예 및 농업 산업이 설립되고, 퇴적, 하수 및 기타 호숫가 인구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로 인해 영양소가 증가하는 등 인위적인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8] 특히 관개를 위해 호수 물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호수 수위를 낮추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케냐에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7]
1987년 호수 수위 감소는 지열 발전 산업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증가시켰다.[3] 나이바샤 호의 지하수가 올카리아의 지열 저수지로 공급될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으며,[3] 호수 수위 감소는 지열 산업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0년 이전에는 호수의 정상적인 표면적이 139km2였으나,[3] 2020년에는 198km2로 증가했다.[4] 이는 호수 주변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Lake Naivasha
https://rsis.ramsar.[...]
2018-04-25
[2]
서적
Lake Naivasha, Kenya
https://books.google[...]
Springer
[3]
간행물
"THE OUTFLOW OF LAKE NAIVASHA BASED ON THE STABLE ISOTOPE COMPOSITION"
http://www.unep.org/[...]
Moi University
2005-06-12
[4]
웹사이트
Rising Water Levels in Kenya's Rift Valley Lakes, Turkwel Gorge Dam and Lake Victoria
http://www.environme[...]
2022-03-16
[5]
문서
Lake Naivasha: Experience and Lessons Learned Brief
International Lake Environment Committee Foundation (ILEC)
[6]
문서
Lake Naivasha Annual Fisheries Report
[7]
웹사이트
A thorn on every rose for Kenya's flower industry
http://www.fao.org/e[...]
United Nations FAO
2010-06-20
[8]
서적
Megaceryle maxima (Pallas). African Giant Kingfisher. Alcyon géant.
Academic Press Limited
[9]
웹사이트
Lake Nakuru {{!}} Lake Nakuru {{!}} World Lake Database - ILEC
https://wldb.ilec.or[...]
2024-04-10
[10]
웹사이트
A drowning world: Kenya's quiet slide underwater
https://www.theguard[...]
2022-03-17
[11]
간행물
"THE OUTFLOW OF LAKE NAIVASHA BASED ON THE STABLE ISOTOPE COMPOSITION"
http://www.unep.org/[...]
Moi University
[12]
서적
Climatology and Paleoclimatology of the East African Lakes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Lake Naivash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