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호는 염분 농도가 높은 호수를 의미하며, 주요 분류는 물의 화학적 조성, 특히 염분, pH, 우세한 이온을 기준으로 한다. 염호는 염분 농도에 따라 저염호, 하이포살린 호, 메조살린 호, 초염호로 분류되며, 높은 증발률과 제한된 물 유출로 인해 형성된다. 염호는 독특한 생물군을 지원하며, 브라인 슈림프와 같은 종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호의 성층화는 밀도 차이에 따른 층 분리를 야기하며, 이는 산소 부족 환경을 만들고 특정 미생물 생명체만 생존하게 한다. 전 세계적으로 염호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물 절약, 물 관리 정책 시행, 지역 사회 인식 개선 등의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 염호로는 카스피해, 아랄해, 그레이트솔트호 등이 있으며, 힐리어 호수와 같은 특이한 색깔을 띠는 염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호수 - 우각호
우각호는 사행천의 침식과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는 초승달 모양의 호수로, 습지 생태계 역할을 하며 생태적 가치와 수문학적 기능을 갖지만 중금속 오염에 취약하다. - 줄어든 호수 - 아랄해
아랄해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했던 세계 4위의 호수였으나, 관개 사업으로 인한 유입량 감소로 면적이 급격히 줄어 현재는 여러 호수로 분리되었고, 생태계 파괴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 줄어든 호수 - 사해
사해는 이스라엘, 요르단, 팔레스타인에 걸쳐있는 염호로, 높은 염분 농도 때문에 생물이 살기 어려워 사해라 불리며, 미네랄이 풍부한 염수와 머드를 이용한 관광 산업과 광물 자원 채취가 활발하지만 수위가 낮아져 회복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내륙호 - 아랄해
아랄해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했던 세계 4위의 호수였으나, 관개 사업으로 인한 유입량 감소로 면적이 급격히 줄어 현재는 여러 호수로 분리되었고, 생태계 파괴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 내륙호 - 건호
건호는 소금으로 이루어진 건조한 호수 바닥을 지칭하며, 생태계 서식지, 육상 속도 기록 장소 등으로 활용되고 기후 변화로 인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염호 | |
---|---|
개요 | |
![]() | |
유형 | 내륙호 |
염도 | 높음 |
정의 | 물에 높은 농도의 염분이 용해되어 있는 내륙의 호수. 일반적으로 염도는 3% 이상으로 정의되며, 이는 대부분의 담수호보다 훨씬 높음. |
형성 | |
원인 | 유입되는 물은 있지만, 유출되는 물이 없는 지형적 특징. 물이 증발하면서 염분과 미네랄이 호수에 축적되어 염도가 높아짐. |
관련 요인 | 건조한 기후 높은 증발률 제한적인 강수량 배수구 부족 |
분포 | |
주요 지역 | 건조하거나 반건조한 기후 지역 중앙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대표적인 예시 | 사해 그레이트솔트호 카스피해 아랄해 발하슈호 |
특징 | |
높은 염도 | 대부분의 담수 생물이 생존하기 어려움. 특수한 염생 식물과 동물만 서식 가능. |
미네랄 풍부 | 다양한 미네랄과 화학 물질을 포함. 소금, 탄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등 산업적으로 유용한 자원 포함. |
수위 변화 | 강수량과 증발량에 따라 수위가 크게 변동.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
생태계 | |
주요 생물 | 미생물 (세균, 고세균) 조류 (두날리엘라) 갑각류 (브라인 쉬림프) 곤충 (염수 파리) |
철새 서식지 | 특정 염호는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 수행. 먹이 자원과 휴식 공간 제공. |
활용 | |
소금 생산 | 염전을 통해 소금 생산. 천일염 제조. |
광물 자원 채취 | 리튬, 마그네슘, 칼륨 등 추출. 화학 산업 원료 공급. |
관광 | 독특한 경관을 활용한 관광 산업 발전. 온천 및 머드팩 등 활용. |
연구 | 극한 환경 생물 연구 과거 기후 변화 연구 |
환경 문제 | |
수질 오염 | 산업 폐수 및 생활 하수 유입으로 인한 오염. 생태계 파괴 및 자원 고갈 초래. |
과도한 개발 | 광물 채취 및 관광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 생물 서식지 감소 및 생태계 불균형 초래. |
기후 변화 | 온도 상승 및 강수량 변화로 인한 염호의 건조화. 생물 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기능 저하 초래. |
보존 노력 | |
법적 보호 | 특정 염호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 개발 행위 제한 및 관리 강화. |
오염 방지 노력 | 폐수 처리 시설 설치 및 관리 강화. 친환경적인 개발 방식 도입. |
생태 복원 사업 | 훼손된 생태계 복원. 생물 서식지 조성. |
교육 및 홍보 | 염호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인식 증진.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 모색. |
2. 염호의 분류
염호는 주로 물의 화학적 조성, 특히 염분, pH, 우세 이온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염호의 수질 조성은 호수마다 다르며, 해염이나 지질뿐만 아니라 유역의 지질, 기후 조건 등의 영향도 받는다.[24]
일반적으로 호수가 증발하면서 수위가 낮아지고 염분이 농축되어 염호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시크 호수처럼 아한대 습윤 기후에서 수위가 상승하면서 염분 농도가 증가하는 예외도 있다.[26] 염호 상류에서 물을 끌어다 쓰면 호수 수위가 낮아져 염호가 더욱 짜게 변하거나 물이 없는 염소 상태가 될 수 있다.[27]
2. 1. 염분 농도에 따른 분류
염호는 염분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5]분류 | 염분 농도 (퍼밀, ‰) | 설명 |
---|---|---|
저염호 (Subsaline) | 0.5–3 | 담수호와 염호의 중간 단계. 일부 염분에 강한 수생 생물과 담수종이 공존한다.[2] 알치치카 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3] |
하이포살린 (Hyposaline) | 3–20 | 농도가 낮은 염호. |
메조살린 (Mesosaline) | 20–50 | 중간 농도의 염호. 레드베리 호수가 이에 해당한다.[4] |
초염호 (Hypersaline) | 50 이상 | 매우 농도가 높은 염호. 해수의 염분 농도(약 35‰)를 초과한다. 극한 환경으로 인해 호염성 세균 등 특수 유기체만 생존 가능하다.[5] 리튬 등 유용한 광물이 풍부하여 광산 개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5] 남극 맥머도 드라이 밸리의 염호는 염분 농도가 440‰에 달한다.[6] |
일본 육수 학회에서는 염분 농도가 0.5g/L 이상인 호수를 염호로 정의한다.[22] 중국에서는 호수 1L당 염류가 50그램을 초과하는 호소를 염호로 정의하기도 한다.[24] 시지도호나 나카우미처럼 해수 유입으로 염분 농도가 높아지는 기수호는 염호에 포함되지 않으며, 반염호라고 칭하기도 한다.[23][26]
역사 문헌에 염호로 기록된 경우, 과학적 정의에 따른 판단은 어렵지만, 염류 석출 기록이나 염업 생산 활동이 있었던 호수는 염호로 간주된다.[24]
2. 2. 기타 분류
염호는 염분, pH, 우세 이온 등 물의 화학적 조성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일본 육수 학회는 염호의 총 염 농도를 0.5g/L 이상으로 정의한다.[22] 중국에서는 1L당 염류가 50그램을 초과하는 호수를 염호로 정의하기도 한다.[24] 시지도호나 나카우미처럼 해수 유입으로 염 농도가 높아지는 기수호는 염호에 포함되지 않으며, 반염호라고 불리기도 한다.[23][26]역사 문헌에 염호로 기록되어 있고, 염류 석출이나 염업 생산 활동이 있었던 호수는 염호로 간주된다.[24]
염호는 염류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5]
분류 | 염분 농도 (퍼밀) | 설명 |
---|---|---|
subsaline | 0.5–3 | 담수호와 염호의 중간 |
hyposaline | 3–20 | 농도가 낮은 염호 |
mesosaline | 20–50 | 중간 농도의 염호 |
hypersaline (초염호) | 50 이상 | 매우 농도가 높은 염호 (해수의 염분 농도인 35퍼밀을 초과) |
염호와 염류 평원은 천연 염전으로 이용되어 소금이 채취된다. 또한 염호와 갯벌의 높은 염분 농도는 염생 식물 등 주위에 독특한 식물상 및 동물군을 조성한다. 염호의 수질 조성은 호수에 따라 다르며, 해염 유래나 지질 유래 등이 있지만, 유역의 지질이나 기후 조건 등의 영향도 받는다.[24]
염호의 수질 조성은 호수마다 다르며, 해염이나 지질 유래 외에도 유역의 지질, 기후 조건 등의 영향을 받는다.[24]
일반적으로 호수 증발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염분이 농축되지만, 이시크 호수처럼 아한대 습윤 기후에서 수위가 상승하면서 염분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26]
염호 상류부의 물을 끌어다 쓰면 호수 수위가 저하되어 염성화되거나 물이 없는 염소 상태가 될 수 있다.[27]
3. 염호의 형성
3. 1. 주요 과정
내륙 호수가 염호가 되기 위해서는 미량의 염분과 미네랄을 포함한 담수가 하천에서 호수로 오로지 들어오기만 해야 하고, 이렇게 가둬진 담수가 다량으로 증발되어 염분이 빠져나갈 수 없어야 한다. 활발한 증발이 염호의 형성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에 건조 및 반건조 지대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7] 유입되는 물의 양이 증발하는 물의 양보다 적은 경우 결국 염호는 소멸하고 갯벌이나 호수의 흔적만 있는 웅덩이에 소금 등의 염류 퇴적물이 모인 염류 평원(플라야, 알칼리 플랫, 사브카, 솔트 플랫, 솔트 팬)이 된다.
염호는 높은 증발률과 제한된 물의 유출과 같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화학적, 지질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용해된 광물(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운반하는 물이 이러한 분지로 유입되면 점차 증발하여 이러한 광물이 염으로 침전될 때까지 농축된다.[7] 그런 다음 특정 이온이 제어된 온도에서 상호 작용하여 고체 용액 형성 및 염 결정이 호수 바닥에 침전된다.[7] 이러한 증발과 퇴적의 순환은 염호를 특징짓는 독특한 염수 환경의 주요 과정이다.[7]
환경적 요인은 염호의 조성과 형성을 더욱 형성한다. 온도와 증발의 계절적 변화는 광물 포화를 유발하고 염 결정화를 촉진한다.[8] 건조 지역에서는 따뜻한 계절 동안의 물 손실로 인해 호수의 염이 농축된다.[8] 이는 계절적 변화가 염호의 광물층에 영향을 미쳐 진화하는 구조와 조성에 기여하는 역동적인 환경을 조성한다.[8] 용해된 이온이 풍부한 지하수는 종종 주요 광물 공급원 역할을 하며, 증발 및 퇴적과 같은 과정과 결합되어 염호 개발에 기여한다.[9]
일본 육수 학회에서는 "건조 지역에 있으며 호수에 포함된 총 염 농도가 0.5g/L 이상의 호수"로 정의하고 있다.[22] 중국에서는 호수 1L당 염류가 50그램을 초과하는 호소를 염호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24] 또한, 시지도호나 나카우미처럼 해수 유입으로 염 농도가 높아지는 기수호는 염호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수호는 반염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23])
역사 문헌 자료에 염호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 과학적 정의에 따른 판단은 어렵지만, 염류의 석출에 대해 기록되어 있거나 염업의 생산 활동이 있었던 호수는 염호로 간주된다.[24]
염호는 염류의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5]
일반적으로는 호수 증발에 따른 지속적인 호수 수위 저하와 함께 염분이 농축되어 형성되지만, 이시크 호수처럼 아한대 습윤 기후에 있으며 호수 수위가 상승하면서 염분 농도가 증가하는 예도 있다.[26]
염호의 상류부의 물 끌어오기 등으로 호수 수위가 저하되면 호수의 염성화나 물이 없는 염소 상태가 발생한다.[27]
3. 2. 환경적 요인
내륙 호수가 염호가 되려면 미량의 염분과 미네랄을 포함한 담수가 하천에서 호수로 들어오기만 하고, 이렇게 가둬진 담수가 다량으로 증발되어 염분이 빠져나갈 수 없어야 한다. 활발한 증발이 염호 형성 조건의 하나이므로 건조 및 반건조 지대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7]
염호는 높은 증발률과 제한된 물의 유출과 같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화학적, 지질학적,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용해된 광물(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운반하는 물이 이러한 분지로 유입되면 점차 증발하여 이러한 광물이 염으로 침전될 때까지 농축된다.[7] 이러한 증발과 퇴적의 순환은 염호를 특징짓는 독특한 염수 환경의 주요 과정이다.[7]
환경적 요인은 염호의 조성과 형성을 더욱 형성한다. 온도와 증발의 계절적 변화는 광물 포화를 유발하고 염 결정화를 촉진한다.[8] 건조 지역에서는 따뜻한 계절 동안의 물 손실로 인해 호수의 염이 농축된다.[8] 이는 계절적 변화가 염호의 광물층에 영향을 미쳐 진화하는 구조와 조성에 기여하는 역동적인 환경을 조성한다.[8] 용해된 이온이 풍부한 지하수는 종종 주요 광물 공급원 역할을 하며, 증발 및 퇴적과 같은 과정과 결합되어 염호 개발에 기여한다.[9]
일본 육수 학회에서는 "건조 지역에 있으며 호수에 포함된 총 염 농도가 0.5g/L 이상의 호수"로 정의하고 있다.[22] 중국에서는 호수 1L당 염류가 50g을 초과하는 호소를 염호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24] 또한, 시지도호나 나카우미처럼 해수 유입으로 염 농도가 높아지는 기수호는 염호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수호는 반염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23]
일반적으로는 호수 증발에 따른 지속적인 호수 수위 저하와 함께 염분이 농축되어 형성되지만, 이시크 호수처럼 아한대 습윤 기후에 있으며 호수 수위가 상승하면서 염분 농도가 증가하는 예도 있다.[26]
4. 염호의 생물 다양성
염호는 높은 염분 농도로 인해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지만, 다양한 동물이 서식한다.[10]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 산소 부족, 온도 변화 심화, 물의 밀도와 점성 증가로 인해 동물들이 이동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10] 그러나, 염호에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한 특별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11]
염호에는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살고 있는데, 특히 갑각류와 단생류를 포함한 약 85종의 기생충이 발견된다.[10] 염호의 척추동물에는 특정 어류 및 조류 종이 포함되지만, 염분 농도의 변동에 민감하다.[11]
어류가 서식하며 해안 주민에 의해 어업의 대상이 되는 염호 외에도, 사해(샘물 주변 제외)나 모노 호처럼 어류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염분 농도가 높은 염호나 염생 습지도 있다. 이러한 곳에는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한 염생 식물, 조류, 세균 등 특이한 식물상 및 동물상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남서쪽 해안 미들 섬의 힐리어 호는 Dunaliella salina라는 극호성 미생물 때문에 분홍색을 띠는데, 이는 해수의 약 10배에 달하는 염분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28][29][30] 이와 비슷한 분홍색 호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Hutt Lagoon|헛 라군영어[31], 세네갈의 레트바 호[32] 등이 있다. 플랑크톤으로 인해 분홍색을 띠는 호수에는 멕시코의 핑크 라군[33]과 볼리비아의 라구나 콜로라다[34]가 있다.
4. 1. 염호 생물의 특징
염호는 높은 염분 농도로 인해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지만,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10]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산소 부족, 온도 변화 심화, 물의 밀도 및 점성 증가로 인해 동물들이 이동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10] 하지만, 염호에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한 특별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11]염호에는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살고 있는데, 특히 갑각류와 단생류를 포함한 약 85종의 기생충이 발견된다.[10] 이 중 브라인 슈림프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세균성 플랑크톤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또한 브라인 슈림프는 헬민스 기생충의 중간 숙주 역할을 하여 홍학, 논병아리, 갈매기, 도요새, 오리 등 이동하는 물새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12]
염호에 사는 척추동물에는 특정 어류와 조류가 있지만, 염분 농도 변화에 민감하다.[11] 많은 염호는 알칼리성을 띠는데, 이는 어류가 질소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13] 염호에 사는 어종은 호수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솔턴 해에는 잉어, 줄무늬 숭어, 혹등 빨판상어, 무지개 송어 등이 서식한다.[13]
어류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염분 농도가 매우 높은 염호나 염생 습지(예: 사해(샘물 주변 제외), 모노 호)도 있다. 이러한 곳에는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한 염생 식물, 조류, 세균 등 특이한 식물상 및 동물상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남서쪽 해안 미들 섬의 힐리어 호는 Dunaliella salina라는 극호성 미생물 때문에 분홍색을 띠는데, 이는 해수의 약 10배에 달하는 염분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28][29][30] 이와 비슷한 분홍색 호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Hutt Lagoon|헛 라군영어[31], 세네갈의 레트바 호[32] 등이 있다. 멕시코의 핑크 라군[33]과 볼리비아의 라구나 콜로라다[34]는 플랑크톤 때문에 분홍색을 띤다.
4. 2. 주요 생물군
염호는 높은 염분 농도로 인해 환경적 제약이 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한다.[10]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 산소 수준과 열적 조건이 나빠지고, 물의 밀도와 점성이 높아져 동물들이 이동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10]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염호에는 특별한 생리적, 생화학적 기작을 통해 이러한 조건에 적응한 생물군이 서식한다.[11]일반적인 염호 무척추동물에는 다양한 기생충이 포함되며, 염수에서는 약 85종의 기생충이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갑각류와 단생류가 포함된다.[10] 이 중 여과 섭식을 하는 브라인 슈림프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세균성 플랑크톤의 수준을 조절하는 핵심 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브라인 슈림프 종은 또한 홍학, 논병아리, 갈매기, 도요새, 오리 등 이동성 물새에게 영향을 미치는 헬민스 기생충의 중간 숙주 역할을 한다.[12]
염호의 척추동물에는 특정 어류 및 조류 종이 포함되지만, 염분 농도의 변동에 민감하다.[11] 많은 염호는 알칼리성을 띠는데, 이는 특히 질소성 폐기물 배설을 관리하는 데 있어 어류에게 생리적 어려움을 야기한다.[13] 어종은 호수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솔턴 해에는 잉어, 줄무늬 숭어, 혹등 빨판상어, 무지개 송어와 같은 종이 서식한다.[13]
어류가 서식하며 해안 주민에 의해 어업의 대상이 되는 염호 외에도, 사해(샘물 주변 제외)나 모노 호처럼 어류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염분 농도가 높은 염호나 염생 습지도 있다. 이러한 수중 및 연안에는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한 염생 식물 등 특이한 식물상 및 동물상, 조류, 세균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남서쪽 해안에 있는 미들 섬의 힐리어 호는, 해수의 약 10배에 달하는 염분 농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극호성 미생물(Dunaliella salina) 때문에 분홍색을 띠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28][29][30] 이와 유사한 원인으로 분홍색을 띠는 호수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Hutt Lagoon[31], 세네갈의 레트바 호[32] 등이 있다. 플랑크톤으로 인해 분홍색을 띠는 호수에는 멕시코의 핑크 라군[33]과 볼리비아의 라구나 콜로라다[34]가 있다.
5. 염호의 성층화
성층화는 염호에서 물이 밀도에 따라 층으로 분리되는 현상이다. 이는 독특한 화학적, 환경적 과정의 결과로 발생한다.[14] 염호에서는 높은 증발률로 인해 염분이 농축되어 밀도가 높고 염도가 높은 물은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덜 짜고 밀도가 낮은 물은 표면에 머무르게 된다.[14]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호수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따뜻한 달에는 증발이 증가하여 염분층과 담수층 사이의 분리가 뚜렷해진다. 이는 메로믹시스(메로믹틱 상태)라는 현상으로 이어지며, 주로 산소가 깊은 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저산소 또는 무산소 구역을 만든다.[15] 그 결과, 호수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여 고염분 및 저산소 환경에 적응한 특수 미생물만 서식하게 된다.[16] 제한된 수직 혼합은 영양 순환을 제한하여 염생 생물(염분을 좋아하는 유기체)에게 유리한 생태계를 만든다.[16]
성층화된 염호는 수직 혼합이 부족하여 산소 수준이 매우 낮아 수생 생태계에 큰 영향을 준다.[16] 극호생물에 속하는 특정 세균과 고세균은 깊은 곳의 과염수 및 산소 결핍 구역에 서식하며,[17] 산소를 사용하지 않는 대사 과정을 이용한다.[17] 이들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다른 미생물 군집을 지원하는 부산물을 방출하며 염호 내 영양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이러한 환경에서는 제한된 생물 다양성으로 인해 특수하게 적응된 생명체만 생존할 수 있어, 담수 또는 염도가 낮은 서식지와 구별되는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된다.[17]
5. 1. 성층화 과정
성층화는 염호에서 물이 밀도에 따라 층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독특한 화학적, 환경적 과정의 결과이다.[14] 염호에서는 높은 증발률로 인해 염분이 농축되어 밀도가 높고 염도가 높은 물은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덜 짜고 밀도가 낮은 물은 표면에 머무르게 된다.[14]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호수의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따뜻한 달 동안 증발이 증가하면 염분층과 담수층 사이의 분리가 뚜렷해지는데, 이는 메로믹시스(메로믹틱 상태)라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메로믹시스는 주로 산소가 깊은 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저산소(산소 부족) 또는 무산소(산소 없음) 구역을 만든다.[15] 이러한 분리는 결국 호수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쳐 고염분 및 저산소 수준의 극한 환경에 적응한 특수 미생물만 서식할 수 있게 한다.[16] 제한된 수직 혼합은 영양 순환을 제한하여, 염류 조건에 의존하는 염생 생물(염분을 좋아하는 유기체)에게 유리한 생태계를 만든다.[16]성층화된 염호 내의 극한 조건, 즉 수직 혼합 부족으로 인한 산소 수준 제한은 수생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16] 특정 세균과 고세균을 포함한 극호생물은 더 깊은 곳의 과염수 및 산소 결핍 구역에 서식한다.[17] 이들은 산소에 의존하지 않는 대체 대사 과정을 사용하며,[17] 유기 물질을 분해하고 다른 미생물 군집을 지원하는 부산물을 방출하면서 염호 내의 영양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이러한 제한적인 환경은 생물 다양성을 제한하여 특수하게 적응된 생명체만 생존할 수 있게 하며, 담수 또는 염도가 낮은 서식지와 구별되는 독특하고 고도로 전문화된 생태계를 만든다.[17]
5. 2. 성층화의 영향
성층화는 염호에서 물이 밀도에 따라 층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독특한 화학적, 환경적 과정의 결과이다.[14] 높은 증발률은 염분을 농축시켜 더 조밀하고 염도가 높은 물이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게 하고, 더 신선한 물은 표면에 더 가깝게 유지시킨다.[14]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호수의 구조에 영향을 미쳐 따뜻한 달 동안 증발이 증가하여 염분과 신선한 층 사이의 분리를 유발한다. 이는 메로믹시스 (메로믹틱 상태)로 알려진 현상으로, 산소가 깊은 층에 침투하는 것을 막고 저산소 (산소 부족) 또는 무산소 (산소 없음) 구역을 만든다.[15] 이러한 분리는 결국 호수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쳐 고염분 및 저산소 수준의 극한 환경에 적응한 특수 미생물 생명체만 지원한다.[16] 제한된 수직 혼합은 영양 순환을 제한하여 안정성과 균형을 위해 이러한 염류 조건에 의존하는 염생 생물 (염분을 좋아하는 유기체)에게 유리한 생태계를 만든다.[16]성층화된 염호 내의 극한 조건은 수직 혼합 부족으로 인해 산소 수준이 심각하게 제한되어 수생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16] 특정 세균과 고세균을 포함한 극호생물은 더 깊은 곳의 과염수 및 산소 결핍 구역에 서식한다.[17] 세균과 고세균은 산소에 의존하지 않는 대체 대사 과정을 사용하며, 유기 물질을 분해하고 다른 미생물 군집을 지원하는 부산물을 방출하면서 염호 내의 영양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제한된 생물 다양성은 특수 적응된 생명체만 생존할 수 있게 하여 담수 또는 염도가 낮은 서식지와 구별되는 독특하고 고도로 전문화된 생태계를 만든다.[17]
6. 염호의 보존
아랄해는 1960년 67499km2에서 2016년 약 6990km2로 크게 줄어들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18] 염호 감소는 생태계, 환경, 경제, 지역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18]
유타주의 그레이트 솔트 호는 보존 노력이 없으면 경제 및 공중 보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19] 염호 보존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물 절약이며, 물 관리 정책 강화, 지역 사회 인식 개선, 호수로의 물 흐름 보장 등이 필요하다.[20] 구름 씨앗 파종, 먼지 전송 핫스팟 완화 등도 대안으로 제시된다.[21]
6. 1. 감소 원인
염호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60년 표면적 67499km2의 대규모 염호였던 아랄해는 2016년 약 6990km2로 줄어들었다.[18] 이러한 추세는 아랄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염호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과도한 물 전환, 댐 건설, 오염, 도시화, 기후 변화와 관련된 기온 상승 등이 원인이다.[18] 염호 감소는 지역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고, 환경을 악화시키며, 경제적 안정을 위협하고, 염호에 의존하는 지역 사회의 이주를 초래한다.[18]미국 유타주의 그레이트 솔트호는 보존 노력이 없을 경우 대기 질, 지역 농업 및 야생 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경제 및 공중 보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19] "유타 그레이트 솔트호 타격팀"에 따르면, 향후 30년 안에 호수의 수위를 높이려면 연평균 유입량이 연간 472,000 에이커피트(acre-feet) 증가해야 하며,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호수에 도달한 양의 약 33% 증가에 해당한다.[20]
물 절약은 그레이트 솔트호와 같은 염호를 보존하는 데 가장 비용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전략으로 여겨진다.[20] 강력한 물 관리 정책 시행, 지역 사회의 인식 개선, 호수로의 물 흐름 보장은 생태적 균형을 회복하는 추가적인 방법이다.[20] 호수 수위 유지를 위해 제안된 다른 방법으로는 구름 씨앗 파종과 먼지 전송 핫스팟 완화가 있다.[21]
6. 2. 보존 노력
염호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60년 표면적 67499km2에 달했던 대규모 염호였던 아랄해는 2016년 약 6990km2로 줄어들었다.[18] 이러한 추세는 아랄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전 세계의 염호가 과도한 물 전환, 댐 건설, 오염, 도시화, 기후 변화와 관련된 기온 상승으로 인해 줄어들고 있다.[18] 그 결과 감소는 지역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심각한 혼란을 일으키고, 환경을 악화시키며, 경제적 안정을 위협하고, 이러한 호수에 자원과 생계를 의존하는 지역 사회를 이주시키고 있다.[18]유타주에서는 그레이트 솔트 호가 보존되지 않으면 대기 질, 지역 농업 및 야생 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경제 및 공중 보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19] "유타 그레이트 솔트호 타격팀"에 따르면, 향후 30년 안에 호수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평균 유입량이 연간 472000acre-feet 증가해야 하며,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호수에 도달한 양의 약 33% 증가에 해당한다.[20]
물 절약은 그레이트 솔트호와 같은 염호를 구하는 데 가장 비용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전략으로 간주된다.[20] 강력한 물 관리 정책을 시행하고, 지역 사회의 인식을 개선하며, 이러한 호수로의 물 흐름을 보장하는 것이 생태적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이다.[20] 호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방법으로는 구름 씨앗 파종과 먼지 전송 핫스팟 완화가 있다.[21]
7. 세계의 유명한 염호
세계적인 염호로는 카스피해, 아랄해, 발하시호, 그레이트솔트호(면적 기준)를 들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염호는 티베트 자치구 남초호이며,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염호는 사해이다.[36]
카스피해 북쪽 저지대에 있는 바스쿤챠크 호수는 8세기 이후 소금 생산이 활발했고, 실크로드를 통해 동서양 각지로 수출되었다. 오늘날에도 바스쿤챠크 소금은 99.8%의 높은 순도의 염화나트륨으로 이름이 높으며, 연간 150만톤에서 500만톤을 채굴하는데 이는 러시아 소금 생산의 80%를 차지하는 양이다.[36]
한편, 중국의 유명한 염호로는, 중국 최대의 염호이자 세계 제2의 염호로 알려진 칭하이성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에 있는 차르한 염호가 있으며[36], 산서성 윈청시 염호 지역에 있는 “제저우(解州)의 염지”는 규모는 앞에서 언급한 염호와 규모로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작지만, 옛날부터 중국의 혼란기에 각 정권이 쟁취하고자 했던 요지로 알려져 있다.[36]
다음은 세계의 유명한 염호 목록이다. (일부는 담수 및 기수이기도 함)
- 아랄해
- 아랄소르
- 아이달 호
- 바흐테간 호
- 카스피해
- 칠리카 호
- 쇼트엘제리드
- 다부순 호
- 사해
- 데블스 호
- 돈 주안 연못
- 가라보가즈골
- 구스 호
- 그레이트솔트호
- 흐레벨링겐
- 키르기스 누르
- 라구나 콜로라다
- 라구나 베르데
- 에이버트 호
- 알라콜 호
- 아살 호
- 발하슈 호
- 바를리 호
- 바스쿤차크 호
- 붐붕가 호
- 엘턴 호
- 엔리퀴요 호
- 에어 호
- 게르드너 호
- 힐리어 호
- 카룸 호
- 매케이 호
- 나트론 호
- 팔리아스토미 호
- 폰차트레인 호
- 테소마 호
- 토렌스 호
- 투즈 호
- 티렐 호
- 우르미아 호
- 반 호
- 반다 호
- 라르나카 염호
- 리틀 매니투 호
- 로나르 호
- 러프 하인
- 마할루 호
- 마르 치키타 호
- 모노 호
- 남 호
- 팡공 호
- 풀리캇 호
- 차르한 염호
- 레드베리 호
- 솔턴 호
- 삼바르 염호
- 사리그미시 호
- 사와 호
- 실링 호
- 사우스 훌산 호
- 서튼 염호
- 우브스 호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reat Salt Lake
https://learn.geneti[...]
2024-11-16
[2]
서적
Saline Lake Ecosystem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6-04-30
[3]
논문
Phytoplankton dynamics in a deep, tropical, hyposaline lake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24-11-19
[4]
학술지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me saline lakes in Alberta and Saskatchewan
https://aquaticbiosy[...]
[5]
학술지
Salt to conserve: a review on the ecology and preservation of hypersaline ecosystems
https://onlinelibrar[...]
[6]
논문
Aquatic Environments
http://dx.doi.org/10[...]
Elsevier
2024-11-19
[7]
학술지
Solid–Liquid Phase Equilibria of the Aqueous Quaternary System Rb+, Cs+, Mg2+//SO42− - H2O at T = 323.2 K
2024-11
[8]
학술지
Distribution and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Rb and Cs in Complex Salt Brine Systems
https://www.scienced[...]
2024-11-02
[9]
학술지
Geolimnology of salt lakes
https://link.springe[...]
2002-12-01
[10]
학술지
Diversity of Parasitic Animals in Hypersaline Waters: A Review
2023-03
[11]
논문
Salt Lakes
https://link.springe[...]
Springer Netherlands
2024-11-16
[12]
학술지
Ecosystems of Inland Saline Waters in the World of Change
2023-01
[13]
논문
9 - Extreme Environments: Hypersaline, Alkaline, and Ion-Poor Water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11-16
[14]
학술지
Stratification of lakes
https://agupubs.onli[...]
2008-06
[15]
학술지
Road salt-induced salinization impacts water geochemistry and mixing regime of a Canadian urban lake
https://www.scienced[...]
2024-02-01
[16]
학술지
Impact of salinization on lake stratification and spring mixing
https://ui.adsabs.ha[...]
2023-02-01
[17]
학술지
Contrasting taxonomic stratific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wo hypersaline meromictic lakes
2015-12
[18]
논문
Shared Environmental Challeng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aline Lakes and Inland Seas' Decline.
https://www.research[...]
2024-11-16
[19]
웹사이트
Emergency measures needed to rescue Great Salt Lake from ongoing collapse
https://pws.byu.edu/[...]
2024-11-16
[20]
웹사이트
A roadmap for rescuing the Great Salt Lake - @theU
https://attheu.utah.[...]
2024-11-16
[21]
웹사이트
Research universities and state agencies team up to offer solutions for Great Salt Lake
https://water.utah.g[...]
[22]
웹사이트
陸水域における微量元素の生物地球化学過程
https://www.oceanoch[...]
公益財団法人海洋化学研究所
2023-04-17
[23]
웹사이트
川の本 No.43
https://www.kasen.or[...]
河川環境管理財団
2023-04-17
[24]
학술지
環境の変遷と人類の活動を背景とする渭河平原における塩湖の退化と枯渇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国際研究教育機構
2018
[25]
서적
Saline Lake Ecosystems of the World
Springer
[26]
학술지
<研究ノート>中央アジア・イシク湖及びその流域の水質に関する地理学的研究
https://doi.org/10.1[...]
法政大学地理学会
2019-03-20
[27]
웹사이트
中国タリム盆地とジュンガリア盆地の水環境特性と問題点
http://library.jsce.[...]
土木学会
2023-04-17
[28]
뉴스
オーストラリアから ピンクの湖 観光客続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5-23
[29]
서적
A guide to managing and restoring wetlands in Western Australia
http://www.dpaw.wa.g[...]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015-03-02
[30]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の隠れた絶景5か所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8-07-21
[31]
웹사이트
ハットラグーン(オーストラリア)
https://crea.bunshun[...]
文藝春秋
2018-07-21
[32]
웹사이트
セネガルの絶景「ラックローズ」!ピンクの湖の存在はおとぎ話じゃなかった!
https://taptrip.jp/1[...]
TapTrip
2018-07-21
[33]
웹사이트
メキシコにあるピンクの絶景!ピンクラグーン
https://magazine.his[...]
エイチ・アイ・エス
2018-05-12
[34]
웹사이트
ボリビアにある神秘の赤い湖『ラグナ・コロラダ』
https://wondertrip.j[...]
Wondertrip
2018-08-11
[35]
뉴스
EV電池は塩湖生まれ
https://vdata.nikkei[...]
日本経済新聞
2016-06-28
[36]
웹사이트
최대염호-차르한염호
http://korean.cri.cn[...]
2011-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