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광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송 광종은 남송 효종의 셋째 아들로, 1189년 효종의 퇴위로 즉위한 황제이다. 그는 조울증 또는 심각한 신경증을 앓았으며, 주색과 향락에 빠져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광종은 황후 이씨의 말만 듣고 효종과의 관계를 악화시켰으며, 태자 책봉 문제로 효종과 대립하기도 했다. 결국 1194년 태황태후와 대신들의 결정으로 퇴위하고 아들 조확(영종)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광종은 퇴위 후 소흥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치세 동안에는 황후 이씨가 실질적인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7년 출생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 1147년 출생 - 다이라노 무네모리
다이라노 무네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아들이자 헤이케 정권의 수장으로, 기요모리 사후 헤이시 일문을 이끌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패배하여 몰락, 단노우라 전투 후 처형되었으며, 무능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헤이케 멸망의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1200년 사망 - 주희
주희는 송나라의 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동아시아 철학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기론, 심성론, 거경궁리론 등을 정립하고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제시했다. - 1200년 사망 - 단지흥
단지흥은 대리국의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불교 사찰 복구와 방어 시설 건설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며, 김용의 무협 소설에서는 '남제'로 묘사되는 가상 인물이기도 하다.
남송 광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조돈(趙惇) |
묘호 | 광종(光宗) |
시호 | 순도헌인명공무덕온문순무성철자효황제(循道憲仁明功茂德溫文順武聖哲慈孝皇帝) |
생년월일 | 1147년 9월 30일 |
몰년월일 | 1200년 9월 17일 (향년 52세) |
능묘 | 영숭릉(永崇陵) (현재의 저장성 사오싱시) |
신분 | |
왕조 | 송나라 (남송) |
부친 | 효종 |
모친 | 성목황후 곽씨 |
배우자 | 자懿황후 이씨(1200년 사망) |
자녀 | 영종 |
즉위 정보 | |
즉위 | 1189년 2월 18일 |
퇴위 | 1194년 7월 24일 |
이전 통치자 | 효종 |
다음 통치자 | 영종 |
연호 | 소희(紹熙) (1190년 ~ 1194년) |
추존 칭호 | |
존호 | 성안수인태상황제(聖安壽仁太上皇帝) |
기타 정보 | |
사후 칭호 (시호) | 순도헌인명공무덕온문순무성철자효황제(循道憲仁明功茂德溫文順武聖哲慈孝皇帝) |
묘호 (사당 이름) | 광종(光宗) |
가계 | |
가문 | 조씨 |
2. 생애
효종의 셋째 아들 조돈은 장남 장문태자가 요절하자 효종의 총애를 받아 태자가 되었다.[7] 그러나 태상황인 조부 고종과 아버지 효종이 건재하여, 조돈은 황제가 되지 못하고 세월을 보냈다.
1187년 고종이 사망하고 3년상을 치른 효종은 1189년 퇴위하여 상황이 되었고, 조돈은 마흔 살이 넘어 광종으로 즉위하였다. 광종은 즉위 후 주색과 향락에 빠져 효종이 비축한 재물을 탕진하였고, 태상황이 된 아버지를 극진히 섬기지 않았다.[8] 또한 우둔했던 광종은 황후 이씨의 말만 들었으며, 이씨는 광종과 효종 사이를 이간질했다. 광종은 태자 책봉 문제로 효종과 대립했고, 효종이 자신의 아들 조확이 아닌 조카에게 제위를 넘겨주려 한다고 의심하였다.[8]
부자 사이는 점점 멀어졌고, 광종은 효종의 생일에도 아버지의 처소를 찾지 않아 효종은 아들을 그리워하다 병이 들었다.[9] 광종은 심질(心疾: 정신병)을 앓고 있어 병을 핑계로 효종의 문안을 가지 않았고,[10] 효종이 자신을 폐위시키려 한다는 의심이 커져 주위의 권유에도 효종을 만나려 하지 않았다.[11]
광종이 효종을 문안하러 가겠다고 발표하고 취소하는 일이 잦아지자 대신들과 백성들은 광종의 행동에 분노했다.[12] 효종이 죽은 뒤에도 광종은 효종의 죽음을 믿지 않아 상을 치르려 하지 않고 후궁으로 향했다.[12] 광종의 아들 조확도 울면서 상을 치를 것을 권했으나 광종은 듣지 않았다.[12]
결국 황제에 불만을 품은 종친 출신의 재상 조여우(趙汝愚), 한탁주 등은 태황태후(헌성자열황후)와 의논하여 광종을 퇴위시켰고, 아들 조확이 1194년 영종으로 즉위하였다. 퇴위 후 광종은 정치와 멀어져 거소를 수강궁으로 옮겨 은거했으며, 경원 6년(1200년) 8월에 54세로 붕어했다. 영숭릉에 묻혔으나, 두 달 먼저 사망한 이 황후와는 합장되지 않았다.[6]
2. 1. 즉위 전
효종의 셋째 아들 조돈은 장남 장문태자가 요절하자 효종의 총애를 받아 태자가 되었다.[7] 그러나 태상황인 조부 고종과 아버지 효종이 건재하여, 조돈은 황제가 되지 못하고 세월을 보냈다.1187년 고종이 사망하고 3년상을 치른 효종은 1189년 퇴위하여 상황이 되었고, 조돈은 마흔 살이 넘어 광종으로 즉위하였다.
어린 시절 광종은 조울증 또는 심각한 신경증을 앓았다.[1] 부친이 왕위 계승을 미루었음에도, 광종은 아버지에게 효성이 지극했다고 전해진다.[2]
소흥 17년(1147년), 보안군왕이었던 효종과 곽씨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소흥 32년(1162년), 부친이 즉위하자 공왕에 봉해졌다. 건도 3년(1167년), 맏형 장문태자 조자가 사망한 후, 둘째 형 조개와 후계 자리를 놓고 다투었으나, 황태후 오씨의 지지를 받아 건도 7년(1171년)에 황태자에 책립되었고 임안 부윤을 역임했다.
순희 14년(1187년) 11월, 효종의 지시에 따라 국무 결재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순희 16년(1189년)에 양위를 받아 황제에 즉위했다.
2. 2. 즉위 후
효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조돈은, 장남 장문태자가 요절하자 효종의 총애를 받아 태자가 되었다.[7] 그러나 조부 고종과 아버지 효종이 건재하여, 조돈은 황제가 되지 못하고 세월을 보냈다.1187년 고종이 세상을 떠나고 3년상을 치른 효종은 1189년 퇴위하여 상황이 되었고, 조돈은 마흔 살이 넘어 광종으로 즉위하였다. 광종은 즉위 후 주색과 향락에 빠져 효종이 비축한 재물을 탕진하였고, 태상황이 된 아버지를 극진히 섬기지 않았다.[8] 또한 우둔했던 광종은 황후 이씨의 말만 듣고, 이씨는 광종과 효종 사이를 이간질했다. 광종은 태자 책봉 문제로 효종과 대립했고, 효종이 자신의 아들 조확이 아닌 조카에게 제위를 넘겨주려 한다고 의심하였다.[8]
부자 사이는 점점 멀어졌고, 광종은 효종의 생일에도 아버지의 처소를 찾지 않아 효종은 아들을 그리워하다 병이 들었다.[9] 광종은 심질(心疾: 정신병)을 앓고 있어 병을 핑계로 효종의 문안을 가지 않았고,[10] 효종이 자신을 폐위시키려 한다는 의심이 커져 주위의 권유에도 효종을 만나려 하지 않았다.[11]
효종을 문안하러 가겠다고 발표하고 취소하는 일이 잦아지자 대신들과 백성들은 광종의 행동에 분노했다.[12] 효종이 죽은 뒤에도 광종은 효종의 죽음을 믿지 않아 상을 치르려 하지 않고 후궁으로 향했다.[12] 광종의 아들 조확도 울면서 상을 치를 것을 권했으나 광종은 듣지 않았다.[12]
결국 황제에 불만을 품은 종친 출신의 재상 조여우(趙汝愚), 한탁주 등은 태황태후(헌성자열황후)와 의논하여 광종을 퇴위시켰고, 아들 조확이 1194년 영종으로 즉위하였다.
광종의 치세 동안 송 제국을 ''사실상'' 통치한 것은 광종의 배우자였다.[3] 광종은 간신들의 말을 듣고 인기 있는 군사 지도자 신기질을 해임했다. 더욱이 광종은 중년에 술에 빠져 정신 상태가 악화되었다.[1][2]

2. 3. 퇴위와 최후
1194년, 광종은 신하들과 그의 할머니인 오태후에 의해 "너무 아파서" 상례를 치를 수 없다는 이유로, 그의 유일한 생존 아들이자 자녀인 조확에게 양위하도록 강요받았다.[2] 실제로는, 그는 아내 이봉랑 황후의 영향으로 아버지 송 효종의 장례 행렬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상복을 입는 것 또한 거부하여 신하들의 분노를 샀고, 효를 다하지 못한다는 비난을 받아 퇴위를 강요받았다.[2]광종은 아버지 송 효종이 죽은 뒤에도 상을 치르려 하지 않고 후궁으로 향했다.[12] 광종의 아들 조확도 울면서 상을 치를 것을 권했으나 광종은 듣지 않았다.[12] 황제에 불만을 품은 종친 출신의 재상 조여우, 한탁주 등은 태황태후와 의논하여 광종을 퇴위시켰고, 아들인 조확이 1194년 영종으로 즉위하였다.
퇴위 후 광종은 정치와 멀어져 거소를 수강궁으로 옮겨 은거했으며, 경원 6년(1200년) 8월에 54세로 붕어했다. 영숭릉에 묻혔으나, 두 달 먼저 사망한 이 황후와는 합장되지 않았다.[6] 그는 1200년 절강성 소흥 근처에서 사망했는데, 정신 질환으로 우울증에 시달렸거나 병에 걸려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4]
3. 가족 관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능묘 | 비고 |
---|---|---|---|---|---|---|---|---|
황후(皇后) | 자의황후 | 이봉낭(李鳳娘) | [14] | 1189년 ~ 1194년 | 1144년 ~ 1200년 | 복충의왕(福忠毅王) 이도(李道) 진위국부인(秦魏國夫人) 장씨(張氏) | 영숭릉(永崇陵) |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귀비(貴妃) | 황씨(黃氏) | 화의군부인(和義郡夫人) | ? ~ 1191년 | ||
귀비(貴妃) | 장씨(張氏) |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 동안군부인(同安郡夫人) | |||
첩여(婕妤) | 부씨(符氏) | 영녕군부인(永寧郡夫人)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1 | 조정(趙挺) | 자의황후 이씨 | 장보령군절도사(長保寧軍節度使) | 조졸 | |||
2 | 황태자(皇太子) | 조확(趙擴) | 1168년 ~ 1224년 | 자의황후 이씨 | 영국공(英國公) 평양군왕(平陽郡王) 가왕(嘉王) | 남송 제4대 황제 영종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1 | 문안공주(文安公主) | 조졸 | |||||
2 | 화정공주(和政公主) | 조졸 | |||||
3 | 제안공주(齊安公主) | 조졸 |
4. 평가
광종은 태자 시절부터 아버지 효종의 퇴위를 압박했다. 효종이 양위를 미루자 자신의 흰 수염과 머리를 보여주며 압박했고,[13] 헌성자열황후에게 의지하여 효종에게 양위를 제안하게 했다.
즉위 후에도 효종과의 불화를 드러냈다. 효종과 함께하는 연회를 청하는 상소에 분노하고, 효종이 보낸 술잔을 떨어뜨리는 등 아버지와의 갈등을 보였다.[8]
4. 1. 부정적 평가
광종은 아버지 효종에게 양위를 강요하기 위해 자신의 흰 머리를 보여주는 행동을 했다.[13] 즉위 후에는 효종과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효종을 모시는 연회에 대한 상소를 받고 크게 화를 내거나 효종이 보낸 술잔을 떨어뜨리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8]광종은 아내 이봉랑 황후에게 휘둘리는 "공처가 겁쟁이"로 알려졌으며, 이봉랑은 남편을 통해 국정을 좌지우지했다.[3] 결국 광종은 핑계를 대며 아버지를 피했다.[2]
서위에 따르면, 남희 극 양식은 광종의 치세에 시작되었다. 광종은 간신들의 말만 듣고 인기 있는 군사 지도자 신기질을 해임했다. 또한 중년에 술에 빠져 정신 상태가 더욱 악화되었다.[1][2]
송 효종이 병들자 광종은 문병을 거부했고, 이는 효종을 분노케 하여 병세를 악화시켰다.[2] 결국 광종은 아버지 효종의 장례 행렬에 참석하지 않고 상복도 입지 않아 신하들의 분노를 샀고, 불효를 이유로 퇴위를 강요받았다.[2]
5. 연호
참조
[1]
웹사이트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the Southern Song
https://www.npm.gov.[...]
[2]
서적
The Classic of Filial Piety (2013 Edition - EPUB)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018-11-27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4]
웹사이트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the Southern Song
https://www.npm.gov.[...]
[5]
문서
『宋史』巻36, 光宗紀 紹熙五年七月甲子条による。
[6]
문서
李皇后は臨安府の修吉寺に葬られた。
[7]
서적
중국을 말한다 11
신원문화사
[8]
문서
[9]
문서
[10]
서적
중국사 열전 후비
달과소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영국부인(榮國夫人)/정국부인(定國夫人)/황태자비(皇太子妃)/수인태상황후(壽仁太上皇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