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송 효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종은 남송의 제2대 황제로, 북송 태조 조광윤의 후손이며 고종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1162년 고종의 양위로 즉위하여, 진회의 측근을 제거하고 악비를 신원하는 등 민심을 얻었다. 재위 기간 동안 불필요한 관리 감축, 지폐 발행 억제, 농촌 경제 회복 등 개혁을 추진하여 남송의 번영을 이끌었다. 금나라와 화의를 맺고, 무과에서 궁술과 승마를 필수 과목으로 하는 등 내정 개혁을 단행했다. 1189년 퇴위 후 상황으로 물러났으며, 119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 고종의 황자 - 조부 (남송)
    조부(趙旉)는 남송 고종의 아들로, 2세에 황태자가 되었으나 묘부와 유정언의 난으로 황제로 추대되었다가 장준의 군대에 의해 폐위된 후 위국공으로 강등되어 사망했으며, 사후 황태자로 복위되었다.
  • 1194년 사망 - 기 드 뤼지냥
    기 드 뤼지냥은 12세기 프랑스 귀족으로 예루살렘 왕국의 왕이 되었지만, 하틴 전투 패배 후 왕위를 잃고 키프로스 영주가 되어 뤼지냥 가문에 의한 키프로스 왕국 성립의 계기를 마련했다.
  • 1194년 사망 - 카지미에시 2세
    카지미에시 2세는 폴란드 공작으로, 형제들과의 갈등과 반란을 거쳐 크라쿠프를 정복하고 대공이 되었으며, 세습 상속 원칙을 받아들이고 동쪽과의 외교 관계를 맺었다.
  • 1127년 출생 - 의종 (고려)
    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 1127년 출생 - 미우라 요시즈미
    미우라 요시즈미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가마쿠라 막부 창건에 공헌하고 요리토모 사후에는 십삼인의 합의제의 일원이 되었다.
남송 효종
인물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타이베이)|국립고궁박물관]], [[타이베이]], [[타이완]]에 소장된 궁중 초상화 두루마리
국립고궁박물관, 타이베이, 타이완에 소장된 궁중 초상화 두루마리
기본 정보
조신(趙昚)
출생명조백종(趙伯琮) (1127–1133)
조원(趙瑗) (1133–1160)
조위(趙瑋) (1160–1162)
조신(趙昚) (1162–1194)
원영(元永)
출생일1127년 11월 27일
출생지가흥시, 절강성
사망일1194년 6월 28일
사망지린안 (현재의 항저우, 절강성)
묘호효종(孝宗)
시호소통동도관덕소공철문신무명성성효황제(紹統同道冠德昭功哲文神武明聖成孝皇帝) (1197년에 추증)
능묘영부릉(永阜陵, 현재의 사오싱 시, 절강성)
통치 정보
재위 기간1162년 7월 24일 – 1189년 2월 18일
연호융흥(隆興): 1163–1164
건도(乾道): 1165–1173
순희(淳熙): 1174–1189
즉위1162년 7월 24일
퇴위1189년 2월 18일
전임자고종
후임자광종
가족 관계
아버지조자칭(고종의 양자)
어머니장씨 부인
배우자성목황후 곽씨 (1156년 결혼, 사후)
성공황후 하씨 (1167년 결혼, 사후)
성숙황후 사씨 (1194년 결혼)
자녀조기
조개
광종
조케
기타
서명

2. 생애

효종은 성격이 강하고 용맹하여 끊임없이 금나라 정벌을 꿈꾸었다.[12] 진회의 측근들을 몰아내고, 금에 저항하다 억울하게 죽은 악비를 신원하여 백성들의 민심을 얻었다.[13] 악비의 죽음을 애석하게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둔 이에게 상을 주고, 무덤을 크게 지었으며, '충무'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 앞에 진회 일가의 무릎 꿇은 동상을 세웠다. 그는 악비와 같은 충신이 없음을 한탄했다.

재위 기간 동안 태상황 고종의 권력에 눌려[14] 양자로서 고종에게 반발하지 못하고 극진히 모셨다. 관리 수를 줄이고, 회자(지폐) 발행을 절제하고, 농촌 경제를 활성화하는 등 여러 개혁으로 남송의 번영을 이끌었다.

일본 헤이시 정권다이라노 기요모리와 일송 무역을 했으나, 민간 교류・무역이었을 뿐 정식 국교는 없었다.

1189년 셋째 아들 조돈(趙惇, 광종)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나, 광종과 사이가 틀어져[15] 아들을 그리워하다 소희 5년 (1194년)에 68세로 붕어했다.[16]

2. 1. 초기 생애

건염 원년(1127년), 수안희왕 조자칭의 아들로 수주 삼청갑(현재의 저장성가흥시난후구)의 관사에서 태어났다. 형으로는 조백규가 있다. 북송 태조 조광윤의 넷째 아들 조덕방의 6세손이며, 태조의 자손으로서 처음으로 송나라 황제가 된 인물이다. 초대 황제 고종의 친아들인 조부 (원의태자)가 요절하여 다른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먼 친척에 해당하는 조신이 황태자로 추대되어 소흥 32년 (1162년)에 고종으로부터 선위를 받아 황제로 즉위했다.[1]

조신은 송 태조의 7대손으로, 송나라 제10대 황제 고종의 6촌 조카인 조자칭(1143년 사망)의 둘째 아들이었다. 1127년 정강의 변 이후 고종의 아버지와 맏형, 그리고 대부분의 가까운 친척들이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갔다. 고종의 외아들 조부(趙旉)가 두 살쯤에 요절했기 때문에, 황제는 신하들에게 조씨 왕조의 살아있는 다른 후손을 찾도록 명령했다. 1160년 4월, 조신은 고종에게 발견되어 양자로 입적되었다. 다른 친척인 조규도 양자로 입적되었다. 1162년 7월, 고종은 조신을 공식적으로 황태자이자 황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고종이 조규보다 조신을 선택한 주된 이유는 조신의 덕망 때문이었다.[1] 고종은 조신과 조규에게 각 10명의 시녀를 주었는데, 조규는 모든 시녀를 건드렸지만 조신은 단 한 명도 건드리지 않아 고종의 호감을 얻었다.[1]

2. 2. 즉위와 금나라와의 관계

고종의 양자로 들어가 즉위하였다. 진회 사후 금나라의 제4대 황제 해릉왕이 침공을 개시했으나, 해릉왕은 권력 확립을 위해 수많은 사람을 살해하여 금나라 황족 중 한 명인 완안옹(完顏雍)이 해릉왕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12]

금나라 유력자들은 속속 완안옹에게 모였고, 해릉왕은 군중에서 살해되었다. 완안옹은 세종이 되어 송나라와 화평을 맺었다. 같은 해 고종은 퇴위하여 태상황이 되고, 양자인 조신이 즉위하여 효종이 되었다. 금 세종, 남송 효종은 각자 속한 왕조에서 최고 명군으로 불렸던 인물들로, 공교롭게도 동시대에 두 명군이 남쪽과 북쪽에 나타나 평화가 찾아왔다.[12]

1165년, 효종은 금나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2. 3. 내정 개혁

효종은 금나라 정벌을 꿈꾸며, 진회의 측근들을 몰아내고 악비를 신원하는 등 개혁 정치를 펼쳤다.[12][13] 그러나 태상황 고종의 권력에 눌려 재위 기간 내내 그의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했다.[14] 효종은 관리 수를 줄이고, 회자(지폐) 발행을 조절하며, 농촌 경제를 활성화하는 등 여러 개혁을 통해 남송의 번영을 이끌었다.

효종은 통화 시스템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3] 1166년 유통 중인 회자 200만 은 덩어리를 사들여 소각하고, 지폐로 세금과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게 했다. 1175년에는 회자 가치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1178년 황주루는 "회자가 적으면 비싸고, 많으면 싸다"라고 보고했다. 1186년에는 약 2천만 묶음의 현금이 발행되었다.[3]

효종은 남송에서 강력한 관료의 지배를 받지 않은 몇 안 되는 황제 중 하나로, 최고 권력을 쥐고 있었다. 그는 대신들을 자주 해임하여 황제 인사 정책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166년 모치는 몇 달 만에 의원과 관료들을 해임한 것을 비판했고, 효종은 이를 칭찬했지만 무시했다. 이는 고종 시대의 진회처럼 특정 관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을 수 있다.[2]

효종은 관료들의 권한을 축소하여 통제했다. 1167년 초, 좌우 수석 의원과 두 명의 보좌 의원을 임명하여 국무원 공석을 채웠다. 육부 차관 진연소는 의원들의 권한 축소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고, 효종은 그의 말을 들었지만 실천하지 않았다. 효종은 의원들의 권한을 존중하면서도 모든 주요 결정에 참여하여 권한을 제한했다. 1163년 수석 의원들은 군사 사무 위원회 직책에, 1167년 전국 재정 통제관 직함에 임명되었지만, 효종은 황실 특권을 지키며 군사 문제 등에 자주 개입했다. 1167년에는 황실 명령이 비서실 및 황실 의원을 거치지 않고 황실 참서관에게 직접 전달되기도 했다. 효종은 의원들과 협의 없이 궁궐 명령과 황실 칙령을 직접 발부하기도 했다.[2]

효종은 궁정과 중앙 정부를 감독하고 유교적 도덕 행위 기준을 따르려 노력했다.[3] 1162년 궁술과 승마는 무과에서 비군사 관료들에게 필수가 되었다.[4]

2. 4. 퇴위와 말년

1189년 효종은 퇴위하여 상황이 되었고, 아들 조돈(趙惇)은 즉위하여 광종이 되었다. 효종은 거처를 고종이 지내던 덕수궁으로 옮겨 이름을 중화궁으로 고쳤다.[16] 효종은 동생에게 제위를 빼앗기고 외지에서 홧병으로 죽은 둘째 아들을 가엾게 여겨 그 아들을 태자로 삼고 싶어했는데, 이로 인해 부자간이 틀어지게 되었다.[15] 광종은 점차 효종의 거처인 중화궁에 문안을 오지 않게 되었고, 효종은 아들을 그리워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며느리 이황후는 송 광종과 그의 아버지(효종)를 격리시키려 했고, 종종 황제가 아버지와 만나는 것을 막았다고 전해진다.[6] 한번은 황제의 병상에서 시아버지(효종)가 그녀가 군주를 제대로 돌보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형하겠다고 위협했다.[6]

상황제 효종은 1194년에 병에 걸렸고, 송 광종이 문병을 거부하면서 병세가 악화되었다.[7] 효종은 곧 사망했다. 송 광종은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그 결과 사망한 상왕의 손자 영종에게 강제로 왕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3. 재상

순서이름재임기간칭호자(字)봉호시호
상서복야(尚書僕射) 겸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1진강백(陳康伯)1162년 ~ 1163년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장경(長卿)노국공(魯國公)문정(文正)
2사호(史浩)1163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직옹(直翁)월왕(越王)충정(忠定)
3탕사퇴(湯思退)1163년 ~ 1164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진지(進之)기국공(岐國公)-
4장준(張浚)1163년 ~ 1164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덕원(德遠)위국공(魏國公)충헌(忠獻)
5진강백(陳康伯)1164년 ~ 1165년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장경(長卿)노국공(魯國公)문정(文正)
6홍적(洪適)1165년 ~ 1166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경백(景伯)-문혜(文惠)
7엽옹(葉顒)1166년 ~ 1167년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자앙(子昂)-정간(正簡)
8위기(魏杞)1166년 ~ 1167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남부(南夫)노국공(魯國公)문절(文節)
9장비(蔣芾)1168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자례(子禮)--
10진준경(陳俊卿)1168년 ~ 1170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응구(應求)위국공(魏國公)정헌(正獻)
승상(丞相)
11우윤문(虞允文)1169년 ~ 1172년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좌승상(左丞相)
빈보(彬甫)옹국공(雍國公)충숙(忠肅)
12양극가(梁克家)1172년 ~ 1173년우승상(右丞相)숙자(叔子)정국공(鄭國公)문정(文靖)
13증회(曾懷)1173년 ~ 1174년우승상(右丞相)흠도(欽道)--
14엽형(葉衡)1174년 ~ 1175년우승상(右丞相)몽석(夢錫)--
15사호(史浩)1178년우승상(右丞相)직옹(直翁)월왕(越王)충정(忠定)
16조웅(趙雄)1178년 ~ 1181년우승상(右丞相)온숙(溫叔)위국공(衛國公)문정(文定)
17왕회(王淮)1181년 ~ 1188년우승상(右丞相)

좌승상(左丞相)
계해(季海)-문정(文定)
18양극가(梁克家)1182년 ~ 1186년우승상(右丞相)숙자(叔子)정국공(鄭國公)문정(文靖)
19주필대(周必大)1187년 ~ 1189년우승상(右丞相)

좌승상(左丞相)
자충(子充)익국공(益國公)문충(文忠)
20유정(留正)1189년우승상(右丞相)중지(仲至)위국공(魏國公)충선(忠宣)


4. 존호, 시호, 묘호

1190년 2월에 태상황으로 물러난 후 지존수성태상황제(至尊壽聖太上皇帝)라는 존호를 받았다.

사후 시호는 철문신무성효황제(哲文神武成孝皇帝)이며, 영종 때인 1197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소통동도관덕소공철문신무명성성효황제'''(紹統同道冠德昭功哲文神武明聖成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효종(孝宗)이며, 능은 영부릉(永阜陵)이다.

5.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비고
곽씨 (成穆皇后 郭氏중국어; 1126–1156)황후
성공황후 (成恭皇后 夏氏중국어; ? ~ 1167)황후
성숙황후 (成肅皇后 謝氏중국어; 1132–1203), 본명: 소방(蘇芳)없음황후
귀비 채씨(贵妃 蔡氏)없음
현비 이씨(贤妃 李氏)


5. 1. 조상

관계이름비고
7대 조부조광윤태조(太祖) 대효황제(大孝皇帝)
7대 조모효명황후 왕씨
6대 조부조덕방진강혜왕(秦康惠王)
6대 조모부씨위국부인(衛國夫人)
5대 조부조유헌영국공(英國公)
5대 조모화씨서국부인(徐國夫人)
고조부조종욱신흥후(新興侯)
고조모설씨단양군군(丹陽郡君)
증조부조세장복국공(福國公)
증조모이씨상국부인(商國夫人)


5. 2.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익국공(謚國公) 조영화(趙令譮)
  • '''조모''' : 제국부인(齊國夫人) 유씨(劉氏)
  • '''부친''' : 수안희왕(秀安僖王) 조자칭
  • '''모친''' : 수안희왕부인(秀安僖王夫人) 장씨(長氏)

5. 3. 양부모



송 태조의 7대손이자 송나라 제10대 황제인 고종의 6촌 조카 조자칭(趙子偁, 1143년 사망)의 둘째 아들 조신(趙昚)은 1160년 4월 고종에게 발견되어 양자로 입적되었다.[1] 고종의 외아들 조부(趙旉)가 요절하였기 때문에 조씨 왕조의 다른 후손을 찾도록 명령한 결과였다. 조신과 함께 또 다른 친척인 조규도 양자로 입적되었다.[1] 고종은 조신과 조규에게 각 10명의 시녀를 주었는데, 조규는 모든 시녀를 건드렸지만 조신은 단 한 명도 건드리지 않아 고종의 호감을 얻었다.[1]

5. 4. 황후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비고
군부인(郡夫人)성목황후곽씨(郭氏)(추존)1126년 ~ 1156년[17]
황후(皇后)성공황후하씨(夏氏)1163년 ~ 1167년? ~ 1167년[19]
황후(皇后)성숙황후사씨(謝氏)1167년 ~ 1189년1132년 ~ 1203년[20]


5. 5. 후궁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생몰년도비고
귀비(貴妃)채씨(蔡氏)화의군부인(和義郡夫人)? ~ 1185년
첩여(婕妤)현비(賢妃)이씨(李氏)통의군부인(通義郡夫人)? ~ 1183년

[10][11]

5. 6. 황자

成穆皇后 郭氏|성목황후 곽씨중국어 (1126년 ~ 1156년)는 효종의 황후이자 군왕 시절 정실이다.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다.

이름봉호시호생몰년도비고
조기황태자장문1144년 ~ 1167년장남
조개위왕혜헌1146년 ~ 1180년차남
조돈황태자1147년 ~ 1200년삼남, 남송 제3대 황제
조각소왕도숙사남, 조졸함
가공주공주1149년 ~ 1162년장녀, 요절



성공황후 하씨는 효종의 황후로, 자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성숙황후 사씨 (1132년 ~ 1203년, 본명: 소방)는 효종의 황후이다.

그 외 후궁으로는 귀비 채씨, 현비 이씨 등이 있으며, 생모 불명의 자녀로는 요절한 차녀가 있다.

5. 7. 황녀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가국공주(嘉國公主)? ~ 1162년영가군주(永嘉郡主)
2공주(公主)조졸함.


6. 연호

연호기간햇수간지
융흥 (隆興)1163년 ~ 1164년2년계미~갑신
건도 (乾道)1165년 ~ 1173년9년을유~계사
순희 (淳熙)1174년 ~ 1189년16년갑오~기유


7. 평가

효종은 남송 시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대외 무역을 장려하고, 무과에 궁술과 승마를 도입하는 등 여러 정책을 펼쳤다.[1][4] 1165년에는 금나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1187년 고종 사망 후, 효종은 상심하여 정무를 아들 조돈에게 넘기고 2년 뒤 양위했다.[1][5] 이후 ''태상황''으로 물러났으나 실질적인 통치는 계속했다. 말년에는 정신 질환을 앓았다고 전해진다.[3]

7. 1. 긍정적 평가

효종은 악비를 사후 복권시키고 궁정 내 진회 파 잔당을 숙청했으며, 경제를 안정시켜 그의 치세를 남송 왕조의 가장 강력한 시대로 만들었고, 남송 왕조 최고의 군주로 칭송받았다.[1]

효종의 치세는 남송에서 강력한 관료들이 지배하지 않은 몇 안 되는 시기 중 하나였으며, 그는 최고 권력을 쥐고 아무런 도전을 받지 않았다. 그는 또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망설임 없이 대신들을 해임하는 까다로운 황제였다.[2] 1166년, 농업 감독의 작은 영주인 모치가 황제에게 간언하여, 몇 달밖에 재직하지 않은 의원과 다른 관료들을 해임한 것을 비판했지만, 황제는 모치의 비판을 칭찬했지만 무시했다. 효종의 정책 뒤에 있는 이유 중 하나는 고종 시대의 진회와 같은 개인 관료에게 막대한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일 수 있으며, 이를 달성하는 편리한 방법은 관료들의 임기를 제한하여 그들이 궁정에 기반을 구축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었다.[2]

황제는 관료들의 권한을 축소하여 그들을 통제했다. 1167년 초 황제는 좌우 수석 의원과 두 명의 보좌 의원을 임명하여 국무원의 모든 공석을 채웠다. 관료들은 대체로 이러한 임명에 만족했지만, 육부 차관인 진연소의 발언에는 임명에 대한 기쁨과 더불어 의원들의 권한 축소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담겨 있었다. 효종은 진연소의 말을 들었다고 전해지지만, 그의 조언을 실천에 옮기지는 않았다. 효종 치세 내내 관료들의 주된 불만은 그의 권한 침해 경향이었다. 효종은 원칙적으로 의원들을 존중하고 그들에게 행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주요 결정에 참여하여 그들의 권한을 크게 제한했다.[2]

디터 쿤에 따르면, 효종 황제는 "회자를 발행한 후 열흘 밤을 잠 못 이루며 보냈다"고 하며 통화 시스템을 안정시키려는 시도의 주요 원동력이었다. 1166년 황제는 유통 중인 ''회자'' 200만 은 덩어리를 사들여 소각하고, 지폐로 세금과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법령을 반포했다. 효종은 이러한 정책을 통해 유통량을 제한하여 지폐의 시장 가치를 조절하려고 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은 효과적이었으며, 1175년에 그는 ''회자''의 가치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했다.[3] 그는 고위 관료들 간의 권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궁정과 중앙 정부를 면밀히 감독했으며, 유교적 도덕 행위의 기준에 부응하기 위해 진지하게 노력했다.[3]

7. 2. 부정적 평가

효종은 황제의 인사 정책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1166년, 모치는 황제가 몇 달밖에 재직하지 않은 의원과 다른 관료들을 해임한 것을 비판했지만, 황제는 모치의 비판을 무시했다.[2] 효종이 이러한 정책을 펼친 이유 중 하나는 고종 시대의 진회와 같이 특정 관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을 수 있다. 관료들의 임기를 제한하여 궁정에 기반을 구축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편리한 방법이었다.[2]

황제는 관료들의 권한을 축소하여 통제했다. 1167년 초, 황제는 좌우 수석 의원과 두 명의 보좌 의원을 임명하여 국무원의 모든 공석을 채웠다. 육부 차관 진연소는 의원들의 권한 축소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고, 효종은 그의 말을 들었지만 조언을 실천에 옮기지는 않았다. 효종 치세 내내 관료들의 주된 불만은 황제의 권한 침해 경향이었다. 효종은 의원들을 존중하고 행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주요 결정에 참여하여 그들의 권한을 크게 제한했다.[2]

1163년에는 수석 의원들이 군사 사무 위원회 직책에 임명되었고, 1167년에는 전국 재정 통제관의 직함을 부여받아 재정 권한도 부여받았다. 그러나 효종은 대신들이 일반 행정 사무에서 권한을 행사하도록 의도했지만, 황실 특권을 지키는 습관이 있었고, 특히 군사 문제에서 자주 그것을 행사했다. 1167년처럼 황실 명령이 비서실 및 황실 의원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황실 참서관으로 전달된 경우도 있었다. 정규 관료 체계를 거쳐 명령이 전달되도록 황제에게 요청한 후, 그는 이를 바로잡겠다고 약속했지만, "기밀 명령"으로 직접 파견을 계속했다. 효종은 다른 분야에서 그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의원들과 사전 협의 없이 궁궐 명령과 황실 칙령을 직접 발부하기 시작했다.[2]

참조

[1]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4-21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5, part 1: The Sung dynasty and its precursors, 907 - 1279 / ed. by Denis Twitchett Cambridge Univ. Press 2009
[3] 서적 The age of Confucian rule: the Song transformation of China https://www.worldcat[...]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4]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aritime Expansion and Naval Exploits of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Periods NUS Press 2012-01-01
[5]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Imperial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9-17
[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7] 서적 The Classic of Filial Piety (2013 Edition - EPUB) https://books.google[...] Asiapac Books Pte Ltd 2018-11-27
[8] 문서 「眘」の音は「シン」で『[[玉篇]]』によれば「慎」の[[古文]]。
[9] 논문 武臣の清要-南宋孝宗期の政治状況と閤門舎人 東洋史研究会 2004
[10] 문서 高宗の[[劉希|劉貴妃]]から孝宗に妃嬪として与えられた。姓氏は不明。以上の妃のいずれかである。
[11] 문서 淳熙3年、典字から紫霞帔に降格された。以後は不明。以上の2人の呉氏のいずれか可能性がある。
[12] 서적 중국을 말한다 11 신원문화사 2008
[13] 서적 수완 아라크네 2007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함녕군부인(咸寧郡夫人)/숙국부인(淑國夫人)/복국부인(福國夫人)/황태자비(皇太子妃)/공회황후(恭懷皇后)/안목황후(安穆皇后)
[18] 문서 효종 즉위 후에 황후로 추존.
[19] 문서 제안군부인(齊安郡夫人)/현비(賢妃)
[20] 문서 함안군부인(咸安郡夫人)/귀비(貴妃)/수성태상황후(壽成太上皇后)/혜자황태후(惠慈皇太后)/자우태황태후(慈佑太皇太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