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읍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원읍성은 전라북도 남원에 위치한 읍성으로, 신라 신문왕 5년(685년)에 남원소경 설치와 함께 처음 축조되었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남원성 전투가 벌어졌으며, 조명 연합군과 의병, 군민들이 격전을 벌였으나 결국 함락되었다. 이후 조선 시대에 성벽이 개축되었으며, 동학 농민 운동으로 일부 성벽이 훼손되었다. 현재는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인해 선로가 이설되고 남원역이 이전되었으며, 옛 남원역사 자리에 북문 및 북 성벽이 복원되고 있다. 남문인 완월루, 동문인 향일루, 서문인 망미루, 북문인 공신루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시의 문화유산 - 광한루
광한루는 조선 시대 남원에 세워진 누각으로, 광통루에서 유래하여 광한청허부의 의미를 담아 개칭되었고, 정유재란 후 재건되었으며, 춘향전의 배경으로 광한루원으로 확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 남원시의 문화유산 - 실상사
실상사는 신라 시대 문화유산을 다수 보유한 사찰로, 국보인 백장암 삼층석탑과 보물급 문화재 10점 이상, 한국 최대 철불인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등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사적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사적 - 익산 쌍릉
익산 쌍릉은 백제 무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익산시 왕궁면 소재의 백제 후기 왕릉으로, 대왕릉에서 발견된 유골 분석 결과가 무왕의 기록과 일부 일치하나, 무왕릉 확정 여부 및 소왕릉 주인공에 대한 추가 연구와 익산 천도설 관련 논쟁이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읍성 - 기장읍성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한 기장읍성은 조선시대에 군사적, 행정적 기능 수행 및 주민 보호를 목적으로 축조된 읍성으로, 현재 장관청만 남아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읍성 - 대구읍성
대구읍성은 왜구 침략에 대비해 축성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파괴된 후 석성으로 재축성되었지만, 일본인들의 상권 확장과 도시 개발을 이유로 철거되었고, 이로 인해 대구의 상권이 일본인들에게 넘어가 조선인들의 상권이 쇠퇴했다.
남원읍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동충동 464-1번지 |
일반 정보 | |
이름 | 남원읍성 |
한자 표기 | 南原邑城 |
![]() |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298 |
지정일 | 1982년 11월 3일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7,521m2 |
추가 정보 | |
문화재청 ID | 13,02980000,35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685년(신라 신문왕 5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남원소경이 설치되었고, 691년 네모난 형태의 평지 읍성이 축조되었다.[3] 1597년 (정유재란)에는 외침에 대비하여 성을 크게 다시 쌓고 수리하였다.
2. 1. 신라 시대
685년(신라 신문왕 5년) 때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원소경을 설치하였고, 691년에 네모난 형태의 평지 읍성을 쌓았다.[3] 조선 전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고적조에 따르면 이때에도 이미 남원에 ‘격자 모양의 유기’(井田遺基)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니, 옛부터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을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2. 2. 정유재란과 남원성 전투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7년(선조 30년) 8월, 일본군이 남원읍성을 공격하면서 남원 전투가 벌어졌다. 조명 연합군과 각지의 의병, 남원 지역 주민들이 합세하여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나, 남원읍성은 함락되었고 많은 이들이 희생되었다.[1] 지휘관 이복남은 자결하였다.[1] 이복남, 임현, 정기원, 신호 등은 성문으로 잠입하여 성을 점령한 5만 8천 명의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1] 명나라 부총병 양원은 성을 탈출했다.[1] 남원읍성이 함락될 당시 만복사도 일본군의 방화로 소실되었고, 종전 후에도 만복사는 중건되지 못한 채 현재도 절터로만 남아 있다.[1]남원 전투에서 희생된 1만 명이 넘는 조선 전사자들은 북문 바깥에 합장되었으며, 이곳이 현재의 만인의총이다.[1]
2. 3. 정유재란 이후
《용성지》에 따르면 성의 네 개 문루는 숙종 18년(1692년)에 다시 지어졌다. 지금 남아있는 성벽은 조선시대 철종 18년(1862년) 개축한 것이다.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 동문·남문을 포함한 일부 성벽이 허물어졌다. 이후 1930년대에 조선총독부가 전라선 남원역을 세우면서 북문·서문을 포함한 성벽을 철거했다.
1982년 11월 3일 '''남원성'''이란 이름으로 대한민국 사적 제298호로 지정되었으나, 2011년 7월 28일 '''남원읍성'''으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다.[4]
2. 4. 일제강점기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 동문, 남문을 포함한 일부 성벽이 허물어졌다. 이후 1930년대에 조선총독부가 전라선 남원역을 건설하면서 북문, 서문을 포함한 성벽을 철거했는데, 이는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남원읍성의 역사적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였다.[4]2. 5. 현대
1982년 11월 3일 '''남원성'''이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사적 제298호로 지정되었으나, 2011년 7월 28일 '''남원읍성'''으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다.[4]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문화재 보호를 위해 경주시 시내의 철도 구간을 이설하여 경주역으로 통합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전라선 복선 전철화와 함께 옛 남원읍성 복원을 위해 전라선 선로가 이설되고 남원역이 신정동으로 이전되었다.
구 남원역사 자리에는 북문 및 북 성벽이 복원되고 있다.[5]
3. 성곽
남원읍성은 조선시대 읍성의 전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규모가 크고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근대에 들어 도시가 들어서며 성곽은 대부분 헐렸으나, 시내 중심부 도로는 여전히 바둑판 모양으로 남아 있어 과거 성 내부 도로 구성의 흔적을 보여준다.
3. 1. 구조적 특징
중국의 성곽에 영향을 받아 네모 반듯하게 축조된 평지 읍성이다. 판상할석(板狀割石)을 사용한 협축법으로 축조되었으며, 둘레는 2.5km, 높이는 4m 정도이다.[1]16곳의 옹성(甕城)과 1,016개의 여장(女墻)이 있었고, 성벽 바깥으로 깊은 도랑(해자)을 둘렀다. 4방으로 성문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남문이 가장 규모가 크고 웅장하여 홍예문 위에 누각을 올려 완월루(翫月樓)라 하였다.[2]
돌축대의 길이는 2.4km가 넘고, 높이는 약 4m이며, 성 안에는 70여 개의 우물이 있었다. 성 내부는 남북과 동서로 뻗은 직선 대로가 교차하고, 그 사이사이에 좁은 직선 도로들이 교차하는 바둑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읍성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남원읍성은 규모가 크고, 우리나라 성곽에서는 드물게 네모 반듯한 구성과 성 내부 도로가 직선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3. 2. 성문
남원읍성에는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이 있었다. 각 성문의 이름은 남문, 동문, 서문, 북문였다.3. 2. 1. 완월루(翫月樓)
남원읍성의 남문이다.3. 2. 2. 향일루(向日樓)
남원읍성의 동문이다.3. 2. 3. 망미루(望美樓)
남원읍성의 서문이다.3. 2. 4. 공신루(拱宸樓)
남원읍성의 북문으로, 현재 복원 중이다.참조
[1]
웹사이트
남원성《디지털남원문화대전》
http://namwon.grandc[...]
[2]
백과사전
남원성《두산백과사전》
http://download.ency[...]
[3]
서적
삼국사기
http://www.cha.go.kr[...]
[4]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2011-07-28
[5]
뉴스
옛 남원역사, 녹색소통공간으로 만든다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