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르친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친스크는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네르친스크 조약(1689년)과 캬흐타 조약(1727년)에서 언급된 도시이다. 1654년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이후 러시아와 중국 간 무역의 중심지, 죄수 유배지 등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12년 홍수로 인해 위치가 변경되었으며, 19세기 말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우회하면서 치타에게 주요 도시의 지위를 넘겨주었다. 현재 네르친스크는 자바이칼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며, 소규모 산업과 박물관, 역사적인 건축물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르친스크 - 네르친스크 조약
    네르친스크 조약은 1689년 러시아와 청나라가 국경 분쟁 해결과 평화 수립을 위해 체결한 6개항의 조약으로, 아르군강, 케르비치강, 스타노보이 산맥을 경계로 국경을 설정하고 알바진 요새를 파괴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러시아의 동진 정책에 제동을 걸고 양국 간 무역을 허용했으나,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폐기되었다.
  • 자바이칼 변경주의 도시 - 치타 (러시아)
    치타는 러시아 자바이칼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1653년 코사크인들이 건설한 취락에서 유래하여 데카브리스트들의 유배지로 알려졌으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개통으로 지역 운송 및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고 한때 극동 공화국의 수도였다.
  • 자바이칼 변경주의 도시 - 발레이
    발레이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있는 도시로, 금 채굴과 관련된 과거와 현재의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며, 발레이 공항을 통해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자바이칼주 - 바이칼 카자크
    자바이칼 코사크 군은 1851년 러시아 제국이 청나라와의 국경 경비와 자바이칼 지역 치안 유지를 위해 창설한 코사크 군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나 볼셰비키 혁명 이후 해체되었고 일부는 만주로 망명했다.
  • 자바이칼주 - 울란우데
    울란우데는 1666년 코사크 부대가 건설한 요새에서 시작되어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 1934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된 러시아 부랴트 공화국의 수도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몽골 횡단 철도의 분기점이자 헬리콥터 생산 기지가 있는 교통 및 항공 산업의 중심지이고, 부랴트족 문화와 러시아 불교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를 자랑한다.
네르친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네르친스크
러시아어 명칭Нерчинск
부랴트어 명칭Нэршүү
몽골어 명칭Нэрчүү
만주어 명칭Nibcu (ᠨᡳᠪᠴᡠ)
위치자바이칼 지방
행정 구역네르친스키 군
도시 종류도시
면적7km
거리 정보치타에서 644km
네르친스키 자보드에서 225km
가지무르스키 자보드에서 305km
웹사이트http://xn--c1aealkpcjdmn3e.xn--e1aggjcqj9b.xn--80ap4as.xn--p1ai/
우편 번호673400, 673402, 673403, 673429, 673840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14,959명
2014년 인구 추정14,775명
2021년 인구14,648명
역사
설립1653년
기타 정보
시간대UTC+10 (YAKT)
전화 지역 번호+7 30242

2. 명칭

러시아 제국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두 개의 중요한 조약, 즉 1689년의 네르친스크 조약과 1727년의 캬흐타 조약에서 네르친스크가 언급된다. 이 조약들이나 도시의 역사에 대한 비 러시아어 기록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라틴어: Nipchu|닙추lat 또는 Nipcha|닙차lat (단, 캬흐타 조약에서는 이 도시를 Nipkoa|닙코아lat라고 불렀다)
  • 만주어: Nibcu hoton|니브추 호톤mnc
  • 중국어: 尼布楚|니부추zho; 병음: Níbùchǔ

3. 역사

네르친스크는 1654년 요새 건설을 시작으로 1658년 아파나시 파시코프에 의해 도시가 세워지며 자바이칼 지방과 아무르 강 유역을 잇는 거점이 되었다.[4] 1689년에는 러시아청나라 사이에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되어, 이후 약 2세기 동안 러시아의 아무르 강 유역 진출이 제한되었다(중-러 국경 분쟁 참조).

조약 체결 후 네르친스크는 한동안 러시아와 중국 간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18세기 캬흐타에 새로운 교역로와 세관이 생기면서 무역 중심지로서의 기능은 다소 약화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 동부 다우리아 지역으로의 이주민 유입, 풍부한 광산 발견, 그리고 네르친스크 카토르가로 알려진 유형지로 기능하면서 도시의 중요성은 유지되었고, 자바이칼 지방의 주요 도시로 자리 잡았다.

1812년에는 큰 홍수로 인해 도시가 현재 위치로 이전하는 변화를 겪었다. 19세기 말에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계획에서 네르친스크가 제외되면서 인근 치타에게 지역 중심 도시로서의 지위를 넘겨주며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한편, 네르친스크는 제정 러시아 시기 주요 유형지 중 하나로, 데카브리스트 반란 관련자들과 폴란드 1월 봉기에 참여했던 수천 명의 폴란드인들이 이곳의 은광 등지로 보내져 강제 노역에 처해지기도 했다.[5]

3. 1. 초기 역사 (17세기)

1710년 에버하르트 이스브란트 이데스가 그린 네르친스크 조망.


1900년 네르친스크 부틴 궁전을 보여주는 엽서


네르친스크 요새는 1654년에 처음 세워졌다. 4년 뒤인 1658년, 아파나시 파시코프(Afanasy Pashkov)는 이곳에 도시를 건설했다. 이를 통해 자바이칼 지방에 있는 러시아 정착지와 아무르 강 유역의 정착지 사이에 직접적인 교통로가 열리게 되었다. 이 정착지는 주로 코사크와 야쿠츠크 지역에서 온 모피 상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4]

1689년, 러시아중국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인해 러시아는 약 2세기 동안 아무르 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막혔다(중-러 국경 분쟁 참조).

3. 2. 네르친스크 조약 (1689년)

네르친스크 요새는 1654년에 세워졌다. 아파나시 파시코프는 4년 뒤인 1658년에 이 도시를 설립하고, 자바이칼 지방과 아무르 강 유역의 러시아 정착지 간 직접적인 통신을 열었다.[4] 이러한 러시아의 동진 과정에서 청나라와의 충돌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 1689년 러시아청나라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약 2세기 동안 아무르 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제한되었다(중-러 국경 분쟁 참조).

3. 3. 무역 중심지 (18세기)



1689년 러시아청나라 사이에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된 이후, 네르친스크는 양국 간 무역의 주요 중심지로 부상했다. 이 조약은 약 2세기 동안 러시아의 아무르 강 유역 진출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중-러 국경 분쟁 참조).

그러나 1728년, 우르가를 경유하는 서쪽 교역로가 열리고 캬흐타에 세관이 설치되면서 무역의 중심은 점차 캬흐타로 이동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르친스크는 동부 다우리아 지역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주로 추방자)의 유입, 풍부한 광산의 발견, 그리고 네르친스크 카토르가로 보내진 수많은 죄수들로 인해 새로운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요인들 덕분에 네르친스크는 점차 자바이칼 지방의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1782년에는 영국의 모험가이자 기술자인 새뮤얼 벤담이 네르친스크를 방문했다. 벤담은 만약 청나라가 아무르 강에서의 항해를 허용한다면, 네르친스크가 오호츠크 해로 나아가는 중요한 기지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캔톤까지 이어지는 태평양 모피 무역의 새로운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3. 4. 유형지 (18세기-19세기)



18세기 초 네르친스크는 러시아와 중국 간 무역의 주요 중심지였으나, 1728년 캬흐타에 새로운 무역 거점이 설치되면서 그 역할이 다소 변화했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동부 다우리아 지역으로 이주한 이민자(상당수는 추방자)의 유입, 풍부한 광산 발견, 그리고 특히 네르친스크 카토르가로 알려진 유형지로 수많은 죄수들이 보내지면서 네르친스크는 새로운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네르친스크는 자바이칼 지방의 주요 도시로 부상했다.

19세기 들어 네르친스크는 제정 러시아의 주요 정치범 수용소 중 하나로 기능했다. 조지 케넌에 따르면, 1825년 데카브리스트 반란에 연루된 인사들과 1863년 폴란드 1월 봉기에 참여했던 수천 명의 폴란드인들이 네르친스크의 은광 지역으로 이송되어 강제 노역에 처해졌다.[5]

한편, 1812년에는 큰 홍수로 인해 도시가 쉴카 강변의 원래 위치에서 현재 자리로 이전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계획에서 네르친스크가 제외되면서, 인근의 치타에게 지역 중심 도시로서의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3. 5. 도시 이전과 쇠퇴 (19세기)



1812년, 네르친스크는 홍수로 인해 쉴카 강 둑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이후 조지 케넌에 따르면, 1825년 데카브리스트 반란 관련자 일부와 실패한 1863년 1월 폴란드 봉기의 수천 명의 폴란드인들이 네르친스크 은광 지역으로 이송되었다.[5]

19세기 말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네르친스크를 비껴가면서, 도시는 치타에게 주요 도시의 지위를 넘겨주며 쇠퇴하기 시작했다.

3. 6. 20세기

20세기 초 네르친스크는 주로 목조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저지대는 잦은 홍수로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들은 주로 농업, 담배 재배, 가축 사육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소수의 상인들은 모피와 가축, 중국산 벽돌차, 러시아산 공산품을 거래했다. 인근 금광은 부틴 상인 가문이 소유하고 개발했으며, 그들의 네오 무어 양식 궁전은 현재 방문객에게 공개되어 있다.

4. 현재의 네르친스크

2016년 기준으로 네르친스크에는 몇몇 소규모 전기 기계 및 식품 가공 산업이 있다. 1884년에 설립된 작은 박물관이 있다. 볼거리로는 1825년 도시의 이전을 기념하기 위해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부활 대성당이 있으며, 이 성당의 종탑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옛 네르친스크의 터에는 1664년에 설립된 다우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성모 승천 수도원이 있다. 1712년에 봉헌된 이 수도원의 성당은 모스크바 바로크 양식의 가장 동쪽에 있는 건물이다.

5. 행정 및 지방 자치

러시아 행정 구역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네르친스크는 직접적으로 그 관할을 받는 네르친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6] 지방 자치체로서는, 네르친스크 마을은 하나의 촌락(마케예프카 ''셀로'')과 함께 네르친스키 시립 구에 '''네르친스크 도시 정착촌'''으로 통합되어 있다.[7]

6. 교통

네르친스크 공항은 시내에서 북서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던 옛 러시아 공군 기지이다. 1990년대에 폐쇄되었다.[8] 활주로 길이가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1950년대에 설계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법률 Law #316-ZZK
[2] 기타 OKTMO reference
[3] 기타 ru-pop-ref
[4] 서적 Russia's Far East: new dynamics in Asia Pacific and beyond https://www.research[...] Lynne Rienner Publishers, Inc 2016
[5] 서적 Siberia and the Exile System James R. Osgood, McIlvaine & Co. 1891
[6] 문서 'Registry of the Administrative-Territorial Units and the Inhabited Localities of Zabaykalsky Krai'
[7] 법률 Law #317-ZZK
[8] 웹사이트 Энциклопедия Забайкалья. Нерчинск. http://ez.chita.ru/e[...]
[9]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