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르친스크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친스크 조약은 1689년 러시아와 청나라가 체결한 조약으로, 양국 간의 국경을 확정하고 무역 관계를 규정했다. 조약 체결 배경은 러시아의 아무르강 진출과 청나라의 반격으로 인한 국경 분쟁이었다. 주요 내용은 아무르강의 지류인 아르군강, 케르비치강과 외싱안링산맥을 국경으로 정하고, 알바진성을 파괴하며, 월경자 처벌 및 양국 민간인의 통상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었다. 이 조약은 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 3개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청나라는 아무르강 북쪽과 스타노보이산맥 남쪽의 영토권을 확립하고,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무역을 보장받았다. 네르친스크 조약은 이후 캬흐타 조약과 아이군 조약, 베이징 조약으로 이어지는 중러 관계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네르친스크 조약
기본 정보
넬친스크 조약의 라틴어 사본
넬친스크 조약의 라틴어 사본
조약 이름넬친스크 조약
조약 유형국경 조약
체결 장소네르친스크
체결일1689년 8월 27일
만료일1858년 5월 28일
협상 대표
러시아 차르국표도르 알렉세예비치 골로빈
청나라송고투
서명 국가
러시아 차르국이반 5세
청나라강희제
당사국
국가러시아 차르국
청나라
사용 언어
언어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
내용
주요 내용만주 (현재 중국 동북부)의 국경을 흑룡강외흥안령 선으로 규정
관련 정보
위키소스 (라틴어)라틴어 위키소스
위키소스 (러시아어)러시아어 위키소스
위키소스 (중국어)중국어 위키소스
로마자 표기Nibcoo-i Bade Bithe
중국어 표기
만주어 표기|Nibcoo-i Bade Bithe}}

2. 배경

17세기 중엽, 러시아는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아무르강(黑龍江, 헤이룽강) 유역으로 진출했고, 이는 청나라와의 충돌로 이어졌다.

바실리 포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러시아인 탐험대는 17세기 중반부터 흑룡강과 아르군 강을 따라 남하(이후 남하정책)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흑룡강 연안에는 알바진 요새가 건설되었다. 청나라조선은 연합군을 결성하여 "청-러 국경 분쟁"이라고 불리는 토벌 작전을 여러 차례 벌였다.

청나라는 러시아에 탈주자 인도를 요구하고, 더 나아가 러시아인의 철수를 요구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를 거부했다.

2. 1. 러시아의 동진과 청나라와의 충돌

1734년 지도에 나타난 "중국 타타르 지역"의 북쪽 국경은 네르친스크에서 결정된 중러 국경선과 거의 일치한다. 네르친스크 자체도 지도(국경의 러시아 쪽)에 표시되어 있다.


청나라의 영토. 노란색은 성(省), 녹색은 군사 총독부와 보호령, 주황색은 조공국을 나타낸다.


오른쪽 연한 붉은색 영역이 외만주이며, 외만주의 북쪽과 서쪽이 네르친스크 조약에 의한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이다. 황색 선은 이후 아이군 조약과 베이징 조약에 의해 결정된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이다.


17세기 중엽, 러시아는 아무르강(黑龍江, 헤이룽강) 방면으로 진출하면서 네르친스크, 알바진 등에 성을 쌓고 청나라와 충돌하였다. (청-러시아 국경 분쟁)[6]

당시 청나라중국 대륙을 점령한 직후였고, 삼번의 난 등으로 인해 국내 정비에 여념이 없어 러시아 세력의 남진을 제대로 막지 못했다. 한편,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통상을 목적으로 여러 차례 베이징에 사절을 보냈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1681년 삼번의 난을 진압한 청나라는 러시아에 본격적으로 반격하기 시작했고, 1685년에는 헤이룽 강 북안의 알바진성을 함락시켰다.[7] 이에 네르친스크로 후퇴한 러시아가 알바진성을 되찾고, 청나라가 다시 공격하던 중에 휴전이 성립되었다.

1640년경부터 러시아인들은 북쪽에서 아무르 유역으로 진입했는데, 이 지역은 당시 명나라 정복을 막 시작한 청나라가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곳이었다.[6] 1680년대까지 청나라는 중국 본토를 완전히 정복하고 남쪽의 마지막 명나라 계승 국가들을 제거했다.[7] 이제 중국을 굳건히 장악한 청나라는 지배 계급인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씨족의 고향인 만주에서 러시아의 침입으로 여기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입장이 되었다.[7]

청나라가 본격적으로 토벌군을 파병하기 시작하자, 러시아의 섭정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와 고문 바실리 홀리친은 표도르 고로빈을 특사로 파견하여 1689년 네르친스크에서 청나라의 송고투와 협상을 시작했다.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무역을 원했고, 청나라는 청-준가르 전쟁(제1차, 1687년 - 1697년) 중이었기 때문에 몽골준가르를 고립시키기를 원했으므로, 양측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협상이 성립되었다.

당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극동에 대규모 군대를 파병할 수 없었다. 동시에 준가르가 몽골을 점령하여 청나라를 위협했기 때문에 러시아와 청나라는 가능한 한 빨리 평화 조약을 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17]

양국 간에는 언어가 달랐기 때문에 조약 원문은 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로 각각 두 부씩 작성되었다.[24] 청나라 측 통역 겸 고문으로 두 명의 예수회 선교사 토마스 페레이라(徐日升|서일승중국어) 및 장 프랑수아 저빌용(張誠 (傳教士)|장성중국어)이 협상에 참여했다. 청나라 측 만주어를 예수회 선교사가 라틴어로 통역하고, 러시아 측 폴란드인 통역관이 라틴어를 러시아어로 통역하는 방식으로 협상이 진행되었다.

2. 2. 협상의 시작

1681년 삼번의 난을 진압한 청나라는 본격적으로 러시아에 반격하기 시작했고, 1685년에는 헤이룽 강 북안의 알바진성을 함락시켰다.[6] 청나라의 지배 계급인 아이신기오로 씨족의 고향인 만주에서 러시아의 침입으로 여기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입장이 되었다.[7] 이에 네르친스크로 후퇴한 러시아가 알바진성을 되찾고, 청이 다시 공격하던 중에 휴전이 성립되었다.

러시아는 아무르강을 방어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서쪽의 사건에 더 신경 쓰던 러시아 정부는 표도르 알렉세예비치 골로빈을 전권대사로 동쪽으로 파견했다.[15] 골로빈은 1686년 1월 모스크바를 떠나 500명의 스트렐치를 이끌고 1687년 10월 바이칼 호 근처 셀렌긴스크에 도착하여 사전에 전령을 보냈다.

1688년 셀렌긴스크에서 회담을 할 것으로 합의되었다. 이때 갈단 보슈그투 칸이 이끄는 오이라트(서몽골)가 셀렌긴스크와 베이징 사이 지역의 할하(동몽골)를 공격하여 협상이 지연되었다. 전투를 피하기 위해 골로빈은 동쪽의 네르친스크로 이동했고, 거기서 회담을 할 것으로 합의되었다. 송고투의 지휘 아래 3,000명에서 1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청나라 군대가 1689년 6월 베이징을 출발하여 7월에 도착했다. 8월 22일부터 9월 6일까지 회담이 진행되었다.

사용된 언어는 라틴어였으며, 통역은 러시아 측은 안드레이 비엘로보츠키라는 폴란드인이, 중국 측은 예수회 선교사 장프랑수아 제르비용과 토마스 페레이라가 맡았다.[8] 청나라러시아아무르에서 제거하기를 원했다. 그들은 아무르가 원래 만주 중심지의 북쪽 국경이었기 때문에 아무르에 관심이 있었다. 그들은 그 지역이 오이라트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아르군 강 서쪽 지역은 무시할 수 있었다. 강희제는 또한 중앙아시아 북서쪽에 있는 준가르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했다.[12][13]

러시아아무르가 방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강희제가 국경 분쟁을 해결하지 않으면 차단하겠다고 위협했던 수익성 있는 무역을 확립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다.[15] 당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극동에 대규모 군대를 파병할 수 없었다. 동시에 준가르몽골을 점령하여 청나라를 위협했기 때문에 러시아와 청나라는 가능한 한 빨리 평화 조약을 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17]

3. 조약 내용

네르친스크 조약은 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 3개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총 6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24]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내용
1, 2항아르군 강과 케르비치 강, 스타노보이 산맥(외싱안링 산맥)을 기준으로 양국 국경을 확정한다.
3항알바진 요새를 파괴하고 러시아는 해당 지역에서 철수한다.
4항조약 체결 이전의 난민은 그대로 남지만, 이후 월경자는 송환한다.
5항적절한 서류(여권)를 소지한 경우 양국 간 무역을 허용한다.
6항분쟁 방지를 위해 경계 표석을 세운다.



청나라러시아 제국은 언어가 달라 조약 원문은 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로 각각 두 부씩 작성되었다.[24] 예수회 선교사 토마스 페레이라(서일승)와 장 프랑수아 저빌용(장성)이 청나라 측 통역 겸 고문으로 협상에 참여했다.[24] 이들은 청나라 측 만주어를 라틴어로 통역했고, 러시아 측 폴란드인 통역관은 라틴어를 러시아어로 통역했다.[25]

3. 1. 국경 획정

아무르강지류아르군강, 케르비치강과 외싱안링산맥(스타노보이산맥)을 양국 간의 국경으로 하였다. 알바진성은 파괴하기로 합의했다. 우다강과 스타노보이 산맥 사이의 지역은 미확정 상태로 남겨두었다.[18]

합의된 경계는 알군 강 북쪽에서 쉴카 강과 합류하는 지점까지, 쉴카 강을 따라 "고르비차 강"까지, 고르비차 강을 따라 발원지까지, 그리고 스타노보이 산맥을 통과하는 동서 분수령을 따라 우다 강 아래로 오호츠크해의 남서쪽 모서리까지 이어졌다. 알군 강 서쪽의 국경은 정의되지 않았다.[18] 어느 쪽도 우다 강의 흐름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고르비차 강은 현대 지도에서 찾기 어렵다.

3. 2. 기타 조항

월경자(越境者)의 인도와 처벌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었다.[19] 양국 민간인 사이의 통상이 보장되었다.[19] 여권을 소지한 상인들의 교역이 허용되었다.[19]

구체적으로, 조약 체결 이전에 도착한 난민들은 남을 수 있지만, 이후에 도착한 난민들은 돌려보내야 했다. 적절한 서류를 갖춘 경우 무역이 허용되었다.

4. 결과 및 영향

네르친스크 조약은 청나라러시아 간의 국경 분쟁을 일시적으로 해결하고, 양국 관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조약으로 두 나라는 국경을 정하였고, 이후 외몽골시베리아 사이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1727년 캬흐타에서 추가로 캬흐타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평등 조약이었지만, 청나라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러시아가 원했던 부동항을 얻지 못했다.

러시아에서는 크림 원정(1687년, 1689년) 실패와 네르친스크 조약에서의 양보로 인해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의 섭정 정부의 권위가 추락했다.

한편, 청나라는 러시아 관련 업무를 몽골이나 내륙 아시아의 조공을 담당하는 이번원에서 처리하는 등 러시아를 조공국으로 여겼다.

이후, 1858년 아이군 조약으로 흑룡강이 양국의 국경선이 되었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네르친스크 조약은 폐기되었다.

4. 1. 청나라의 입장

청나라러시아와의 분쟁 전에는 별 의미를 두지 않았던 아무르강(헤이룽강)의 북쪽과 스타노보이산맥의 남쪽 사이의 땅에 대한 영토권을 확립하였다.[26]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러시아와의 무역을 보장받게 되었다.

1640년경부터 러시아인들은 북쪽에서 아무르 유역으로 진입했는데, 이 지역은 당시 명나라 정복을 막 시작한 청나라가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곳이었다.[6] 1680년대까지 청나라는 중국 본토를 완전히 정복하고 남쪽의 마지막 명나라 계승 국가들을 제거했다.[7] 이제 중국을 굳건히 장악한 청나라는 지배 계급인 아이신기오로 씨족의 고향인 만주에서 러시아의 침입으로 여기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입장이 되었다.[7]

강희제는 중앙아시아 북서쪽에 있는 준가르 몽골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했다.[12][13] 청나라는 유목민과 무법자들이 국경을 넘어 도망치는 것을 막기 위해 명확한 국경을 원했다.[14]

당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극동에 대규모 군대를 파병할 수 없었다. 동시에 준가르가 몽골을 점령하여 청나라를 위협했기 때문에 러시아와 청나라는 가능한 한 빨리 평화 조약을 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17]

이 조약은 러시아인들에게 값비싼 모피를 위한 중국 시장 접근을 허용했다. 러시아인들은 도자기, 비단, 금, 은, 차뿐만 아니라 북부 주둔군을 위한 보급품도 구입했다.[19]

청나라는 러시아 관련 업무를 몽골이나 내륙 아시아의 조공을 담당하는 이번원에서 처리하는 등 러시아를 조공국으로 여겼다.

4. 2. 러시아의 입장

러시아는 네르친스크 조약을 통해 아무르강 유역 진출은 좌절되었지만, 청나라와의 무역을 보장받게 되었다. 이를 통해 시베리아 개발에 필요한 물자를 확보할 수 있었다.[26] 러시아는 청나라와 무역을 원했고, 청나라는 당시 청-준가르 전쟁(1687년~1697년) 중이었기 때문에 몽골준가르를 고립시키기를 원했으므로 양측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협상이 성립되었다. 당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시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극동에 대규모 군대를 파병할 수 없었다. 동시에 준가르가 몽골을 점령하여 청나라를 위협했기 때문에 러시아와 청나라는 가능한 한 빨리 평화 조약을 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17]

두 차례의 크림 원정(1687년, 1689년) 실패와 네르친스크 조약에서의 양보로 인해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의 섭정 정부의 권위가 추락했다. 그 결과, 9월에 고문 바실리 홀리친은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며, 소피아는 수도원에 유폐되었다. 이후 표트르 1세의 어머니 나탈리아 널이시키나가 실권을 회복하여 1694년 사망할 때까지 국정을 운영했고, 그 후 표트르 1세가 친정을 시작했다.

4. 3. 조선에 미친 영향

조선은 청나라의 조공국으로서, 청-러시아 간의 국경 분쟁과 네르친스크 조약 체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조선은 나선정벌을 통해 러시아 세력의 남하를 저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러시아의 동진을 막지 못했다. 청나라러시아와의 분쟁 전에는 별 의미를 두지 않았던 아무르강(헤이룽강) 북쪽과 스타노보이산맥 남쪽 사이의 땅에 대한 영토권을 확립하였고,[26]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무역을 보장받게 되었다.

5. 조약의 재해석과 현대적 의미

네르친스크 조약은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후 1858년 아이군 조약으로 흑룡강(아무르강)이 양국의 국경선이 되었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네르친스크 조약은 폐기되었다.[21]

5. 1. 근대 외교의 시작

17세기 중반부터 바실리 포야르코프, 예로페이 하바로프러시아인 탐험대가 흑룡강과 아르군 강을 따라 남하(이후 남하정책)하면서, 흑룡강 연안에 알바진 요새가 건설되었다.[24]

이로 인해 청나라조선 연합군은 "청-러 국경 분쟁"이라 불리는 토벌 작전을 여러 차례 벌였다. 청나라는 러시아에 탈주자 인도를 요구하고, 더 나아가 러시아인의 철수를 요구했으나, 러시아는 이를 거부했다.

청나라가 본격적으로 토벌군을 파병하기 시작하자, 러시아 섭정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와 고문 바실리 홀리친은 표도르 고로빈을 특사로 파견하여 1689년 네르친스크에서 청나라 송고투와 협상을 시작했다.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무역을 원했고, 청나라는 청-준가르 전쟁(제1차, 1687년 - 1697년) 중이었기 때문에 몽골준가르를 고립시키기를 원했다. 양측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협상이 성립되었다.

양국 간에는 언어가 달랐기 때문에 조약 원문은 라틴어, 러시아어, 만주어로 각각 두 부씩 작성되었다.[24] 청나라 측 통역 겸 고문으로는 예수회 선교사 토마스 페레이라(徐日升|서일승중국어) 및 장 프랑수아 저빌용(張誠 (傳教士)|장성중국어) 두 명이 협상에 참여했다. 청나라 측 만주어를 예수회 선교사가 라틴어로 통역하고, 러시아 측 폴란드인 통역관이 라틴어를 러시아어로 통역하는 방식으로 협상이 진행되었다.

5. 2. 영토 분쟁의 역사적 기원

청나라러시아와의 분쟁 이전에는 아무르강(헤이룽강) 북쪽과 스타노보이산맥 남쪽 사이의 땅(당시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지역)에 대한 영토권을 확립하였다.[26] 이 조약으로 두 나라는 국경을 정하였고, 이후 외몽골과 시베리아 사이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1727년 캬흐타 조약을 체결했다. 합의된 경계는 알군 강 북쪽에서 쉴카 강과 합류하는 지점까지, 쉴카 강을 따라 "고르비차 강"까지, 고르비차 강을 따라 발원지까지, 그리고 스타노보이 산맥을 통과하는 동서 분수령을 따라 우다 강(하바롭스크 지방) 아래로 오호츠크 해의 남서쪽 모서리까지 이어졌다.

알군 강 서쪽의 국경은 정의되지 않았다.[18] 어느 쪽도 우다 강의 흐름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고르비차 강은 현대 지도에서 찾기 어렵다.

러시아의 아무르 강에 대한 관심은 1750년대에 다시 불붙었다. 1757년 페도르 이바노비치 소이모노프가 그 지역을 지도로 만들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아르군 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이르자 돌아왔다. 같은 해, 바실리 페도로비치 브라디셰프가 아무르 강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파견되었지만, 청나라는 이를 거절했다.[21]

이후 1858년 아이군 조약으로 흑룡강이 양국의 국경선이 되었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네르친스크 조약은 폐기되었다.

참조

[1] 서적 Russia in Asia: a record and a study, 1558–1899 https://archive.org/[...] G. Richards 2011-08-26
[2] 논문 The Territorial Terms of the Sino-Russian Treaty of Nerchinsk, 1689 https://www.jstor.or[...] 1947-08
[3] 논문 The Territorial Terms of the Sino-Russian Treaty of Nerchinsk, 1689 https://www.jstor.or[...]
[4] 간행물 Journal of the Royal Central Asian Society
[5] 웹사이트 Treaty of Nerchinsk Sino-Russian, Border Agreement, 1689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2-12
[6] 서적 Ming-Qing border defense, the inward turn of Chinese Cartography, and Qing expansion in Central Asia in the Eighteenth Century Univ. Wash. Press
[7] 서적
[8] 서적 The Great Chinese Revolution: 1800–1985 Harper & Row
[9] 서적 China: a History Basic Books
[10] 서적
[11]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13] 논문 Military mobilization in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China, Russia, and Mongolia
[14] 논문 Reinventing China: Imperial Qing ideology and the rise of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15] 서적
[16] 서적 War in the Early Modern World: 1450–1815 UCL Press.
[17]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 논문 Nature and Power: China and the Wider World
[20] 논문 Interracial Outposts in Siberia: Nerchinsk, Kiakhta, and the Russo-Chinese Trade in the Seventeenth/Eighteenth Centuries
[21] 서적
[22] 서적
[23] 백과사전 ネルチンスク条約 2018-02-18
[24] 논문 ネルチンスク条約における「モンゴル」について : 領有と決定 http://id.nii.ac.j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18-09-13
[25] 서적 建国大学創立記念講演集 第1回 https://mokuroku.biw[...] 建国大学研究院 1939-12-25
[26] 역사 청나라의 영토 할양 1858, 18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