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티켓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올바른 행동 양식을 의미하며, 전자우편, 온라인 대화, 웹 문서 작성 등 다양한 활동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네티켓은 유동적이며, 커뮤니티별로 다른 규칙을 가질 수 있으며, 플레임 전쟁과 스팸 방지 등 일반적인 규칙은 대부분의 환경에서 적용된다. 1994년 버지니아 셰어 교수가 제시한 네티켓의 핵심 원칙은 상대방 존중, 예의, 책임감, 타인 시간 존중, 전문 지식 공유 등을 강조하며, 디지털 시민 의식과도 연관된다. 휴대전화의 보급과 함께 휴대전화 에티켓도 중요해졌으며, 공공 장소에서의 통화, 수업 중 사용, 부모-자녀 간의 관계 등에서 논의된다. 네티켓 위반 시 음란 정보 유통, 허위 정보, 해킹,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분탕질과 기술적 문제를 야기하는 행위는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티켓 | |
|---|---|
| 개요 | |
| 정의 | 네티켓(Netiquette)은 네트워크 에티켓(Network Etiquette)의 합성어 |
| 의미 | 온라인 환경에서의 예절과 규칙, 인터넷 사용자 간의 상호 존중 및 배려를 의미 |
| 유사 개념 | 사이버 에티켓, 디지털 에티켓, 온라인 에티켓 |
| 역사 | |
| 초기 | 인터넷 초창기부터 비공식적인 규칙과 권고 사항 형태로 존재 |
| RFC 1855 | 1995년 IETF에서 "Netiquette Guidelines" 발표, 이메일 사용 지침 포함 |
| 주요 내용 | |
| 기본 원칙 | 타인 존중: 온라인 상에서도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 유지 책임 의식: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방, 험담, 명예훼손 자제 프라이버시 보호: 타인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무단으로 공유하지 않음 |
| 이메일 네티켓 | 제목 명확하게 작성 용건을 간결하게 전달 답장은 신속하게 불필요한 전체 회신 자제 |
| 게시판/SNS 네티켓 | 비방, 욕설, 혐오 표현 자제 근거 없는 비방이나 허위 정보 유포 금지 개인 정보 노출에 주의 저작권 침해 방지 |
| 온라인 커뮤니티 네티켓 | 커뮤니티 규칙 준수 토론 시 예의 바른 태도 유지 비판적인 의견 존중 친목 행위 자제 |
| 기타 | 과도한 채팅이나 플래시 사용 자제 파일 공유 시 저작권 문제 확인 악성 코드 감염 방지를 위한 노력 |
| 중요성 | |
| 건강한 온라인 문화 조성 |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온라인 환경 구축에 기여 |
| 사이버 범죄 예방 | 악성 댓글, 사이버 폭력 등 사이버 범죄 예방 효과 |
| 원활한 소통 | 오해와 갈등을 줄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능 |
| 관련 문제 | |
| 사이버 폭력 | 언어 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등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폭력 |
| 악성 댓글 |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악의적인 댓글 |
| 개인 정보 침해 | 개인 정보 유출 및 악용 |
| 저작권 침해 | 불법 복제, 무단 배포 등 저작권 침해 행위 |
| 참고 자료 | |
| RFC 1855 | Netiquette Guidelines |
| 경찰청 사이버 안전국 |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네티켓 정보 제공 |
| 인터넷 협회 |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한 규칙 및 예절 |
2. 네티켓의 종류
네티켓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다양한 활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전자우편을 사용할 때의 네티켓
- 온라인 대화를 할 때의 네티켓
- 메일링리스트 사용 및 그룹토의를 할 때의 네티켓
- 유스넷(usenet) 뉴스를 사용할 때의 네티켓
- 웹(WWW)문서를 작성할 때의 네티켓
- 원격접속(Telnet)이나 파일전송(FTP)을 할 때의 네티켓
- PC통신 예절
- 운영자 네티켓
- 이용자 네티켓
3. 네티켓의 원칙
1994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의 버지니아 셰어 교수가 제시한 '네티켓의 핵심원칙'[35]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준이 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상공간에서 만나는 상대방이 나와 같은 사람임을 기억해야 한다.
- 실제 생활에서 적용되는 것과 같은 기준과 행동을 지켜야 한다.
- 현재 자신이 어떤 곳에 접속해 있는지 알고, 그곳 문화에 어울리게 행동해야 한다.
- 다른 사람의 시간을 존중해야 한다.
- 온라인상의 자신을 멋지게 만들어야 한다.
-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
- 논쟁은 절제된 감정 아래 행해야 한다.
-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한다.
- 자신의 권력을 남용하지 말아야 한다.
- 다른 사람의 실수를 용서해야 한다.
4. 대한민국에서의 네티켓
2000년 6월 15일 한국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네티즌 윤리강령'을 선포했고, 2001년 초 교육부가 '정보통신윤리 교육 지침'을 마련했다.[12] 이에 따라 일부 중·고등학교에서 네티켓 교육을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기본적인 네티켓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12]
| 분야 | 준수 사항 |
|---|---|
| 게시판 | |
| 이메일 | |
| 채팅 |
5. 네티켓과 디지털 시민 의식
디지털 시민이 온라인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동안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디지털 시민의식''은 "온라인에서 사회에 참여하는 능력"으로 정의되기도 한다.[13][14] 이 용어는 인터넷 안전 및 네티켓과 관련하여 언급된다.[15][16][17]
1998년부터 사용된 이 용어는 새로운 기술 발전으로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서로 상호 작용하는 방식과 빈도가 변화함에 따라 설명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18][19] 일부 공교육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시민의식에 대한 수업을 가르치며, 이 용어가 "온라인 경제 및 정치 활동 측면에서 측정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0][21]
6. 휴대전화 에티켓
휴대전화의 급속한 보급은 이전에는 없었던 상황에 통신이 침투하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새로운 에티켓 문제를 야기했다.[22]
교육 현장에서 휴대전화 사용은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미국, 유럽, 캐나다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수업 방해와 문자 메시지를 통한 부정행위 가능성을 이유로 교실 내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3] 영국에서는 시험 중 휴대전화를 소지하면 해당 과목 또는 모든 과목에서 즉시 실격될 수 있다.[23] 뉴욕 시에서는 2015년까지 학생들이 학교에 휴대전화를 가져오는 것을 금지했다.[24]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이후,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휴대전화 소지를 허용하는 학교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응급 상황 외 수업 시간에는 사용을 금지한다.
공공장소에서의 휴대전화 사용은 타인에게 방해가 될 수 있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그룹에 속해 있을 때 휴대전화는 사교 활동에 방해물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Stop Phubbing과 같은 캠페인이 등장하면서,[1] 공공장소, 예를 들어 대중교통, 식당 등에서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부 서점, 도서관, 욕실, 영화관, 의사 진료실 및 예배 장소에서는 다른 이용객들이 대화로 인해 방해받지 않도록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한다.[5] 일부 시설에서는 휴대폰 방해 전파 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핀란드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시 휴대폰 사용자에게 예절을 상기시키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통화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특히 시끄러운 휴대폰 사용과 민감한 문제에 대한 통화를 자제하도록 권고한다.[25]
장거리 기차는 종종 전화 사용이 금지된 "조용한 객차"를 제공한다.[11] 그러나 영국에서는 다른 객차가 붐비는 경우, "조용한 객차"의 규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8] 일본에서는 기차 내 통화가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되며, 이메일이 일반적인 통신 방식이다. 오스트리아 그라츠는 2008년에 트램과 버스에서 휴대폰 사용을 금지했다(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은 허용).[26][27]
가족 관계 내에서도 휴대전화 사용은 부모/자녀 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십 대들은 휴대전화를 부모와 공간적 경계를 협상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며, 통금 시간 연장, 더 많은 자유 등을 요구한다 (Williams 2005:316, 318). 아이들은 휴대전화를 통해 힘을 얻는다고 생각하며, 친구들과의 끊임없는 교류는 부모와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illiams 2005:326). 휴대폰은 가족 관행에 통합되었지만, 부모와 자녀 관계의 단절이라는 우려를 낳기도 한다. 전통적인 가치가 사라지는 대신, 부모는 자녀와 더 친밀해지기 위해 반사적 감시를 하기도 한다 (Williams 2005:320).
7. 네티켓 vs. 휴대전화 에티켓
네티켓은 네트워크와 에티켓을 합친 구어 혼성어로, 유즈넷과 메일링 리스트부터 블로그와 포럼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 상호 작용을 위한 사회적 관례이다.[1] 휴대전화 에티켓은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된 예절을 의미한다.
네티켓과 휴대전화 에티켓은 모두 문화적 맥락과 사회적 통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문화권에서는 집단 환경에서 휴대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버릇없는 행동으로 간주하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다르게 여겨질 수 있다.[22] 또한, 진행 중인 활동의 유형과 전송되는 메시지의 성격에 따라서도 휴대폰 에티켓은 달라진다. 특히, 부적절한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언어적/사이버 폭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8. 새로운 기술과 행동
온라인 소통에서는 감정을 직접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Emoticon|이모티콘영어은 구두점과 기호를 조합하여 얼굴 표정을 나타내는 그래픽 표현이다. 예를 들어, 콜론과 괄호를 사용해 웃는 얼굴을 만들어 행복이나 만족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LOL"(큰 소리로 웃다)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여 웃음을 표현하기도 한다. "BRB"(금방 돌아올게), "TTYL"(나중에 얘기해) 등도 자주 사용되는 약어이다.
스냅챗과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플랫폼들은 각자의 규칙과 에티켓을 형성하고 있다. 스냅챗은 몇 초 후에 사라지는 사진이나 비디오를 보내는 기능이 있는데, 여러 사람에게 사진을 보낼 수 있어 초기에는 인스타그램[30]과 비교되기도 했다. 그러나 스냅챗은 누드 사진이나 성적인 사진을 보내는 섹스팅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사진을 주고받고 캡션 바를 메시지로 활용하여 소통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스냅챗의 답장 기능은 이러한 소통 방식을 더욱 활성화하지만, 정해진 에티켓은 없다. 어떤 사람들은 스냅챗을 주로 소통 목적으로 사용하고, 어떤 사람들은 단순히 일상의 시각적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데 사용한다. 최근 추가된 인스턴트 메시징 기능은 스냅챗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9. 네티켓 위반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의사소통 문제: 모두 대문자로 작성하거나 과도하게 확대된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은 소리 지르거나 고함치는 것으로 간주되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3]
- 개인 정보 유출: 이메일이나 SMS와 같은 사적인 통신 수단에서 게시물의 공개 가능성을 간과하면 개인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다.
- 기술적 문제: 이메일의 참조(CC) 기능을 오용하면 메일 서버가 다운되는 등의 심각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8]
- 부당 해고: 회사 이메일에서 부적절한 스타일(굵은 글씨, 다채로운 대문자 텍스트 등)을 사용하면 해고 사유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부당 해고 판결의 근거로 인용되기도 한다.[10][11]
- 접근성 문제: 반각 가타카나나 기종 의존 문자를 사용하면 일부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아 정보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31]
- 분탕질: 멀티 포스팅을 하거나 프레임을 유발하는 행위는 분탕질로 간주되어 제재를 받거나 네트워크 리소스를 낭비하고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10. 분탕질 및 기술적 문제 예방
참조
[1]
웹사이트
RFC1855
http://tools.ietf.or[...]
1995-10-01
[2]
웹사이트
Zen and the Art of the Internet—Usenet News
http://www.cs.indian[...]
[3]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Writing Well
https://books.google[...]
Penguin
2000-01-01
[4]
뉴스
Zero to billion
https://money.cnn.co[...]
2006-04-26
[5]
뉴스
A Stinging Office Memo Boomerangs Proprietary e-mail
http://www.nytimes.c[...]
2001-04-05
[6]
서적
E-mail Rules: A Business Guide to Managing Policies, Security, and Legal Issues for E-mail and Digital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AMACOM
2003
[7]
웹사이트
Electronic office etiquette
https://archive.toda[...]
[8]
웹사이트
DHS flunks e-mail administration 101, causes mini-DDoS
https://arstechnica.[...]
2007-10-05
[9]
웹사이트
Netiquette
http://www.albion.co[...]
1997
[10]
뉴스
Emails spark woman's sacking
http://www.nzherald.[...]
2009-08-30
[11]
뉴스
Office worker sacked for writing emails in block capitals
https://www.telegrap[...]
Daily Telegraph
2009-09-01
[12]
웹사이트
Netiquette
http://terms.naver.c[...]
Doopedia
[13]
웹사이트
What does digital citizenship mean to you?
http://www.pegasimed[...]
Microsoft
[14]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Internet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뉴스
How to teach ... esafety and digital citizenship
https://www.pegasime[...]
2013-08-26
[16]
서적
Digital Community, Digital Citizen
https://archive.org/[...]
Corwin Press
[17]
서적
Digital Citizenship in Schools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18]
서적
Young Citizens in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서적
Social Media Tools and Platforms in Learning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
뉴스
Mars Area School District teaching new course on Internet safety
http://www.pegasimed[...]
2013-08-22
[21]
서적
Digital Cities: The Internet and the Geography of Opportun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One Can Tal About Common Manners
http://www.richardli[...]
2007
[23]
뉴스
New York City ends ban on cellphones in public schools
https://www.reuters.[...]
2015-01-07
[24]
웹사이트
http://cityroom.blog[...]
[25]
웹사이트
campaign to promote cell phone manners
http://www.ficora.fi[...]
[26]
뉴스
In Grazer "Öffis" sind Handys ab heute verboten
Styria Medien AG
2008-04-16
[27]
뉴스
"Rücksichtsvoll" oder "völlig sinnlos"
2008-04-18
[28]
서적
Mobile Manners
https://books.google[...]
Rotarian
2000-10-01
[29]
서적
50 Activities for Achieving Excellent Customer Service
https://books.goog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3-09-01
[30]
뉴스
Snapchat: Sexting Tool, or the next Instagram?
CNN
2013-01-10
[31]
웹사이트
ネチケットとは
https://kotobank.jp/[...]
[32]
웹사이트
守っていますか?ルールとマナー 警視庁
https://www.keishich[...]
[33]
웹사이트
rules and manners for networkers
https://www.iajapan.[...]
[34]
문서
특히 반각가나에 있어서.
[35]
문서
KISA 사이버 인터넷 역사박물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