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르담 드 파리 (뮤지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트르담 드 파리》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바탕으로 1998년 뤽 플라몽동이 작사하고 리카르도 코치안테가 작곡한 프랑스 뮤지컬이다. 1482년 파리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향한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세 남자의 엇갈린 사랑과 갈등을 그린다. "대성당들의 시대", "벨", "비브르" 등의 대표곡을 포함, 전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라이선스 공연 및 프랑스 오리지널 팀의 내한 공연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의 노트르담을 바탕으로 한 작품 - Hammer Horror
Hammer Horror는 1960년대 영국 고딕 호러 영화로, 연쇄 살인, 괴물, 인간 내면의 공포를 다루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고 케이트 부시의 노래와 일본의 음반 발매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98년 뮤지컬 - 헤드윅 (뮤지컬)
젠더퀴어 록 가수 헤드윅 로빈슨의 삶과 '열받은 일 인치'에 얽힌 사연을 독백, 노래, 하드록 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전달하는 록 뮤지컬 헤드윅은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고, 퀴어 정체성 탐구, 사랑의 기원과의 연관성, 이원론적 주제 등을 다루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호평을 받았다. - 1998년 뮤지컬 - 아이다 (뮤지컬)
뮤지컬 아이다는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를 원작으로 엘튼 존과 팀 라이스가 음악과 가사를 맡아 제작한 디즈니 뮤지컬로,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리는 사랑과 비극적인 운명을 그린다. - 프랑스의 뮤지컬 - 레 미제라블 (뮤지컬)
《레 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각색하여 사회 정의와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는 뮤지컬로, 프랑스에서 초연된 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한국에서도 공연되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프랑스의 뮤지컬 - 로미오와 줄리엣 (2001년 뮤지컬)
제라르 프레스귀르빅이 작곡하고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원작으로 한 프랑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은 2001년 프랑스 파리 초연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전 세계에서 공연되었으며, 각 프로덕션은 등장인물, 음악, 의상, 죽음 묘사에서 차이를 보인다.
노트르담 드 파리 (뮤지컬)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 |
음악 | 리샤르 코치앙트 |
프랑스어 가사 | 뤽 플라몽동 |
영어 가사 | 윌 제닝스 |
연출 | 질 마에우 |
대본 | 뤽 플라몽동 |
기네스 세계 기록 | 기네스 세계 기록 |
프로덕션 | |
1998년 | 파리 |
1999년 | 국제 투어 |
2000년 | 라스베이거스 |
2000년 | 웨스트 엔드 |
2001년 | 파리 |
2001년 | 바르셀로나 |
2002년 | 이탈리아 투어 |
2002년 | 모스크바 |
2005년 | 국제 투어 |
2005년 | 몬트리올 |
2007년 | 한국 투어 |
2010년 | 안트베르펜 |
2010년 | 콘서트 투어 |
2011년 | 이탈리아 투어 |
2012년 | 국제 투어 |
2013년 | 서울 |
2014년 | 국제 투어 |
2016년 | 이탈리아 투어 |
2016년 | 서울 |
2016년 | 그디니아 |
2016년 | 파리 |
2017년 | 국제 투어 |
2018년 | 아스타나 |
2022년 | 이탈리아 투어 |
2. 역사
1998년 퀘벡 초연 당시 주요 배역과 배우는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1 | 배우 2 |
---|---|---|
에스메랄다 | 프랑스 다무르 | 마리-조 테리오 |
카지모도 | 마리오 펠샤 | 폴 비송 |
플로로 | 로베르 마리앙 | 마르크 가브리엘 |
그랭구와르 | 실뱅 코세트 | 장-프랑수아 브로 |
페뷔스 | 피에르 베나르-콩웨이 | 장 라벨 |
클로팽 | 찰스 비들 주니어 | 다니엘 프루디앙 |
플뢰르 드 리스 | 나타샤 생-피에르 | 마리-이브 장비에 |
2. 1. 원작과 뮤지컬의 탄생
15세기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을 무대로, 집시 소녀 에스메랄다, 추한 종지기 콰지모도, 사제 클로드 프롤로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다.[13]뮤지컬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았던 프랑스에서 1998년 파리 초연 이후 크게 성공하여, 빅투아르 드 라 뮈지크 등에서 수많은 음악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성공은 프랑스를 넘어 벨기에, 스위스, 퀘벡 등 프랑스어권 국가를 시작으로 미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한국 등 세계 15개국으로 이어졌다.[13] 각 나라에서는 현지 언어로 번역된 버전이 상연되기도 하였다.
특히 중국, 한국,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프랑스어 원어 버전이 상연되었으며, 이는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프랑스 뮤지컬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2. 2. 세계적인 성공과 한국 초연
뮤지컬 불모지로 여겨지던 프랑스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99년 빅투아르 드 라 뮈지크를 비롯한 여러 음악상을 수상했다.이러한 성공은 프랑스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1998년 파리 초연 이후, 벨기에, 스위스, 퀘벡 등 프랑스어권 국가를 시작으로 미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한국 등 전 세계 15개국 이상에서 공연되었다.[13]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된 버전이 상연되기도 했다.
중국, 한국,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프랑스어 원어 버전으로 공연되었으며, 이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프랑스 뮤지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3. 등장인물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빅토르 위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15세기 파리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사랑과 욕망, 갈등을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그랭구아르''': 극의 해설자이자 시인이다. 그는 "대성당의 시대"를 노래하며 극의 시작을 알리고, 이야기의 배경과 인물들의 감정을 설명하며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때로는 극 중 사건에 직접 참여하기도 한다.[15]
- '''에스메랄다''': 아름다운 집시 여인으로, 자유로운 영혼과 순수한 마음을 지녔다. 그녀의 춤과 노래는 많은 이들을 매료시키지만, 동시에 프롤로 부주교의 집착과 페뷔스 근위대장의 변덕스러운 관심, 콰지모도의 순수한 사랑의 대상이 되면서 비극적인 운명에 휘말린다. 사회적 약자로서 부당한 편견과 억압에 맞서는 모습을 보인다.[15]
- '''콰지모도''':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로, 꼽추에 추한 외모를 가졌다. 세상으로부터 버림받고 성당 안에서만 살아왔지만, 자신에게 처음으로 친절을 베푼 에스메랄다에게 깊은 사랑과 헌신을 바친다. 그의 사랑은 외모지상주의와 세상의 부당함 속에서 더욱 빛나는 순수함을 보여준다.[18]
- '''프롤로''':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이자 콰지모도의 양아버지이다. 신앙심 깊은 성직자의 모습 뒤에 에스메랄다를 향한 강렬하고 뒤틀린 욕망을 숨기고 있다. 자신의 욕망과 종교적 신념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에스메랄다를 소유하기 위해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이용하여 파멸로 치닫는 위선적인 인물이다.[17]
- '''페뷔스''': 왕실 근위대장으로, 잘생긴 외모를 가졌으나 약혼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스메랄다의 아름다움에 쉽게 매혹되는 가볍고 이기적인 인물이다. 플뢰르 드 리스와 에스메랄다 사이에서 갈등하지만, 결국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안위를 선택하며 에스메랄다를 외면한다.[15]
- '''클로팽''': 파리에 흘러든 집시들의 지도자이자 에스메랄다의 보호자이다. 사회로부터 소외된 이들을 이끌며 그들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강인하고 정의로운 인물이다. 에스메랄다를 딸처럼 아끼며 보호하려 하지만,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15]
- '''플뢰르 드 리스''': 페뷔스의 약혼녀로, 고귀한 신분의 아름다운 여성이다. 페뷔스를 깊이 사랑하지만 그의 변심과 에스메랄다의 존재로 인해 질투와 고통을 느낀다. 자신의 사랑과 지위를 지키기 위해 에스메랄다의 희생을 묵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3. 1. 주요 인물
3. 2. 오리지널 프랑스 프로덕션 주요 캐스트
4. 줄거리
1482년 파리, 음유시인 그랭구와르가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들려주며 극이 시작된다. 클로팽이 이끄는 집시 무리가 파리에 도착해 정착하려 하지만, 노트르담 대성당의 주교인 프롤로는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 프롤로는 근위대장 페뷔스에게 집시들을 추방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페뷔스는 아름다운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에게 첫눈에 반하게 된다. 에스메랄다는 기적의 궁정의 보호를 받는 순수한 영혼으로, 페뷔스에게 매료된다. 하지만 그녀를 둘러싼 세 남자의 마음은 복잡한 관계로 얽히게 된다.
- 페뷔스: 에스메랄다에게 끌리지만, 아름다운 귀족 여성 플뢰르 드 리스와 약혼한 상태이다.[14]
- 프롤로: 성직자라는 신분 때문에 가질 수 없는 에스메랄다를 향한 강렬한 욕망에 괴로워한다.
- 콰지모도: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로, 추한 외모를 가졌지만 에스메랄다를 순수하게 사랑하게 된다. 그는 자신을 거두어 준 프롤로에게 충성하면서도 에스메랄다를 향한 연민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한다.
이들의 엇갈린 사랑과 욕망은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지게 된다.
4. 1. 1막
이야기는 1482년 파리를 배경으로 시작된다. 해설자 역할을 겸하는 시인 그랭구아르가 등장하여, 인간이 대성당을 지으며 역사를 써 내려갔다고 노래하며 극의 서막을 연다 (''Le temps des cathédrales'').클로팽이 이끄는 집시와 난민 무리가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 모여 안식처를 구걸한다 (''Les sans-papiers''). 그러나 노트르담의 수석 사제인 프롤로는 이들을 탐탁지 않게 여기고, 왕실 궁수대 대장 페뷔스에게 병력을 동원해 이들을 해산시키라고 명령한다 (''Intervention de Frollo''). 병사들이 난민들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페뷔스는 아름다운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발견하고 첫눈에 반한다. 에스메랄다는 페뷔스에게 자신의 삶과 꿈에 대해 이야기하고 (''Bohémienne''), 페뷔스는 그녀를 체포하는 대신 그대로 둔다.
에스메랄다의 보호자인 클로팽은 그녀가 더 이상 소녀가 아니며 사랑을 알 나이가 되었음을 이야기하며, 남자를 조심하라고 경고한다 (''Esmeralda tu sais''). 한편, 페뷔스의 약혼녀인 아름다운 귀족 여성 플뢰르 드 리스는 페뷔스를 향한 순수하지만 맹목적인 사랑을 노래한다 (''Ces diamants-là'').
이어 떠들썩한 '바보들의 축제'가 열린다 (''La fête des fous''). 축제의 절정은 가장 추한 얼굴을 가진 사람을 '바보들의 교황'으로 뽑는 것인데,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이자 꼽추인 콰지모도가 만장일치로 선출된다. 그러나 콰지모도는 이 영광 속에서도 에스메랄다 같은 아름다운 여인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는 현실을 깨닫는다 (''Le pape des fous''). 축제를 중단시킨 프롤로는 콰지모도에게 에스메랄다를 납치해 오라고 명령한다. 그는 에스메랄다를 마녀로 몰아 투옥시킬 계획이다 (''La sorcière''). 어릴 적 자신을 거두어 준 프롤로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콰지모도는 명령을 따른다 (''L'enfant trouvé'').
밤이 되자 그랭구아르는 파리의 숨겨진 비밀에 대해 노래한다 (''Les portes de Paris'').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려 하지만, 순찰 중이던 페뷔스와 그의 부하들에게 발각되어 체포된다. 페뷔스는 에스메랄다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다음 날 밤 발 도르(Val d'Amour)에서 만날 것을 약속한다 (''Tentative d'enlèvement'').
파리의 부랑자들의 소굴인 기적의 궁정에서 클로팽은 모두가 평등하다고 외치며 흥겨운 분위기를 이끈다 (''La cour des miracles''). 이곳에 잘못 들어선 그랭구아르는 교수형에 처할 위기에 놓이지만, 마침 나타난 에스메랄다가 형식적으로나마 그와 결혼하기로 동의하면서 목숨을 구한다. 둘만 남게 되자 그랭구아르는 자신은 여자를 밝히는 남자는 아니지만, 그녀가 자신의 뮤즈가 되어주길 바란다고 말한다. 에스메랄다는 그에게 '페뷔스'라는 이름의 뜻을 묻고, 그랭구아르는 라틴어로 '태양'을 의미한다고 답한다. 에스메랄다는 페뷔스에 대한 낭만적인 감정에 빠진다 (''Le mot Phoebus'', ''Beau comme le soleil''). 같은 시각, 플뢰르 드 리스 역시 페뷔스를 향한 사랑을 노래한다. 그러나 정작 페뷔스는 에스메랄다와 플뢰르 드 리스 사이에서 갈등하며 두 여자를 모두 원한다 (''Déchiré'').
다음 날, 프롤로는 그랭구아르를 노트르담으로 소환하여 에스메랄다에 대해 질문하고 그녀를 만지지 못하게 한다. 그랭구아르는 화제를 돌려 노트르담 벽의 '아난케(ANArKH)'라는 글자에 대해 질문하고, 프롤로는 그것이 그리스어로 '운명'을 뜻한다고 답한다 (''Anarkia''). 이때 콰지모도가 에스메랄다 납치 미수 혐의로 바퀴 형틀에 묶여 끌려 나온다. 고통 속에서 물을 갈구하는 콰지모도에게 (''A boire'') 에스메랄다가 다가가 물을 건넨다. 그녀의 친절에 깊이 감동한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향한 애틋한 감정을 느낀다. 이 장면을 지켜보는 프롤로는 에스메랄다에 대한 강렬한 욕망에 사로잡히고, 페뷔스 역시 플뢰르 드 리스와의 결혼 전에 에스메랄다와 관계를 맺고 싶어한다. 세 남자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에스메랄다를 향한 마음을 노래한다 (''Belle'').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데려가 성당이 자신의 집이자 안식처이며, 그녀 역시 원할 때 언제든 이곳을 피난처로 삼을 수 있다고 말해준다 (''Ma maison c'est ta maison''). 에스메랄다는 콰지모도의 순수함에 감동하여 마음을 연다. 혼자 남은 에스메랄다는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를 올리고 (''Ave Maria païen''), 콰지모도는 멀리서 그녀를 향한 애틋한 마음을 표현한다 (''Si tu pouvais voir en moi''). 한편, 에스메랄다를 몰래 지켜보던 프롤로는 그녀를 향한 욕망이 자신을 파멸시킬 것을 알면서도 멈출 수 없음을 깨닫고 괴로워한다 (''Tu vas me détruire'').
그날 밤, 페뷔스는 에스메랄다를 만나기 위해 발 도르 카바레로 향한다. 그를 몰래 뒤쫓던 프롤로가 나타나 더 이상 가지 말라고 경고하지만 (''L'ombre''), 페뷔스는 이를 무시한다. 발 도르에서 그랭구아르는 이곳이 모든 이들이 즐거움을 찾는 곳이라고 노래한다 (''Le Val d’Amour''). 페뷔스는 에스메랄다와 밀회를 가지고 (''La volupté''), 두 사람이 사랑을 나누려는 순간, 숨어있던 프롤로가 뛰쳐나와 에스메랄다의 칼로 페뷔스를 찌르고 도망친다. 쓰러진 페뷔스를 보며 에스메랄다는 절규하고, 그랭구아르, 프롤로, 콰지모도 등 등장인물들은 잔혹한 운명의 힘을 노래하며 1막이 끝난다 (''Fatalité'').
# | 원어 프랑스어 제목 | 영어 버전 제목 | 출연 |
---|---|---|---|
1 | Ouverture | 서곡 | 오케스트라 |
2 | Le temps des cathédrales | 대성당 시대 | 그랭구와르 |
3 | Les sans-papiers | 무국적자 | 클로팽, 합창단 |
4 | Intervention de Frollo | 프롤로의 개입 | 프롤로, 페뷔스 |
5 | Bohémienne | 보헤미안 | 에스메랄다 |
6 | Esmeralda tu sais | 에스메랄다, 알잖아 | 클로팽, 에스메랄다 |
7 | Ces diamants-là | 더 이상 사랑을 찾지 마세요 | 플뢰르 드 리스, 페뷔스 |
8 | La fête des fous | 바보들의 축제 | 그랭구와르, 합창단 |
9 | Le pape des fous | 바보들의 왕 | 콰지모도 |
10 | La sorcière | 마녀 | 프롤로, 콰지모도 |
11 | L'enfant trouvé | 고아 | 콰지모도 |
12 | Les portes de Paris | 파리의 문 | 그랭구와르 |
13 | Tentative d'enlèvement | 납치 시도 | 페뷔스, 에스메랄다 |
14 | La cour des miracles | 기적의 궁정 | 클로팽, 에스메랄다, 합창단 |
15 | Le mot Phoebus | 페뷔스라는 단어 | 에스메랄다, 그랭구와르 |
16 | Beau comme le soleil | 태양처럼 아름다운 | 에스메랄다, 플뢰르 드 리스 |
17 | Déchiré | 찢어진 | 페뷔스 |
18 | Anarkia | 아나키 | 프롤로와 그랭구와르 |
19 | A boire | 물 좀 주세요! | 프롤로, 콰지모도, 합창단 |
20 | Belle | 벨 (유일한 단어) |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
21 | Ma maison c'est ta maison | 하늘 속의 집 | 콰지모도와 에스메랄다 |
22 | Ave Maria païen | 이교도의 아베 마리아 | 에스메랄다 |
23 | Si tu pouvais voir en moi | 네가 내 안을 볼 수 있다면 | 콰지모도 |
24 | Tu vas me détruire | 당신의 사랑은 나를 죽일 거예요 | 프롤로 |
25 | L'ombre | 그림자 | 페뷔스와 프롤로 |
26 | Le val d'amour | 사랑의 계곡에서 | 그랭구와르, 페뷔스, 합창단 |
27 | La volupté | 관능 | 페뷔스와 에스메랄다 |
28 | Fatalité | 운명 | 그랭구와르, 프롤로, 콰지모도, 클로팽, 플뢰르 드 리스 |
4. 2. 2막
2 여기에 표시된 영어 제목은 프로덕션의 영어 버전의 노래 제목이며, 반드시 원곡 제목을 직접 번역한 것은 아닙니다.5. 음악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다양한 버전의 캐스트 앨범과 연주 앨범, 그리고 공연 실황 비디오가 발매되었다.
'''캐스트 앨범'''
- 1997년: 컨셉 앨범
- 1998년: 오리지널 파리 캐스트, 팔레 데 콩그레 라이브
- 2000년: 런던 스튜디오 앨범
- 2001년: 프랑스 스튜디오 앨범
- 2001년: 파리 캐스트 (모가도르 극장 라이브)
- 2001년: 오리지널 스페인 캐스트
- 2001년: 오리지널 이탈리아 캐스트
- 2002년: 이탈리아 캐스트, 베로나 아레나 라이브
- 2002년: 오리지널 러시아 캐스트
- 2002년: 레 코르 드 프랑스와 함께한 프랑스 스튜디오 앨범
- 2005년: 한국 투어 캐스트
- 2008년: 오리지널 한국 캐스트
- 2009년: 오리지널 하이라이트 러시아 캐스트
- 2010년: 오리지널 플레미시 캐스트
- 2017년: 파리 캐스트 (라이브)
'''연주 앨범'''
- 1999년: ''I Fiamminghi''의 오케스트라 프랑스어 및 영어 버전
- 2000년: 앨런 라포인트의 피아노 버전
- 2003년: 이탈리아 캐스트의 연주 버전
- 2008년: 러시아 캐스트의 연주 버전
'''비디오 녹화'''
- 1999년: 팔레 데 콩그레 라이브[10]
- 2001년: 베로나 아레나 라이브[11]
- 2002년: 채널 원 러시아 라이브[12]
- 2008년: 세종문화회관 라이브
5. 1. 대표곡
- Belle (아름답다):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세 남자가 에스메랄다를 향한 각기 다른 종류의 사랑과 욕망을 노래하는 곡이다. 서로 다른 위치와 감정에서 출발하지만, 에스메랄다의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강렬하게 표현하며 작품 전체를 대표하는 명곡으로 꼽힌다.[10] 이 곡은 프랑스 차트에서 오랫동안 1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 Le temps des cathédrales (대성당들의 시대): 극의 시작을 알리는 곡으로, 시인 그랭구아르가 부른다. 15세기 말 파리를 배경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대표되는 중세 시대가 저물고 르네상스와 새로운 사상이 도래하는 시대의 변화를 장엄하게 노래한다.[10] 이야기의 배경과 주제를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Vivre (살리라): 에스메랄다가 부르는 솔로곡으로, 억압과 죽음의 위협 속에서도 자유로운 삶과 사랑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10] 노트르담 대성당에 피신하여 콰지모도의 보호를 받는 동안, 자신이 사랑하는 페뷔스를 향한 마음과 역경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간절함을 표현한다.
- Danse mon Esmeralda (춤을 춰요, 나의 에스메랄다): 극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곡으로, 콰지모도가 죽은 에스메랄다를 안고 부르는 비통한 노래이다.[10] 에스메랄다를 향한 콰지모도의 순수하고 헌신적인 사랑, 그리고 그녀를 지키지 못한 슬픔과 절망이 절절하게 담겨 있다. 죽음조차 갈라놓을 수 없는 사랑을 다짐하며 극은 마무리된다.
5. 2. 전체 곡 목록
'''제1막'''- 1. Ouverturefra / 서곡
- 2. Le temps des cathédralesfra / 대성당들의 시대 (그랭구아르)
- 3. Les sans-papiersfra / 거리의 방랑자들 (클로팽)
- 4. Intervention de Frollofra / 프롤로의 명령 (프롤로, 페뷔스)
- 5. Bohémiennefra / 보헤미안 (에스메랄다)
- 6. Esmeralda tu saisfra / 에스메랄다, 너도 (클로팽)
- 7. Ces diamants-làfra / 다이아몬드 (플뢰르 드 리스, 페뷔스)
- 8. La fête des fousfra / 미치광이들의 축제 (그랭구아르)
- 9. Le Pape des Fousfra / 미치광이들의 교황 (콰지모도)
- 10. La sorcièrefra / 마녀 (프롤로, 콰지모도)
- 11. L'enfant trouvéfra / 버려진 아이 (콰지모도)
- 12. Les portes de Parisfra / 파리의 문들 (그랭구아르)
- 13. Tentative d'enlèvementfra / 납치 시도 (페뷔스, 에스메랄다)
- 14. La Cour des miraclesfra / 기적의 궁전 (클로팽, 에스메랄다)
- 15. Le mot Phœbusfra / 페뷔스란 이름 (에스메랄다, 그랭구아르)
- 16. Beau comme le soleilfra / 태양처럼 눈부신 (에스메랄다, 플뢰르 드 리스)
- 17. Déchiréfra / 괴로워 (페뷔스)
- 18. Anarkiafra / 아나키아 (프롤로, 그랭구아르)
- 19. À boire!fra / 물을 주오 (프롤로, 콰지모도)
- 20. Bellefra / 아름답다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 21. Ma maison, c'est ta maisonfra / 내 집은 그대의 집 (콰지모도, 에스메랄다)
- 22. Ave Maria païenfra / 이방인의 아베마리아 (에스메랄다)
- 23. Je sens ma vie qui basculefra / 내 마음을 볼 수 있다면 (프롤로)
- 24. Tu vas me détruirefra / 파멸의 길로 나를 (프롤로)
- 25. L'ombrefra / 그림자 (페뷔스, 프롤로)
- 26. Le Val d'Amourfra / 발 다무르 카바레 (그랭구아르, 페뷔스)
- 27. La voluptéfra / 사랑의 기쁨 (페뷔스, 에스메랄다)
- 28. Fatalitéfra / 숙명이여 (그랭구아르)
'''제2막'''
- 29. Florencefra / 피렌체 (프롤로, 그랭구아르)
- 30. Les clochesfra / 성당의 종들 (그랭구아르, 프롤로, 콰지모도)
- 31. Où est-elle?fra / 그녀는 어디에? (프롤로, 그랭구아르, 클로팽)
- 32. Les oiseaux qu'on met en cagefra / 새장 속에 갇힌 새 (에스메랄다, 콰지모도)
- 33. Condamnésfra / 죄인들 (클로팽)
- 34. Le procèsfra / 재판 (프롤로, 에스메랄다)
- 35. La torturefra / 고문 (프롤로, 에스메랄다)
- 36. Phœbusfra / 페뷔스 (에스메랄다)
- 37. Être prêtre et aimer une femmefra / 신부가 되어 여자를 사랑한다는 것 (프롤로)
- 38. La monturefra / 말 탄 그대 모습 (플뢰르 드 리스)
- 39. Je reviens vers toifra / 그대 곁으로 돌아가겠어 (페뷔스)
- 40. Visite de Frollo à Esmeraldafra / 에스메랄다를 찾아간 프롤로 (프롤로, 에스메랄다)
- 41. Un matin tu dansaisfra / 네가 춤추던 그 날 아침 (프롤로, 에스메랄다)
- 42. Libérésfra / 해방 (콰지모도, 클로팽, 에스메랄다, 그랭구아르)
- 43. Lunefra / 달 (그랭구아르)
- 44. Je te laisse un siffletfra / 그대에게 호각을 줄께요 (콰지모도, 에스메랄다)
- 45. Dieu que le monde est injustefra / 불공평한 이 세상 (콰지모도)
- 46. Vivrefra / 살리라 (에스메랄다)
- 47. L'attaque de Notre-Damefra / 노트르담 성당 습격 (클로팽, 프롤로, 페뷔스, 에스메랄다, 그랭구아르)
- 48. Déportésfra / 추방 (페뷔스)
- 49. Mon maître, mon sauveurfra / 나의 주인, 나의 구원자 (콰지모도, 프롤로)
- 50. Donnez-la moifra / 그녀를 내게 주오 (콰지모도)
- 51. Danse mon Esmeraldafra / 춤을 춰요, 나의 에스메랄다 (콰지모도)
- 52. Danse mon Esmeraldafra (Reprise) / 춤을 춰요, 나의 에스메랄다 (되풀이)
- 53. Le temps des cathédralesfra (Reprise) / 대성당들의 시대 (되풀이)
런던 공연 이후, 제2막의 일부 곡 순서가 변경되었다. 1998년 발매된 전곡 CD 및 라이브 DVD 버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Phœbusfra → Être prêtre et aimer une femmefra → La monturefra → Je reviens vers toifra
이 변경으로 가사는 바뀌지 않았지만, 해당 부분의 이야기 흐름에 변화가 생겼다.
6. 한국 공연
역대 한국 공연에 참여했던 주요 배우들은 다음과 같다.
7. 평가 및 영향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뮤지컬이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았던 프랑스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프랑스 뮤지컬의 부흥을 이끈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의 성공은 이후 등장하는 다른 프랑스 뮤지컬들이 대중에게 알려지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1998년 파리 초연 이후, 벨기에, 스위스, 퀘벡 등 프랑스어권 국가는 물론 미국,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한국 등 세계 15개국 이상에서 공연되었으며[13],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어 상연되기도 했다. 특히 중국, 한국,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프랑스어 원어 버전이 직접 공연되었고, 이는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 프랑스 뮤지컬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뮤지컬의 성공 요인으로는 사랑을 중심으로 한 보편적인 이야기와 더불어, 공연 시작 전부터 작품의 주요 곡들을 라디오나 TV 등 대중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한 전략이 꼽힌다. 이러한 홍보 방식은 영국 공연에서도 이어져, 당시 무대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세계적인 가수 셀린 디온이 "Vivre"를 부르기도 했다.
작품의 삽입곡 중 "Belle", "Vivre", "Le temps des cathédrales" 등은 싱글 CD로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콰지모도, 프롤로, 페뷔스 세 남성 캐릭터가 에스메랄다를 향한 각기 다른 사랑을 노래하는 "Belle"는 가루, 다니엘 라부아, 파트리크 피오리가 함께 불렀으며, 프랑스 음반 차트에서 장기간 1위를 차지하는 등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오리지널 캐스트는 프랑스와 퀘벡 출신 가수들로 구성되었는데, 이 뮤지컬의 성공을 발판으로 파트리크 피오리, 가루, 엘렌 세가라, 쥘리 제나티 등 여러 출연자들이 프랑스에서 성공적인 솔로 가수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다. 또한, 《노트르담 드 파리》는 프랑스의 권위 있는 음악 시상식인 빅투아르 드 라 뮈지크(Victoires de la Musique) 1999년 시상식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 PAGE FOR - Notre-Dame de Paris
https://web.archive.[...]
2010-05-29
[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
웹사이트
Quasimodo's comeback: Victor Hugo musical returns for second stab at UK
http://www.theguardi[...]
2019-01-08
[4]
웹사이트
Notre Dame de Paris
https://www.londonth[...]
2016-06-08
[5]
웹사이트
Concert | Les plus grandes chansons de Notre-Dame de Paris en concert avec sur scène 70 musiciens et 40 choristes
https://web.archive.[...]
Nd-leconcert.com
2014-05-16
[6]
웹사이트
"Notre-Dame de Paris" renaît enfin !
http://www.parismatc[...]
Paris Match
2011-01-31
[7]
웹사이트
Notre Dame de Paris Concert
https://www.beirut.c[...]
2012-07-09
[8]
웹사이트
«Notre Dame de Paris» revient au Palais des Congrès 18 ans après
https://www.leparisi[...]
2016-02-17
[9]
웹사이트
Notre Dame de Paris | Official US Website
https://notredamedep[...]
[10]
Youtube
Video - Notre-Dame de Paris in Congress Palace on Youtube
https://www.youtube.[...]
2012-09-27
[11]
Youtube
Video - Notre-Dame de Paris at Arena di Verona on Youtube
https://www.youtube.[...]
2012-06-18
[12]
Youtube
Video - Notre-Dame de Paris from Channel One Russia on Youtube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ノートルダム・ド・パリ<英語版> (日本語)
http://www.harmonyja[...]
[14]
문서
紋章フルール・ド・リスの名を持つ。フランスでは政治的・表象的・象徴的意味合いが強い
[15]
문서
나중에 나온 버전 중에는 에스메랄다가 노트르담 성당 앞에서 춤을 출 때 페뷔스가 그녀를 처음 발견하도록 장면 변화를 준 것도 있다.
[16]
문서
축제인 주현제에 모인 사람 가운데 생김새가 가장 흉한 사람을 뽑아 1일 교황으로 삼는 날
[17]
문서
당시 집시에게 흔히 붙는 오해였다.
[18]
문서
콰지모도는 추한 생김새 때문에 아기 때 버림 받았고, 프롤로가 그런 그를 주워 키우고 교육시켰다.
[19]
문서
"Phoebus \n\n Quand j'ai le corps en mal d'amour \n Sitôt j'accours au Val d'Amour \n On n'en ressort qu'au petit jour \n Du cabaret du Val d'Amour \n\n\n노래 중 페뷔스는 사랑에 대한 고민이 있을 때마다 이곳에 왔으며, 새벽까지 나오지 않곤 했다고 말한다."
[20]
문서
원작에서 에스메랄다는 항상 이 비수를 갖고 다니는 것으로 묘사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돌아온 '노트르담 드 파리'…다시 태어난 '심청'
내한 20주년 '노트르담 드 파리'…”韓사랑, 우리의 자부심”(종합)
'전 여친 폭행 의혹' 전호준 "법적 절차 밟는 중…잘못한 부분 있다면 책임질 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