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다 (뮤지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다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를 기반으로 한 뮤지컬로, 디즈니가 엘튼 존의 제안으로 뮤지컬로 제작했다. 1998년 애틀랜타 초연 이후 시카고 공연을 거쳐 2000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어 2004년까지 공연되었다. 브로드웨이 공연은 헤더 헤들리가 아이다 역으로 토니상과 드라마 데스크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으며, 팝 스타들이 아이다 역을 맡기도 했다. 뮤지컬은 2000년 토니상에서 최우수 오리지널 스코어, 뮤지컬 여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줄거리는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누비아 공주 아이다와 이집트 장군 라다메스, 그리고 이집트 공주 암네리스 간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다. 이 작품은 한국에서도 극단 사계와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의해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페라의 뮤지컬화 작품 - 미스 사이공
뮤지컬 《미스 사이공》은 《나비 부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미군 병사와 베트남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전쟁의 비극성과 개인의 희생을 대비시켜 보여주지만, 아시아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인종차별적 묘사로 논란이 되고 있다. - 1998년 뮤지컬 - 헤드윅 (뮤지컬)
젠더퀴어 록 가수 헤드윅 로빈슨의 삶과 '열받은 일 인치'에 얽힌 사연을 독백, 노래, 하드록 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전달하는 록 뮤지컬 헤드윅은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고, 퀴어 정체성 탐구, 사랑의 기원과의 연관성, 이원론적 주제 등을 다루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호평을 받았다. - 1998년 뮤지컬 - 노트르담 드 파리 (뮤지컬)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를 원작으로 1998년 프랑스에서 초연된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질 마유 연출, 질베르토 시누에와 뤽 플라몽동 극본, 리카르도 코치안테 음악으로 제작되었으며, "Belle", "Vivre", "대성당들의 시대" 등의 대표곡으로 프랑스 뮤지컬 부흥을 이끌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어 7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15개국에서 공연되었다. -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미이라의 유령
미이라의 유령은 1944년 유니버설 픽처스에서 제작된 공포 영화로, 론 채니 주니어가 미이라 카리스 역을 맡아 아난카 공주의 환생인 아미나를 이집트로 데려가려는 사제 유세프 베이와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시누헤 이야기
시누헤 이야기는 아메넴헤트 1세의 죽음 후 두려움에 가나안으로 도망친 고관 시누헤의 여정을 통해 이집트의 이상과 도덕을 탐구하고 고향의 가치를 되새기는 고대 이집트 문학 작품이다.
아이다 (뮤지컬) | |
---|---|
뮤지컬 정보 | |
제목 | 아이다 |
음악 | 엘튼 존 |
가사 | 팀 라이스 |
극본 | 린다 울버턴 로버트 폴스 데이비드 헨리 황 |
원작 |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 |
초연 | 1998년 애틀랜타 |
주요 프로덕션 | 1999년 시카고 2000년 브로드웨이 2002년 미국 투어 |
수상 | 토니상 최우수 오리지널 스코어상 그래미상 최우수 뮤지컬 쇼 앨범상 |
![]() |
2. 역사적 배경
이 뮤지컬은 주세페 베르디의 이탈리아어 오페라 아이다를 기반으로 하며, 대본은 안토니오 기슬란초니가 썼다.[1] 소프라노 리온타인 프라이스가 쓴 어린이용 그림책 버전으로 각색된 베르디의 오페라에서 시작되었다.[1] 이 책에는 레오 앤 다이앤 딜런의 삽화가 포함되었다.
2. 1. 원작 및 제작 배경
이 작품은 주세페 베르디의 이탈리아어 오페라 동명의 오페라를 기반으로 하며, 대본은 안토니오 기슬란초니가 썼다. 이 뮤지컬은 소프라노 리온타인 프라이스가 쓴 베르디의 오페라를 어린이용 그림책 버전으로 각색한 데서 시작되었다.[1] 이 책에는 레오 앤 다이앤 딜런의 삽화가 포함되었다. 1994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이 책의 판권을 획득했다. 하지만, 엘튼 존은 《라이온 킹》 이후 또 다른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으려 했고, 디즈니 임원들은 대신 브로드웨이 각색을 제안했다. 존은 "오페라 관련 사람들은 매우 엘리트주의적일 수 있다"는 의견에도 불구하고, 팀 라이스와 함께 즉시 계약을 체결했다.[2]2. 2. 초연 및 브로드웨이 공연
''정교한 삶: 아이다의 전설''은 1998년 9월 16일부터 11월 8일까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얼라이언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4] 애틀랜타 프로덕션에는 헤더 헤들리 (아이다), 행크 스트래턴 (라다메스), 셰리 르네 스콧 (암네리스)이 출연했다. 원래 애틀랜타 공연은 거의 비어 있는 세트에 단 6톤의 금색 피라미드 모양 세트 조각을 중앙에 배치하는 것으로 구상되었으나, 1000만달러에 달하는 가격으로 제작된 이 세트 조각은 잦은 고장을 일으켰고, 결국 시카고 재공연을 위해 새로운 프로덕션 디자이너가 고용되었다.1999년 11월 12일, 새롭게 수정된 프로덕션이 시카고의 캐딜락 팰리스에서 개막하여 2000년 1월 9일까지 공연되었다.[5][6] ''아이다'' 제작진은 시카고 프로덕션을 위해 팀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는데, 애틀랜타 공연에서 헤들리 (아이다)와 르네 스콧 (암네리스)만이 주연으로 남았고, 애덤 파스칼이 라다메스 역으로 합류했다. 로버트 폴스가 연출을, 밥 크롤리가 세트 디자인을 맡았으며, 안무가 웨인 실렌토가 새롭게 팀에 합류했다. 시카고 프로덕션에는 "Our Nation Holds Sway"라는 넘버가 있었으나, 최종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에서는 삭제되었다. 1999년 11월 13일 시카고 캐딜락 극장 공연 중, 마지막 순간에 세트 사고로 헤들리와 파스칼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두 배우는 매달린 상자 형태의 '무덤'에 갇혀 이동하던 중 세트 조각이 무대 위 8피트 높이에서 떨어지면서 경미한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몇 시간 후 퇴원했다.[7]
2000년 3월 23일, 뮤지컬은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아이다(Elton John and Tim Rice's Aida)'라는 제목으로 브로드웨이 팰리스 극장에서 초연되었고, 30번의 프리뷰와 1,852번의 공연을 거쳐 2004년 9월 5일에 막을 내렸다. 이는 브로드웨이 역사상 39번째로 긴 공연 기록이다.[8]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은 로버트 폴스가 연출하고 웨인 실렌토가 안무를 맡았으며, 밥 크롤리가 무대 및 의상 디자인, 나타샤 카츠가 조명 디자인, 스티브 C. 케네디가 음향 디자인을 담당했다. 브로드웨이의 '아이다'는 99주 만에 투자금을 회수하고 1200만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며 재정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9]
헤더 헤들리는 아이다 역을 처음 맡아 2000년 공연으로 토니상과 드라마 데스크상 뮤지컬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아담 파스칼은 브로드웨이 초연과 폐막 공연에서 라다메스 역을 맡았다. 셰리 르네 스콧은 프로젝트의 첫 워크숍부터 참여하여 암네리스 역을 처음 맡았으며, 2000년 공연으로 가장 유망한 여배우에게 수여되는 클래런스 더웬트상을 수상했다.
데보라 콕스, 토니 브랙스턴, 미셸 윌리엄스 등 여러 팝 스타들이 브로드웨이 공연 기간 동안 아이다 역을 맡았으며, 마야 데이즈, 세이컨 센글로, 리사 시몬, 멀 단드리지도 아이다 역으로 출연했다. 라다메스 역의 주목할 만한 교체 배우로는 윌 체이스, 패트릭 캐시디, 리처드 H. 블레이크 등이 있었다. 암네리스 역의 주목할 만한 교체 배우로는 이디나 멘젤, 제시카 헨디, 맨디 곤잘레스 등이 있었다.
3. 줄거리
뮤지컬 《아이다》는 현대 박물관의 이집트 관에서 시작된다. 암네리스 여왕의 조각상이 살아나 고대 이집트 시대로 관객들을 이끌며 이야기가 전개된다.[3] 이집트 사령관 라다메스는 누비아와의 전쟁 중 포로로 잡은 누비아 여인들, 특히 용감하고 반항적인 아이다에게 특별한 인상을 받는다. 라다메스는 아이다를 자신의 약혼녀인 암네리스 공주에게 보내고, 아이다는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공주를 보좌하게 된다.
이집트와 누비아의 갈등 속에서 라다메스와 아이다는 서로에게 점점 끌리게 된다. 그러나 그들의 사랑은 아이다의 아버지이자 누비아의 왕인 아모나스로가 이집트 군에 체포되면서 위기를 맞는다. 아이다는 조국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고, 라다메스는 자신의 지위와 사랑 사이에서 고뇌한다.
3. 1. 1막
현대 박물관의 이집트관에서, 한 남성과 한 여성이 전시물을 둘러보다 서로 눈이 마주친다. 여성 파라오인 암네리스의 조각상이 살아나("Every Story Is a Love Story") 그들을 고대 이집트로 데려간다.[3] 그곳에서 이집트 군대의 대장인 라다메스와 그의 부하들은 이집트의 오랜 적국인 누비아를 지나 탐험을 마치고 돌아오고 있다("Fortune Favors the Brave").[3] 그의 군인들이 누비아 여성들을 붙잡자, 그는 여성 중 한 명인 아이다에게 사로잡히고, 아이다는 그의 군인 중 한 명과 결투를 벌여 스스로를 자유롭게 하려 한다.[3] 라다메스는 그녀에게 그의 등을 씻으라고 명령하지만, 그녀는 거부하며 이집트인들이 누비아인들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았지만, 그들의 정신만은 빼앗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The Past Is Another Land").[3] 라다메스는 아이다의 동료들을 구리 광산(그리고 확실한 죽음)에서 궁정의 관리인에게 보내 구한다.[3] 그는 또한 아이다가 그의 약혼녀인 암네리스 공주를 시중들도록 한다.[3] 라다메스의 아버지이자 재상인 조서는 그의 아들에게 파라오가 죽어가고 있으며, 라다메스는 이집트의 다음 통치자가 될 준비를 해야 한다는 소식을 전한다("Another Pyramid").[3] 라다메스는 자신의 아버지가 라다메스가 왕위에 오르도록 하기 위해 파라오를 독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3]라다메스의 누비아 하인인 메레브는 이집트에서 살아남는 기술을 배운 젊은 남성이다.[3] 아이다를 공주에게 데려다주는 동안, 메레브는 그녀를 누비아에서 자신이 섬겼던 누비아 왕의 딸임을 알아본다.[3] 그녀는 이집트인들이 자신을 죽일 수 있으니 신분을 비밀로 하라고 명령한다("How I Know You").[3] 암네리스에게 소개된 아이다는 즉시 마음에 들고, 그녀는 공주의 패션에 대한 사랑이 그녀의 불안감을 가리는 가면일 뿐이라고 생각한다("My Strongest Suit").[3] 연회에서 암네리스와 라다메스는 파라오로부터 7일 후에 결혼해야 한다는 소식을 듣고, 탐험가로서의 그의 날들이 끝났다는 사실에 라다메스는 당황한다("Fortune Favors the Brave (Reprise)").[3] 함께 그는 아이다와 그들의 꿈과 후회를 나눈다("Enchantment Passing Through").[3]
그날 밤 늦게, 암네리스는 아버지의 병을 걱정하고 아이다에게서 그녀를 이해하고 격려해주는 사람을 찾는다("My Strongest Suit (Reprise)").[3] 라다메스는 약혼녀의 방에 뛰어들어 아이다와 잠시 시간을 보내며 그녀에게 점점 더 끌리는 마음을 나눈다.[3] 아이다는 메레브에 의해 누비아 캠프로 데려가져, 그녀의 백성들이 그들을 이끌어달라는 간청에 마지못해 따른다("Dance of the Robe").[3] 그녀가 라다메스에게 누비아인들을 도와달라고 간청하자, 그는 자신의 소유물을 그들에게 주며 마음을 열고("Not Me") 아이다에 대한 사랑을 선언한다("Elaborate Lives").[3] 더 이상 자신의 감정에 저항할 수 없게 된 그녀는 그의 품에 안긴다.[3] 그들의 행복은 라다메스 군대가 누비아의 왕이자 아이다의 아버지인 아모나스로를 포획했다는 소식에 의해 방해받는다.[3] 그녀를 위로할 수 없었던 라다메스는 괴로워하는 아이다를 남겨두고 떠난다.[3] 자신의 백성을 불러 모은 아이다는 누비아가 결코 죽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The Gods Love Nubia").[3]
3. 2. 2막
암네리스, 라다메스, 아이다는 상반된 충성과 감정에 얽히게 된다.("A Step Too Far") 암네리스는 라다메스가 자신에 대한 애정이 식어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라다메스는 아이다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자신이 아는 한에서 자신의 삶을 끝낼 수 있을까 걱정하며, 아이다는 라다메스를 사랑하기에 자신의 백성을 배신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한다.[3] 아이다와 메레브는 아모나스로의 감옥으로 가는 길을 뇌물로 뚫고 들어가, 그곳에서 아버지와 재회한다. 메레브는 암네리스의 결혼 소동 중에 왕과 함께 탈출할 계획을 세운다. 아버지와 자신의 나라를 구하기 위해 아이다는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를 배신해야 한다.("Easy as Life") 한편, 조서는 라다메스의 불륜을 발견하고, 그에게 왕좌를 잃을 수도 있다고 경고하지만, 라다메스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야망을 공유하지 않는다.("Like Father, Like Son") 아들과의 격렬한 싸움 후, 조서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아이다를 찾아 죽이라고 명령한다.[3]누비아 캠프에서 아이다는 아모나스로 포획 소식을 듣고 경솔하게 행동한 것에 대한 라다메스의 사과 편지를 받고("Radames' Letter") 애정을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를 받는다. 이집트 군인들이 아이다를 찾으러 오자, 또 다른 누비아인인 네헤브카는 공주가 살 수 있도록 자신을 희생한다. 이제 라다메스를 영원히 떠나기로 더욱 결심한 아이다는 메레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작별 인사를 하러 간다.("How I Know You (Reprise)") 라다메스는 아이다에게 결혼을 취소하겠다고 알린다. 아이다는 이것이 아버지의 탈출을 망칠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에게 결혼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한다.("Written in the Stars") 라다메스는 그녀가 자신이 제공할 배를 타고 자유로 탈출한다는 조건으로 동의한다. 상심한 연인들은 헤어지지만, 암네리스는 그들의 대화 전체를 엿듣고 자신의 다가오는 결혼이 가짜라는 사실을 직시하려 한다.("I Know the Truth")[3]
아모나스로의 탈출 소식은 암네리스의 결혼을 방해한다. 라다메스는 아이다가 아버지와 함께 배를 타려 할 때 부두에 도착하면서 아이다의 정체를 알게 된다. 그는 아이다가 자신에게 이 사실을 숨긴 것에 분노하지만, 그녀는 그를 사랑하는 것에 대해 거짓말한 적이 없다고 말한다. 조서가 갑자기 나타나 공격하고, 이어진 혼란 속에서 메레브는 조서에게 치명상을 입지만, 라다메스는 아이다가 라다메스와 죽어가는 메레브와 함께 남는 동안 부두에 묶인 밧줄을 끊어 아모나스로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조서는 도망가고, 메레브는 친절한 주인이자 사랑하는 공주의 품에서 죽는다. 라다메스와 아이다는 반역죄로 체포된다. 이어진 재판에서 파라오는 조서의 체포를 발표하고 아이다와 라다메스 모두를 산 채로 묻는 형벌을 선고한다. 암네리스는 두 사람이 같은 무덤에서 죽도록 허락하는 아버지의 설득을 통해 미래의 파라오로서의 역할을 예고하며, 자신이 사랑하게 된 두 사람에 대한 자비로운 행동을 보여준다. 죽음을 맞이하면서 아이다는 라다메스에게서 힘을 구한다.("Elaborate Lives (Reprise)") 그들이 서서히 빛과 공기를 빼앗기는 동안("Enchantment Passing Through (Reprise)"), 라다메스는 백 번의 삶을 통해서라도 그녀를 다시 찾겠다고 맹세한다.[3]
현대 박물관으로 돌아와 암네리스의 영혼은 자신이 파라오가 되면서 "연인들의 죽음이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에 평화의 시대를 낳았다"고 밝힌다. 그녀는 현대의 남녀가 서로에게 이상하게 끌리는 것을 지켜본다. 그들은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환생으로, 새로운 시작에서 서로를 찾는다.("Every Story is a Love Story (Reprise)").[3]
4. 등장인물
- '''아이다''': 누비아의 공주이자 이집트 암네리스 공주의 하녀이다.
- '''라다메스''': 이집트의 장군이자 암네리스의 약혼자이다.
- '''암네리스''': 이집트 파라오의 딸이자 공주이다.
- '''메렙''': 라다메스가 가장 믿는 하인이며 누비아인이다.
- '''네헤브카''': 누비아인 이집트 노예이며 아이다 대신 죽는다.
- '''조세르''': 라다메스의 아버지로 권력에 대한 욕심이 강하다.
- '''파라오''': 이집트의 왕으로 병에 걸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 '''아모나스로''': 아이다의 아버지이자 누비아의 왕이다.
4. 1. 주요 등장인물
- '''아이다''': 아모나스로의 딸이자 누비아의 공주이다. 강인하고 용감하며 조국과 백성을 사랑한다. 누비아 노예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는 왕족 신분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누비아인들은 그녀를 공주로 인식한다. 이집트 암네리스 공주의 하녀로, 라다메스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비극적인 사랑을 겪는다. (메조 소프라노 벨트)[3]
- '''라다메스''': 이집트 군대의 대장이자 조세르의 아들이다. 암네리스의 약혼자이지만, 누비아 노예인 아이다에게 매료된다. 파라오 사후 이집트 왕위를 계승할 예정이었으나, 아이다를 만나 사랑에 빠지면서 자신의 신념과 의무 사이에서 갈등한다. (록 테너)[3]
- '''암네리스''': 이집트의 공주이자 파라오의 딸이다. 화려함을 좋아하고 유행을 따르는 모습으로 유명하지만, 이는 내면의 불안감을 감추기 위한 것이다. 아이다가 시녀로 오면서 진정한 본성이 드러난다. 라다메스의 약혼녀이자 아이다의 친구였으나, 점차 삼각관계에 놓인다. (메조 소프라노)[3]
- '''조세르''': 이집트의 수석 대신이자 라다메스의 아버지이다. 아들의 왕위 계승을 위해 파라오를 독살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록 바리톤)[3]
- '''메렙''': 라다메스의 누비아인 하인이다. 어릴 때 이집트인에게 붙잡혀 섬겨왔다. 아이다를 처음으로 누비아 공주로 알아보고, 다른 누비아 노예들에게 알린다. (바리테너)[3]
- '''네헤브카''': 누비아 노예로, 누비아인들을 대표하여 아이다에게 말한다. (메조 소프라노)[3]
- '''파라오''': 암네리스의 아버지이자 이집트의 왕이다. 암네리스와 라다메스의 결혼을 주선하며, 조세르에 의해 비밀리에 독살당한다.[3]
- '''아모나스로''': 아이다의 아버지이자 누비아의 왕이다. 아이다와 라다메스가 사랑에 빠진 후 이집트인에게 노예로 잡히고, 아이다에게 이집트인과의 관계를 끊으라고 명령한다.[3]
4. 2. 조연 등장인물
등장인물 | 설명 | 비고 |
---|---|---|
조세르 | 라다메스의 아버지이자 이집트의 재상. 권력욕에 눈이 멀어 파라오를 독살하려 한다.[3] | 록 바리톤 |
메렙 | 라다메스의 누비아인 하인. 아이다의 정체를 알아보고 그녀를 돕는다.[3] | 바리테너 |
네헤브카 | 누비아 노예. 아이다를 대신해 희생한다.[3] | 메조 소프라노 |
파라오 | 이집트의 왕이자 암네리스의 아버지.[3] | |
아모나스로 | 누비아의 왕이자 아이다의 아버지.[3] |
5. 음악
《아이다》는 여러 음반이 발매되었다.
-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아이다(Elton John and Tim Rice's Aida)》는 "컨셉 앨범"으로 불리기도 하며, 1999년 공연에 앞서 발매되었다. 엘튼 존이 직접 노래를 불렀고, 자넷 잭슨, 티나 터너, 샤니아 트웨인, 스팅, 스파이스 걸스, 리앤 라임스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 또한, 이후 브로드웨이 오리지널 프로덕션에서 같은 역할을 맡았던 헤더 헤들리와 셰리 르네 스콧도 참여했다.
-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아이다: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녹음(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Original Broadway Cast Recording)》은 2000년에 발매되어 최우수 뮤지컬 쇼 앨범 부문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이 앨범은 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앨범 인증을 받았다.
- 2001년 네덜란드 캐스트
- 2004년 독일 캐스트
- 2004년 일본 캐스트
- 2007년 헝가리 캐스트
시연 및 워크숍 이후 제작 과정에서 삭제된 곡으로는 극의 마지막 시퀀스를 구성하는 "Fortune Favors The Brave"의 리프라이즈인 "The Two Must Die"와,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마지막 죽음의 듀엣곡인 "The Messenger"가 있었다. 이 곡들은 "Elaborate Lives", "Enchantment Passing Through" 및 "Every Story Is A Love Story"의 리프라이즈로 대체되었다.
5. 1. 주요 곡
; 1막- "Every Story is a Love Story" – 암네리스[10]
- "Fortune Favors the Brave" – 라다메스와 병사들[10]
- "The Past is Another Land" – 아이다[10]
- "Another Pyramid" – 조세르와 대신들[10]
- "How I Know You" – 메렙과 아이다[10]
- "My Strongest Suit" – 암네리스와 궁전의 여인들[10]
- "Enchantment Passing Through" – 라다메스와 아이다[10]
- "My Strongest Suit" (리프라이즈) – 암네리스와 아이다[10]
- "Halfway to Heaven" — 아이다, 네헤브카, 메렙, 암네리스와 누비아인들[10]
- "Dance of the Robe" – 아이다, 네헤브카와 누비아인들[10]
- "Not Me" – 라다메스, 아이다, 암네리스, 메렙[10]
- "Elaborate Lives" – 라다메스와 아이다[10]
- "The Gods Love Nubia" – 아이다, 네헤브카, 메렙과 누비아인들[10]
; 2막
- "A Step Too Far" – 암네리스, 라다메스와 아이다[10]
- "Easy as Life" – 아이다[10]
- "Like Father, Like Son" – 조세르, 라다메스와 대신들[10]
- "Radames' Letter" – 라다메스[10]
- "How I Know You" (리프라이즈) – 메렙[10]
- "Written in the Stars" – 라다메스와 아이다[10]
- "I Know the Truth" – 암네리스[10]
- "Elaborate Lives" (리프라이즈) – 아이다와 라다메스[10]
- "Enchantment Passing Through" (리프라이즈) – 라다메스와 아이다[10]
- "Every Story is a Love Story" (리프라이즈) – 암네리스[10]
5. 2. 음악적 특징
엘튼 존의 ''아이다'' 음악은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절충적인 스타일을 보여준다. "Another Pyramid"는 현대적인 레게 스타일이고, "My Strongest Suit"는 모타운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The Gods Love Nubia"는 가스펠을 차용했다. "Not Me", "Elaborate Lives", "A Step Too Far", "Written in the Stars"와 같은 곡들은 엘튼 존의 팝 스타일을 반영한다. "Dance of the Robe"와 "Easy as Life"에서는 아프리카 음악의 강한 영향을 느낄 수 있다.[20]이러한 스타일들은 역사적 사실에 크게 얽매이지 않고 사용되었으며, 아프리카(대부분 서아프리카), 인도 및 중동의 영향을 혼합하여 나타난다. 엘튼 존의 ''라이온 킹''은 민족적으로 다양한 스타일적 영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아이다''와 가장 유사한 스타일의 뮤지컬이다.[20]
6. 한국 공연
뮤지컬 아이다는 일본에서 극단 사계와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의해 공연되었다.
6. 1. 극단 사계
극단 사계는 2003년 오사카 MBS 극장에서 브로드웨이 버전 《아이다》를 초연했다. 이후 교토, 후쿠오카, 나고야에서 레퍼토리 작품으로 상연되었다. 2009년 10월 3일부터 2010년 9월 6일까지 덴츠 사계 극장[바다]에서 도쿄 초연을 가졌고, 2011년 오사카 재연, 2012년 JR 동일본 아트센터 사계 극장[가을]에서 도쿄 앙코르 공연이 이어졌다. 같은 해 9월부터 나고야에서 재연되었다. 2012년부터는 작품명이 '''아이다, 사랑에 산 왕녀'''로 변경되었다.극단 사계의 공연 일정은 다음과 같다.
공연 기간 | 극장 | 비고 |
---|---|---|
2003년 12월 21일 - 2005년 2월 20일 | 오사카 MBS 극장 | 오사카 초연 |
2005년 6월 7일 - 10월 30일 | 교토 극장 | 교토 초연 |
2006년 4월 16일 - 2007년 1월 8일 | 후쿠오카 시티 극장 | 후쿠오카 초연 |
2007년 5월 12일 - 2008년 1월 5일 | 신 나고야 뮤지컬 극장 | 나고야 초연 |
2009년 10월 3일 - 2010년 9월 5일 | 덴츠 사계 극장[바다] | 도쿄 초연 |
2011년 3월 21일 - 8월 21일 | 오사카 사계 극장 | 오사카 개선 |
2012년 4월 14일 - 8월 12일 | JR 동일본 아트센터 사계 극장[가을] | 도쿄 개선, 아이다, 사랑에 산 왕녀로 제목 변경 |
2012년 9월 23일 - 2013년 2월 15일 | 신 나고야 뮤지컬 극장 | 나고야 개선 |
- 아이다: 하마다 메구미, 히구치 아사미, 이노우에 토모에, 마르시아, 아키 유메코, 이마이 미노리, 에바타 아키에, 아야하라 케이
- 라다메스: 아쿠츠 요이치로, 후쿠이 쇼이치, 토모이시 류야, 와타나베 타다시, 카네다 토시히데, 타나베 신야
- 암네리스: 사도 네이코, 모리카와 미호, 고토 유이, 실비아 그라브, 에바 사치에, 카네히라 마야, 미츠카와 아이, 스즈키 호노카, 야마토 타카에
- 메레브: 야마조에 코, 나카지마 토오루, 아리가 코이치, 요시가 토마 와이스, 카네다 노부히코, 오조라 타쿠호
- 조저: 이이노 오사미, 오츠카 슌, 사와키 준, 카와하라 요이치로, 타나카 히로오미
- 아모나스로: 카와하라 요이치로, 이시하라 요시후미, 마에다 테이치로, 마키노 키미아키, 타카바야시 코헤이
- 파라오: 오카모토 타카오, 이와시타 히로시, 이시하라 요시후미, 텟시와라 타케시, 마에다 테이치로, 이데 슈지, 타시로 타카히데
- 네헤브카: 이시쿠라 야스코, 이마이 미노리, 이노우에 아사미, 마츠모토 마사코, 카미죠 나나, 카와우치 사토미, 코가사 마키, 사쿠라노 아라, 카츠마 치아키
6. 2. 다카라즈카 가극단
2003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별조는 브로드웨이 버전과 별도로 『왕가에 바치는 노래』라는 제목으로 공연했다. 각본과 연출은 키무라 신지, 작곡은 카이 마사토가 담당했다. 미국의 이라크 공격 등 시사 문제를 엮어 반전 메시지를 담았으며, 원작 오페라 줄거리를 각색했다. 코즈키 와타루의 데뷔 공연이었고, 개선 장면과 피날레 듀엣 안무를 위해 러시아에서 마이야 플리세츠카야를 초빙하여 화제가 되었다.2009년 아란 케이 주연으로 『The Musical AIDA』가 상연되었다. 부제는 「-다카라즈카 가극「왕가에 바치는 노래」보다-」이며, 다카라즈카판을 아이다 주역으로 리메이크했다. 각본과 연출은 키무라 신지가 담당했다. 아란 케이는 이 작품이 다카라즈카 가극단 퇴단 후 첫 무대였다.[1]
6. 3. 한국 공연의 의의 (더불어민주당 관점)
뮤지컬 아이다는 전쟁의 비극성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평화 지향적인 대북 정책과 일맥상통한다.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사랑은 국경과 신분을 초월하며, 개인의 희생을 통해 더 큰 가치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사회적 연대와 공동체 정신을 반영한다.7. 평가 및 영향
레온타인 프라이스의 원작 동화는 디즈니에서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한동안 애니메이션 영화의 컨셉 아트[21]가 존재한다고 알려졌지만, 해당 작품의 아티스트 벤 발리스테리는 1996년 칼아츠에서 프랭크 테리가 낸 수업 과제였을 뿐이라고 밝혔다.[22] 그는 프랭크 테리가 디즈니와 엘튼 존이 '아이다'를 애니메이션 뮤지컬로 만들 것이라는 신문 기사를 가져왔고, 주요 등장인물과 디즈니 스타일의 조력자를 만드는 과제였다고 설명했다.
뮤지컬 '아이다'의 성공 이후, 디즈니는 대규모 실사 영화 제작을 계획했다. 2007년 7월에는 비욘세가 아이다 역을,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암네리스 역을 맡을 예정이라는 보도가 있었다.[23] 그러나 이후 제작에 대한 추가 보고는 없었다.
참조
[1]
뉴스
An 'Aida' Born Of Ecstasies And Explos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0-03-19
[2]
뉴스
Aida, Meet Elton
https://www.latimes.[...]
2015-01-01
[3]
웹사이트
'Aida'' Production History
http://www.timrice.c[...]
2011-07-21
[4]
뉴스
Disney Offers an 'Aida,' With a Morphing Pyramid
http://theater.nytim[...]
The New York Times
1998-10-09
[5]
웹사이트
After Atlanta and Chicago, 'Aida' Finally Begins in New York, Feb. 25
http://www.playbill.[...]
2012-10-20
[6]
뉴스
Disney's "Aida" To Preview In Atlanta
http://www.allbusine[...]
Backstage
1998-09-11
[7]
웹사이트
"'Aida' Set Mishap Fells Headley and Pascal; Performances Resume Nov. 17"
http://www.playbill.[...]
2012-10-20
[8]
웹사이트
Long Runs in Theatre
http://www.world-the[...]
2010-04-02
[9]
웹사이트
Broadway's Smash Musical, 'Aida', Will Close Sept. 5
http://www.playbill.[...]
2012-04-26
[10]
웹사이트
"'Aida' Internet Broadway Database listing, see Replacement History"
http://www./producti[...]
[11]
웹사이트
" 'Aida' Begins National Tour in Minneapolis March 27"
http://www.playbill.[...]
2012-10-21
[12]
웹사이트
'Aida' tour
http://www.bigleague[...]
2016-03-04
[13]
웹사이트
A Reimagined Aida Will Debut at Paper Mill Playhouse in 2021
https://www.theaterm[...]
TheaterMania
2020-01-31
[14]
웹사이트
AIDA Revival Will Get Developmental Lab in Spring 2020, with Schele Williams and Camille A. Brown at the Helm
https://www.broadway[...]
BroadwayWorld
2019-11-22
[15]
웹사이트
Re-Imagined AIDA Will Not Premiere at Paper Mill Playhouse; Plans Underway for German Production in 2022
https://www.broadway[...]
BroadwayWorld
2023-02-15
[16]
뉴스
The Musical: Aida
https://web.archive.[...]
2014-02-05
[17]
뉴스
Oído a Aída
http://caretas.pe/Ma[...]
2016-02-01
[18]
웹사이트
Schele Williams' Reimagined Take on Disney's Aida to World Premiere in the Netherlands
https://playbill.com[...]
Playbill
2023-02-15
[19]
웹사이트
ELTON JOHN & TIM RICE'S AIDA REVIVAL – WEST END PLANS FOR 2023
https://theatrefan.c[...]
Theatrefan.co.uk
2023-02-15
[20]
웹사이트
Review: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Bailiwick Chicago
http://newcitystage.[...]
Newcity Stage
2014-03-04
[21]
웹사이트
Aida ConceptArt
http://www.jimhillme[...]
2018-04-12
[22]
웹사이트
Wednesday, July 11, 2007: These don't belong to Disney.
http://benbalistreri[...]
2011-09-26
[23]
웹사이트
Beyoncé to Star in Aida Adaptation?
http://www.comingsoo[...]
2007-07-15
[24]
웹사이트
Chilling Adventures of Sabrina season 1 soundtrack
https://www.watertow[...]
[25]
웹사이트
Awards for 2002
http://www.nationalb[...]
2008-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