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하이드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하이드린은 1910년 발견된 화학 물질로,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색깔 변화를 일으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 단백질 및 암모늄 이온의 정성 분석, 화학 반응 분석, 고대 생태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법의학에서는 지문 검출에 사용되며, 닌하이드린 반응은 아미노산 검출에 활용되는 중요한 발색 반응이다. 닌하이드린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의화학물질 - 벤지딘
벤지딘은 과거 염료, 안료, 고무, 플라스틱 합성 및 혈액 검출 시약으로 사용된 유기 화합물이지만, 발암성으로 인해 현재 여러 국가에서 제조가 금지되었다. - 법의화학물질 - 루미놀
루미놀은 과산화수소 및 촉매 존재 하에 산화 반응을 통해 푸른 빛을 내는 화학 발광 물질로, 혈흔 감식에 주로 사용되며 법의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트라이케톤 - 알도스테론
알도스테론은 부신피질에서 합성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칼륨 배설을 증가시켜 혈압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등에 의해 분비가 조절되고 수치 이상은 임상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트라이케톤 - 요산
요산은 퓨린 대사의 최종 산물로서 영장류에서 소변으로 배설되며, 고요산혈증은 통풍과 같은 질환과 관련되고 낮은 요산 수치 또한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화학 실험 - 뒤마법
뒤마법은 시료를 고온 연소시켜 질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켈달법보다 빠르고 자동화가 용이하지만 초기 비용이 높고 비단백태 질소를 인식하는 한계가 있다. - 화학 실험 - 석회수
닌하이드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IUPAC 명칭 | 2,2-다이하이드록시-1H-인덴-1,3(2H)-다이온 |
다른 이름 | 2,2-다이하이드록시인다네-1,3-다이온 1,2,3-인단트리온 하이드레이트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9H6O4 |
몰 질량 | 162.14 g/mol |
외형 | 흰색 고체 |
밀도 | 0.862 g/cm3 |
용해도 | 20 g/L (물) |
녹는점 | 250 °C (분해) |
식별 | |
CAS 등록번호 | 485-47-2 |
PubChem CID | 10236 |
ChEMBL | 1221925 |
ChemSpider | 9819 |
EC 번호 | 213-340-1 |
UNII | HCL6S9K23A |
InChI | 1/C9H6O4/c10-7-5-3-1-2-4-6(5)8(11)9(7,12)13/h1-4,12-13H |
InChIKey | FEMOMIGRRWSMCU-UHFFFAOYAM |
SMILES | O=C2c1ccccc1C(=O)C2(O)O |
위험성 | |
신호어 | 경고 |
외부 MSDS | 외부 물질안전보건자료 |
2. 역사
닌하이드린은 1910년 독일계 영국 화학자 지크프리트 루헤만(Siegfried Ruhemann, 1859–1943)에 의해 발견되었다.[4][5] 같은 해, 루헤만은 닌하이드린이 아미노산과 반응한다는 것을 관찰했다.[6] 1954년, 스웨덴 연구원 오덴(Oden)과 폰 호프스텐(von Hofsten)은 닌하이드린을 사용하여 잠재 지문을 현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7][8]
닌하이드린은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에서 탈보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이저 검사에 사용될 수 있으며,[9] 단백질의 정성 무기 분석에도 사용된다. 프롤린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가수분해되어 닌하이드린과 반응한다.
3. 용도
암모늄 이온 포함 여부를 닌하이드린으로 검사할 수 있다. 암모늄 이온이 포함된 용액을 닌하이드린으로 처리하면 보라색이 나타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한 화학 반응 분석에서 시약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미노산은 닌하이드린과 반응하면 탈카르복실화를 겪는다. 이 반응은 고대 뼈의 콜라겐에서 카르복실 탄소를 방출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10] 동굴곰의 고대 식단을 재구성하기 위한 안정적인 동위원소 분석을 돕는다.[11]
'''닌히드린 반응'''(ninhydrin reaction)은 닌히드린 수용액과 α-아미노산에 의해 일어나는 발색 반응으로, '''아브데르할덴 반응'''(Abderhalden reaction)이라고도 불린다. 이 반응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등의 검출에 이용된다. 스탠퍼드 무어와 윌리엄 스타인은 이 반응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분석했다.
닌하이드린의 아세톤 용액은 법의학에서 지문 검출에 사용된다.
3. 1. 카이저 검사
닌하이드린은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에서 탈보호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카이저 검사에 쓰인다.[9] 펩타이드 사슬은 C-말단을 통해 고체 지지체에 연결되고, N-말단은 그 위로 연장된다. 질소가 탈보호되면 닌하이드린 검사에서 파란색이 나타난다. 아미노산 잔기는 N-말단이 보호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다음 잔기가 사슬에 성공적으로 결합되면 검사 결과는 무색 또는 노란색이 된다.
3. 2. 아미노산 분석
닌하이드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정성, 정량하는 데 사용된다. 프롤린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가수분해되어 닌하이드린과 반응하여 특유의 색깔을 나타낸다.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방법으로 아미노산을 분리한 후 비색법으로 정량 분석을 할 수 있다.[9]
암모늄 이온이 포함되어 있다고 의심되는 용액은 실리카겔과 같은 고체 지지체에 점을 찍어 닌하이드린으로 검사할 수 있다. 닌하이드린을 처리했을 때 용액에 암모늄 이온이 포함되어 있으면 보라색이 나타난다.[10]
스탠퍼드 무어와 윌리엄 스타인은 닌하이드린 반응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분석했다.
3. 3. 암모늄 이온 검출
암모늄 이온이 포함되어 있다고 의심되는 용액은 실리카겔과 같은 고체 지지체에 점을 찍어 닌하이드린으로 검사할 수 있다. 용액에 암모늄 이온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닌하이드린으로 처리하면 극적인 보라색이 나타난다.[9]
3. 4. 화학 반응 분석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한 화학 반응 분석에서 시약(일반적으로 n-부탄올 또는 에탄올에 0.2%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TLC 플레이트에서 거의 모든 아민, 카르바메이트를 검출하며, 격렬하게 가열한 후에는 아미드도 검출한다.[9]
3. 5. 고대 생태 연구
닌하이드린은 아미노산이 탈카르복실화를 겪을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CO2)를 이용하는 반응을 통해 고대 뼈의 콜라겐에서 카르복실 탄소를 방출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10] 이는 동굴곰의 고대 식단을 재구성하기 위한 안정적인 동위원소 분석을 돕는다.[11]
또한, 닌하이드린을 통해 표지된 기질로 처리된 토양에서 회수된 아미노산의 카르복실 탄소를 방출하면 해당 기질이 미생물 단백질로 동화됨을 보여준다.[12] 이 접근법은 일부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즉 질화 세균이 토양에서 요소를 탄소원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밝히는 데 사용되었다.[13]
3. 6. 법의학
닌하이드린 용액은 종이와 같은 다공성 표면의 잠재 지문 분석에 법의학 수사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손가락의 독특한 융선에 모이는 미세한 땀 분비물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은 접촉된 표면으로 옮겨진다. 닌하이드린에 표면을 노출시키면 아미노산이 눈에 띄는 색깔의 생성물로 변환되어 지문이 드러난다.[14]
닌하이드린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1,2-인다디온과 염화아연 (IND-Zn) 용액을 닌하이드린 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순서는 아미노산의 전반적인 반응을 증가시키는데, 아마도 IND-Zn이 후속 닌하이드린 반응을 위해 표면에서 아미노산을 방출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16]
4. 닌히드린 반응
'''닌히드린 반응'''은 닌히드린 수용액과 α-아미노산 사이에서 일어나는 발색 반응으로, '''아브데르할덴 반응'''이라고도 불린다. 이 반응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등의 검출에 이용된다. α-아미노산은 2분자의 닌히드린과 반응하여 공액계 화합물인 청자색 색소 루에만 자색(Ruhemann's purple)과 알데히드를 생성한다.[1]
프롤린은 일반적인 α-아미노산과 달리 닌히드린 1분자와만 반응하여 루에만 자색과는 다른 황색을 띠는 공액계 화합물을 생성하고 반응이 종결된다.[1]
이 반응은 여러 방면에 응용되는데, 닌히드린의 아세톤 용액은 지문 검출에 사용된다. 스탠퍼드 무어와 윌리엄 스타인은 이 반응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분석했다.[1]
4. 1. 반응 메커니즘
닌히드린의 2번 탄소에 있는 두 개의 하이드록실기는 쉽게 탈수되어 카르보닐기가 된다. α-아미노산의 아미노기가 닌히드린의 카르보닐기에 친핵성 공격을 한다. 탈수, 탈탄산, 가수 분해를 거쳐 닌히드린 유도체와 알데히드가 생성된다. (단, 프롤린 등 α-아미노산이 아닌 경우 가수 분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2분자째 닌히드린이 1분자째 닌히드린에 결합한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공액 계 구조를 갖는 색소인 루에만 자색을 생성한다. 2차 아민과의 반응은 이민늄 염을 생성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황-오렌지색을 띈다.[1]5. 건강 영향
닌히드린은 알레르기성, IgE 매개성 비염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다.[17] 닌히드린을 취급하는 41세 법과학 실험실 직원이 비염과 호흡 곤란을 겪은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 직원의 특정 IgE 수치가 거의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7]
참조
[1]
간행물
Chemicals and reagents
Merck
2008-2010
[2]
웹사이트
Fingerprinting Analysis
https://web.archive.[...]
Bergen County Technical Schools
2003-06
[3]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
논문
Cyclic Di- and Tri-ketones
https://archive.org/[...]
[5]
논문
Siegfried Ruhemann and the Discovery of Ninhydrin
https://pubs.acs.org[...]
1965-07-01
[6]
논문
Triketohydrindene Hydrate
https://archive.org/[...]
[7]
논문
Detection of Fingerprints by the Ninhydrin Reaction
https://ui.adsabs.ha[...]
[8]
웹사이트
Process of Developing Fingerprints
http://pdfpiw.uspto.[...]
[9]
논문
Color Test for Detection of Free Terminal Amino Groups in the Solid-Phase Synthesis of Peptides
[10]
논문
Stable Carbon Isotope Measurements of the Carboxyl Carbons in Bone Collagen
http://summit.sfu.ca[...]
[11]
논문
Changes in the Intramolecular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with Age of the European Cave Bear (''Ursus spelaeus'')
[12]
논문
A Technique to Recover Tracer as Carboxyl-Carbon and α-Nitrogen from Amino Acids in Soil Hydrolysates
[13]
논문
Availability of Urea to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Bacteria as Related to the Fate of 14C- and 15N-labeled Urea Added to Soil
[14]
서적
Manual of fingerprint development techniques
Home Office,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Branch, London
1986
[15]
논문
Positive control tests for fingermark development reagents
2020-05
[16]
논문
Performance of 1,2-indanedione and the need for sequential treatment of fingerprints
2015-09
[17]
논문
Rhinitis caused by ninhydrin develops into occupational asthma
1997-08
[18]
간행물
Chemicals and reagents
Merck
2008-2010
[19]
간행물
Chemicals and reagents
Merck
2008-2010
[20]
웹사이트
Fingerprinting Analysis
https://web.archive.[...]
[21]
논문
Cyclic Di- and Tri-ketones
https://archive.org/[...]
[22]
논문
Siegfried Ruhemann and the discovery of ninhydrin
[23]
논문
Triketohydrindene Hydrate
https://archive.org/[...]
[24]
논문
Detection of fingerprints by the ninhydrin reaction
[25]
웹사이트
Process of developing fingerprints,
http://pdfpiw.usp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