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비트 10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비트 10세는 1505년부터 1525년까지 카르틀리 왕국을 다스린 조지아의 왕이다. 1473년 이후 콘스탄틴 2세와 타마르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490년 조지아 왕국이 분열된 후 카르틀리만을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주변 국가들과의 끊임없는 분쟁으로 특징지어졌다. 이메레티, 카헤티와의 영토 분쟁, 그리고 사파비 제국의 침략과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 특히, 사파비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트빌리시를 빼앗기기도 했지만, 이스마일 1세의 사망 후 트빌리시를 탈환했다. 1525년 동생 조지 9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수도원에 은퇴했으며, 이듬해 사망하여 므츠헤타의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6년 사망 - 러요시 2세
    러요시 2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로, 1516년 즉위 후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여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에 영토를 빼앗기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 1526년 사망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다비트 10세
기본 정보
왕위카르틀리의 왕
통치 기간1505년–1525년
대관식알 수 없음
이전콘스탄티네 2세
계승조지 9세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루아르사브 1세
왕조바그라티오니 왕조
아버지콘스탄티네 2세
어머니알 수 없음
출생일1470년대 또는 1480년대 경
출생지알 수 없음
사망일1526년
사망지알 수 없음
매장지알 수 없음
종교조지아 정교회

2. 생애

다비트 10세의 통치 시기는 16세기 조지아 영주들과 왕국들 간의 내부 투쟁, 그리고 오스만 제국사파비 제국이라는 외부 세력의 침략으로 점철된 격동의 시대였다.

다비트 10세는 이메레티 왕국카헤티 왕국과의 분쟁에 휘말렸다. 1509년 이메레티의 알렉산더 2세의 침략으로 고리를 빼앗겼으나, 오스만 제국의 침입 덕분에 영토를 회복할 수 있었다. 카헤티와는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으며, 1513년에는 카헤티의 왕 조지 2세가 무흐라니의 바그라트 1세에게 사로잡혀 죽고 카헤티가 카르틀리에 합병되기도 했다.

사파비 제국 이스마일 1세는 1518년 카르틀리를 침공하여 다비트 10세에게 공물을 바치도록 강요했다. 1522년에는 이슬람교로 개종을 거부한 다비트 10세를 직접 공격하여 테레티 전투에서 승리하고 트빌리시를 점령했다. 1524년 이스마일 1세가 사망한 후 다비트 10세는 트빌리시를 탈환하고 페르시아 군대를 몰아냈지만, 사파비 제국의 위협은 계속되었다.

결국 1525년, 다비트 10세는 아그자칼라와 하부 카르틀리를 재정복하고 동생 조지 9세에게 왕위를 물려준 뒤 수도원으로 은퇴하여 1526년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다비트 10세는 1473년 이후 조지아의 콘스탄틴 2세와 타마르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1488년 투르크멘족과의 전쟁 중, 다른 형제들과 함께 부왕의 왕좌에 올랐으나,[1] 2년 후인 1490년 다르바지(왕실 회의)는 13세기부터 사실상 분열되었던 조지아 왕국의 종말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1] 이후 콘스탄틴 2세는 트빌리시를 수도로 삼아 카르틀리(중앙 조지아)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다.[2] 1505년 4월 27일 콘스탄틴 2세가 사망하면서, 다비트 10세는 왕위를 계승받아 발전하는 왕국을 물려받았다.[3][4]

2. 2. 이메레티, 카헤티와의 분쟁

조지아의 콘스탄틴 2세가 1505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 다비트 10세는 카르틀리 왕국을 물려받았다.[3][4] 그러나 다비트 10세의 통치는 16세기 조지아 영주들과 왕국들 간의 내부 투쟁으로 얼룩졌다.

1509년, 이메레티의 알렉산더 2세는 카르틀리 왕국을 침략하여 고리를 점령하고 왕국의 북서부를 저항 없이 차지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셀림 1세가 이메레티를 침략하자, 1510년 다비트 10세는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을 기회를 얻었다.

1년 후, 카헤티의 조지아가 카르틀리를 침입했지만, 아테니 성에서 다비트 10세를 사로잡는 데는 실패했다. 1513년, 조지아는 다시 침략했지만 다비트의 동생 무흐라니의 바그라트 1세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잡혀 감옥에서 죽었다. 그의 왕국은 카르틀리에 합병되었다.

1518년, 사파비 제국 이스마일 1세는 디브 술탄 룸루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카르틀리를 침략했다. 다비트 10세는 사파비 왕조와 평화를 맺고 공물을 바치기로 약속해야 했다. 한편, 카헤티 귀족들은 레반 오브 카헤티를 왕으로 옹립했다. 다비트 10세는 레반이 있던 마그라니 성을 포위했지만, 키질바시가 다시 나타나자 포위를 풀고 레반을 카헤티의 왕으로 인정해야 했다.

2. 3. 사파비 제국과의 관계

1518년, 새로 건국된 사파비 제국페르시아 이스마일 1세는 사므츠헤의 아타베그인 조지아 공작 크바르크바레 3세 자케리와 함께 디브 술탄 룸루가 이끄는 군대를 보냈다.[1] 침략군은 수라미와 고리를 점령했고, 다비트 10세는 사파비 왕조와 평화를 맺고 공물을 지불하겠다고 약속해야 했다.[1] 한편, 카헤티 귀족들은 기회를 이용하여 조지 2세 국왕의 아들 레반 오브 카헤티를 국왕으로 옹립했다.[1] 다비트는 레반이 자리를 잡았던 마그라니 성을 포위했지만, 곧 키질바시가 조지아 땅에 다시 나타나면서 포위를 포기해야 했다.[1] 다비트는 침략자들에 맞서 지원을 얻기 위해 레반을 카헤티의 국왕으로 인정했다.[1]

1522년, 다비트 10세는 샤 이스마일이 요구한 대로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것을 거부했다.[1] 새로운 페르시아 침략이 이어졌고, 이번에는 가 직접 이끌었다.[1] 다비트와 그의 아들 루아르사브 1세 오브 카르틀리는 테레티 전투에서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수적으로 밀려 패배했다.[1] 카르틀리 왕국의 수도 트빌리시는 배신으로 점령되어 대규모 페르시아 군대에 의해 주둔되었고, 동부 조지아는 사파비 왕조의 지배하에 처음으로 형식적으로 떨어졌다.[1] 1524년 이스마일 1세가 죽자 다비트는 트빌리시를 해방시키고 페르시아를 이 나라에서 몰아냈다.[1] 사파비 페르시아는 나중에 트빌리시를 탈환하려 했다.[1]

1525년, 다비트 10세는 아그자칼라, 하부 카르틀리를 재정복하고 그곳에 정착한 모든 투르크멘 키질바시를 학살했다.[1]

2. 4. 퇴위와 죽음

1525년, 다비트 10세는 아그자칼라와 하부 카르틀리를 재정복하고 그곳에 정착한 모든 투르크멘 키질바시를 학살했다.[4] 같은 해, 그는 동생 조지 9세 오브 카르틀리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다미아네라는 이름으로 수도원에 은퇴했다. 1526년에 다비트 10세는 사망하여 므츠헤타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에 묻혔다.

3. 가족 관계

다비트 10세는 왕세자 시절, 바라타슈빌리 가문의 데이비드의 딸 네스탄-다레잔 또는 미라잉굴과 처음 결혼했으나, 아버지 콘스탄틴 2세는 이 결혼을 인정하지 않았다.[5]

이후 삼츠헤의 아타바그 크바르크바레 2세 자켈리의 딸 타마르(1554년 사망)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 타마르는 다비트 10세의 장남이자 후계자인 루아르사브 1세를 포함한 모든 자녀의 어머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쿠슈티 왕자는 루아르사브의 어머니가 샤 타흐마스프 1세에 의해 아테니에서 사로잡혀 이란으로 끌려갔으며, 1556년 독살 자살했다고 기록했다. 반면 시릴 투마노프는 네스탄-다레잔/미라잉굴이 다비트 10세의 세 아들 루아르사브, 아다르나세, 라마즈의 어머니이며, 1556년에 자살한 사람도 바로 그녀라고 주장한다. 투마노프는 타마르를 이 여왕의 세 번째 이름으로 보았으며, 당시 조지아에서는 여러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6]

다비트 10세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루아르사브 1세카르틀리 왕
아다르나세1512–1558
카르틀리의 라마즈 왕자
데메트레 (디미트리)1516–1540
베잔나병으로 사망
익명의 딸1519–1560아라그비 공작 바인두르의 아내
익명의 딸1532–1534자바흐 칠라제 왕자의 아내
익명의 딸


참조

[1] 웹사이트 Kartli - The Bagrationi Dynasty http://www.royalark.[...] 2009-10-17
[2] 웹사이트 Historic Backgroung of Tbilisi - Struggle against Turks and Persians (XVI-XVIII cent.) http://ceroi.net/rep[...] 2009-10-25
[3] 웹사이트 Kartli - The Bagrationi Dynasty http://www.royalark.[...] 2009-10-17
[4] 문서 Regnal number
[5] 간행물 კონსტანტინე-ყოფილი კირილე: XVI საუკუნის დასაწყისის ქართლის სამეფოს ისტორიიდან http://dspace.nplg.g[...] 1997
[6] 서적 Manuel de Généalogie et de Chronologie pour l'histoire de la Caucasie chrétienne (Arménie, Géorgie, Albanie) Edizioni Aquila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