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츠헤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아라그비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조지아의 도시로, 고대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였다. 기원전 6세기에 성립된 콜키스 왕국 동쪽 내륙 지방에서 시작하여,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 걸쳐 므츠헤타를 수도로 하는 이베리아 왕국이 성립되었다. 므츠헤타는 5세기 트빌리시로 수도가 이전될 때까지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후에도 조지아 국왕들의 즉위식과 매장지로 사용되었다. 므츠헤타에는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삼타브로 수도원, 즈바리 수도원 등 조지아 기독교 건축의 중요한 기념물들이 있으며,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세계유산 - 바그라티 대성당
    바그라티 대성당은 11세기 초 바그라트 3세 통치기에 건설된 조지아 정교회 성당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서 제외되었지만 현재는 쿠타이시 대주교의 주교좌 성당이자 쿠타이시의 상징적인 관광 명소이다.
  • 조지아의 세계유산 - 겔라티 수도원
    겔라티 수도원은 조지아 다비드 4세가 1106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중세 조지아 건축 양식을 대표하며 종교적 기능과 과학 및 교육 아카데미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조지아 왕족의 묘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 조지아의 도시 - 트빌리시
    트빌리시는 쿠라 강 양안에 위치한 조지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5세기에 건설되어 12세기 번영을 누렸으나 외세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조지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조지아의 도시 - 츠힌발리
    츠힌발리는 남오세티야의 수도로, "너도밤나무 땅"을 의미하는 고대 조지아어에서 유래했으며, 러시아 제국 병합 후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조지아-오세티아 분쟁과 남오세티아 전쟁을 거치며 현재는 국제적으로 독립이 인정되지 않은 채 조지아와 러시아 간 갈등의 중심에 있다.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찬찬
    찬찬은 페루 북부 해안에 위치한 치무 왕국의 수도였던 고대 도시 유적지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어도비 도시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정교한 도시 계획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지만 기후 변화로 훼손 위협에 처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마노보 군다 세인트 플로리스 국립공원
    마노보 군다 세인트 플로리스 국립공원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부에 위치하며 차드와의 국경에 인접하고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사헬 지대, 열대 우림의 생태적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지만 불법 방목과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1997년 위험 유산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기준 9, 10을 충족하며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므츠헤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므츠헤타
유형도시
로마자 표기Mt'skhet'a
위치조지아 므츠헤타-므티아네티
설치기원전 5세기
해발 고도460 m
인구 (2024년)7,392명
기후온대 습윤 기후 (Cfa)
시간대조지아 시간
UTC 오프셋+4
우편 번호3300
웹사이트므츠헤타-므티아네티 주 정부 웹사이트
행정 구역
국가조지아
므츠헤타-므티아네티
자치체므츠헤타 자치체
이미지
즈바리에서 바라본 므츠헤타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므츠헤타 문장
므츠헤타 자치체 기
관련 정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므츠헤타 역사 기념물
별칭거룩한 도시
위치트빌리시에서 북쪽

2. 지리

므츠헤타는 쿠라강(Kura)과 아라그비강이 합류하는 저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에서는 대캅카스 산맥(Greater Caucasus)이, 남쪽에서는 소캅카스 산맥(Lesser Caucasus)이 도시로 이어진다.

3. 역사

므츠헤타 마을 광장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근처 거리


기원전 6세기, 서부 조지아의 콜키스 왕국 동쪽 내륙 지방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일부였으나,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 걸쳐 므츠헤타를 수도로 하는 이베리아 왕국(카르틀리 왕국)이 성립하였다.[14][15] 전설에 따르면, 최초의 이베리아 왕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에 대항했다고 전해지는 파르나바즈 1세이다.

그리스 문명의 영향이 직접 미치지 않았던 이 지역은[16] 오늘날 중부 조지아의 카르틀리(카르탈리니아),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남서부 조지아의 삼츠헤와 그 주변 지역을 포함했다. 주민들은 서쪽 아나톨리아·콜키스 지방에서 유입된 사람들과 토착민이 융합하여 형성되었다.[16]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Aragvi River|아라그비 강영어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며, 현재 마을 전체가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16][17] 중세에 저술된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이 무렵 조지아 문자(카르틀리 문자)가 고안되었으며, 이는 아람 문자의 강한 영향을 받아 히브리 문자아랍 문자 등과 같은 계통으로 추정된다. "므츠헤타"라는 지명은 이곳을 개척한 수장 므츠헤토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17]

므츠헤타는 5세기 바흐탕 1세(바흐탕 고르가살리)가 트빌리시로 수도를 옮길 때까지 이베리아 왕국(기원전 3세기~기원후 6세기)의 수도였다.

3. 1. 고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므츠헤타 지역에는 기원전 2천년기부터 기원후 1천년기 초까지 인류가 거주했던 흔적이 나타난다.[6] 기원전 1천년기 초 청동기 시대의 수많은 매장 유적은 므츠헤타가 이미 그 당시 중요한 거주지였음을 보여준다.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므츠헤타는 조지아인의 시조인 카르틀로스(Kartlos)의 아들 므츠헤토스(Mtskhetos)에 의해 건설되었다. 도시 주변의 성벽은 님롯(Nimrod)의 조상인 아르담(Ardam)이 건설했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가들이 더 많이 받아들이는 또 다른 설에 따르면, 므츠헤타는 기원전 5세기에 고대 메스케티아 부족에 의해 건설되었다.[7]

므츠헤타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초기 조지아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였다. 연대기에는 기원전 4세기에 이베리아 왕국과 그 수도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결국 알렉산드로스가 임명한 통치자는 므츠헤타의 성벽을 파괴하고 오늘날 아르마지로 알려진 곳을 포함한 네 개의 요새만 남겼다.

기원전 4세기-3세기의 고대 자료들은 므츠헤타에 여러 지역이 있었다고 언급한다. 그중 아르마지스-치케, 치차무리, 즈바리 등이 있다. 다른 조지아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므츠헤타는 도시 자체와 성채로 나뉘었다.

발굴과 조지아 연대기 모두 헬레니즘 시대의 상당한 건설 활동을 보여준다. 주거용 주택, 궁전, 요새 등이 건설되었다. 기원전 3세기 초 조지아의 첫 번째 왕인 파르나바즈에 의해 므츠헤타 주변에 새로운 성벽이 건설되었고, 후에 그의 아들 사우르마그에 의해 기원전 3세기 후반-2세기 초에 강화되었다. 기원전 2세기 후반-1세기 초에는 파르나욤 왕이 페르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조로아스터교 사제들을 므츠헤타에 정착시켰다. 이는 아마도 도시에 조로아스터교 사원 건설로 이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다시 기원전 1세기 바르톰 통치 기간 동안, 그리고 나중에 아데르키(종종 파라스마네스 1세로 동일시됨)에 의해서도 므츠헤타의 성벽이 개선되었다. 후자의 왕은 카르틀리에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가 등장하고 예루살렘에서 현지 유대인들이 가져온 성의가 므츠헤타에 도착한 것과 관련이 있다.

그 시대 므츠헤타는 강력하게 요새화되었다. 성벽은 크바리 강 양쪽을 따라 늘어서 있었고, 세 개의 요새가 도시를 보호했다. 바기네티 산에 있는 주요 성채인 아르마지는 남쪽과 동쪽에서의 진입을 통제했고, 즈바리 산 기슭에 있는 치차무리는 북쪽에서, 그리고 사르키네는 서쪽에서 도시를 보호했다.

므츠헤타는 초기 기독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이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로 이어졌고, 337년 기독교가 국교로 선포되었다. 므츠헤타는 현재도 조지아 정교회의 본부이다. 그 무렵 므츠헤타는 문화적으로 발전된 도시였다. 삼타브로 묘지에서 발견된 4세기 후반-5세기 초의 묘비에는 그리스어로 된 묘비명이 새겨져 있는데, 므츠헤타의 주요 건축가이자 건축화가(예술가)인 아우렐리우스 아콜리스에 대한 내용이다.

조지아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초기에는 도시 중심부에 작은 목조 교회가 세워졌는데, 이후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이 되었다. 고고학 발굴 조사에서 대성당 안에서 목조 교회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5세기가 되자 작은 교회는 도시의 성장하는 공동체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고, 바흐탕 고르가살리는 성모 승천에 봉헌된 조지아에서 가장 큰 교회인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을 건설했는데, 이는 11세기까지 존속했다. 최초의 카톨리코스는 5세기에 선출되었고, 그의 거주지는 므츠헤타의 스베티츠호벨리에 있었다. 11세기가 되자 이전의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도 너무 작아졌고, 카톨리코스 멜키세덱 1세가 그 위에 새로운 교회를 건설했다.

기원전 6세기에 성립한 서부 조지아의 콜키스 왕국 동쪽 내륙 지방은 같은 시기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일부였으나,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 걸쳐 므츠헤타를 수도로 하는 이베리아 왕국(카르틀리 왕국)이 성립하였다.[14][15] 전설에 따르면, 최초의 이베리아 왕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에 대항했다고 전해지는 파르나바즈 1세이다. 그 영역은 오늘날 중부 조지아의 카르틀리(카르탈리니아),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남서부 조지아의 삼츠헤와 그 주변 지역이며, 이곳은 그리스 문명의 영향이 직접 미치지 않는 지역이었다.[16] 주민들은 서쪽 아나톨리아·콜키스 지방에서 유입된 사람들과 토착민이 융합하여 형성된 사람들이었다.[16]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Aragvi River|아라그비 강영어의 합류 지점 근처에 위치하며, 현재는 마을 전체가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16][17] 중세에 저술된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이 무렵 조지아 문자(카르틀리 문자)가 고안되었으며, 이 문자는 아람 문자의 강한 영향 아래 성립된 것으로 생각되며, 히브리 문자아랍 문자 등과 동계이다. 참고로, "므츠헤타"라는 지명은 이곳을 개척한 수장 므츠헤토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17]

3. 2. 중세

이베리아의 다치 왕(6세기 초)은 아버지 바흐탕 1세의 유언에 따라 수도를 방어하기 쉬운 트빌리시로 옮겼다. 그 후 므츠헤타의 중요성은 감소하기 시작했고 트빌리시의 중요성은 커졌다. 그러나 므츠헤타는 19세기 왕국이 멸망할 때까지 대부분의 조지아 국왕들의 즉위식과 매장지로 남아 있었다. 므츠헤타는 736년에서 739년 사이 우마이야 칼리파가 카자르를 패배시킨 동안, 그리고 15세기 티무르가 이 지역을 정복했을 때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8] 이러한 공격으로 도시의 규모가 축소되었고, 1801년 조지아가 러시아의 일부가 되었을 때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1] 그러나 산업화는 도시의 경제 상황을 개선했다.

기원전 6세기에 성립한 서부 조지아의 콜키스 왕국 동쪽 내륙 지방은 같은 시기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일부였으나,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 걸쳐 므츠헤타를 수도로 하는 이베리아 왕국(카르틀리 왕국)이 성립하였다.[14][15] 전설에 따르면, 최초의 이베리아 왕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에 대항했다고 전해지는 파르나바즈 1세이다. 그 영역은 오늘날 중부 조지아의 카르틀리(카르탈리니아),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남서부 조지아의 삼츠헤와 그 주변 지역이며, 이곳은 그리스 문명의 영향이 직접 미치지 않는 지역이었다.[16] 주민들은 서쪽 아나톨리아·콜키스 지방에서 유입된 사람들과 토착민이 융합하여 형성된 사람들이었다.[16] 므츠헤타는 쿠라 강과 Aragvi River|아라그비 강영어의 합류 지점 근처에 위치하며, 현재는 마을 전체가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16][17] 중세에 저술된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이 무렵 조지아 문자(카르틀리 문자)가 고안되었으며, 이 문자는 아람 문자의 강한 영향 아래 성립된 것으로 생각되며, 히브리 문자아랍 문자 등과 동계이다. 참고로, "므츠헤타"라는 지명은 이곳을 개척한 수장 므츠헤토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17]

므츠헤타는 5세기의 왕 바흐탕 1세(바흐탕 고르가살리)가 트빌리시로 천도할 때까지 이베리아 왕국(기원전 3세기-기원후 6세기)의 수도였다.

3. 3. 근현대

그루지야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므츠헤타는 11세기 전임 멜키세덱 1세 총대주교의 유언에 따라 일리아 2세 총대주교-대주교에 의해 "성스러운 도시"로 지정되었다.[4]

4. 주요 유적

므츠헤타에는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11세기), 삼타브로 수도원(4세기), 즈바리 수도원(6세기) 등 조지아 기독교 건축의 중요한 기념물들이 있다. 이들은 카프카스 지역의 중세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 조지아어 알파벳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초기 비문도 남아있다.[1] 이 종교 건축물들은 "므츠헤타의 역사적 건축물군"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4. 1.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옛 거리에서 바라본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


스베티츠호벨리 대성당(11세기)은 카프카스 지역의 중세 건축 발전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조지아 기독교 건축의 주요 기념물 중 하나이다.[1]

4. 2. 즈바리 수도원

므츠헤타를 내려다보는 산 위에 즈바리 수도원(6세기)이 있다. 므츠헤타의 역사적 건축물군에 포함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즈바리 수도원

4. 3. 삼타브로 수도원

므츠헤타의 삼타브로 수도원(4세기)은 조지아 기독교 건축의 중요한 기념물 중 하나이며, 카프카스 전역의 중세 건축 발전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수도원 북쪽에 있는 매장지인 삼타브로 묘지는 기원전 3천년 중반부터 10세기까지의 시대를 아우른다.

삼타브로 수도원


미리안 왕과 그의 왕비 나나는 336년에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이들의 묘는 삼타브로 수도원(10세기)에 있다. 수도원에는 성 니노의 십자가와 박물관도 있다.

4. 4. 기타 유적

므츠헤타 외곽에는 아르마즈치케 요새(기원전 3세기), 아르마즈치케 아크로폴리스(기원전 1세기 후반), "폼페이의 다리"(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에 폼페이우스의 로마 군단병들이 건설했다고 함)의 잔해가 있다. 또, 왕궁의 파편(서기 1~3세기), 인근의 1세기 무덤, 베브리스치케 요새(14세기) 등도 있다. 고고학 연구소와 미케일 마물라슈빌리의 정원도 주목할 만하며, 조각가 엘레나 마차벨리의 기념비도 있다.

"폼페이의 다리", 2008년 8월


므츠헤타 기차역 근처에서는 서기 1세기 부유한 여성의 묘소가 발굴되었다. 이 구조물은 잘 다듬어진 사각형과 삼각형 박공이 있는 집을 모방한 것이며, 지붕은 기와로 덮여 있었다. 묘소 내부에서는 플루트를 연주하는 젊은 남성의 작은 청동상이 발견되었다.[6]

5. 자매 도시

므츠헤타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국가도시체결년도
--바가르샤파트2016년[12]
--뢰비유르쉬르오르주2001년
--아르고스1991년[13]


6.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s https://geostat.ge/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4-04-28
[2] 웹사이트 Historical city Mtskheta becomes 'Holy City' https://agenda.ge/en[...] 2024-08-10
[3] 웹사이트 Historical Monuments of Mtskheta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02-27
[4] 뉴스 Historical city Mtskheta becomes 'Holy City' http://agenda.ge/new[...] 2014-04-07
[5] 웹사이트 Georgia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019-05-03
[6] 서적 Tbilisi. Mtskheta Iskusstvo
[7] 서적 Geografiia Gruzinskoi SSR Gosizdat Gruzinskoi SSR
[8] 보고서 World Heritage List: Mtskheta, No. 708 https://whc.unesco.o[...] ICOMOS 1993-10-28
[9] 웹사이트 Historical Monuments of Mtskheta, Georgia, removed from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s://whc.unesco.o[...] 2019-05-03
[10] 웹사이트 Georgia's Historical Monuments of Mtskheta inscribed on Danger List https://whc.unesco.o[...] 2019-05-03
[11] 웹사이트 Historical Monuments of Mtskheta, Georgia, removed from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s://whc.unesco.o[...] 2021-07-12
[1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unicipality of Ejmiatsin https://ejmiatsin.am[...]
[13] 웹사이트 Twinnings http://www.kedke.gr/[...] 2013-08-25
[14] 서적 글루지아 세계 각국 편람
[15] 서적 조지아 데이터북 2016
[16] 서적
[17] 서적 무츠헤타 세계유산의 여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