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지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쇼지 번은 1639년, 가가 번의 분할로 설립된 일본 에도 시대의 번이다. 초대 번주 마에다 도시하루는 구타니 도자기를 번의 주요 생산품으로 확립했으며, 2대 번주 마에다 도시아키는 치수 사업과 와시 종이 개발을 통해 번의 경제 기반을 다졌다. 1821년 고쿠다카가 10만 석으로 증가했으나, 막말 시대에는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을 지지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다이쇼지 현이 되었고, 이후 이시카와 현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국의 번 - 가가번
가가 번은 에도 시대에 마에다 가문이 다스린 도자마 다이묘 번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이었던 마에다 도시이에가 하사받아 도쿠가와 막부의 견제 속에서도 세력을 유지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가나자와 현이 되었다. - 다이쇼지 마에다가 - 마에다 도시하루
마에다 도시하루는 가가번의 3대 번주 마에다 도시쓰네의 셋째 아들로, 에누마군에서 7만 석을 분봉받아 금광과 은광을 개발하고 구타니야키 생산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생이자 양자인 마에다 토시아키가 그의 뒤를 이었다. - 가가번의 지번 - 나노카이치번
에도 시대 마에다 씨가 다스린 나노카이치번은 마에다 도시타카가 오사카 전투 공으로 시작되었고 가가번의 지원을 받으며 유지되다가 보신 전쟁 후 폐번치현되어 군마현에 편입되었다. - 가가번의 지번 - 도야마번
도야마번은 1639년에 설립되어 1871년 폐지될 때까지 존속한 에도 시대의 번으로, 초대 번주는 마에다 도시쓰구이며, 홍수와 자연 재해 속에서도 산업을 육성하고 메이지 유신 시기에는 황제군에 참여했다.
다이쇼지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다이쇼지 번 |
로마자 표기 | Daishōji-han |
전신 | 가가 번에서 분할 |
후신 | 다이쇼지 현 |
오늘날의 위치 | 이시카와 현 |
다이묘 | 도자마 다이묘 |
역사 | |
성립 | 1639년 |
폐지 | 1871년 |
주요 사건 | 가가 번에서 분할 |
위치 | |
위치 좌표 | 36°18′53.1″N 136°29′16.3″E |
이미지 | |
![]() |
2. 역사
1615년 도쿠가와 막부의 일국일성령에 따라 가가 국의 다이쇼지 성이 폐성되었다. 1639년 가가 번의 마에다 도시쓰네가 은퇴하면서 차남 마에다 도시쓰구에게 도야마 번 10만 석, 삼남 마에다 도시하루에게 다이쇼지 7만 석을 분할하여 다이쇼지 번이 성립되었다.
초기 다이쇼지 번은 에누마 군 133개 마을(6만 5700석)과 엣추 국 니이카와 군 9개 마을(4300석)로 구성되었다. 1660년 영지 교환으로 에누마 군 전역과 노미 군 6개 촌으로 변경되었다.
3대 번주 마에다 도시나오 대에 동생 마에다 도시마사에게 1만 석을 분할하여 다이쇼지 신덴 번이 성립되었으나, 도시마사가 야나기모토 번주 오다 히데치카를 살해하여 1709년 폐지되었다. 9대 번주 마에다 도시코레 대에 고쿠다카가 10만 석으로 증가했다.
12대 번주 마에다 도시노리 사후, 마에다 도시미치를 거쳐 마에다 나리야스의 아들 마에다 도시카가 번주가 되었다. 막말 시대에 다이쇼지 번은 보신 전쟁에서 삿초 동맹을 지지, 호쿠에쓰 전투에서 활약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다이쇼지 번은 다이쇼지 현을 거쳐 이시카와 현에 통합되었다.
2. 1. 번의 성립과 초기
1615년, 도쿠가와 막부의 일국일성령에 따라 가가 국의 다이쇼지 성이 폐성되었다.[4] 1639년 가가 번의 2대 번주 마에다 도시쓰네가 은퇴하면서 차남 마에다 도시쓰구에게 도야마 번 10만 석, 삼남 마에다 도시하루에게 다이쇼지 7만 석을 분할하여 다이쇼지 번이 성립되었다.[4]초기 영지는 에누마 군 133개 촌(6만 5700석)과 엣추 국 니이카와 군 9개 촌(4300석)이었다.[4] 1660년 영지 교환을 통해[5] 에누마 군 전역과 노미 군 6개 촌으로 변경되었다.
2. 2. 번 통치와 발전
역대 번주들은 치수 사업, 신전 개발, 광산 개발, 특산물(구타니야키, 와시) 장려 등 번 발전에 힘썼다.[4] 3대 번주 도시나오 대에 동생 도시마사에게 1만 석을 분할하여 다이쇼지 신덴 번이 성립되었으나, 도시마사가 야나기모토 번주 오다 히데치카를 시살하는 난행을 저질러 할복을 명받아 호에이 6년에 폐지되어 다이쇼지 번에 복귀했다.[5] 9대 번주 도시코레 대에 고쿠다카가 10만 석으로 증가했다. (신전 개발 1만 석, 가가 번 지원 2만 석)2. 3. 막말과 메이지 유신
마에다 도시노리가 1855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다이쇼지 번은 몰수될 위기에 처했다.[4] 도시노리는 마에다 도시미치를 양자로 삼았으나, 도시미치 역시 쇼군에게 정식 인사를 올리기 전에 사망했다. 이 사실은 당국에 숨겨졌고, 가가 번의 마에다 나리야스의 아들인 마에다 도시카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4]
자작 마에다 도시카(1841년 7월 29일 ~ 1920년 7월 27일)는 다이쇼지 번의 14대이자 마지막 다이묘였다. 막말 시대에 다이쇼지 번은 초기에는 교토 치안 유지, 미토의 난 진압, 킨몬 사건 등에서 막부를 지원했다.[4] 그러나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에는 삿초 동맹을 지지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꾸어 보신 전쟁에서 호쿠에쓰 전투 등에서 신정부군 측에 가담하여 활약했다.[4]
1869년 판적봉환으로 도시카는 번지사가 되었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다이쇼지 번은 폐지되어 다이쇼지 현을 거쳐 이시카와 현에 편입되었다.[4] 도시카는 1884년 화족령에 따라 자작 작위를 받았다.[4]
3. 역대 번주
# 토시하루
# 토시아키
# 토시나오
# 토시아키라
# 토시미치
# 토시키요
# 토시나가
# 토시타카
# 토시유키
# 토시쿠
# 토시히라
# 토시요시
# 토시유키
# 토시무
3. 1. 마에다 가문 (도자마 다이묘)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石高|고쿠다카|석일본어 | |
---|---|---|---|---|---|
1 | 마에다 도시하루 | 1639년 ~ 1660년 | 侍従|지주|시종일본어 | 정4위하 | 7만 |
2 | 마에다 도시아키 | 1660년 ~ 1692년 | 飛騨守|히다노카미|비단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3 | 마에다 도시나오 | 1692년 ~ 1710년 | 飛騨守|히다노카미|비단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4 | 마에다 도시아키라 | 1711년 ~ 1737년 | 備後守|빈고노카미|비후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5 | 마에다 도시미치 | 1737년 ~ 1778년 | 遠江守|도토미노카미|원강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6 | 마에다 도시아키 | 1778년 ~ 1782년 | 備後守|빈고노카미|비후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7 | 마에다 도시타네 | 1782년 ~ 1788년 | 美濃守|미노노카미|미농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8 | 마에다 도시야스 | 1788년 ~ 1806년 | 飛騨守|히다노카미|비단수일본어 | 종4위하 | 7만 |
9 | 마에다 도시코레 | 1806년 ~ 1837년 | 備後守|빈고노카미|비후수일본어; 侍従|지주|시종일본어 | 종4위하 | 7만 → 10만 |
10 | 마에다 토시나카 | 1837년 ~ 1838년 | 遠江守|도토미노카미|원강수일본어, 侍従|지주|시종일본어 | 종4위하 | 10만 |
11 | 마에다 토시히라 | 1838년 ~ 1849년 | 備後守|빈고노카미|비후수일본어 | 종4위하 | 10만 |
12 | 마에다 토시노리 | 1849년 ~ 1855년 | 備後守|빈고노카미|비후수일본어 | 종4위하 | 10만 |
13 | 마에다 토시미치 | 1855년 ~ 1871년 | 없음 | 없음 | 10만 |
14 | 마에다 토시카 | 1842년 ~ 1871년 | 飛騨守|히다노카미|비단수일본어 | 정2위 | 10만 |
- '''마에다 도시하루''' (1618년 ~ 1660년): 가가번 2대 다이묘 마에다 토시츠네의 셋째 아들. 1639년 이시카와현 에누마군을 중심으로 7만 석 영지를 받아 다이쇼지번을 세웠다. 고보리 엔슈의 제자로 다도에 조예가 깊었고, 금과 구리 광산을 개발하고 구타니 도자기를 번의 주요 생산품으로 확립했다.[1]
- '''마에다 도시아키''' (1638년 ~ 1692년): 가가번 2대 다이묘 마에다 토시츠네의 다섯째 아들. 1660년 형 마에다 도시하루의 양자가 되어 다이쇼지번 2대 다이묘가 되었다. 치수 사업과 새로운 벼농사 땅을 개척하고, 와시 종이를 개발하여 번의 수입원을 확보했다.[2]
- '''마에다 도시나오''' (1672년 ~ 1711년): 마에다 도시아키의 장남. 1692년 다이쇼지번 3대 다이묘가 되었다.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아 1691년부터 후다이 다이묘와 동등한 지위를 얻었으나, 영지 관리에 소홀하여 번 재정이 악화되었다. 동생 마에다 토시마사가 야마토국 야나기모토 번주 오다 히데치카를 살해하고 세푸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 '''마에다 도시아키라''' (1691년 ~ 1737년): 가가번 4대 다이묘 마에다 츠나노리의 다섯째 아들. 1710년 백부 마에다 도시나오의 양자가 되어 다이쇼지번 4대 다이묘가 되었다. 번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지속하여 농민 반란을 겪었고, 에도 성 수리 명령으로 번 재정이 더욱 악화되었다.[4]
- '''마에다 도시미치''' (1733년 ~ 1781년): 마에다 도시아키라의 장남. 1737년 다이쇼지번 5대 다이묘가 되었다. 1752년 도카이도 요시다 다리 재건에 참여했으나, 부실 공사로 다리가 붕괴되어 다시 건설해야 했다. 번 재정을 바로잡지 못하고 1778년 은퇴했다.[5]
- '''마에다 도시아키''' (1758년 ~ 1791년): 마에다 도시미치의 차남. 1778년 다이쇼지번 6대 다이묘가 되었으나, 정신 이상 증세를 보여 1782년 가택 연금되고 번은 남동생에게 넘어갔다.[6]
- '''마에다 도시타네''' (1760년 ~ 1788년): 마에다 도시미치의 셋째 아들. 1782년 형 마에다 도시아키를 대신하여 다이쇼지번 7대 다이묘가 되었다. 재정난과 흉작에 시달렸으며, 젊은 나이로 인해 개혁을 시행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 '''마에다 도시야스''' (1779년 ~ 1806년): 마에다 도시아키의 아들. 1788년 삼촌 마에다 도시타네의 사망으로 다이쇼지번 8대 다이묘가 되었다. 규율 확립, 재정 개혁, 무술 장려를 통해 번 정부를 회복하여 다이쇼지 번주 중 가장 유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마에다 도시코레''' (1785년 ~ 1837년): 마에다 도시타네의 셋째 아들. 1806년 마에다 도시야스의 양자가 되어 다이쇼지번 9대 다이묘가 되었다. 1821년 고쿠다카가 10만 석으로 증가했지만, 군사 복무 증가로 번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 '''마에다 토시나카''' (1812년 ~ 1838년): 마에다 도시코레의 차남. 1837년 다이쇼지번 10대 다이묘가 되었으나 몇 달 만에 사망했다.
- '''마에다 토시히라''' (1824년 ~ 1849년): 마에다 도시코레의 여섯째 아들. 1838년 다이쇼지번 11대 다이묘가 되었다. 번의 재정난과 고쿠다카 감소(10만 석 → 7만 석)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가가번의 반대로 개혁에 실패하고 사망했다.
- '''마에다 토시노리''' (1833년 ~ 1855년): 가가번 마에다 나리아스의 셋째 아들. 1849년 마에다 토시히라의 사망으로 다이쇼지번 12대 다이묘가 되었으나 1855년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4. 주요 가신
가문명 | 석고 | 역할 |
---|---|---|
마에다(前田) | 1200석 | 가신 일문 |
이코마(生駒) | 1100석 | |
무라이(村井) | 1100석 | 가로(家老) |
야마자키(山崎) | 1000석 | |
마에다(前田) | 1000석 | 가신 일문 |
사부이(佐分) | 1000석 | |
노구치(野口) | 850석 | |
오이(大井) | 500석 | |
잇시키(一色) | 400석 | |
이나카키(稲垣) | 400석 | |
후카마치(深町) | 400석 | |
타마루(田丸) | 350석 | |
마에다(前田) | 200석 | 가신 일문 |
5. 막말의 영지
다이쇼지 번은 주기적인 지적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영토로 구성되었다.[2][3]
가가국 |
---|
에누마군 143개 촌 (군 전체) |
노미군 6개 촌 |
- 중복되는 테이블을 제거하고, 에누마 군을 이시카와현 에누마군에서 에누마군으로 수정함.
참조
[1]
서적
Land and Lordship in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출판사 정보 없음)
1998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출판사 정보 없음)
1987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출판사 정보 없음)
1987
[4]
간행물
ふるさと石川歴史館
北國新聞社
2002-06-10
[5]
간행물
ふるさと石川歴史館
北國新聞社
2002-06-10
[6]
문서
지금의 이시카와현 가가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