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가번은 센고쿠 시대 무장 마에다 도시이에가 1583년에 하사받아 시작된 일본의 번이다. 그의 장남 마에다 도시나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여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가가번은 마에다 가문이 대대로 통치했다. 가가번은 도야마 번, 다이쇼지 번, 나노카이치 번 등의 지번을 거느렸으며, 막부 말기에는 가가, 노토, 엣추, 오미 지역을 관할했다. 가가번은 메이지 유신 이후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으며, 번주 마에다 가문은 가신 세력인 가가팔가를 거느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국의 번 - 다이쇼지번
다이쇼지 번은 에도 시대 가가국에 있던 가가 번의 지번으로, 1639년 마에다 도시쓰네가 은퇴하며 그의 삼남에게 영지를 나누어주어 성립되었고, 폐번치현 때 이시카와현에 통합될 때까지 존속한 마에다 씨의 도자마 다이묘 번이다. - 가가번 - 도야마성
도야마성은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평지성으로, 1543년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센고쿠 시대 쟁탈전을 거쳐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삿사 나리마사에 의해 개축되어 '우키조'라는 별칭을 얻었고, 에도 시대 도야마번 마에다 가문의 거성이었으나 현재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모의 천수와 유구가 남아있는 도야마 시의 중요한 유적이다. - 가가번 - 다카오카성
다카오카성은 에도 시대 초 가가번주 마에다 도시나가가 축성하다 일국일성령으로 폐성되었으나, 현재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벚꽃 명소로 알려져 있으며 해자와 성곽 구조가 잘 보존된 국가 사적이다.
가가번 | |
---|---|
개요 | |
별칭 | 가나자와번(가나자와 한) |
구분 | 번 |
존속 기간 | 1601년 ~ 1871년 |
이전 국가 | 일본국 |
시대 | 에도 시대 |
중심지 | 가나자와성 |
현재 국가 | 일본 |
오늘날의 지역 | 이시카와현, 도야마현 |
지도 | |
![]() | |
통치자 | |
직위 | 번주 |
초대 번주 | 마에다 도시나가 (1601년 ~ 1605년) |
마지막 번주 | 마에다 요시야스 (1866년 ~ 1871년) |
구성 | |
속한 구니 | 가가국, 엣추국, 노토국 |
역사 | |
주요 사건 | 폐번치현 |
문장 | |
문장 종류 | 몬 |
![]() | |
기타 정보 |
2. 역사
마에다 도시이에는 센고쿠 시대의 저명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이었다. 오봉장의 일원이었던 그는 1583년 가가 번을 하사받았다.[1] 그의 장남 마에다 도시나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권력 장악을 지원하여 125만 석으로 영토가 증가하는 상을 받았다.
도시나가는 그의 동생 마에다 도시쓰구에게 가독을 계승하였고, 도시쓰구는 도야마 번(10만 석), 다이쇼지 번(10만 석) 두 개의 분가를 설립하였다. 오사카 전투에서의 공로로 도시쓰구의 동생 마에다 도시타카에 의해 설립된 나노카이치 번은 최소 1만 석으로 평가된다.
가가 번은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가와 막부가 타도되고 한제가 폐지된 1871년까지 존속했다. 가가 번 다이묘의 주요 에도 저택이 있던 곳은 현재 도쿄 대학 홍고 캠퍼스가 자리하고 있다. 가가국 이시카와군에 있는 가나자와성( 가나자와시)에 성을 두었다. 1869년 판적봉환 이후에는 번명을 '''가나자와 번'''으로 정했다.
번주인 마에다가는 외양대명이지만 도쿠가와 쇼군가와의 인척 관계가 강하여 준어가문으로서 '''마쓰다이라 성'''과 '''아오이몬'''이 하사되었다. 3대 미쓰타카 이후의 번주는 쇼군의 편휘를 받았으며, 대명 중 최대인 102만 5천 석을 영지로 거느렸다.
극관도 종삼위참의로 다른 대명과는 별격으로 공경이 된 것은 도쿠가와 일문 이외에는 마에다 뿐이며, 시코우석도 도쿠가와 고산가나 에치젠 마쓰다이라가 등의 어가문이 머무는 대랑하(다른 외양의 국지대명은 대광간)[7] 등 고산가에 준하는 대우였다.[8] 그 외에도 일국일성령이 포고된 후 고마쓰성의 재건이 허가되어 "일국이성"이 되고, 쇼군가에게는 배신인 가가 8가(후술)에게도 무가관위가 주어지는 등 다른 외양 대명과는 별격의 대우를 받았다.
2. 1. 전사(前史) (모모야마 시대 이전)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노토 1국을 하사받은 마에다 도시이에는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고 가가 2군을 받았다.[1] 1585년 사사 나리마사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도시나가[9]에게 에치고의 사수, 도나미, 후케 3군 32만 석을 주어, 3국에 걸쳐 100만 석을 지배하는 마에다 가문 영토의 원형이 형성되었다.[10]2. 2. 마에다 도시나가와 세키가하라 전투
게이초 4년(1599년) 마에다 도시이에 사후, 장남 마에다 도시나가가 마에다 가문의 가독과 가가 가나자와 영지 26만 7,000석을 상속받았다. 마에다 가문은 가가 북부와 에치고를 지배하는 도시나가와 노토에 21만 석을 지배하는 그의 동생 마에다 도시마사로 분할되었지만, 총 석고는 합계 83만 석에 달했고, 도시나가는 오대로에 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2]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시나가는 동군, 도시마사는 서군에 속했으나(다른 설도 있음), 전투 후 도시마사는 영지를 몰수당했다. 그 대신 도시나가는 도시마사의 옛 영지와 가가 남부의 서군 다이묘의 옛 영지(다니와 나가시게의 고마쓰 12만 석과 야마구치 무네나가의 다이세이지 6만 3천 석)를 받아 가가, 노토, 에치고 3개국에 달하는 영지를 얻었다(가가에는 노미군 백산록(白山麓)의 막부 직할령이 있었다). 도시나가는 영내 재검지를 실시하여 실고를 높였다.[12]
2. 3. 가가 100만 석의 확정
1631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徳川家光)는 2대 번주 마에다 도시쓰네(前田利常)(마에다 도시나가의 동생)의 행동을 의심하여 “마에다 정벌”을 계획했으나, 요코야마 야스하루(横山康玄)의 진술과 도시쓰네가 장남 마에다 미쓰타카(前田光高)와 함께 에도로 가서 충성을 보임으로써 사태를 수습했다(寛永|간에이일본어의 위기).[13] 1634년 8월에는 이에미쓰가 도시쓰네에게 발급한 영지주인장에 따라 가가, 에치고, 노토 3개국의 표고 119만 2760석이 확정되었다.[13]1639년에 도시쓰네가 은거할 때, 차남인 마에다 도시쓰구(前田利次)와 삼남인 마에다 도시하루(前田利治)를 분가시켜 측번으로 삼고, 에치고 도야마 번 10만 석과 가가 다이쇼지 번 7만 석(10만 석)을 각각 분여하였으므로, 총 102만 5천 석이 되었다. 측번(별가)으로는 그 외에 마에다 도시타카(前田利孝) (도시쓰네의 형)를 시조로 하는 코즈케 나노카이치 번 1만 석이 있다.[14]
도시쓰네 시대에 지배 체제 정비가 이루어져 번 체제가 확립되었다. 도시쓰네의 손자인 마에다 쓰나노리(前田綱紀)는 학자를 초빙하여 학문을 진흥한 명군으로 유명하며, 겐로쿠엔은 쓰나노리 시대에 조성되었다.
막말의 대정봉환 당시에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지지하였으나, 구막부군이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패배한 후, 방침을 바꾸어 신정부의 호쿠리쿠 진무군에 귀순하였다.
2. 4.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폐번치현으로 가나자와현(金沢県)이 되었고, 곧 신카와현·다이쇼지현과 합병하여 이시카와현이 되었다. 1883년 도야마현이 분리 설치되면서 현재의 이시카와현 영역이 확정되었다. 1884년 화족령에 따라 구 번주 마에다 가는 후작 가문이 되었다.[14]3. 역대 번주
가가 번의 번주는 마에다씨가 세습했다.[1] 마에다 도시이에는 센고쿠 시대의 저명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이었다. 그는 오봉장의 일원으로서 1583년 가가 번을 하사받았다. 그의 장남 마에다 도시나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권력 장악을 지원하여 으로 영토가 증가하는 상을 받았다.
도시쓰네 이후, 마에다 가문은 마쓰다이라 칭호를 받아 사용했으며,[15] 번주들은 '가슈덴'이 아닌 '''가슈후'''로 불리며 공경의 격식을 나타내는 후작 칭호를 받았다.
마에다 도시나가는 그의 동생 마에다 도시쓰네에게 가독을 계승하였고, 도시쓰네는 두 개의 분가를 설립하였다.
세 번째 분가는 오사카 전투에서의 공로로 도시쓰네의 동생 도시타카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분가는 최소 으로 평가되는 나노카이치 번을 지배하였다.
가가 번은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가와 막부가 타도되고 한제가 폐지된 1871년까지 존속했다. 가가 번 다이묘의 주요 에도 저택이 있던 곳은 현재 도쿄도 분쿄구 혼고의 도쿄 대학 캠퍼스가 자리하고 있다.
마에다 가는 외양대명이지만 도쿠가와 쇼군가와의 인척 관계가 강하여 준어가문으로서 '''마쓰다이라 성'''과 '''아오이몬'''이 하사되었다. 3대 마에다 미쓰타카 이후의 번주는 쇼군의 편휘를 받았다. 또한, 대명 중 최대인 을 영지로 거느렸다.
극관도 종삼위참의로 다른 대명과는 별격으로 공경이 된 것은 도쿠가와 일문 이외에는 마에다 가문뿐이며, 시코우세키도 도쿠가와 고산케나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등의 어가문이 머무는 대랑하(다른 외양의 국지대명은 대광간)[7] 등 고산케에 준하는 대우였다.[8] 그 외에도 일국일성령이 포고된 후 고마쓰 성의 재건이 허가되어 "일국이성"이 되고, 쇼군가에게는 배신인 가가 8가(후술)에게도 무가관위가 주어지는 등 다른 외양 대명과는 별격의 대우를 받았다.
3. 1. 마에다 가문
4. 가신
가가 번의 직신(直臣)은 크게 인모치구미가시라(人持組頭), 인모치구미(人持組), 평시(平士), 아시가루(足軽)로 나뉜다.[7] 인모치구미가시라는 가가팔가(加賀八家) 또는 마에다팔가(前田八家)라고도 불리며, 모두 1만 석 이상의 봉록을 받는 중신으로 번정에 관여했다. 인모치구미는 가로(家老) 등 중책에 임명되기도 했으며, 봉록은 1만 석 이상에서 1000석 정도까지 다양했고 약 70가문이 있었다.[7]
(인모치구미가시라 (가가팔가)와 주요 인모치구미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4. 1. 인모치구미가시라 (가가팔가)
가가 팔가(加賀八家)는 인모치구미가시라(人持組頭)라고도 불리며, 1만 석 이상의 봉록을 가진 중신 가문들을 말한다. 이들은 번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7]가문명 | 석고 | 비고 |
---|---|---|
혼다 씨(本多氏) | 50000석 | 필두 가로,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나가 씨(長氏) | 33000석 | 노토 지역 유력 가문,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요코야마 씨(横山氏) | 30000석 | 가나자와 성대, 도야마 성대 역임,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마에다 쓰시마모리가 | 18000석 | 번주 일가,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오쿠무라 씨(奥村氏) 종가 | 17000석 | 스에모리 성대 역임,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무라이 씨(村井氏) | 16500석 |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오쿠무라 씨(奥村氏) 분가 | 12000석 | 유수거역 역임,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마에다 도사모리가 | 11000석 | 번주 일가, 메이지 유신 이후 남작 |
今枝가 | 14000석 | 가로[7] |
쓰다가 | 10000석 | 가로[7] |
요코야마 구라닌가 | 10000석 | 가로[17] |
혼다 도쇼가 | 10000석 | 가로[7] |
나리세 소부가 | 8000석 | |
아오야마 쇼칸가 | 17000석 → 9700석 → 7650석 | |
테라니시 요닌가 | 7000석 | |
마에다 도쇼가 | 7000석 | 번주 일문 |
마에다 오리가 | 7000석 | 번주 일문 |
마에다 슈리가 | 6000석 | 번주 일문 |
야마자키 쇼베에가 | 5500석 | |
타가 스마가 | 4000석 → 6000석 → 5300석 → 4300석 → 5000석 | |
타마이 요모가 | 5000석 | |
반 하치야가 | 5000석 | |
나카가와 하치로에몬가 | 5000석 | |
후카미 누이덴스케가 | 4500석 | |
후와 히코자가 | 4500석 | |
니시오 하야토가 | 4300석 | |
오토 다이토가 | 4300석 | |
시노하라 오리가 | 4000석 | |
마쓰다이라 다이니가 | 4000석 | |
마에다 헤이부가 | 4000석 | 번주 일문 |
타케다 소부가 | 3530석 | |
요코야마 게이키가 | 3500석 | |
마에다 쇼칸가 | 3400석 | 번주 일문 |
미타무라 사쿄가 | 3300석 | |
키쿠치 쥬로쿠로가 | 3200석 | |
이코마 칸에몬가 | 5000석 → 3000석 | |
마에다 나이조스케가 | 3000석 | 번주 일문 |
마에다 시키부가 | 3000석 | 번주 일문 |
시노하라 칸모쓰가 | 3000석 | |
마에다 칸모쓰가 | 3000석 | 번주 일문 |
나가하라 큐베에가 | 3000석 | |
오다 사콘가 | 3000석 | |
혼다 수이가 | 3000석 | |
시나가와 사몬가 | 3000석 | |
마에다 효고가 | 2500석 | 번주 일문 |
마에다 슈덴가 | 2450석 | 번주 일문 |
우에사카 구라닌가 | 3000석 | |
오바타 카타로가 | 3000석 | |
이토 슈마가 | 3300석 → 2800석 | |
오쿠무라 겐자에몬가 | 3200석 → 2700석 | |
타가 덴젠가 | 2500석 | |
나가하라 곤사가 | 2500석 |
4. 2. 주요 인모치구미
가가번의 직신(直臣)은 인모치구미가시라(人持組頭), 인모치구미(人持組), 평사(平士), 아시가루(足軽)로 크게 나뉜다. 인모치구미가시라는 다른 이름으로 '''가가팔가(加賀八家)''' 또는 '''마에다팔가(前田八家)'''라고도 하며, 모두 1만 석 이상의 봉록을 가지고 번정(藩政)에 관여하는 중신이었다. 인모치구미는 때때로 가로(家老) 등의 중직에 임명되기도 했으며, 고록(高禄)의 경우 1만 석 이상, 적은 경우 1000석 정도의 봉록을 받았고 약 70가(家)가 존재했다.
5. 지번
- 도야마 번
- 다이쇼지 번
- 나노카이치 번
6. 막부 말기의 영지
대부분의 "한" 시스템 영지와 마찬가지로 가가번(加賀藩)은 정기적인 지적 조사와 예상 농업 수확량을 기반으로 배정된 고쿠다카(石高)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비연속적인 영토로 구성되었다.[3][4] 1868년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가 막을 내릴 당시 가가번의 영지는 다음과 같았다.
국명 | 군명 | 마을 수 | 비고 |
---|---|---|---|
가가 국(加賀国) | 가호쿠군(河北郡) | 177개 마을 | 전체 |
가가 국(加賀国) | 이시카와군(石川郡) | 235개 마을 | 전체 |
가가 국(加賀国) | 노미군(能美郡) | 205개 마을 | 18개 마을 제외 |
노토 국(能登国) | 하쿠이군(羽咋郡) | 177개 마을 | 전체 |
노토 국(能登国) | 가시마군(鹿島郡) | 128개 마을 | 전체 |
노토 국(能登国) | 후게시군(婦負郡) | 229개 마을 | 전체 |
노토 국(能登国) | 스즈군(珠洲郡) | 75개 마을 | 공유된 한 마을 제외한 전체 |
엣추 국(越中国) | 이미즈군(射水郡) | 220개 마을 | 전체 |
엣추 국(越中国) | 도나미군(砺波郡) | 490개 마을 | 전체 |
엣추 국(越中国) | 니카와군(新川郡) | 409개 마을 | 전체 |
오미 국(近江国) | 타카시마군(高島郡) | 3개 마을 |
참조
[1]
웹사이트
Kaga Province
http://www.japanese-[...]
2013-04-09
[2]
서적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4]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5]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4-09
[6]
웹사이트
前田氏
http://reichsarchiv.[...]
2013-07-09
[7]
서적
日本一の大大名と将軍さま 徳川家も気をつかった加賀百万石の江戸時代
[8]
서적
藩史大事典
[9]
문서
前田利家が織田信長から加賀一国を与えられた際、利家の旧領であった越前府中城は利長に与えられ、利長は秀吉に従うと加賀松任城・越中守山城に移された。利家の監督を受けていたが、利長は独自の家臣団を編成していた。
[10]
서적
前田利家
[11]
문서
新川郡にある白鳥城は、佐々の降伏(富山の役)後に既に、成政に備えるため前田家の城将を置いていた。
[12]
문서
慶長10年(1605)4月8日、利長隠居・利光(のちの利常)宛「領知判物」(「越登賀三州志」高岡市立博物館)
[13]
문서
利常宛て寛永朱印状(「加賀藩文書」前田育徳会など)
[14]
서적
寛政重修諸家譜
[15]
간행물
前田氏への松平氏下賜
[16]
서적
金沢城代と横山家文書の研究
石川県教育委員会金沢城調査研究所
[17]
간행물
令和6年新春展 前田育徳会寄託近世史料展Ⅲ『万石人持組横山家』展示解説資料
金沢市立玉川図書館近世資料館
[18]
서적
横山氏系図
金沢市立玉川図書館近世資料館所蔵 加越能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