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피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피탄은 필리핀 민다나오 섬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필리핀 독립의 아버지인 호세 리살이 유배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수바넨족이 최초로 정착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예수회 선교부 설립 이후 강력한 정부 형태를 갖추었다. 1963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주요 관광지로는 리살 기념관, 리살의 상륙 지점, 다피탄 시 광장 등이 있다. 다피탄은 7월에 키나바요 축제를 개최하며, 해상과 항공 교통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피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다피탄 시 |
별칭 | 필리핀의 성지 도시 남부의 역사적인 도시 남부의 리잘 도시 |
표어 | "아반테 카요 다피타논 (Abante Kaayo Dapitanon)" (더욱 전진하는 다피타논) |
위치 | 필리핀 |
지방 | 삼보앙가 반도 지방 |
주 | 북삼보앙가주 |
행정 구역 | 바랑가이 |
바랑가이 수 | 50개 (바랑가이 목록 참조) |
설립 | 1629년 |
시 승격 | 1963년 6월 22일 |
시장 | 세스 프레데릭 P. 잘로스호스 (국민당) |
부시장 | 알프레도 A. 시 (APP) |
하원 의원 | 로베르토 T. 우이 주니어 |
시의회 | 제제벨 A. 발리사도 디바인 G. 파틸라노 미치 A. 둘라완 모데스타 H. 말라야오 로니 M. 하라판 조셉 라이언 A. 아골롱 노엘 B. 사르다네 클라버 A. 파하렌 루디비코 E. 하모이 켐벨린 A. 발루칸 펠릭스 P. 탁바야 (ABC 연맹) 메리 앤 C. 렌돈 (상구니앙 카바타안 연맹) |
유권자 수 | 69,413명 (2022년) |
고도 | 33m |
면적 | 390.53km2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웹사이트 | 다피탄 시 공식 웹사이트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85,202명 |
가구 수 | 19,290가구 |
경제 | |
소득 등급 | 2등급 도시 소득 등급 |
빈곤율 | % () |
수익 | () |
자산 | () |
지출 | () |
부채 | () |
서비스 제공자 | |
전기 | }} |
수도 | 다피탄 시 수도 지구 (DapCWD) |
기후 | |
언어 | |
종교 | |
가톨릭 교구 | |
가톨릭 교구 | 디폴로그 로마 가톨릭 교구 |
수호 성인 | 대 야고보 |
2. 역사
필리핀 역사에서 다피탄은 필리핀 독립의 아버지 호세 리살이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의해 유배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1892년 라리가 필리피나 결성으로 유배된 후, 다피탄에서 학교, 병원, 상하수도 시설을 건설하고 학생들과 함께 마닐라 삼(아바카) 재배를 했다. 그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신적 교육도 실시했고, 이 학생들 중에서 많은 훌륭한 농업인과 정치인이 배출되었다. 1896년 처형을 위해 마닐라로 이송될 때까지 이곳에서 학생들과 주민들의 계몽에 힘썼다.[2]
2. 1. 초기 정착
다피탄 최초의 정착민은 강("수바(suba)")을 따라 정착하여 살았던 오스트로네시아계통의 유목 부족인 수바넨족이었다.[2] 이들은 오늘날 부족 정체성의 기원이 되었다.초기 필리핀 지도 제작자들은 민다나오 섬의 다피탄 위치를 지도에 다양하게 표기했다.
지도 제작자 | 지도 이름 | 다피탄 표기 |
---|---|---|
카에리우스(Kaerius) | 1598년 지도 | 다피토(Dapito) |
로버트 더들리(Robert Dudley) | 1646년 지도 | 다피테(Dapite) |
니콜라스 쌍송(Nicolas Sanson) | 1652년 지도 | 다피토(Dapyto) |
허먼 몰(Herman Moll) | 1729년 동인도 지도 | 다피탄(Dapitan) |
무릴로 벨라르데(Murillo Velarde) | 1734년 지도 | 다피탄(Dapitan) |
[2]
1595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도착했을 때 다피탄은 이미 번성하는 마을이었다. 레가스피 원정대에는 아우구스티노회 수사들이 동행하여 원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대표적인 개종자로는 파그부아야(Pagbuaya)의 아들 페드로 마누옥(Pedro Manooc)과 그의 딸 마리아 우레이(Maria Uray)가 있다. 1629년 예수회 선교사 페드로 구티에레스(Pedro Gutierrez) 신부가 이끄는 상설 선교부가 다피탄에 설립되었다.[2]
예수회 선교부 설립 이후 강력하고 안정적인 형태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스페인 당국은 이미 존재하던 지역 통치 형태를 채택했지만, 관리들을 스페인 정부의 절대적인 통제하에 두었다. 이 마을은 "푸에블로(pueblo)"로 알려지게 되었고, 수장은 "다투(Datu)", "카피탄(Capitan)", 또는 "카베사 데 바랑가이(Cabeza de Barangay)"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1898년 스페인 지배가 끝날 때까지 다피탄의 정치·군사 지휘소는 미사미스(Misamis)에 의존했다. 다피탄이 삼보앙가(Zamboanga)의 필리핀군의 일부가 된 것은 혁명 시대에 이르러서였다.[2]
2. 2. 스페인 식민 시대
다피탄 최초의 정착민은 오늘날 부족 정체성의 기원이 된 강, 즉 "수바(suba)"를 따라 정착하여 살았던 오스트로네시아계통의 유목 부족인 수바넨족이었다.[2]초기 필리핀 지도 제작자들은 민다나오 섬의 다피탄 위치를 지도에 다양하게 표기했는데, 1598년 카에리우스(Kaerius)는 "다피토(Dapito)", 1646년 로버트 더들리(Robert Dudley)는 "다피테(Dapite)", 1652년 니콜라스 쌍송(Nicolas Sanson)은 "다피토(Dapyto)", 1729년 허먼 몰(Herman Moll)의 동인도 지도와 1734년 무릴로 벨라르데(Murillo Velarde)는 "다피탄(Dapitan)"으로 표기했다.[2]
1595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가 도착했을 때 다피탄은 이미 번성하는 마을이었다. 레가스피 원정대에는 아우구스티노회 수사들이 동행하여 원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대표적인 개종자로는 파그부아야(Pagbuaya)의 아들 페드로 마누옥(Pedro Manooc)과 그의 딸 마리아 우레이(Maria Uray)가 있다. 1629년 예수회 선교사 페드로 구티에레스(Pedro Gutierrez) 신부가 이끄는 상설 선교부가 다피탄에 설립되었다.[2]
예수회 선교부 설립 이후 강력하고 안정적인 형태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스페인 당국은 이미 존재하던 지역 통치 형태를 채택했지만, 관리들을 스페인 정부의 절대적인 통제하에 두었다. 이 마을은 "푸에블로(pueblo)"로 알려지게 되었고, 수장은 "다투(Datu)", "카피탄(Capitan)", 또는 "카베사 데 바랑가이(Cabeza de Barangay)"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1898년 스페인 지배가 끝날 때까지 다피탄의 정치·군사 지휘소는 미사미스(Misamis)에 의존했다. 다피탄이 삼보앙가(Zamboanga)의 필리핀군의 일부가 된 것은 혁명 시대에 이르러서였다.[2]
필리핀 역사상 필리핀 독립의 아버지 호세 리살이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의해 유배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1892년 라리가 필리피나 결성으로 유배된 후, 다피탄에서 학교, 병원, 상하수도 시설 건설을 진행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마닐라 삼(아바카) 재배를 했다. 그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신적 교육도 실시했고, 이 학생들 중에서 많은 훌륭한 농업인과 정치인이 배출되었다. 1896년 처형을 위해 마닐라로 이송될 때까지 이곳에서 학생들과 주민들의 계몽에 힘썼다.
2. 3. 호세 리살의 유배
필리핀 역사에서 필리핀 독립의 아버지 호세 리살은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의해 유배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호세 리살은 1892년에 라리가 필리피나 결성으로 유배된 후, 이곳 다피탄에서 학교, 병원, 상하수도 시설 건설을 진행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마닐라삼(아바카) 재배를 했다.[2] 그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신적 교육도 실시했고, 이 학생들 중에서 많은 훌륭한 농업인과 정치인이 배출되었다.[2] 그는 1896년에 처형을 위해 마닐라로 이송될 때까지 이곳에서 학생들과 주민들의 계몽에 힘썼다.[2]2. 4. 시 승격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은 1963년 6월 22일 R.A. 3811에 서명하여 다피탄을 시로 승격시켰다.[3] 다피탄은 공식적으로 “필리핀의 성지 도시”로 알려져 있다.3. 지리
다피탄은 잠보앙가 반도의 최북단, 다피탄 만에 있는 다피탄 강 어귀에 위치한다. 마닐라 수도권에서 남쪽으로 약 404nmi, 잠보앙가 시에서 156nmi, 디폴로그에서 14km 떨어져 있다.[4]
다피탄의 기후는 아래 표와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 | 29 | 29 | 30 | 31 | 30 | 30 | 29 | 30 | 30 | 29 | 29 | 29 |
최저 기온 (℃) | 23 | 23 | 23 | 24 | 25 | 25 | 24 | 24 | 24 | 24 | 24 | 24 |
강수량 (mm) | 104mm | 76mm | 92mm | 97mm | 199mm | 238mm | 195mm | 193mm | 178mm | 212mm | 171mm | 110mm |
강우 일수 | 14.7 | 12.5 | 15.8 | 17.5 | 27.6 | 28.5 | 29.0 | 27.5 | 26.9 | 27.9 | 23.5 | 18.2 |
자료 출처: Meteoblue (모델링/계산된 데이터, 현지 측정값 아님)[5]
3. 1. 행정 구역
다피탄은 행정 구역상 50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포함하기도 한다.[6]현재 도시 지역 바랑가이는 8개, 내륙 지역 바랑가이는 27개, 해안 지역 바랑가이는 13개, 섬 지역 바랑가이는 2개이다.[6] 1955년에 시팔록, 바르셀로나, 포퉁간 시티오는 바리오로 승격되었다.[7]
3. 1. 1. 주요 바랑가이
3. 2.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 | 29 | 29 | 30 | 31 | 30 | 30 | 29 | 30 | 30 | 29 | 29 | 29 |
최저 기온 (℃) | 23 | 23 | 23 | 24 | 25 | 25 | 24 | 24 | 24 | 24 | 24 | 24 |
강수량 (mm) | 104mm | 76mm | 92mm | 97mm | 199mm | 238mm | 195mm | 193mm | 178mm | 212mm | 171mm | 110mm |
강우 일수 | 14.7 | 12.5 | 15.8 | 17.5 | 27.6 | 28.5 | 29.0 | 27.5 | 26.9 | 27.9 | 23.5 | 18.2 |
4. 인구
연도 | 인구 |
---|---|
1903 | 8,086 |
1918 | 12,866 |
1939 | 28,295 |
1948 | 37,984 |
1960 | 27,517 |
1970 | 37,781 |
1975 | 46,261 |
1980 | 54,694 |
1990 | 59,396 |
1995 | 62,995 |
2000 | 68,178 |
2007 | 72,792 |
2010 | 77,441 |
2015 | 82,418 |
2020 | 85,202 |
5. 경제
'''다피탄의 빈곤 발생률'''
6. 정치
다피탄의 정부 청사인 시청은 다우(Dawo) 마을에 있는 다피탄 정부 센터에 위치해 있다. 지방 정부는 시장 1명, 부시장 1명, 그리고 10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되며, 모두 인기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시의회에는 당연직 의원 2명이 추가되는데, 한 명은 다피탄의 50개 마을장 대표인 마을장 협의회(ABC) 회장이며, 다른 한 명은 다피탄의 50개 마을 청소년 의회 회장을 대표하는 상구니앙 카바탄(SK) 연합 회장이다. ABC와 SK 회장을 제외한 모든 공무원은 3년 임기로 공개 선출되며, 최대 3번까지 연속 재선될 수 있다. 시의 일상적인 행정은 시 행정관이 담당한다.[17][18]
7. 관광
다피탄은 호세 리살이 유배 생활을 했던 곳으로, 타구일론에는 다칵 해변 리조트가 있고, 탈리사이(Talisay) 해변에는 리살 공원과 기념관이 있다.
리살은 1892년 라리가 필리피나 결성으로 유배된 후 1896년 처형될 때까지 다피탄에서 학교, 병원, 상하수도 시설을 건설하고, 학생들과 함께 마닐라삼(아바카) 재배 및 계몽 활동을 펼쳤다.[20]
7. 1. 주요 관광 명소
- 다칵 해변 리조트: 코코넛과 해초를 기반으로 한 한천을 생산하며 어항이기도 한 타구일론에 있다. 다피탄의 주요 여객/화물 항구의 보조/대체 항구 역할을 한다.
- 리살 공원과 기념관: 호세 리살(José Rizal)이 4년간 유배 생활을 보낸 탈리사이(Talisay) 해변에 있다. 1892년 8월, 복권에 당첨되어 마련한 자금으로 10헥타르의 토지를 구입하여 조성하였으며, 1893년 3월부터 1896년까지 리살과 그의 가족들이 함께 살았다. 1973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령에 의해 국립 기념관으로 지정되었다.[20]
- 리와산 응 다피탄(다피탄 시 광장): 호세 리살이 유배 생활 중 조성한 약 1헥타르 면적의 광장이다. 리살은 다피탄의 스페인 정치·군사 총독인 리카르도 카르니세로의 도움을 받아 유럽의 광장들과 견줄 만한 광장을 만들었다.[20]
- 리살의 상륙 지점(Punto del Desembarco de Rizal): 리살이 다피탄에 상륙한 지점으로, 다피탄 지역에 기독교가 전파되었음을 상징하는 20피트 높이의 십자가가 있다.
- 카사 레알: 리살이 도착하여 1893년 3월까지 머물렀던 곳으로, 카르니세로 총독의 관저였다. 옛 시청과 비슷한 모습으로, 복제품이 곧 세워질 예정이다.
- 성 야고보 대성당: 1871년 다피탄의 수호성인인 성 야고보 대성인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리살이 매주 일요일 미사를 드릴 때 서 있던 역사적인 장소가 내부에 있으며, 1827년 제작된 유서 깊은 오르간이 있다.
- 코타 드 다피탄: 1761년에 설립된 요새로, 삼보앙가 북부 해역을 감시하기 위해 신성한 일리한 언덕 위에 세워졌다. 현재 보존이 시급하다.
필리핀 독립의 아버지 호세 리살은 1892년 라리가 필리피나 결성으로 유배된 후 다피탄에서 학교, 병원, 상하수도 시설을 건설하고, 학생들과 함께 마닐라삼(아바카) 재배를 했다. 그는 농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신적 교육도 실시하여 훌륭한 농업인과 정치인을 배출했으며, 1896년 처형될 때까지 학생들과 주민들의 계몽에 힘썼다.
8. 축제
다피탄은 7월 25일에 기념되는 수호성인 성 야고보를 기리는 다채로운 피에스타를 지역 주민들을 위해 종교, 문화, 스포츠 행사를 결합한 키나바요 축제(Kinabayo Festival)로 개최한다.
키나바요 축제는 7월 16일에 시작하여 7월 31일에 끝나며, 필리핀의 성지 도시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9. 교통
다피탄은 풀라우안 항구와 디폴로그 공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풀라우안 항구에서는 두마게테와 세부 시를 오가는 페리가 매일 운항되며, 디폴로그 공항에서는 필리핀항공과 세부퍼시픽이 항공편을 운항한다. 디폴로그에서 다피탄까지는 셔틀버스로 20~30분, 거리는 12km이다. 타구일론의 부두는 다피탄 주요 항구의 보조/대체 항구 역할을 하며, 폭풍 시 선박들의 피난처가 되기도 한다.
9. 1. 해상
타구일론은 다칵 공원 및 해변 리조트가 있는 곳으로, 코코넛과 해초를 기반으로 한 한천을 생산하며 어항이기도 하다. 타구일론의 부두는 다피탄의 주요 여객/화물 항구의 보조/대체 항구이다. 폭풍이 심할 때는 페리와 다른 선박들이 타구일론 만에 피난처를 찾기도 한다. 실리노그 섬과 발양가우의 일부를 내려다보는 라라브 산을 볼 수 있다.
다피탄은 산 비센테 바랑가이에 있는 풀라우안 항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다만 페리 운항 일정에는 종종 인근 도시인 디폴로그 항구가 목적지로 표기되어 있다). 두마게테와 세부 시를 오가는 페리가 매일 운항된다.
9. 2. 항공
다피탄은 디폴로그 공항을 통해 필리핀항공과 세부퍼시픽이 운항하는 항공편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디폴로그에서 다피탄까지는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20~30분 정도 소요되며, 공항에서 다피탄 시내까지는 12km 거리이다.10. 자매 도시
다피탄은 필리핀의 잠보앙가 시, 디폴로그, 다바오 시[21]와 체코의 리토메르지체와 자매 도시이다.
10. 1. 국내
10. 2. 국제
리토메르지체는 체코의 도시이다.11. 저명한 인물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Dapitan History
https://dapitancity.[...]
Dapitan
2021-06-01
[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3811 - An Act Creating the City of Dapitan
https://www.lawphil.[...]
Arellano Law Foundation
2021-06-01
[4]
웹사이트
Geographical Location
https://dapitancity.[...]
Dapitan
2021-06-01
[5]
웹사이트
Dapit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4-30
[6]
웹사이트
Barangays
https://web.archive.[...]
Dapitan Official Website
2019-10-07
[7]
웹사이트
An Act Converting into Barrios Certain Sitios in the Province of Zamboanga Del Norte
https://archive.toda[...]
LawPH.com
2011-04-11
[8]
웹사이트
Baranggay Officials Database
http://bod.ncr.dilg.[...]
[9]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0]
웹사이트
2000
[11]
웹사이트
2003
[12]
웹사이트
2006
[13]
웹사이트
2012
[14]
웹사이트
2015
[15]
웹사이트
2018
[16]
웹사이트
2021
[17]
웹사이트
Previous Mayor
https://dapitancity.[...]
Dapitan
2021-06-01
[18]
웹사이트
Mindanao City Mayors 1988-2013
http://www.mindanews[...]
2017-04-14
[19]
웹사이트
The Supreme Court and last-minute mayors
https://www.rappler.[...]
2013-04-16
[20]
웹사이트
Liwasan ng Dapitan: Dapitan City Plaza
http://www.markmaran[...]
2010-06-18
[21]
웹사이트
Sister cities join 82nd Davao foundation day
https://web.archive.[...]
2020-09-17
[22]
웹사이트
Partnerská města
https://www.litomeri[...]
Město Litoměřice
2020-08-17
[23]
웹인용
Dapit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