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치히 공방전 (180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치히 공방전은 1807년 프랑스 제10군단이 프로이센 왕국 영토 내 전략적 요충지인 단치히를 포위 공격한 전투이다. 단치히는 비스와 강 하구에 위치한 요새화된 항구로, 프랑스군의 동진을 위협하고 연합군의 배후 공격 거점이 될 수 있는 곳이었다. 1807년 1월, 프랑스군은 마르샬 레페브르 원수의 지휘 아래 단치히를 포위했고, 러시아와 영국의 지원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 5월 24일 단치히는 항복했고, 나폴레옹은 레페브르 원수에게 "단치히 공작" 칭호를 수여했다. 이후 나폴레옹은 단치히를 자유시로 선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7년 5월 - 1807년 영국 총선
1807년 영국 총선은 조지 3세의 반대로 모든 재능 내각이 해산된 후 치러진 선거로 토리당이 승리했으며, 가톨릭 해방과 국왕 권한 옹호가 쟁점이 되어 양당 체제 발전의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단치히 공방전 (1807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전투 | 단치히 공방전 |
분쟁 |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의 일부 |
날짜 | 1807년 3월 19일 - 5월 24일 |
장소 | 프로이센 왕국 그단스크 (현재의 폴란드 그단스크) |
좌표 | 54.366667 |
결과 | 프랑스-연합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France.svg|20px]]프랑스 제국 [[파일:Flag of the Duchy of Warsaw.svg|20px]]폴란드 군단 [[파일:Flag of the Napoleonic Kingdom of Italy.svg|size=22px]]이탈리아 왕국 [[파일:Flag of Saxony.svg|20px]]작센 왕국 [[파일:Flag of Baden.svg|20px]]바덴 공국 |
교전국 2 |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Prussia (1803-1892).svg|20px]]프로이센 왕국 [[파일:Flag of Russia.svg|20px]]러시아 제국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svg|20px]]영국 (해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파일:Flag of France.svg|20px]]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 [[파일:Flag of the Duchy of Warsaw.svg|20px]]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
교전국 2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Prussia (1803-1892).svg|20px]]프리드리히 칼크로이트 [[파일:Flag of Russia.svg|20px]]니콜라이 카멘스키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39,000명, 중포 및 박격포 100문 |
교전국 2 병력 | 16,000명 (공성) 8,000명 (러시아 지원군) |
사상자 및 손실 | |
교전국 1 사상자 | 6,000명 (공성), 400명 (구원 시도) |
교전국 2 사상자 | 10,000명 (공성), 1,500명 (구원 시도) |
관련 전투 | |
관련 전투 목록 | 슐라이츠 전투 잘펠트 전투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에르푸르트 항복 할레 전투 베를린 함락 (1806년) 프렌츨라우 전투 파제발크 항복 슈테틴 항복 바렌-노센틴 전투 뤼베크 전투 마그데부르크 포위전 (1806년) 하멜른 포위전 대 폴란드 봉기 (1806년) 슈트랄준트 대규모 출격 차르노보 전투 골리민 전투 풀투스크 전투 (1806년) 그라우덴츠 포위전 슈바이트니츠 포위전 코젤 포위전 모룽겐 전투 알렌슈타인 전투 호페 전투 아일라우 전투 오스트로웽카 전투 (1807년) 콜베르크 포위전 (1807년) 단치히 포위전 (1807년) 구트슈타트-데펜 전투 하일스베르크 전투 프리틀란트 전투 밀레토 전투 |
2. 단치히의 중요성
단치히(그단스크)는 인구 6만의 비스와강 하구에 위치한 요새화된 항구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18][4][13] 프로이센 왕국 영토 안에 있어 프랑스군이 동쪽으로 진군할 때 좌측을 위협했고, 연합군이 상륙하여 프랑스군 배후에 새로운 전선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적 거점이기도 했다. 북쪽은 비스와 강, 남쪽과 동쪽은 습지로 둘러싸여 서쪽에서만 접근 가능하여 공격하기 어려웠다. 또한, 단치히에는 대육군(the Grande Armée)이 동방 원정에 필요한 화약, 곡물, 오드비 등의 물자가 풍부하게 있었다.[18][4][13]
2. 1. 지정학적 요충지
단치히는 인구 6만의 비스툴라(Vistula) 강 하구에 위치한 요새화된 항구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18][4][13] 프로이센 왕국 영토 안에 있어 프랑스군이 동쪽으로 진군할 때 좌측을 위협했고, 연합군이 상륙하여 프랑스군 배후에 새로운 전선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적 거점이기도 했다. 북쪽은 비스와 강, 남쪽과 동쪽은 습지로 둘러싸여 서쪽에서만 접근 가능하여 공격하기 어려웠다. 또한, 단치히에는 대육군(the Grande Armée)이 동방 원정에 필요한 화약, 곡물, 오드비 등의 물자가 풍부하게 있었다.[18][4][13]2. 2. 군사적 요새
2. 3. 경제적 자원
3. 전투 순서
1807년 1월 중순, 단치히를 함락시키라는 명령이 마르샬 레페브르 원수와 휘하의 제10군단에게 내려졌다.[1] 르페브르 원수는 공병대를 이끄는 샤슬루-로바 장군과 포병대를 지휘하는 바스통 드 라리보이시에의 지원을 받았다.[19] 이들은 공병과 포병 부분에서 프랑스에서 가장 유능한 이들이었다.[19] 드루오 장군은 참모장을 맡았다.[19]
제10군단은 얀 헨리크 돔브로프스키 휘하의 2개 폴란드 사단, 1개의 작센 군단, 바덴에서 온 지원군, 2개의 이탈리아 사단과 10,000명의 프랑스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총 병력은 약 27,000명에서 45,000명 사이였다.[1][10] 이들에게는 3,000명의 기병이 있었다.
단치히는 프로이센의 장군 프리드리히 아돌프 폰 칼크로이트 백작이 11,000명에서 14,400명 사이의 병력과 300문의 포를 갖고 수비하고 있었다.[1][10][19] 하지만 나폴레옹은 이들을 "카나일(canaille 오합지졸, 어중이 떠중이)"[19] 또는 "건달"[14]이라고 묘사하였다.
4. 포위
3월 20일 나폴레옹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제10군단은 단치히를 포위하기 위한 사전 공작에 착수했는데, 프랑스 장군 슈람(Schramm)은 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베이체셀문드/Weichselmundede 항 바깥 너머에 있는 비스툴라 강의 북쪽해안으로 이동하여 도시의 북쪽 방향의 거점을 장악하였다.[21] 4월 2일 공성용 참호를 파기에 알맞을 정도로 땅이 녹았다.[21] 4월 8일 두 번째 참호를 팠고, 이는 4월 15일 완료되었다.[21] 세 번째 참호는 4월 25일 완성되었다.[21] 4월 11일 슐레지엔의 요새 슈바이드니츠/Świdnica영어가 프랑스의 장군 방담(Vandamme)에게 함락되고, 이 곳에 있던 프랑스군의 공성용 포가 단치히로 이동되어 4월 21일 도착하였다.[21]
4. 1. 공성 무기
프랑스군은 슐레지엔의 슈비드니차 요새를 공략한 후 탈취한 대형 공성포를 단치히로 이송했다.[21] 이 공성포는 4월 21일에 도착했다.[21] 4월 2일에는 참호 굴착이 시작될 정도로 땅이 녹았고, 4월 8일에는 두 번째 참호가, 4월 25일에는 세 번째 참호가 완성되었다.[21]5. 도시를 구원하려는 노력
3월 23일 프랑스 포병대가 포격을 시작하였다.[20][1][15] 5월 10일부터 15일까지 러시아군은 카멘스키 장군의 지휘 하에 단치히에 지원군을 파견하려 했다. 이들은 영국의 전투용 슬루프함[20] ''팔콘''과 스웨덴 전열함의 호위를 받으며 57척의 수송선에 8,000명의 병력을 수송하려 했다. 그러나 1,200명의 병사를 태운 스웨덴 함선의 지연으로 카멘스키는 작전을 연기해야 했다.[20] 이는 르페브르에게 지원 작전에 대처할 시간을 주었고, 결국 러시아군은 단치히 지원에 실패했다. 영국 사료에는 46명의 장교와 1,600명이 전사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프랑스 측 사료에는 3,000명의 러시아군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0]
18문의 포를 장착한 영국의 프램 다운틀리스가 강을 통해 단치히에 화약 150상자를 보급하려 했으나, 함선이 좌초되어 실패하고 실려 있던 물자는 파리에서 온 척탄병 근위부대에게 탈취당했다.[20][1]
5. 1. 러시아군의 지원 시도
3월 23일 프랑스 포병대가 포격을 시작하였다.[20][1][15] 5월 10일부터 15일까지 러시아군은 카멘스키 장군의 지휘 하에 단치히에 지원군을 파견하려 했다. 이들은 영국의 전투용 슬루프함[20] ''팔콘''과 스웨덴 전열함의 호위를 받으며 57척의 수송선에 8,000명의 병력을 수송하려 했다. 그러나 1,200명의 병사를 태운 스웨덴 함선의 지연으로 카멘스키는 작전을 연기해야 했다.[20] 이는 르페브르에게 지원 작전에 대처할 시간을 주었고, 결국 러시아군은 단치히 지원에 실패했다. 영국 사료에는 46명의 장교와 1,600명이 전사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프랑스 측 사료에는 3,000명의 러시아군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0]18문의 포를 장착한 영국의 코르벳함 다운틀리스가 강을 통해 단치히에 화약 150상자를 보급하려 했으나, 함선이 좌초되어 실패하고 실려 있던 물자는 파리에서 온 척탄병 근위부대에게 탈취당했다.[20][1]
5. 2. 영국 해군의 지원 시도
3월 23일 프랑스 포병대가 포격을 시작한 이후,[20][1][15] 5월 10일부터 15일 사이, 카멘스키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군은 영국 슬루프 ''팰컨''과 스웨덴 전열함의 호위를 받으며 57척의 수송선에 7,000명의 병력을 태워 단치히 지원을 시도했다.[15] 그러나 1,200명의 병력을 태운 스웨덴 함선이 늦어져 카멘스키는 작전을 연기해야 했다.[20][1] 이는 르페브르에게 지원 작전에 대처할 시간을 주었고, 결국 러시아군은 단치히 지원에 실패하고 1,500명의 사상자를 냈다.[1]18문의 포를 장착한 영국의 프램 ''돈틀리스''는 강을 통해 화약 150상자를 보급하려 했으나,[20][1] 함선이 포대 근처에서 좌초되면서 실패하고, 실려 있던 물자는 파리에서 온 척탄병 근위부대에게 탈취당했다.[20][1][10]
6. 계속되는 공성전
도시를 구원하려는 노력들은 실패로 끝났고, 프랑스군은 단치히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공성전을 실시하고 갱도를 팠다. 5월 21일 모르티에 원수 휘하의 군단이 지원병으로 도착하여 하겔스베르크(Hagelsberg)를 급습하는게 가능해졌다.[21] 프랑스군이 하겔스베르크를 공략하는 것을 보면서 단치히에서는 더 이상 프랑스군의 공격을 막아낼 수 없다고 판단했고, 칼크로이트는 르페브르에게 협상을 제안했다.
칼크로이트는 1793년 마인츠에서 프로이센군이 프랑스군에 제안했던 것과 똑같은 항복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조건은 이미 진군을 하고 있던 나폴레옹의 허락을 미리 받아논 상태였고, 결국 프로이센군도 받아들이기로 하였다.[7],[16],[21] 도시의 수비병들은 전쟁중의 명예와 함께 북을 울리고, 화승의 불을 당기고, 군기를 휘날리며 도시 밖으로 나갔다. 항복조건은 관대했는데, 왜냐하면 나폴레옹은 공성전을 전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여름 전에 끝내고, 공성전에 투입된 병력을 다른 곳에 배치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6. 1. 항복 협상
도시를 구원하려는 앞서의 노력들이 실패로 끝난 후, 프랑스군은 단치히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공성전을 실시하고 갱도를 팠다. 5월 21일 모르티에 원수 휘하의 군단이 지원병으로 도착하여 하겔스베르크(Hagelsberg)를 급습하는게 가능해졌다.[21] 프랑스군이 하겔스베르크를 공략하는 것을 보면서 단치히에서는 더 이상 프랑스군의 공격을 막아낼 수 없다고 판단했고, 칼크로이트는 르페브르에게 협상을 제안했다.[21]칼크로이트는 1793년 마인츠에서 프로이센군이 프랑스군에 제안했던 것과 똑같은 항복조건을 제시하였다.[21] 이 조건은 이미 진군을 하고 있던 나폴레옹의 허락을 미리 받아논 상태였고, 결국 프로이센군도 받아들이기로 하였다.[21] 도시의 수비병들은 전쟁중의 명예와 함께 북을 울리고, 화승의 불을 당기고, 군기를 휘날리며 도시 밖으로 나갔다.[21] 항복조건은 관대했는데, 왜냐하면 나폴레옹은 공성전을 전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여름 전에 끝내고, 공성전에 투입된 병력을 다른 곳에 배치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21]
7. 항복과 그 영향
1807년 5월 24일, 단치히는 항복했다. 나폴레옹은 르페브르 원수의 공적에 대한 상으로 5월 28일 상원에 편지를 보내 르페브르에게 "단치히 공작"(Duc de Dantzig)의 칭호를 줄 것을 요청했다.[22] 그러나 나폴레옹은 르페브르에게 이 사실을 직접 알리지 않았고 단지 5월 29일 원수에게 간단한 편지를 보냈을 뿐이다.
"나는...그대의 작전에 매우 만족하고 있소. 그래서 나는 이미 그대의 공적에 대한 상을 내렸소. 그대는 파리의 소식을 듣게 될 때 내가 어떤 상을 내렸는지 알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그대는 내가 그대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 확실히 알게 될 것이오."[23]
1807년 9월 9일, 나폴레옹은 프로이센 왕국령의 일부를 분할하여 단치히 자유시를 설립했다.[22] 단치히 자유시는 오늘날 그단스크로 알려진 단치히 시와 비스툴라 강의 입구에 해당하는 교외 지역, 헬 반도, 비스툴라 석호 남쪽을 포함했다. 1813년 1월 말부터 11월 29일까지 러시아군이 단치히를 공격했고,포위 프랑스 점령군은 1814년 1월 2일 철수했다.[22]
7. 1. 단치히 자유시
1807년 9월 9일, 나폴레옹은 프로이센 왕국령의 일부를 분할하여 단치히 자유시를 설립했다.[22] 단치히 자유시는 오늘날 그단스크로 알려진 단치히 시와 비스툴라 강의 입구에 해당하는 교외 지역, 헬 반도, 비스툴라 석호 남쪽을 포함했다. 1813년 1월 말부터 11월 29일까지 러시아군이 단치히를 공격했고,포위 프랑스 점령군은 1814년 1월 2일 철수했다.[22]8. 한국과의 관계
8. 1. 그단스크와 한국의 교류
참조
[1]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2]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3]
서적
The Art of Warfare in the Age of Napole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4]
기타
Correspondence no. 11,826
[5]
기타
Correspondence 12208
[6]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7]
기타
Correspondence no. 12,629
[8]
기타
Correspondence, no. 12,666
[9]
기타
Correspondence, no. 12,683
[10]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11]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12]
서적
The Art of Warfare in the Age of Napole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13]
기타
書簡 No. 11,826
[14]
기타
書簡 12208
[15]
서적
Napoleon's Polish Gamble: Eylau & Friedland 1807
Pen and Sword
2005
[16]
기타
書簡 No. 12,629
[17]
기타
書簡 No. 12,683
[18]
기타
Correspondence no. 11,826
[19]
기타
Correspondence 12208
[20]
문서
외돛배를 말함
[21]
기타
Correspondence no. 12,629
[22]
기타
Correspondence, no. 12,666
[23]
기타
Correspondence, no. 12,6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