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니얼 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니얼 키스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로, 특히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다룬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는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미국 해양 서비스에서 일했으며,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심리학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펄프 잡지 편집자로 경력을 시작하여 마블 코믹스에서 코믹북 원고를 쓰기도 했다. 키스는 1966년 오하이오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어 영문학과 문예 창작을 가르쳤으며, 2000년 명예 교수로 추대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한 단편 소설이자 장편 소설인 『앨저넌에게 꽃을』, 그리고 논픽션 『24개의 빌리』 등이 있다. 그는 2014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인 주립 대학교 교수 - 허버트 C. 브라운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화학자 허버트 C. 브라운은 붕소 화합물을 유기 합성 시약으로 활용하는 방법 개발과 수소붕소화 반응 발견, 그리고 다양한 환원제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197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웨인 주립 대학교 교수 - 에드먼드 게티어
미국의 철학자 에드먼드 게티어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 지식의 필요충분조건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논문으로 유명하며, 이 논문은 '게티어 문제'를 야기하여 인식론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브루클린 칼리지 동문 - 폴 코언
폴 코언은 강제법을 개발하여 연속체 가설과 선택 공리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독립적임을 증명한 미국의 수학자로, 이 업적으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해석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브루클린 칼리지 동문 - 바버라 복서
민주당 소속의 미국 정치인 바버라 복서는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역임하며 여성 권익 신장, 환경 보호, 인권 옹호 등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은퇴 후에는 로비 및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대니얼 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대니얼 키스 |
출생일 | 1927년 8월 9일 |
출생지 | 뉴욕시, 미국 |
사망일 | 2014년 6월 15일 |
사망지 | 보카러톤, 미국 |
직업 | 소설가 |
학력 | |
모교 | 뉴욕 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 |
작품 활동 | |
장르 | 과학 소설 |
주목할 만한 작품 | 알저넌에게 꽃을 (1959) 빌리 밀리건의 마음 (1981) |
활동 기간 | 1952년–2014년 |
수상 | |
수상 내역 | 휴고 상 (1960) 네뷸러 상 (1966) 쿠르트 라스비츠 상 (1986) 세이운 상 (1993) 로커스 상 (1998)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아우레아 조지나 바스케스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대니얼 키스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대니얼 키스는 뉴욕주 뉴욕 시에서 태어나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1][2] 17세에 미국 해양 서비스에 입대하여 유조선에서 선박 사무원으로 일했다. 그 후 뉴욕으로 돌아와 1950년 브루클린 칼리지(현재 CUNY)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하다가 패션 사진 사업을 하기도 했다. 이후 뉴욕시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자격을 얻어 교직 생활과 작가 생활을 병행했다.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웨인 주립 대학교와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창의적 글쓰기를 가르쳤다. 1966년 오하이오 대학교의 영문학과 창작 교수가 되었으며, 2000년에는 명예 교수가 되었다. 브루클린 칼리지는 1988년 키스에게 '명예로운 졸업생 훈장'을 수여했다.
2. 1. 초기 생애와 경력
뉴욕주 뉴욕 시에서 태어난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1][2] 17세에 미국 해양 서비스에 입대하여 유조선에서 선박 사무원으로 일하기 전에 잠시 뉴욕 대학교에 다녔다. 그 후 뉴욕으로 돌아와 1950년 브루클린 칼리지(현재 CUNY)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졸업 한 달 후, 키스는 출판사 마틴 굿맨의 잡지 회사인 매거진 매니지먼트에 입사했다. 그는 편집자 로버트 O. 에리스먼 밑에서 일했고, 결국 그들의 펄프 잡지인 ''Marvel Science Stories''[3] (표지 날짜 1950년 11월 – 1952년 5월)의 편집자가 되었다. 마블 코믹스의 전신인 1950년대 아틀라스 코믹스의 코믹북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굿맨이 대중 시장 페이퍼백과 남성 어드벤처 잡지를 선호하여 펄프 간행물을 중단한 후, 키스는 편집장 겸 아트 디렉터 스탠 리 아래에서 아틀라스의 부편집자가 되었다. 1952년경, 키스는 바실 울버튼과 함께 두 개의 이야기를 쓴 ''Journey into Unknown Worlds''와 같은 호러 픽션 및 공상 과학 만화에 글을 썼으며, 공식적으로 편집자라는 직함이 있었다.
1955년부터 1956년까지, 키스는 EC 코믹스를 위해 그의 이름과 '''크리스 다니엘스''' 및 '''A.D. 로크'''라는 필명으로 ''Shock Illustrated''와 ''Confessions Illustrated''를 포함한 작품을 썼다.
키스는 브루클린 칼리지(현재 CUNY)에서 심리학 학위를 받은 후, 연작 소설 편집자로 고용되었으나 얼마 후 패션 사진 사업을 위해 편집분야를 떠났다. 그 후 뉴욕시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 자격을 취득하고 종신 재직권을 부여받았다. 낮에는 가르치고 주말에는 글을 쓰면서, 영문학 대학원 공부를 위해 밤에는 브루클린 칼리지로 돌아왔다.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웨인 주립 대학에서 창의적 글쓰기를 가르치기 위해 뉴욕을 떠났다. 영어와 문예 창작 교수로 임명되었고, 1966년 오하이오 대학교의 교수진에 합류했으며, 2000년 명예 공로상을 받았다. 브루클린 칼리지는 키스에게 1988년 '명예로운 졸업생 훈장'을 수여했다.
2. 2. 『앨저넌에게 꽃을』 집필
Flowers for Algernon영어』은 IQ 70의 빵가게 점원 찰리가 실험 대상이 되어 IQ 180의 천재가 되었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찰리는 자신의 낮은 지능이 싫어 실험에 참여하고, 그곳에서 천재가 된 생쥐 앨저넌을 만난다. 천재가 된 후 찰리는 앨저넌의 정신적 변화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알게 된다.이 소설은 찰리의 보고서이자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급격한 지능 변화를 겪는 찰리가 자신의 정신 상태를 담담하게 서술하는 형식은 독자에게 긴장감과 감동을 준다. 작가는 순수한 찰리의 모습과 특유의 감성적 문체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그리고 지식 섭렵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4]
『앨저넌에게 꽃을』은 1959년 4월 판타지와 SF 매거진에 처음 게재되었고, 1966년에 장편 소설로 출판되었다. 한국에서는 『생쥐에게 꽃다발을』, 『알게논 무덤 위에 꽃을』, 『찰리』, 『모래시계』, 『빵가게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 『앨저넌에게 꽃을』 등의 제목으로 번역 및 출간되었다.
이 소설은 여러 차례 각색되었는데,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유형 | 제목 | 비고 |
---|---|---|---|
1961 | TV 드라마 | The Two Worlds of Charlie Gordon영어 | 클리프 로버트슨 주연 |
1968 | 영화 | Charly | 클리프 로버트슨 주연,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 |
1969 | 연극 | Flowers for Algernon영어 | 데이비드 로저스(David Rogers) 작 |
1978 | 뮤지컬 | Charlie and Algernon영어 | 데이비드 로저스(David Rogers) and 찰스 스트라우스(Charles Strouse) 작 |
1991 | 라디오 극 | Flowers for Algernon영어 | BBC Radio 4, 톰 코트니(Tom Courtenay) 주연 |
1997 | 노래 | Guinea Pig영어 | 밴드 Screech Owls, 앨범 "Tomorrow Calling" 수록. 웹 아카이브 링크 |
1998 | TV 프로그램 | NewsRadio영어 | Season 5 Episode 5 'Flowers for Matthew' |
2000 | TV 영화 | Flowers for Algernon영어 | 매튜 모딘(Matthew Modine) 주연 |
2002 | 일본 드라마 | Algernon ni Hanataba wo | 유스케 산타마리아, 칸노 미호 출연 |
2006 | 프랑스 TV 영화 | Des fleurs pour Algernon프랑스어 | |
2006 | 현대 무용 | Holeulone프랑스어 | 카린 폰티에(Karine Pontiès) 안무, 벨기에 프랑스 공동체 비평가상 수상 |
2006 | 한국 TV 드라마 | 안녕하세요 하느님 | KBS 월화드라마 |
2015 | 일본 드라마 | Algernon ni Hanataba wo | 야마시타 토모히사, 쿠보타 마사타카 등 출연 |
1984 | 호주 | ||
1988 | 체코슬로바키아 | ||
1982 | 프랑스 | ||
1983 | 아일랜드 | ||
1987, 1990 | 일본 | ||
1985 | 폴란드 |
키스는 이 이야기로 1959년 휴고상과 1966년 네뷸러상을 수상했다.
2. 3. 후기 경력
키스는 웨인 주립 대학교에서 창작 강좌를 가르쳤고, 1966년에는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영문학과 창작 교수로 취임했으며, 2000년에는 오하이오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다.키스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주제로 한 저작으로도 유명하다. SF, 미스터리 소설로 다중 인격을 다룬 『다섯 번째 샐리』 외에도, 논픽션으로 실존하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 환자인 빌리 밀리건을 그린 『24개의 빌리』와 『빌리 밀리건과 23개의 관』(일본 및 몇몇 국가에서 출판되었지만, 영어판은 미출판) 등을 저술했다. 교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플로리다주보카 레이턴에서 작가 생활을 했다.
2014년 6월 15일, 플로리다 자택에서 사망했다.[11]
2. 4. 사망
키스는 2014년 6월 15일, 보카 레이턴 자택에서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내 아우레아 게오르기나 바스케스(Aurea Georgina Vazquez)는 1952년에 결혼했으며, 2013년 5월 14일에 사망했다.[5] 그들은 두 딸을 두었다.3. 작품
- 앨저넌에게 꽃을(1966, 소설) - 1968년 영화 찰리와 2000년 영화 앨저넌에게 꽃을로 각색됨.
- 터치 (''The Touch'') (1968) - ''오염된 인간''(The Contaminated Man)으로 재편집(1977)
- 다섯 번째 샐리 (''The Fifth Sally'') (1980)
- 빌리 밀리건의 마음 (''The Minds of Billy Milligan'') (1981)
- 클라우디아를 드러내다 (''Unveiling Claudia'') (1986)
- 밀리건 전쟁: 실화 속편 (''The Milligan Wars: A True-Story Sequel'') (일본, 1994)
- 죽을 때까지 (''Until Death'') (1998)
- 망명 예언 (''The Asylum Prophecies'') (2009)
;선집
- 대니얼 키스 단편집 (일본, 1993)
;단편 소설
제목 | 연도 | 비고 |
---|---|---|
앨저넌에게 꽃을 | 1959 | 1966년 소설로 확장 |
- 1959년 앨저넌에게 꽃을 - 중편, 판타지 앤드 사이언스 피션지 1959년 4월호
- 1966년 앨저넌에게 꽃을 - 장편
- 1968년 터치 (''The Touch'')
- 1980년 다섯 번째 샐리 (''The Fifth Sally'')
- 1981년 24인의 빌리 밀리건(The Minds of Billy Milligan)
- 1986년 클라우디아의 고백 (''Unveiling Claudia'')
- 1993년 마음의 거울 (일본에서 편집된 단편집)
- 1994년 빌리 밀리건과 23개의 관 (''The Milligan Wars'') - 원제는 영어지만, 영어판은 미출간. 일본 외 몇몇 국가에서 출판.
- 1998년 잠자는 미녀 (''Until Death Do us Part'')
- 1999년 앨저넌, 찰리, 그리고 나 (''Algernon, Charlie and I'') - 자서전
- 2009년 예언 (''The Asylum Prophecies'')
3. 1. 『앨저넌에게 꽃을』과 그 영향
Flowers for Algernon영어』은 IQ 70의 지능을 가진 빵가게 점원 찰리가 IQ 180의 천재가 되었다가 다시 지능이 낮아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찰리는 인간 유전자 지도 완성이라는 게놈 프로젝트의 실험 대상이 되어, 실험에 참여하고 그곳에서 천재가 된 생쥐 앨저넌을 만난다. 천재가 된 찰리는 앨저넌에게서 나타나는 정신적 변화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알게 된다. 『앨저넌에게 꽃을』은 찰리의 보고서이자 일기 형식으로, 급격한 지능 변화를 겪는 찰리가 자신의 정신 상태를 담담하게 서술하여 설득력 있는 긴장감과 감동을 준다. 순수한 찰리의 모습과 저자 특유의 감성적 문체는 독자로 하여금 순수했던 옛 모습을 돌아보게 하며, 성취지향적이고 물질 만능주의적인 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매몰되는 과정을 통해 인생에서 지식 섭렵만이 최고의 가치인지 다시 생각하게 한다.한국에서는 "생쥐에게 꽃다발을", "알게논 무덤 위에 꽃을", "찰리", "모래시계", "빵가게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 앨저넌에게 꽃을 등의 제목으로 번역 및 출간되었다.
단편 및 장편 소설 『앨저넌에게 꽃을』은 실험적 수술로 일시적 천재가 되었다가 비극적으로 효과가 사라지는 정신 지체자 찰리의 경과 보고서 형식으로 쓰여졌다. 1959년 4월호 『판타지와 SF 매거진』에 처음 게재되었고, 1966년에 장편 소설이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여러 매체로 각색되었는데, 클리프 로버트슨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과 클레어 블룸이 출연한 1968년 영화 『찰리』가 대표적이다. 키스는 이 이야기로 1959년 휴고상과 1966년 네뷸러상을 수상했다.
『앨저넌에게 꽃을』은 키스가 고등학교 교사로서 정신적으로 뛰어난 학생과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모두 가르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정신 지체 학생들과의 경험은 그에게 영감을 주었고, 지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궁금해했다.[4]
"앨저넌에게 꽃을"은 중편과 장편 모두 지적 장애인 찰리가 실험적 수술로 천재가 되고, 단기간에 효과가 사라지는 과정을 보고서 형식으로 쓴 것이다. 중편은 1959년 4월 F&SF지에 게재되었고, 1966년에 장편화되었다. 이 소설은 여러 미디어에 채택되었으며, 1968년 영화 "찰리"(클리프 로버트슨, 클레어 블룸 출연), 2002년 일본 드라마 "알저논에게 꽃을"(유스케 산타마리아, 칸노 미호 출연) 등이 있다. 클리프 로버트슨은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키스는 중편으로 1959년 휴고상, 장편으로 1966년 네뷸러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일본 드라마 "알저논에게 꽃을"(야마시타 토모히사, 쿠보타 마사타카 등 출연)으로 신판 장편이 방송되었다.
한국에서는 2006년 1월 KBS 월화드라마 『안녕하세요 하느님』으로 각색되어 방영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TV, 라디오, 극 등으로 각색되었다.
연도 | 유형 | 제목 | 기타 |
---|---|---|---|
1961 | TV 드라마 | The Two Worlds of Charlie Gordon | 클리프 로버트슨 주연 |
1968 | 영화 | Charly | 클리프 로버트슨 주연,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 |
1969 | 연극 | Flowers for Algernon | David Rogers 각색 |
1978 | 뮤지컬 | Charlie and Algernon | David Rogers and Charles Strouse 각색 |
1991 | 라디오 극 | Flowers for Algernon | BBC Radio 4, Tom Courtenay 주연 |
1997 | 노래 | Guinea Pig | 밴드 Screech Owls, 앨범 "Tomorrow Calling" 수록 |
1998 | TV 프로그램 | Flowers for Matthew | 뉴스라디오, Season 5 Episode 5 |
2000 | TV 영화 | Flowers for Algernon | 매튜 모딘 주연 |
2002 | 일본 드라마 | Algernon ni Hanataba wo | |
2006 | 프랑스 TV 영화 | Des fleurs pour Algernon | |
2006 | 현대 무용 | Holeulone | Karine Pontiès 안무,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비평가상 수상 |
1984 | 호주 | ||
1988 | 체코슬로바키아 | ||
1982 | 프랑스 | ||
1983 | 아일랜드 | ||
1987, 1990 | 일본 | ||
1985 | 폴란드 | ||
2015 | 일본 드라마 | 알저논에게 꽃을 |
3. 2. 기타 작품
- 앨저넌에게 꽃을(1966, 소설) - 1968년 영화 ''찰리''와 2000년 영화 ''앨저넌에게 꽃을''로 각색됨.
- 터치 (''The Touch'') (1968) - ''오염된 인간''(The Contaminated Man)으로 재편집(1977)
- 다섯 번째 샐리 (''The Fifth Sally'') (1980)
- 빌리 밀리건의 마음 (''The Minds of Billy Milligan'') (1981)
- 클라우디아를 드러내다 (''Unveiling Claudia'') (1986)
- 밀리건 전쟁: 실화 속편 (''The Milligan Wars: A True-Story Sequel'') (일본, 1994)
- 죽을 때까지 (''Until Death'') (1998)
- 망명 예언 (''The Asylum Prophecies'') (2009)
- 대니얼 키스 단편집 (일본, 1993)
제목 | 연도 | 비고 |
---|---|---|
앨저넌에게 꽃을 | 1959 | 1966년 소설로 확장 |
- 1959년 앨저넌에게 꽃을 - 중편, 판타지 앤드 사이언스 피션지 1959년 4월호
- 1966년 앨저넌에게 꽃을 - 장편
- 1968년 터치 (''The Touch'')
- 1980년 다섯 번째 샐리 (''The Fifth Sally'')
- 1981년 24인의 빌리 밀리건(The Minds of Billy Milligan)
- 1986년 클라우디아의 고백 (''Unveiling Claudia'')
- 1993년 마음의 거울 (일본에서 편집된 단편집)
- 1994년 빌리 밀리건과 23개의 관 (''The Milligan Wars'') - 원제는 영어지만, 영어판은 미출간. 일본 외 몇몇 국가에서 출판.
- 1998년 잠자는 미녀 (''Until Death Do us Part'')
- 1999년 앨저넌, 찰리, 그리고 나 (''Algernon, Charlie and I'') - 자서전
- 2009년 예언 (''The Asylum Prophecies'')
4. 대한민국 출판 내역
제목 | 번역 | 출판사 | 출판일 | ISBN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08147 모래시계] | 조미옥 | 청림출판 | 1992.05.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1228 생쥐에게 꽃다발을] | 조윤경 | 잎새 | 1992.07.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1229 다섯번째 샐리] | 조윤경 | 잎새 | 1992.07.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3626 다중인격자] | 현준만 | 미래사 | 1992.09.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33541 24인의 사이코] | 최현 | 하서출판사 | 1993.04.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3352229 알게논 무덤 위에 꽃을] | 삼성출판사 | 1998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39505 찰리] | 김선호 | 문원북 | 1998.10.20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1930 빵가게 찰리의 행복하고도 슬픈 날들] | 김인영 | 동서문화사 | 2004.03.01 | |
앨저넌에게 꽃을 | 김인영 | 동서문화사 | 2006.01.01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957972 빌리 밀리건] | 박현주 | 황금부엉이 | 2007.07.20 |
5.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60 | 휴고상 | 앨저넌에게 꽃을 (단편 소설) |
1966 | 네뷸러상 | 앨저넌에게 꽃을 (소설) |
1967 | 휴고상 | 앨저넌에게 꽃을 (소설) |
1982 | 에드거 상 (최고의 논픽션 범죄 부문) | 빌리 밀리건의 24개의 인격 |
1986 | 쿠르트-라스비츠상 | 빌리 밀리건의 24개의 인격 |
1987 | 에드거 상 | 클라우디아의 베일 벗기기 |
1993 | 성운상 (올해의 논픽션) | 빌리 밀리건의 24개의 인격[6] |
1998 | 로커스상 (1990년 이전 최고의 소설 40위) | 앨저넌에게 꽃을 (소설) |
2000 | 미국 SF/판타지 작가 협회 원로 작가상 | |
2014 | 평생 공로상 |
참조
[1]
간행물
The National Jewish Monthly
B'nai B'rith
1967
[2]
간행물
Research Studie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1972
[3]
잡지
Galaxy Bookshelf
https://archive.org/[...]
1966-08
[4]
웹사이트
Meet American writer Daniel Keyes
https://clas.wayne.e[...]
2023-05-05
[5]
웹사이트
https://www.legacy.c[...]
[6]
웹사이트
sfadb: Seiun Awards 1993
http://www.sfadb.com[...]
2015-10-15
[7]
웹사이트
in-development entry
http://www.imdb.com/[...]
2014-08-08
[8]
서적
Algernon, Charlie, and I : a writer's journey
Challcrest Press
[9]
웹사이트
ダニエル・キイスさん
http://nukunuku.blog[...]
2014-06-18
[10]
웹사이트
'Daniel Keyes' Story Search Results
https://www.comics.o[...]
Grand Comics Database
2021-12-03
[11]
웹사이트
"アルジャーノンに花束を」ダニエル・キイスさんが死去 86歳"
https://www.cinemato[...]
2014-06-18
[12]
웹사이트
Daniel Keyes FAQ
http://www.danielkey[...]
2022-12-22
[13]
웹사이트
Crowded Room
http://www.jamescame[...]
202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