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 주음부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주음부호는 대만과 중화권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발음 표기 체계이다. 37개의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성, 운모, 성조로 이루어져 있다. 대만어를 포함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대만어의 5가지 성조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음부호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컴퓨터에서 대만어 등 중국어 방언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글꼴을 통해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 중화민국 개요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타이베이를 수도로 하며, 간접 민주주의 공화국 형태를 띠고, 대만을 중심으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헌법에 기반한 정부를 운영하고, 다양한 문화와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유엔 회원국은 아니다.
  • 주음부호 - 주음수입법
    주음수입법은 중국어 발음을 나타내는 주음 부호를 이용해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동음이의어 선택의 어려움 등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만에서는 특별한 학습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자판 배열 방식과 스마트 기기 환경에 맞는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대중적인 입력 방식이다.
  • 민난어 표기법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민난어 표기법 - 대만어 가나
    대만어 가나는 대만어 표기를 위해 일본 가타카나를 본떠 만든 문자 체계로, 모음과 자음, 성조 부호를 사용하여 유기음과 탁음을 구분하며, 일제강점기 대만인의 정체성 유지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널리 사용되지 않고 유니코드에서 지원된다.
대만 주음부호
개요
이름대어방음부호
유형반음절 문자
표기 언어대만민남어, 대만객가어
사용 시기1946년부터 현재까지
창제자주자오샹, 대만 NLC
계통한자
자매 문자가나, 대만어 가나
ISO 15924Bopo
유니코드U+3100–U+312F 유니코드 문자표 (PDF)
U+31A0–U+31BF 유니코드 문자표 (PDF)
백과전서
"百科全書" (백과전서)
언어별 명칭
한어 병음Táiyǔ Fāngyīn Fúhào
통용 병음Tái-yǔ Fang-yin Fú-hào
만다린어 병음Táiyǔ Fāngyīn Fúhàu
객가어 병음Tairyeu Fang'yin Fwuhaw
민남어 병음 (POJ)Tâi-gí Hong-im Hû-hō
민남어 병음 (TL)Tâi-gí Hong-im Hû-hō
객가어Thòi-ngî Fông-yîm Fù-ho

2. 부호

중화민국교육부에서 발표한 대만민남어 표기용 주음부호는 총 49개이다. 이 중 26개는 표준 중국어 주음부호에서 가져왔고, 나머지 23개는 대만어를 위해 새로 만들어졌다.

성조 번호와 명칭
성조 번호12 (6)34578
성조 명칭
im-pîngsiōng-siannim-khìim-ji̍piông-pîngiông-khìiông-ji̍p
성조 부호무기호 || || || ||

|-

! rowspan="2" | 고저 변화

| ˥˥ || ˥˩ || ˧˩ || ˧ʔ || ˨˦ || ˧˧ || ˥ʔ

|-

| 55 || 51 || 31 || 3ʔ || 24 || 33 || 5ʔ

|-

! 예시

| ㄉㆲ (東) || ㄉㆲˋ (黨) || ㄉㆲ˪ (棟) || ㄉㆦ (督) || ㄉㆲˊ (同) || ㄉㆲ˫ (洞) || ㄉㆦㄍ̇ (毒)

|}

  • 2성과 5성을 나타내는 부호는 각각 표준 중국어의 4성, 2성을 나타내는 부호를 활용하였다.
  • 대만어에는 4가지의 입성운미가 있는데, 작게 쓴 ㄅ [p̚ ], ㄉ [t̚ ], ㄍ [k̚ ], ㄏ [ʔ]로 표기한다.[3]

2. 1. 초성 기호

중화민국교육부에서 발표한 대만민남어 표기용 주음부호 49개 중 26개는 표준 중국어 주음부호에서 가져왔고, 나머지 23개는 새로 만들었다.

초성 기호 (21)
[p][b][pʰ][m][t][tʰ][n][l][k][g][kʰ][ŋ][h][t͡ɕ][d͡ʑ][t͡ɕʰ][ɕ][t͡s][d͡z][t͡sʰ][s]


  • 파란색 기호는 표준 중국어 음운론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 ㄫ[ŋ]는 과거에 노국음 표기에 사용했던 부호를 재활용한 것이다.[3]

2. 2. 종성 기호

중화민국교육부에서 발표한 대만민남어적기용주음부호 49개 중 26개는 표준중국어 주음부호에서 가져왔고, 나머지 23개는 새로 만들었다.

종성 기호 (24)
[a][ã][ɔ][ɔ̃][ə][e][ẽ][ai][ãĩ][ɑu][ɑ̃ũ][am][ɔm][m̩][an][ən][aŋ][ɔŋ][əŋ][ŋ̍][i][ĩ][u][ũ]


  • 파란색 기호는 표준 중국어 음운론에는 없다.
  • ㄅ, ㄉ, ㄍ, ㄏ는 미출성 코다를 나타내기 위해 작은 형태로 쓰이며, 각각 ㆴ, ㆵ, ㆶ, ㆷ와 같다. 다만, 기술적인 오류로 ㄍ에 대한 코다 기호가 ㄎ로 잘못 표기되었다. 유니코드는 13.0 버전에서 ㆻ (31BB)를 인코딩했으며, ㆶ (31B6) 아래에 31BB가 선호된다는 메모를 추가했다.[3]
  • 다른 대만 방언에서는 ㄬ, ㄛ, ㄝ, ㆨ와 같은 추가 기호가 사용된다.
  • ㄣ, ㄥ은 표준중국어와 달리 복운모에서만 쓰인다. ㄣ은 ㄧㄣ, ㄨㄣ에 사용되며 ㄥ은 ㄧㄥ에만 쓰인다.

2. 3. 기타 방언에서 사용되는 기호

ㄬ[ɲ], ㄛ [o], ㄝ [ɛ], ㆨ [ɨ] 따위의 부호는 대만어의 방언에서만 쓰인다.[3] ㄫ[ŋ], ㄬ[ɲ]는 과거에 노국음 표기에 사용했던 부호를 재활용한 것이다.

2. 4. 이미지

대만 주음부호 자음 확장


대만 주음부호 운모 확장

  • 대만어 호키엔과 대만어 하카의 경우: --, --, --, --, --, --, --, --
  • 대만어 하카만 해당: --, --
  • 대만어 호키엔만 해당: --, --, --, --, --, --, --, --, --, --, --, --, --, --, --, --, --
  • 중국어 만다린만 해당: --, --, --, --
  • 대만어 하카와 중국어 만다린 둘 다 해당: --, --, --, --, --
  • --는 중국어 만다린에서 IPA: 를, 대만어 호키엔과 대만어 하카에서 IPA: 를 나타낸다.
  • --/--는 대만어 호키엔에서 각각 IPA: /를 나타내지만, 대만어 하카에서는 IPA: /를 나타낸다.[4][5]
  • 모음 IPA: 는 호키엔에서는 --로, 하카에서는 --로 표기한다.[6]

3. 음운

대만 주음부호의 음운 체계는 표준 중국어 발음뿐만 아니라 대만어 고유의 음운을 표기하기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기호와 규칙을 포함한다. ㆠ, ㆣ, ㆢ, ㆡ와 같은 유성음 기호는 대만어의 유성 자음을 나타낸다. 또한, ㆦ, ㆧ, ㆤ, ㆥ, ㆮ, ㆯ, ㆰ, ㆱ, ㆲ, ㆪ, ㆫ과 같은 기호들은 대만어에서만 사용되는 모음이나 비음(콧소리)을 표기한다.

3. 1. 초성

초성
그룹기호IPAPOJTLBP비고예시
양순음pb만다린과 동일(ㄅㄧㄢ pian)
bbbㄅ에서 파생된 유성 대응(ㆠㄨㄣˊ bûn)
php만다린과 동일(ㄆㄜ pho)
mbbn만다린과 동일(ㄇㆦ mo͘)
치경음td만다린과 동일(ㄉㆤ˫ tē)
tht만다린과 동일(ㄊㆩ thaⁿ)
nln만다린과 동일(ㄋㄞ˫ nāi)
ll만다린과 동일(ㄌㄧㄨˋ liú)
연구개음kg만다린과 동일(ㄍㄧㄨˊ kiû)
gggㄍ에서 파생된 유성 대응(ㆣㄧˋ gí)
khk만다린과 동일(ㄎㄧ˪ khì)
ngggn구 만다린에서 사용(ㄫㄚˋ ngá)
성문음hh만다린과 다름, 만다린에서(ㄏㄧˋ hí)
치조구개음chitsizi만다린과 동일(ㄐㄧㆰ tsiam)
jizziㄐ에서 파생된 유성 대응(ㆢㄧㆴ. ji̍p)
chhitshici만다린과 동일(ㄑㄧㄨˋ tshiú)
sisi만다린과 동일(ㄒㄧㄚˋ siá)
치경음chtsz만다린과 동일(ㄗㄢ chan)
jzzㄗ에서 파생된 유성 대응(ㆡㄨㄚㆷ. jua̍h)
chhtshc만다린과 동일(ㄘㄨㆵ chhut)
ss만다린과 동일(ㄙㆩ saⁿ)


3. 2. 운모 및 중설 모음

기호IPAPOJTLBP비고예시
aa만다린과 동일
aⁿannnaㄚ에서 파생된 비음
oooo대만에서만 사용되는 새로운 기호, ㄛ에서 파생
oⁿonnnooㆦ에서 파생된 비음
oo만다린과 다름, 만다린에서는 , 。일부 방언에서는 ㄛ로 표기하고 [o]로 발음
ee대만에서만 사용되는 새로운 기호
eⁿennneㆤ에서 파생된 비음
aiai만다린과 동일
aiⁿainnnaiㄞ에서 파생된 비음
auao만다린과 동일
auⁿaunnnaoㄠ에서 파생된 비음, 거의 사용되지 않음
amamㄚ와 ㄇ의 조합
omomㆦ와 ㄇ의 조합, 거의 사용되지 않음
mmㄇ에서 파생. 종성 양순 비음 또는 음절성 자음으로 사용
anan만다린과 동일
-n-nㄧㄣ, ㄨㄣ 종성에만 사용. ㄧㄣ는 만다린과 동일. ㄨㄣ은 만다린의 [wən]과 달리 [un]으로 발음
angang만다린과 동일
ongong대만에서만 사용되는 새로운 기호
-ng-ngㄧㄥ 종성에만 사용
ngngㄫ에서 파생. 종성 연구개 비음 또는 음절성 자음으로 사용
ii만다린과 동일
iⁿinnniㄧ에서 파생된 비음
u/o[1]uu만다린과 동일
uⁿunnnuㄨ에서 파생된 비음. ㄧㆫ [ĩũ] 종성에만 사용


3. 3. 결합 운모

결합 운모는 두 개 이상의 모음이 결합된 형태이다.

결합 운모
모음개음절비음파열음
[a]ㆰ, ㄢ, ㄤㄚㆴ, ㄚㆵ, ㄚㆻ, ㄚㆷ, ㆩㆷ
[ai]ㄞㆷ, ㆮㆷ
[au]ㄠㆷ
[e]ㆤㆷ, ㆥㆷ
[i]ㄧㆬ, ㄧㄣ, ㄧㄥㄧㆴ, ㄧㆵ, ㄧㆻ, ㄧㆷ, ㆪㆷ
[ia]ㄧㄚㄧㆩㄧㆰ, ㄧㄢ, ㄧㄤㄧㄚㆴ, ㄧㄚㆵ, ㄧㄚㆻ, ㄧㄚㆷ, ㄧㆩㆷ
[iau]ㄧㄠㄧㆯㄧㄠㆷ
[iə]ㄧㄜㄧㄜㆷ
[iɔ]ㄧㆲㄧㆦㆻ
[iu]ㄧㄨㄧㆫㄧㄨㆷ, ㄧㆫㆷ
[ə]ㄛㆷ
[ɔ]ㆱ, ㆲㆦㆴ, ㆦㆻ, ㆦㆷ, ㆧㆷ
[u]ㄨㄣㄨㆵ, ㄨㆷ
[ua]ㄨㄚㄨㆩㄨㄢㄨㄚㆵ, ㄨㄚㆷ
[uai]ㄨㄞㄨㆮ
[ue]ㄨㆤㄨㆤㆷ
[ui]ㄨㄧ
[m̩]ㆬㆷ
[ŋ̍]ㆭㆷ


4. 성조

대만어는 8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복잡한 성조 체계를 통해 음의 높낮이와 변화를 주어 의미를 구별한다. 2성과 5성을 나타내는 부호는 각각 표준중국어의 4성, 2성을 나타내는 부호를 활용하였다.

4. 1. 성조 기호 및 음높이 변화

성조 번호12(6)34578
성조 명칭
im-pîngsiōng-siannim-khìim-ji̍piông-pîngiông-khìiông-ji̍p
성조 부호무기호, , , , , ,
음높이˥˥˥˩˧˩˧ʔ˨˦˧˧˥ʔ
5551312433
예시ㄉㆲ ()ㄉㆲˋ ()ㄉㆲ˪ ()ㄉㆦㆻ ()ㄉㆲˊ ()ㄉㆲ˫ ()ㄉㆦㆻ̇ ()


  • 2성과 5성을 나타내는 부호는 각각 표준중국어의 4성, 2성을 나타내는 부호를 활용하였다.

4. 2. 예시

성조 번호12(6)34578
이름
im-pîngsiōng-siannim-khìim-ji̍piông-pîngiông-khìiông-ji̍p
기호없음 || , , , || || || , , ,

|-

! rowspan=2 | 음높이

| ˥˥ || ˥˩ || ˧˩ || ˧ʔ || ˨˦ || ˧˧ || ˥ʔ

|-

| 55 || 51 || 31 || 3ʔ || 24 || 33 || 5ʔ

|-

! 예시

| ㄉㆲ () || ㄉㆲˋ () || ㄉㆲ˪ () || ㄉㆦㆻ () || ㄉㆲˊ () || ㄉㆲ˫ () || ㄉㆦㆻ̇ ()

|}

  • 2성과 5성을 나타내는 부호는 각각 표준중국어의 4성, 2성을 나타내는 부호를 활용하였다.

5. 사용 예시

다음은 대만 주음부호가 사용된 문장의 예시이다. Taiwanese Kana Example.ogg

위 문장은 "선생님이 말씀하십니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라는 뜻이다.

5. 1. 문장 예시

대만 주음부호ㄒㄧㄢ ㄒㆪ ㄍㆲˋ, ㄏㄚㆻ̇ ㄒㄧㄥ ㄉㄧㆰ˫ ㄉㄧㆰ˫ ㄊㄧㆩ
IPA[ ɕɪɛn˧ ɕĩ˥ kɔŋ˥˩ hak̚˧ ɕiəŋ˥ tɪam˧ tɪam˧ tʰĩã˥ ]
백화자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대만 로마자 표기Sian-sinn kóng, ha̍k-sing tiām-tiām thiann.
번체자先生講、學生恬恬聽。
한어 병음Xiān shēng jiǎng, xué shēng tián tián tīng.
번역선생님이 말씀하신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다.



참고: 恬恬(ti恬恬)은 대만 호키엔어이다. 동의어는 安靜(안징) 또는 靜靜(징징)이다. 여기에서 先生(선생)은 "선생님"을 의미한다.

6. 유니코드 지원

유니코드대만에서 사용되는 주음 부호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블록을 제공한다. 하나는 기본 주음 부호를 포함하는 '주음 부호' 블록이고, 다른 하나는 확장 주음 부호를 포함하는 '주음 부호 확장' 블록이다.

6. 1. 유니코드 블록

유니코드 1.0 버전부터 U+3105-U+312C 평면 상의 '주음부호' 구역에 ㄪ, ㄫ, ㄬ를 포함한 40개의 주음부호가 수록되었다.[3][7][8] Unicode 3.0 버전에는 U+31A0-U+31B7 평면의 '주음부호 확장' 구역에 대만어 표기에 필요한 확장 주음부호가 추가되었다.

유니코드 블록코드 범위비고
주음 부호U+3100 ... U+312F1991년 10월 버전 1.0 출시와 함께 추가됨
주음 부호 확장U+31A0 ... U+31BF1999년 9월 버전 3.0 출시와 함께 추가됨. 민난어 및 객가어 종결음에 대한 기호, 광둥어에 대한 기호 등이 포함됨.



주음 부호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1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310x
U+311x
U+312x



주음 부호 확장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1A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31Ax
U+31Bx


7. 글꼴 지원

주음부호 글리프를 포함하는 글꼴과 입력 도구는 이미 많이 존재한다. 중앙연구원(Academia Sinica)에서 출시한 , , 을 사용하면 중국어 글자에 대해 주음 부호가 자동으로 나타난다. 발음이 여러 개인 단어는 글꼴을 선택하여 원하는 발음을 찾을 수 있다.[10]

7. 1. 관련 글꼴

다음은 주음부호를 지원하는 주요 글꼴 목록이다.

중앙연구원은 타이완어를 위한 세 가지 글꼴 세트(, , )을 출시했다.[9] 위의 글꼴을 사용하면 중국어 글자에 대해 주음 부호가 자동으로 나타난다. 발음이 여러 개인 단어의 경우, 사용자는 글꼴을 선택하여 원하는 발음을 찾을 수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華、台語注音符號溯源 http://olddoc.tmu.ed[...]
[2] 서적 方音符號系統(Taiwanese Phonetic Symbols) https://depart.moe.e[...] ROC Ministry of Education
[3] 간행물 Bopomofo Extended (Version 13.0) https://www.unicode.[...] Unicode Version-Specific Code Charts 2020-03-12
[4] 간행물 Taiwanese Hakka Romanization System https://language.moe[...] Ministry of Education, Taiwan
[5] 간행물 Hakka Romanization System https://ws.moe.edu.t[...] Ministry of Education, Taiwan
[6] 간행물 Hakka Romanization System https://ws.moe.edu.t[...] Ministry of Education, Taiwan
[7] 논문 "Proposal to encode Cantonese Bopomofo Characters" http://www.unicode.o[...]
[8] 논문 "Proposal to fix glyphs in Bopomofo Extended block and encode one Bopomofo letter" http://www.unicode.o[...]
[9] 웹사이트 吳守禮台語注音字型 http://xiaoxue.iis.s[...] 中央研究院
[10] 웹사이트 吳守禮台語注音字型說明 http://xiaoxue.iis.s[...] 中研院資訊所
[11] 웹인용 華、台語注音符號溯源 http://olddoc.tmu.ed[...] 2017-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