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어 한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어 한글은 대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변형하여 사용한 표기 체계이다. 역사, 자모, 성조 표기, 한글과의 차이점, 예시 등을 포함하며, 한국어와 다른 음운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한글 자모를 변형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한다. 대만어의 성조를 표기하기 위해 아라비아 숫자나 별도의 기호를 사용하며, 한국어와는 다르게 유성 자음, 된소리, 성문 파열음 등을 표현하기 위한 자모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난어 표기법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민난어 표기법 - 대만어 가나
대만어 가나는 대만어 표기를 위해 일본 가타카나를 본떠 만든 문자 체계로, 모음과 자음, 성조 부호를 사용하여 유기음과 탁음을 구분하며, 일제강점기 대만인의 정체성 유지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널리 사용되지 않고 유니코드에서 지원된다. - 한글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한글 - 조선어학회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은 일제강점기, 일제가 조선어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어학회 회원들을 체포하고 탄압한 사건으로, 이윤재, 최현배 등이 고문과 옥사를 당했으며, 한국어 사전 편찬에 차질을 빚었으나 광복 후 『조선어대사전』 편찬으로 이어져 한국어 발전과 민족 문화 수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대만어 한글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유형 | 자질 문자 (Featural) 알파벳 |
사용 시작 | 1987년부터 |
사용 언어 | 대만어 |
창시자 | 쉬차오더 (최초 제안) |
관련 | 한글 |
2. 자모
대만어 한글 표기법은 기존 한글 자모 외에 몇 가지 새로운 자모를 사용한다. 초성과 중성(모음), 종성을 포함한다.
구 분 | 한글 자모 | 발음(IPA) | 예시 (대만어) | |
---|---|---|---|---|
초성 | ㅁ, ㄴ, ㄸ, ㅂ, ㅍ, ㄷ, ㅌ, ㄱ, ㅋ, ㅃ, ㄲ, ㅈ, ㅊ, ㅉ, ㅅ, ㅎ, ㄹ | /m/, /n/, /ŋ/, /p/, /pʰ/, /t/, /tʰ/, /k/, /kʰ/, /b/, /ɡ/, /ts/, /tsʰ/, /dz/, /tɕ/, /tɕʰ/, /dʑ/, /s/, /ɕ/, /h/, /l/ | 모(毛), 내(耐), 아(雅), 변(邊), 파(波), 지(地), 타(他), 구(求), 거(去), 문(文), 어(語), 증(曾), 출(出), 열(熱), 첨(尖), 수(手), 입(入), 삼(衫), 사(寫), 희(喜), 류(柳) | |
중성 | 단모음 | ㅣ, ㅔ, ㅓ, ㅗ, ㅏ, 잇, 엣, 옷, 앗, ㅜ, 웃 | /i/, /e/, /ə/, /ɔ/, /a/, /ĩ/, /ẽ/, /ɔ̃/, /ã/, /u/, /ũ/ | 의(衣), 례(禮), 고(高), 오(烏), 차(查), 원(圓), 생(生), 옹(翁), 삼(衫), 오(污), 장(張) |
중성 | 이중 모음 | ㅐ, ㅑ, ᅧ, ㅠ, ᅪ, ᅰ, ᅱ, 알 | /aɪ/, /ɪa/, /ɪo/, /iu/, /ua/, /ue/, /ui/, /aʊ/ | 아이, 이아, 이오, 이우, 우아, 우에, 우이, 아우 |
중성 | 삼중 모음 | 얄, ᅫ | /ɪaʊ/, /uai/ | 이아우, 우아이 |
2. 1. 초성
대만어의 초성(어두 자음)은 양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등으로 분류되며, 기존 한글 자모 외에 'ㄸ', 'ㄲ', 'ㅉ' 등이 사용된다.구분 | 한글 자모 | 발음(IPA) | 예시 (대만어) |
---|---|---|---|
비음 | ㅁ, ㄴ, ㄸ | /m/, /n/, /ŋ/ | 모(毛), 내(耐), 아(雅) |
파열음 | ㅂ, ㅍ, ㄷ, ㅌ, ㄱ, ㅋ, ㅃ, ㄲ | /p/, /pʰ/, /t/, /tʰ/, /k/, /kʰ/, /b/, /ɡ/ | 변(邊), 파(波), 지(地), 타(他), 구(求), 거(去), 문(文), 어(語) |
파찰음 | ㅈ, ㅊ, ㅉ | /ts/, /tsʰ/, /dz/, /tɕ/, /tɕʰ/, /dʑ/ | 증(曾), 출(出), 열(熱), 첨(尖), 수(手), 입(入) |
마찰음 | ㅅ, ㅎ | /s/, /ɕ/, /h/ | 삼(衫), 사(寫), 희(喜) |
설측음 | ㄹ | /l/ | 류(柳) |
2. 1. 1. 비음
대만어에서 비음은 콧소리를 의미한다. 대만어 한글 표기에서 비음에 해당하는 자음은 다음과 같다.
2. 1. 2. 파열음
변(邊) (pian)지(地) (tē)
구(求) (kiû)
파(波) (pho)
타(他) (thaⁿ)
거(去) (kh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