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서양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대구(Gadus morhua)는 대구속에 속하는 3종의 대구 중 하나로, 무리 생활을 하며 크기에 따라 집단을 이룬다. 어린 대구는 포식 위험에 따라 기질을 선택하며, 수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분포를 결정한다. 북동 대서양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구 개체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서 대서양 대구는 남획으로 인해 어업이 붕괴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서양대구는 인간의 식량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었으나, 과도한 어획으로 개체수가 급감했으며, 현재 어획량 관리 노력이 진행 중이다. 또한 대서양대구는 다양한 기생충의 숙주로, 아니사키스와 같은 기생충은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다.

2. 분류

대구속( ''Gadus'')에 속하는 3종의 대구 중 하나이며, 태평양대구, 그린란드대구와 함께 분류된다. 대구과(Gadidae)에 속하는 다양한 어종이 통속적으로 대구로 알려져 있지만, 모두 ''Gadus'' 속에 분류되지는 않는다.

3. 생태 및 행동

대서양대구는 무리를 이루는 종으로, 크기에 따라 구조화된 대규모 집단을 형성한다. 더 큰 물고기는 정찰병 역할을 하며 무리의 방향을 이끌고, 특히 산란 후 먹이를 찾아 연안으로 이동하는 물고기 이동 중에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대구는 이동 중에 활발하게 먹이를 먹으며, 먹이를 만나면 무리의 구조가 변한다.[22]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선두 물고기가 특정 먹이 섭취 이점을 얻는다고 제안한다. 이동하는 대서양대구 무리에 대한 한 연구에서는 무리 내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먹이 습성에 상당한 변동이 나타났다. 더 큰 정찰병은 더 다양한 종류의 더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는 반면, 뒤처진 물고기는 먹이가 덜 다양하고 더 적은 양을 섭취했다.[23]

어린 대구는 포식 위험에 따라 기질을 결정한다. 포식자가 없는 경우, 어린 대구는 모래, 자갈, 조약돌과 같이 더 미세한 입자의 기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포식자가 나타나면 조약돌 기질의 돌 틈새에서 안전을 찾는 것을 선호했다. 조약돌을 선택하면 포식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조약돌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어린 대구는 단순히 도망감으로써 포식자로부터 탈출하려 한다.[25]

또한 어린 대서양대구는 포식자의 먹이 섭취 행동에 따라 행동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수동적인 포식자가 있는 경우, 대구의 행동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어린 대구는 더 미세한 입자의 기질을 선호하며, 안전한 켈프를 피하여 포식자를 멀리한다. 반면, 활발하게 먹이를 찾는 포식자가 있는 경우, 어린 대구는 매우 회피적인 행동을 보이며, 조약돌이 없으면 조약돌이나 켈프에 숨는다.[25]

대서양대구는 최소 2cm/s에서 최대 54cm/s의 속도로 헤엄치는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평균 헤엄 속도는 9cm/s이다. 대구는 한 시간에 평균 99m에서 226m의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헤엄 속도는 밤보다 낮에 더 빨랐다. 대구는 일조 시간에 따라 활동 패턴을 수정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활동량은 연중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26]

수영 및 생리적 행동은 수온 변동에 따라 변화한다. 호흡 측정 실험에 따르면 대서양대구의 심박수는 불과 몇 도의 온도 변화에도 크게 변한다. 수온 상승은 대구의 수영 활동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대구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온도 조건을 피하며, 수온은 물속에서 대구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 대구는 낮에는 더 깊고 차가운 물 층을 선호하고 밤에는 더 얕고 따뜻한 물 층을 선호한다. 이러한 수온에 대한 미세 조정된 행동 변화는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한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에 의해 주도된다. 2.5°C의 감소만으로도 15~30%의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대사율 증가를 유발한다는 사실로 입증되었다.[27]

4. 분포

'''대서양대구'''
(''Gadus morhua'')


대서양대구는 북대서양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북동대서양에 세계 최대 규모의 개체군이 서식한다. 이 중 북동극해 개체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로 바렌츠해에 서식한다. 이들은 3~4월에 로포텐 제도노르웨이 해안에서 산란하며, 어린 대구는 해류를 타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성장한다. 먹이로는 크릴새우, 갑각류, 열빙어, 대서양 청어 등을 섭취하며, 동족 포식을 하기도 한다.

북해 개체군은 유럽 연합 국가들과 노르웨이에 의해 어획되며, 1970년대에는 어획량이 20~30만 톤에 달해 남획이 우려되기도 했다. 북서 대서양 개체군은 1990년대 초 캐나다미국의 남획으로 어획량이 급감했다.

북아메리카 대륙의 대구 어획은 16세기부터 시작되어 뉴펀들랜드 섬 등 캐나다 동해안 발전에 기여했다. 1960년대까지 연간 평균 30만 톤 정도가 어획되었으나, 기술 발전으로 한때 연간 80만 톤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007년에는 연안 서식 대구 수가 1977년의 1% 수준까지 감소했다.[56]

4. 1. 북동대서양

북동대서양에 서식하는 대서양대구 개체군 중 가장 큰 규모는 북동극해 개체군이다. 이 개체군은 ICES에서 북동 극지 대구, 또는 북극-노르웨이 대구 어족으로 명명되었으며, 노르웨이어로는 ''skrei''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주로 바렌츠해에 서식하며, 3월부터 4월 사이에 로포텐 제도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산란한다.[46] 갓 부화한 유생은 유생 요각류를 먹으며 해안 해류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 여름이 되면 어린 대구는 바렌츠해에 도달하여 산란 회유가 있을 때까지 남은 생을 그곳에서 보낸다. 성장하면서 크릴과 다른 작은 갑각류 및 물고기를 먹고 산다. 성체 대구는 주로 열빙어와 청어를 먹는다. 북동 극지 대구는 동족 포식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46]

북해 대구 어족은 주로 유럽 연합 회원국, 영국 및 노르웨이에 의해 어획된다. 1999년 어획량 분배는 다음과 같다.

국가어획량 비율
덴마크31%
스코틀랜드25%
영국 (스코틀랜드 제외)12%
네덜란드10%
벨기에, 독일, 노르웨이17%



1970년대에는 연간 어획량이 200000ton에서 300000ton 사이로 증가했다. 과도한 어획에 대한 우려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어획 할당량이 반복적으로 감소했다.[47]

4. 2. 북서대서양

북서 대서양 대구는 서식지 전체에서 심각하게 남획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 결과 1990년대 초 미국캐나다에서 어업이 붕괴되었다.[43]

뉴펀들랜드 섬의 북부 대구 어업은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평균적으로 약 300000ton의 대구가 매년 어획되었지만, 1960년대 기술 발전으로 공장 트롤선이 더 많은 어획량을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1968년에는 어획량이 800000ton으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점진적인 감소가 시작되었다. 2006년 제한적인 대구 어업이 재개되면서 약 2700ton의 대구가 어획되었다. 2007년에는 원양 대구 개체수가 1977년의 1%로 추산되었다.[43]

1960년부터 2019년까지 서대서양의 대서양 대구(''Gadus morhua'') 어획량. 데이터 출처: NAFO.


대서양 대구 붕괴에 기여한 기술에는 엔진 동력 선박과 선박 내 냉동 식품 칸이 포함된다. 엔진 동력 선박은 더 큰 그물, 더 넓은 범위, 더 나은 항해 기능을 갖추었다. 물고기를 잡는 능력은 무제한이 되었다. 또한 음파 기술은 물고기를 감지하고 잡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음파는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적 잠수함을 찾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나중에는 물고기 떼를 찾는 데 적용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과 전체 생태계를 파괴하는 저층 트롤어선은 대서양 대구 붕괴에 기여했으며, 이는 수동 줄과 긴 줄과 같은 옛 기술과는 매우 달랐다.

어업은 최근에야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식품 사슬의 안정적인 변화로 인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할 수도 있다. 대서양 대구는 가자미, 대구, 대구와 함께 청어, 빙어, 새우, 눈게와 같은 작은 먹이를 먹는 최상위 포식자였다.[44] 대형 포식어류가 제거되면서 이들의 먹이가 개체수 폭발을 일으켜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고, 대구 알과 치어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아메리카 대륙의 대구 어획 역사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뉴펀들랜드 섬 등 캐나다 동해안의 식민지 정착과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5. 인간과의 관계

대서양대구는 수천 년 동안 인간의 식량으로 이용되어 왔으며,[41] 생선, 튀김, 건어물(바칼라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된다. 1950년대 현대 어업 기술의 등장과 함께 어획량이 급증했으나,[42]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했다. ICES와 NAFO는 어획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개체군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 목표를 설정한다.

북서 대서양 대구 어업 붕괴 이후 어업 회복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식품 사슬 변화로 인해 완전한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북동대서양에서는 유럽 연합, 영국, 노르웨이 등이 주로 어획하며, 어획 할당량 조절 등 관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트해 대구는 과도한 어획과 환경 문제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2019년부터 동발트해 대구의 상업적 어업이 금지되었다.

5. 1. 기생충

대서양대구는 수많은 기생충 종의 중간 숙주, 전달 숙주 또는 최종 숙주 역할을 한다. 헤밍센(Hemmingsen)과 매켄지(MacKenzie)는 2001년에 107개의 기생충 분류군을 목록에 등재했고,[52] 페르디게로-알론소(Perdiguero-Alonso) 등은 2008년에 7개의 새로운 기록을 추가했다.[52] 북동 대서양에서 대구 기생충의 주요 그룹은 흡충류(19종)와 선충류(13종)이며, 이 중에는 유충 형태의 아니사키스(Anisakid)가 총 개체 수의 58.2%를 차지한다.[52] 대서양대구의 기생충에는 요각류, 이생흡충류, 단생흡충류, 극두충류, 조충류, 선충류, 점액포자충류, 원생동물 등이 있다.[52]

대서양대구의 간에 기생하는 아니사키스

참조

[1] 논문 Teleost fish otoliths from Lee Creek Mine, Aurora, North Carolina (Yorktown Formation: Pliocene) https://www.biodiver[...] 1983
[2] IUCN Gadus morhua 2021-11-19
[3] 웹사이트 Atlantic Cod http://www.seafood-p[...] 2009-12-25
[4] 서적 morhwell, 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 서적 Fauna Boreali-Americana; or the Zoology of the Northern Parts of British America: Containing Descriptions of the Objects of Natural History Collected on the Late Northern Land Expeditions under Command of Captain Sir John Franklin, R.N. Richard Bentley 1836
[6] 서적 The New Statistical Account of Scotland William Blackwood & Sons 1836
[7] 서적 Munimenta Gildallæ Londoniensis: Liber Albus, Liber Custumarum, et Liber Horn Eyre & Spottiswoode for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860
[8] 서적 green fish, 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9] 웹사이트 Sea of the Hebrides http://www.eoearth.o[...] 2013-05-24
[10] 뉴스 Verdensrekordtorsken blir fransk middag https://www.nrk.no/t[...] 2022-04-04
[11] 뉴스 Bergey náði 50 kílóa þorski https://www.mbl.is/2[...] 2022-04-04
[12] 논문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Assessment of Demersal Stocks in the North Sea and Skagerrak (WGNSSK) https://ices-library[...] 2021
[13] 논문 Northwestern Working Group (NWWG) https://ices-library[...] 2021
[14] 논문 Lateral line system of fish 2009-03-01
[15] IUCN Gadus morhua (Europe assessment) 2024-07-10
[16] 서적 milwell, 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7] 서적 stock-fish| stockfish, n. Oxford University Press 1917
[18] 서적 ling, n.¹ Oxford University Press 1903
[19] 서적 † haberdine, n. Oxford University Press 1898
[20] 서적 green cod, n.¹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1] 웹사이트 Atlantic cod http://www.fishwatch[...] 2012-11-05
[22] 서적 Functions of shoaling behaviour in teleosts Chapman and Hall 1993
[23] 논문 Cross-shoal variability in the feeding habits of migrating Atlantic cod (Gadus morhua) 1996-01-01
[24] 논문 Apex predators and trophic cascades in large marine ecosystems: Learning from serendipity 2012-05-14
[25] 논문 Habitat use by juvenile Atlantic cod (Gadus morhua) in the presence of an actively foraging and non-foraging predator 1995
[26] 논문 Feeding behaviour of cod, Gadus morhua: activity rhythm and chemically mediated food search 1998-08-01
[27] 논문 Physiology and behaviour of free-swimming Atlantic cod (Gadus morhua) facing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http://jeb.biologist[...] 2013-10-27
[28] 웹사이트 Gadus morhua (Cod) https://animaldivers[...]
[29] 논문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ood intake of North Sea cod, Gadus Morhua 1973-12-01
[30] 논문 Food and feeding habits of cod from the Balsfjord, northern Norway during a one-year period 1982-05-01
[31] 논문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some biological indices of the bottom stages of 0-group cod belonging to the 1956, 1958, 1959, 1960 and 1961 year-classes 1965
[32] 논문 Development of the digestive capacity in larvae of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and Atlantic cod (Gadus morhua) https://linkinghub.e[...] 2006-02-01
[33] 논문 Spawning and life history information for North Atlantic cod stocks https://ices-library[...] 2005
[34] 논문 Thermal dynamics of ovarian maturation in Atlantic cod (Gadus morhua) http://www.nrcresear[...] 2010-04-01
[35] 논문 Spawning behaviour of Atlantic cod: evidence of mate competition and mate choice in a broadcast spawner 1999-01-01
[36] 논문 Variation in annual egg production in individual captive Atlantic cod ( Gadus morhua ) http://www.nrcresear[...] 1996-03-01
[37] 논문 The spawning activity of cod, Gadus morhua L. https://onlinelibrar[...] 1989-02-01
[38] 논문 Timing and determination of potential fecundity in Atlantic cod (''Gadus morhua'') http://dx.doi.org/10[...] 2006-02-01
[39] 서적 The DK Natur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K Publishing, Inc
[40]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41] 논문 A millennium of north-east Atlantic cod juvenile growth trajectories inferred from archaeological otoliths 2017-10-27
[42] 논문 Five centuries of cod catches in Eastern Canada https://academic.oup[...] 2021-10-27
[43] 뉴스 N.L. funds cod fishery research on 15th anniversary of moratorium https://www.cbc.ca/n[...] CBC News 2007-07-02
[44] 논문 Trophic Cascades in a Formerly Cod-Dominated Ecosystem
[45] 뉴스 Cod Fishermen's Alarm Outlasts Reprieve on Catch Limits https://www.nytimes.[...] 2012-02-12
[46] 간행물 Arctic Fisheries Working Group of ICES, published in the ICES Report AFWG CM 2013, ACOM:05. The estimation method was standard virtual population analysis.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47] 웹사이트 Our Products: Atlantic Cod http://portunusgroup[...] 2013-11-22
[48] 웹사이트 ICES Stock Database Disclaimer http://standardgraph[...] 2014-03-25
[49] 논문 Adaptation to Low Salinity Promotes Genomic Divergence in Atlantic Cod (Gadus morhua L.) 2015-05-20
[50] 논문 Quantifying environmental heterogeneity:habitat size necessary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cod Gadus morhua eggs in the Baltic Sea 2000-01-01
[51] 논문 Genetic analyses reveal complex dynamics within a marine fish management area 2019-01-01
[52] 논문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parasite faunas of cod, ''Gadus morhua'' L. (Teleostei: Gadidae), in the North East Atlantic
[53] IUCN Gadus morhua 2023-09-25
[54] 서적 グリーンランド海域の水族 : 深海丸により採集された魚類・頭足類・甲殻類 海洋水産資源開発センター
[55] 간행물 Maturation of Nineteen Species of Finfish off the North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1985-1990. NOAA Tech. Report. NMFS 113
[56] 뉴스 N.L. funds cod fishery research on 15th anniversary of moratorium http://www.cbc.ca/ca[...] CBC News 2007-07-02
[57] 논문 The location and timing of cod spawning around the British Isles http://icesjms.oxfor[...]
[58] 논문 Changes in the timing of spawning of Baltic cod: possible causes and implications for recruitment http://icesjms.oxfor[...]
[59] 논문 Effects of population size/age structure, condition and temporal dynamics of spawning on reproductive output in Atlantic cod
[60] 논문 Spawning behaviour of Atlantic cod, ''Gadus morhua'': evidence of mate competition and mate choice in a broadcast spawner http://article.pubs.[...]
[61] 논문 Is cod lekking or a promiscuous group spawner?
[62] 논문 Male reproductive competition in spawning aggregations of cod
[63] 간행물 Maturation of Nineteen Species of Finfish off the North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1985-1990. NOAA Tech. Report. NMFS 113
[64] 웹사이트 Arctic Fisheries Working Group Report, Section 03 http://www.ices.dk/r[...]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2008-12-11
[65] 서적 milwell, n.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stock-fish | 'stockfish, n.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ling, n.¹ Oxford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Atlantic Cod http://www.seafood-p[...] Seafood Portal
[69] 서적 † haberdine, n. Ox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green cod, n.¹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Field Guide to Fishes, National Audubon Society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73] 웹사이트 Gadus morhua (Cod) http://animaldiversi[...] 2017-02-13
[74] 논문 Maturation of Nineteen Species of Finfish off the North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1985–1990 NOAA Tech. Report. NMFS 113
[75] 간행물 Arctic Fisheries Working Group Report, Section 03, Table 3.5 http://www.ices.dk/r[...]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2008-12-11
[76] 저널 Lateral line system of fish 2009-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