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월과 소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월과 소월은 양력과 음력에서 한 달의 길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양력에서는 31일인 달을 대월, 30일 또는 28/29일인 달을 소월로 구분하며,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 로마력에서 대소월의 배치가 다르다. 음력에서는 달의 차고 이지러짐에 따라 대월(30일)과 소월(29일)이 정해지며, 삭망월의 변동성으로 인해 대소월의 출현 패턴이 복잡해진다. 동아시아의 중국력에서는 삭이 음력 1일이 되도록 정해지며, 대소월 배열의 규칙이 존재했다. 에도 시대 일본에서는 대소월을 표기한 대소력이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도 30일인 달을 외우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태양력에서는 달의 길이가 천체인 달의 차고 기욺과 관계없이 임의적으로 정해지지만, 그래도 대월과 소월의 구분이 있는 경우가 많다.
2. 양력의 대월과 소월
사크로보스코는 로마력 및 카이사르가 도입한 초기의 율리우스력에서는 홀수 달이 대월, 짝수 달이 소월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생일인 8월이 소월인 것을 싫어하여 현재의 형태로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설은 현재 부정되고 있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로마력 30일 29일 30일 29일 30일 29일 30일 29일 30일 29일 30일 29일 율리우스력 구 31일 29일
30일31일 30일 31일 30일 31일 30일 31일 30일 31일 30일 신 28일
29일31일 30일 31일 30일 31일
2. 1.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31일 28일
29일31일 30일 31일 30일 31일 31일 30일 31일 30일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