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력은 고대부터 사용된 태음태양력으로, 달의 위상 변화와 태양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날짜를 계산한다. 은, 주나라 시대 관상수시력에서 시작하여 춘추전국시대 24절기 도입, 메톤 주기 사용 등 발전을 거듭했다. 이후 한나라 태초력, 위진남북조 시대 대명력, 당나라 대연력, 원나라 수시력을 거쳐 청나라 시헌력으로 이어졌다. 1912년 중화민국은 그레고리력을 공식 채택했지만, 현재까지도 춘절 등 명절과 길일 선택에 중국력이 사용된다. 한국 역법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십간, 십이지, 24절기, 삭망월, 윤달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음태양력 - 히브리력
히브리력은 유대교에서 사용되는 태음태양력으로, 음력 주기에 윤달을 더해 태양년과 일치시키며, 유대교 절기와 축제일을 결정하고, 힐렐 2세에 의해 확립되어 안노 문디 기원법으로 연도를 계산한다. - 태음태양력 - 힌두력
힌두력은 베다 시대부터 발전해 온 인도의 전통적인 달력 체계로, 태양력, 음력, 태음태양력을 사용하며 힌두교 축제 및 행사 날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국력 - 시헌력
시헌력은 아담 샬이 『숭정력서』를 기반으로 편찬하여 청나라에서 공포된 역법으로, 중화민국 건국 후 공식 역법의 지위를 잃었으나 명절 결정에 영향을 주고 조선과 일본에 전래되었으며, 태양력으로서 정확한 계산을 자랑했으나 복잡한 윤년 규칙으로 완전한 정착에는 실패했다. - 중국력 - 칠정산
칠정산 외편은 이순지와 김담 등이 회회력을 참고하여 천문 계산, 일식과 월식 예보, 행성 운동 등을 다룬 5책의 역서로, 조선 시대 농업 사회에서 기후와 날씨 예측을 통해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 - 중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중국력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농력 |
다른 이름 | 구력 노력 음력 |
로마자 표기 | Nónglì |
특징 | |
유형 | 태음태양력 |
기반 | 달의 삭망월 운동 태양의 황도 운동 |
관련 항목 | 중국 전통 달력 |
사용 국가 | 중국 동아시아 문화권 (전통) |
역사 | |
기원 | 한 무제 시기 |
유네스코 등재 |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구성 요소 | |
년 | 정월에서 섣달까지 12개월 또는 13개월 윤달을 추가하여 1년의 길이를 조절 |
월 | 삭월을 기준으로 매월 1일 시작 |
날짜 | 24절기 사용 간지로 표기 |
윤달 | 19년에 7번 정도 추가 19태양년(6939.6018일)과 235태음월(6939.6882일)을 맞춤 |
사용 | |
주요 용도 | 전통적인 중국 축제 날짜 결정 농사 일정 결정 점성술 및 풍수지리 활용 |
현대 사용 | 중국에서 여전히 사용됨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전통 행사 기준으로 사용 |
참고 | 음력설 (춘절) 단오절 중추절 |
기타 | |
관련 달력 | 그레고리력 (공식) |
특징 | 한 해의 시작은 춘절 24절기를 사용하여 계절 변화 반영 |
참고 링크 | 농민력/음력/황력 조회 농민력, 황력, 길일 조회 택일 만년력 농민력 용어 농민력 상식 |
2. 역사
중국 역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왕조의 흥망성쇠와 함께 발전해 왔다. 달력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은 통치자의 권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과업이었으며, 통치자의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유능한 통치자는 계절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맞춰 준비할 수 있어야 했다. 이러한 능력은 일식이나 천체와 같은 현상을 예측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었다.[1] 권위와 시간 측정 사이의 중요한 관계는 중국 역사상 102개의 달력이 존재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각 달력은 XX曆중국어으로 명명되었고, 황제 시대의 마지막 달력은 時憲曆중국어이었다. 통치자는 매년 시작 전에 역서를 발표했고, 통치자가 일부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을 때는 불법적인 사설 역서 발행인이 나타나기도 했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정부의 그레고리력 도입과 대중의 관습 보존 사이의 갈등으로 다양한 현대 중국 달력 명칭이 생겨났다.[2] 정부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도록 중국 달력을 폐지하려 했고, 심지어 음력설까지 폐지하려 했지만 큰 반대에 직면했다. 대중은 농업과 어업 등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하기 위해 천문학적인 중국 달력이 필요했고, 광범위한 축제와 관습 관찰도 달력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결국 타협하여 1947년에 농업 달력으로 재브랜딩하여 달력을 단순히 농업 용도로 격하시켰다.[3]
중국 달력 | 그레고리력 |
---|---|
唐曆, 華曆, Chinese calendar | 西洋曆, 洋曆, 西曆, Western calendar |
舊曆, 老曆, 古曆, old calendar | 新曆, new calendar |
陰曆, lunar calendar | 陽曆, solar calendar |
傳統曆, traditional calendar | |
農曆, 農民曆, agricultural calendar | |
夏曆, The first dynasty calendar | |
黄曆, 黄帝曆, Yellow Emperor calendar | |
公曆, public calendar, namely universal calendar or common calendar | |
國曆, national calendar | |
皇曆, Imperial calendar (obsoleted) |
황제 시대가 끝난 후에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일부 역서가 베이징의 경도를 사용하여 마지막 황제 달력을 기반으로 했다. 이러한 역서는 "보편적인 책" 通書중국어 또는 광동어 명칭 通勝yue (Tung Shing으로 음역됨)으로 불렸다. 그리고 나중에 이러한 역서는 자금산 천문대의 위치(동경 120°)를 기준으로 새로운 계산으로 옮겨갔다.
기원(Epoch)은 특정 달력 시대의 기준점으로 선택된 시점으로, 그 이후의 시간이나 날짜를 측정하는 기준점 역할을 한다. 중국 달력 체계에서 기원을 사용하면 연속적으로 이후 날짜를 계산하기 위한 연대 기준점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기원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서기와 유사한 명명법이 가끔 사용되었다.[4]
시대 | 중국어 명칭 | 시작 | 1년 |
---|---|---|---|
황제(황제) 연호 | 황제 즉위 | 기원전 2697년 또는 기원전 2698년 | |
요(요) 연호 | 요 즉위 | 기원전 2156년 | |
공화 연호 | 공화 시작 | 기원전 841년 | |
공자 연호 | 공자 탄생 | 기원전 551년 | |
통일 연호 | 진시황 즉위 | 기원전 221년 |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 연도는 없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그레고리력()이다.
전한에서는 진나라의 전욱력을 계승하여 사용했지만, 무제 때 역법을 개혁하여 태초력이 만들어졌다. 이후 태초력은 성제 때 유흠에 의해 천체력적 성격이 강한 삼통력으로 보수되었다. 삼통력은 그 후 중국력의 틀을 만들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서양의 천문학을 기반으로 하는 시헌력이 채택되었다.
현대 중국 표준 달력은 서기 1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하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한다. 중국력 항목에는 그레고리력의 영향을 받은 현대 중국력의 변형도 포함된다. 변형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의 방법론이 포함된다. 중국 역법 체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특정 왕조 시대와 연관되어 왔다. 여러 가지 개별 역법들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역사적 발전 측면에서 볼 때, 일부 역법 변형은 선사 시대/신화 시대부터 잘 입증된 역사적 왕조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걸쳐 왕조 변화와 관련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중국 역법의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기저에 깔린 천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도 포함된다; 또한, 관측 도구의 개발은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인도, 이슬람, 예수회의 영향 또한 중요해졌다.
갑골문·금문과 시경 등에 따르면 고대에는 관상수시력이 사용되었고, 춘추전국시대에 크게 발전하여 24절기와 메톤 주기가 도입되었다. 중세에는 달의 불규칙한 운행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 역법에 반영되었다. 근대에는 시헌력이 채택되었고, 중화민국은 그레고리력을 공식 역법으로 채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자금산 천문대가 중국력 편력 책임을 지고 있으며, 2017년에는 국가 표준이 발표되었다.
중국력은 주기가 복잡하기 때문에 기계식 시계에 통합하는 것은 어렵지만, 브랑팡[52], H. 모저[53] 등이 중국력 달력 탑재 모델을 발표하고 있다. 2024년에는 바쉐론 콘스탄틴이 중국력 영구 캘린더를 탑재한 포켓 시계를 발표했다.[54]
2. 1. 고대
은나라·주나라 시대에는 해, 달, 별, 그리고 식물의 생장 등을 관찰하여 날짜를 정했으며, 이를 관상수시력(觀象授時曆)이라고 한다. 음력 첫날은 신월(朔日)이 아니라, 2일 또는 3일 삭(三日月) 등 달이 처음 보이기 시작하는 날을 첫날로 삼았으며, 이 날을 휘일(朏日)이라고 불렀다. 연초는 규표 관찰 등을 통해 동지 무렵으로 설정되었다.[14]이러한 소박한 역법은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크게 발전했다. 24절기가 도입되었고, 윤달 설정에 메톤 주기가 사용되었으며, 음력 첫날도 삭일 계산에 따라 결정되었다. 전국시대 각국에서는 독자적인 사분력을 만들었는데, 이들을 '''전국사분력'''이라고 한다. 이 무렵, 연초에 관한 삼정(夏正·殷正·周正)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하력(夏曆), 은력(殷曆), 주력(周曆)이 있었다고 여겨지며, 하력에서는 연초가 동지 후 2개월, 은력에서는 동지 후 1개월(즉, 하력 12월), 주력에서는 동지가 있는 달(하력 11월)로 정하고, 정월이 왕조 교체마다 변경되어 하정→은정→주정→하정→…과 같이 순환되었다고 한다. 이를 받아들여 주나라 다음 왕조를 목표로 하는 전국 각국은 대부분 하정을 채택했지만, 진나라의 전욱력처럼 10월을 연초로 하는 역법도 있었다(단, 정월, 2월, 3월 등 달의 배열은 하력을 따랐다). 진나라의 중국 통일로 전욱력의 10월 세수가 채택되었지만, 한나라 무제 때 역법을 개혁하여 태초력이 만들어지면서 하정이 채택되었고, 현재의 舊正月도 이를 계승하고 있다.[15][16]
2. 2. 중세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조충지가 세차를 고려한 대명력(大明曆)을 만들었다.[16] 수나라에서는 유탁이 정삭법을 기반으로 한 황극력(皇極曆)을 만들었으나 채택되지 않았고, 당나라 때 무인원력(戊寅元曆)에서 정삭법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당나라 현종 때 일행은 대규모 실측을 통해 태양 운행의 불균등성을 고려한 대연력(大衍曆)을 만들었다. 원나라에서는 곽수경 등이 구면삼각법을 도입한 수시력(授時曆)을 만들었다.[17][18][19] 수시력은 명나라에서 대통력(大統曆)이라는 이름으로 364년간 사용되었다.[20]2. 3. 근대
1912년 중화민국은 그레고리력을 공식 역법으로 채택했지만, 민간에서는 여전히 중국 역법이 사용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국과학원 자금산천문대가 중국력 편력 책임을 지고 있으며, 2017년 5월 12일에는 중국 역법에 대한 국가 표준이 발표되었다.[52][53][54]청나라에서는 서양 천문학을 기반으로 하는 시헌력이 채택되었다.
3. 종류
중국 역법 체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특정 왕조 시대와 연관되어 왔다. 여러 가지 개별 역법들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역사적 발전 측면에서 볼 때, 일부 역법 변형은 선사 시대/신화 시대부터 잘 입증된 역사적 왕조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범위에 걸쳐 왕조 변화와 관련이 있다.
주나라 이전에도 기본적인 육십갑자 시스템과 함께 태양력이 사용되었다. 태양력의 한 종류로 오행에서 유래한 오행력(五行曆)이 있는데, 365일을 73일씩 5개의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는 1일차 오행 원소에 대응되었다. 각 단계는 지배 원소의 날(行御)로 시작하여 12일씩 6주가 이어졌으며, 3주씩 두 달로 구성되어 매년 10달이 되었다. 연은 갑자(甲子)일에 목(木) 단계(72일)로 시작하여, 병자(丙子)일과 화(火) 단계, 무자(戊子)일과 토(土) 단계, 경자(庚子)일과 금(金) 단계, 임자(壬子)일과 수(水) 단계가 차례로 이어졌다.[12]
사분팔절력(四時八節曆) 또는 사분력(四分曆)은 1주를 10일, 1달을 3주로 구성하였다. 1년은 12달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여름에 열흘짜리 윤달(윤주)을 추가하여 태양년과 일치시켰다.[13] 십간과 십이지를 사용하여 날짜를 표시하였다.
조력(調曆)은 1년이 365.25일, 1달이 29.5일이었다. 16달마다 반달을 추가하였다.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상나라의 역법(기원전 1600년~1046년경)은 1년에 12~14달이 있는 조력이었으며, 동지 다음 달이 정월(正月)이었다.[14]
3. 1. 태음태양력
태음태양력은 달의 위상 변화와 태양의 위치를 모두 고려한 역법이다. 중국 역법은 태음태양력으로, 1월의 길이는 달의 월령(약 29.53일)을 기준으로 하고, 1년 동안 달의 배열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정한다. 신월은 삭(朔), 만월은 망(望)이라 하며, 삭일을 그 달의 첫날로 하였다. 계절은 1태양년을 24등분한 24절기를 기준으로 정하며, 12삭망월과 1태양년의 차이는 윤달을 넣어 조정했다. 윤달은 연중에 놓이며 24절기의 중기(中氣)를 포함하지 않는 달로 정했다.최초의 태음태양력은 주력(周曆)으로, 주나라(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 때 도입되었다. 이 달력은 1년의 시작을 동지 전의 삭일(신월)로 정했다. 주나라가 쇠퇴하고 전국 시대(기원전 475년경 ~ 기원전 221년)가 되면서, 여러 제후국들이 서로 다른 태음태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루(魯)나라는 루력을, 진(晉)나라은 하력[15]을, 진(秦)나라은 전욱력을, 송(宋)나라은 은력을 사용했다.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에는 진력(秦曆)이 도입되었다. 진력은 전욱력의 규칙을 따르면서도 월 순서는 하력을 따라, 10월에 시작하여 9월에 끝나는 체계를 사용했다. 이는 그레고리력과 유사한 방식이다. 윤달은 연말에 후구월(後九月)로 추가되었으며, 진력은 한나라 때에도 사용되었다.
중국력은 날짜를 배당하는 달력 기능 외에도 일식, 월식, 행성의 운행 위치를 계산하고 예보하는 천체력(에페메리스) 기능도 겸비했다. 이 때문에 일식이나 월식 예보가 틀리면 역법을 개정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3. 2. 태양력
태양력은 지구와 태양이 태양계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계절의 변화를 추적하는 역법이다. 순수한 태양력은 파종과 수확 같은 농업 활동 시기를 계획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태양력은 일반적으로 춘분과 추분 같은 천문학적으로 관측 가능한 기준점을 사용하며, 이러한 사건은 기본적인 관측 방법과 기초적인 수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11]주나라 이전에도 기본적인 육십갑자 시스템과 함께 태양력이 사용되었다. 태양력의 한 종류로 오행에서 유래한 오행력(五行曆)이 있다. 오행력은 365일을 73일씩 5개의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는 1일차 오행 원소에 대응된다. 각 단계는 지배 원소의 날(行御)로 시작하여 12일씩 6주가 이어진다. 각 단계는 3주씩 두 달로 구성되어 매년 10달이 된다. 연은 갑자(甲子)일에(그리고 72일간의 목(木) 단계) 시작하여, 병자(丙子)일과 72일간의 화(火) 단계, 무자(戊子)일과 72일간의 토(土) 단계, 경자(庚子)일과 72일간의 금(金) 단계, 임자(壬子)일과 수(水) 단계가 이어진다.[12] 다른 날짜는 하도를 이용하여 추적하였다.
사분팔절력(四時八節曆) 또는 사분력(四分曆)은 주는 10일, 한 달은 3주로 구성되었다. 1년은 12달이었으며, 열흘짜리 주가 필요에 따라 여름에 윤달(윤주)로 추가되어 태양년과 일치하도록 하였다.[13] 십간과 십이지를 사용하여 날짜를 표시하였다.
조력(調曆)은 1년이 365.25일, 1달이 29.5일이었다. 16달마다 반달이 추가되었다. 갑골문 기록에 따르면, 상나라의 역법(기원전 1600년~1046년경)은 1년에 12~14달이 있는 조력이었으며, 동지 다음 달이 정월(正月)이었다.[14]
4. 구성 요소
중국력은 날짜, 달, 해를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를 사용한다.
간지(干支)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조합하여 만든 육십갑자(六十甲子) 체계이다. 십간은 십진법 체계이며, 십이지는 십이진법 체계로 시간과 기후를 나타낸다. 십간과 십이지를 결합하여 날짜와 해를 표시한다.
천간(天干) | 의미 | |
---|---|---|
원래 의미 | 현대적 의미 | |
갑(甲) | 거북 등껍질 | 첫째, 메틸기, 투구, 갑옷 등 |
을(乙) | 생선 내장 | 둘째, 에틸기, 꼬임 등 |
병(丙) | 꼬리지느러미[29] | 셋째, 밝은, 불 등 |
정(丁) | 못 | 넷째, 성년 남자, 튼튼한 등 |
무(戊) | 도끼 | (사용되지 않음) |
기(己) | 베틀의 실[30] | 자신 |
경(庚) | 저녁별 | 나이(사람의) |
신(辛) | 상관에게 죄짓다[31] | 쓴, 매운, 고된 |
임(壬) | 짐[32] | 짊어지다, 직무를 맡기다 |
계(癸) | 제사용 풀[33] | (사용되지 않음) |
지지 | 중국어 | 방위 | 계절 | 음력 월 | 2시간 | |||
---|---|---|---|---|---|---|---|---|
표준 중국어 주음부호 | 표준 중국어 병음 | |||||||
1 | 子 | ㄗˇ | zǐ | 쥐 쥐 | 0° (북쪽) | 겨울 | 11월 | 밤 11시 ~ 새벽 1시 (자정) |
2 | 丑 | ㄔㄡˇ | chǒu | 소 소 | 30° | 12월 | 새벽 1시 ~ 3시 | |
3 | 寅 | ㄧㄣˊ | yín | 호랑이 호랑이 | 60° | 봄 | 1월 | 새벽 3시 ~ 5시 |
4 | 卯 | ㄇㄠˇ | mǎo | 토끼 토끼 | 90° (동쪽) | 2월 | 새벽 5시 ~ 7시 | |
5 | 辰 | ㄔㄣˊ | chén | 용 용 | 120° | 3월 | 새벽 7시 ~ 9시 | |
6 | 巳 | ㄙˋ | sì | 뱀 뱀 | 150° | 여름 | 4월 | 오전 9시 ~ 11시 |
7 | 午 | ㄨˇ | wǔ | 말 말 | 180° (남쪽) | 5월 | 오전 11시 ~ 오후 1시 (정오) | |
8 | 未 | ㄨㄟˋ | wèi | 양 양 | 210° | 6월 | 오후 1시 ~ 3시 | |
9 | 申 | ㄕㄣ | shēn | 원숭이 원숭이 | 240° | 가을 | 7월 | 오후 3시 ~ 5시 |
10 | 酉 | ㄧㄡˇ | yǒu | 닭 닭 | 270° (서쪽) | 8월 | 오후 5시 ~ 7시 | |
11 | 戌 | ㄒㄩ | xū | 개 개 | 300° | 9월 | 오후 7시 ~ 9시 | |
12 | 亥 | ㄏㄞˋ | hài | 돼지 돼지 | 330° | 겨울 | 10월 | 오후 9시 ~ 밤 11시 |
청나라 이전에는 십간십이지를 쉽게 계산하고 맞출 수 있는 12와 10의 배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절기(節氣)'''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1년을 24등분한 기간으로, 각 절기는 황도상에서 약 15° 간격(약 15일)으로 나타난다.[36] 짝수 절기는 주요 절기, 홀수 절기는 부차적인 절기로 여겨진다.[9]
번호 | 이름 | 중국어 표기 | 행사 | 대략적인 날짜 | 해당 별자리 |
---|---|---|---|---|---|
J1 | 입춘(立春) | 立春|Lì chūn중국어 | 봄의 시작 | 2월 5일 | ♒️ 물병자리 |
Z1 | 우수(雨水) | 雨水|Yǔ shuǐ중국어 | 비 | 2월 19일 | ♓️ 물고기자리 |
J2 | 경칩(驚蟄) | 驚蟄|Jīng zhé중국어 | 벌레 깨어남 | 3월 6일 | |
Z2 | 춘분(春分) | 春分|Chūn fēn중국어 | 춘분 | 3월 21일 | ♈️ 양자리 |
J3 | 청명(清明) | 清明|Qīng míng중국어 | 청명한 밝음 | 4월 5일 | |
Z3 | 곡우(穀雨) | 穀雨|Gǔ yǔ중국어 | 곡우 | 4월 20일 | ♉️ 황소자리 |
J4 | 입하(立夏) | 立夏|Lì xià중국어 | 여름의 시작 | 5월 6일 | |
Z4 | 소만(小滿) | 小滿|Xiǎo mǎn중국어 | 소만 | 5월 21일 | ♊️ 쌍둥이자리 |
J5 | 망종(芒種) | 芒種|Máng zhòng중국어 | 이삭 패는 시기 | 6월 6일 | |
Z5 | 하지(夏至) | 夏至|Xià zhì중국어 | 하지 | 6월 22일 | ♋️ 게자리 |
J6 | 소서(小暑) | 小暑|Xiǎo shǔ중국어 | 소서 | 7월 7일 | |
Z6 | 대서(大暑) | 大暑|Dà shǔ중국어 | 대서 | 7월 23일 | ♌️ 사자자리 |
J7 | 입추(立秋) | 立秋|Lì qiū중국어 | 가을의 시작 | 8월 8일 | |
Z7 | 처서(處暑) | 處暑|Chǔ shǔ중국어 | 처서 | 8월 23일 | ♍️ 처녀자리 |
J8 | 백로(白露) | 白露|Bái lù중국어 | 백로 | 9월 8일 | |
Z8 | 추분(秋分) | 秋分|Qiū fēn중국어 | 추분 | 9월 23일 | ♎️ 천칭자리 |
J9 | 한로(寒露) | 寒露|Hán lù중국어 | 한로 | 10월 8일 | |
Z9 | 상강(霜降) | 霜降|Shuāng jiàng중국어 | 상강 | 10월 24일 | ♏️ 전갈자리 |
J10 | 입동(立冬) | 立冬|Lì dōng중국어 | 겨울의 시작 | 11월 8일 | |
Z10 | 소설(小雪) | 小雪|Xiǎo xuě중국어 | 소설 | 11월 22일 | ♐️ 궁수자리 |
J11 | 대설(大雪) | 大雪|Dà xuě중국어 | 대설 | 12월 7일 | |
Z11 | 동지(冬至) | 冬至|Dōng zhì중국어 | 동지 | 12월 22일 | ♑️ 염소자리 |
J12 | 소한(小寒) | 小寒|Xiǎo hán중국어 | 소한 | 1월 6일 | |
Z12 | 대한(大寒) | 大寒|Dà hán중국어 | 대한 | 1월 20일 | ♒️ 물병자리 |
청명절은 춘분 후 15일째이며,[10] 동지는 겨울 절기 중 하나이다.[8]
삭망월(朔望月)은 달의 위상 변화를 기준으로 한 달의 길이로, 삭에서 다음 삭까지 약 29.53일이다. 달의 날짜는 1부터 29 또는 30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중국 역법은 태음태양력으로, 삭일을 그 달의 첫날로 하고, 1년의 달 배열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정한다.
윤달(閏月|rùnyuè중국어)은 태음년과 태양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추가되는 달이다. 12 삭망월과 1 태양년의 차이는 윤달을 통해 조정되며, 윤달은 24절기의 중기(中氣)를 포함하지 않는 달이다. 전통적인 중국력에서는 약 3년에 한 번씩 윤달을 추가하여 13개월의 해(윤년)를 만들고, 평년은 12개월이다. 윤달이 있으면 명절을 두 번 지낼 수 있다.[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