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력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역법으로, 기원전 8세기 로마 건국과 함께 시작되어 태음력을 기반으로 했다. 초기에는 10개월, 304일로 구성되었고, 이후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1월과 2월이 추가되어 12개월, 355일의 누마력이 되었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윤달을 사용하여 태양력과의 오차를 보정하려 했으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달력의 정확성이 떨어졌다. 기원전 46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율리우스력을 도입하여 달력을 개혁했고, 율리우스력은 1년을 365일로 하고 4년에 한 번 윤년을 두는 방식을 채택했다. 로마력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의 기초가 되었으며, 요일과 달 이름, 날짜 표기법 등 서양 역법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력 | |
---|---|
로마력 | |
![]() | |
개요 | |
사용 국가 | 로마 왕국, 로마 공화국 |
시작 | 로마 건국 신화 (기원전 753년경) |
종료 | 율리우스력 도입 (기원전 45년) |
달력 구조 | |
1년 길이 | 355일 (윤년은 377일 또는 378일) |
1년 시작 | 3월 1일 |
달의 수 | 12개월 (이후 10개월로 조정) |
달 이름 | 마르티우스 아프릴리스 마이우스 유니우스 퀸틸리스 (이후 율리우스) 섹스틸리스 (이후 아우구스투스) 셉템베르 옥토베르 노벰베르 데켐베르 야누아리우스 (후에 추가됨) 페브루아리우스 (후에 추가됨) |
날짜 표기 | 칼렌다이 (매달 1일) 노나이 (매달 5일 또는 7일) 이두스 (매달 13일 또는 15일) |
윤달 추가 | 메르케도니우스 (2월 뒤에 추가됨) |
역사적 배경 | |
로마 왕국 시기 | 로마 건국 신화에 따라 시작 |
로마 공화국 시기 | 달 이름과 윤년 제도 변화 |
렉스 아킬리아 | 기원전 191년 제정된 윤년에 관한 법률 |
율리우스력 채택 | 기원전 45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채택 |
특징 | |
부정확성 | 계절과 맞지 않는 날짜와 부정확한 윤년 계산 |
종교적 의미 | 각 달의 이름은 신들의 이름에서 유래 |
기타 | |
참고 | 파스티 안티아테스 마요레스 |
2. 역사적 배경
로마력은 초기 로마 시대부터 율리우스력 개혁 이전까지 사용된 달력 체계이다. 그 기원과 초기 형태, 주요 개정 과정을 시대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로마 달력은 삭을 기준으로 달의 시작과 끝을 정하는 관측 태음력이었다.[9] 월주기가 약 29.5일이므로 각 달은 29일 또는 30일이었다.[9] 12개의 달은 태양년보다 10~11일 짧았기 때문에, 계절과 맞지 않게 되면 이슬람력처럼 조정이 필요했다.[9] 이를 위해 임의적인 단축, 간헐적인 삽입,[9] 겨울 동안 달력 중단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후대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최초 달력을 10개의 고정된 달로 묘사했다.[11] 31일인 달은 4개(3월, 5월, 퀸틸리스(7월), 10월)로 "만월"(플레니 멘세스)이라 불렸고, 30일인 달은 6개(4월, 6월, 섹스틸리스(8월), 9월, 11월, 12월)로 "공월"(카비 멘세스)이라 불렸다.[8][9] 그러나 이 체계는 연말에 2~3개월을 농업 주기와 무관한 "겨울"로 남겨두었다.[9] 이 달력은 전설적인 초대 왕 로물루스[10]의 업적으로 여겨졌으나, 일부 학자들은 공화정 말기와 제국 시대 자료에서만 확인된다는 점과 9월~12월 달 이름의 잘못된 위치를 근거로 그 존재를 의심한다.[11]
기원전 753년(기원전 745년설도 있음) 로물루스의 이름을 딴 '''로물루스력'''이 채택되었다. 1년은 304일로 10개의 달로 구성되었으며, 3월부터 시작하여 12월로 끝났다. 12월 30일과 3월 1일 사이에는 약 61일간 날짜가 없는 날이 이어졌는데, 이는 농업력의 특성상 농사일이 없는 계절에는 날짜가 필요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원전 8세기 말 ~ 기원전 7세기 초, 누마 폼필리우스는 1년을 12개의 태음월로 나누는 개혁을 단행했다.[9] 50일을 추가하고, 30일이었던 달에서 하루씩을 제외하여 1월(야누아리우스)과 2월(페브루아리우스)을 만들었다. 짝수를 불길하게 여긴 로마인들은 1월에 하루를 더 추가하여 1년을 355일로 만들었다. 355일의 태음력과 365.25일의 회귀년 사이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4년 주기의 2년차에는 22일, 4년차에는 23일을 추가하는 윤달을 도입했다.
로마 공화정 시대(기원전 509년 ~ 기원전 27년)에는 누마 왕이 제정한 누마력을 기반으로 하되,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다. 기원전 153년에는 집정관의 임기 시작일 변경으로 새해 시작이 1월 1일로 바뀌었다.[17] 윤달은 최고신기관이 결정하여 2년에 한 번씩 추가했지만, 자의적인 판단으로 인해 달력이 태양년과 일치하지 않는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내전 승리 후 최고대제사로서 기원전 46년에 달력 개혁을 명령했다. 소시게네스[42] 등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달력에 10일을 추가하고 4년마다 윤일을 정기적으로 삽입하여 태양년과 거의 일치시켰다. 카이사르 암살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퀸틸리스를 율리우스로 개명했고, 옥타비아누스는 섹스틸리스를 아우구스투스로 개명했다.
2. 1. 초기 로마력 (로물루스력)
초기 로마 달력은 일반적으로 관측 태음력으로 여겨지며, 그 달들은 삭으로 시작하고 끝났다.[9] 월주기가 약 29.5일이기 때문에, 이러한 달들은 29일 또는 30일로 다양했을 것이다.[9] 12개월은 태양년보다 10일 또는 11일 부족했을 것이며, 조정 없이는 그러한 해는 이슬람력처럼 계절과의 정렬이 빠르게 벗어났을 것이다.[9] 달력의 계절적 측면과 관련된 종교적 축제를 고려할 때, 이는 아마도 임의적인 단축 또는 간헐적인 삽입[9] 또는 겨울 동안 달력의 중단을 통해 피해졌을 것이다.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최초의 체계적인 연표를 보통 10개의 고정된 달로 이루어진 것으로 묘사했다.[11] 31일의 달은 4개(3월, 5월, 퀸틸리스(7월), 10월)였는데, 이를 "만월(full months)" (pleni menses|플레니 멘세스la)이라고 불렀고, 30일의 달은 6개(4월, 6월, 섹스틸리스(8월), 9월, 11월, 12월)였는데, 이를 "공월(hollow months)" (cavi menses|카비 멘세스la)이라고 불렀다.[8][9] 이 304일은 정확히 38개의 누문달 주기가 된다. 그러나 달의 주기를 맞추기 위해, 초승달을 첫 번째 달의 마지막 날이자 동시에 다음 달의 첫 번째 날로 계산했다.[9] 이 체계는 일반적으로 연말의 나머지 2~3개월을 농업 주기와 무관하기 때문에 체계화되지 않은 "겨울"로 남겨둔 것으로 여겨진다.[9]
후대의 로마 작가들은 이 달력을 보통 로물루스[10] (그들의 전설적인 초대 왕이자 문화 영웅)의 업적으로 돌렸다. 일부 학자들은 이 달력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는데, 이는 공화정 말기와 제국 시대의 자료에서만 확인되고 9월부터 12월까지의 달 이름의 잘못된 위치만으로 뒷받침되기 때문이다.[11]
기원전 753년(기원전 745년설도 있음), 최초의 로마력이 고대 로마에서 채택되었다. 이 역법은 로마 건국자로 여겨지는 왕 로물루스(Romulus)의 이름을 따서 '''로물루스력'''이라고 불린다. 로물루스력은 29일 또는 31일로 이루어진 달이 10개 있었고, 현재 3월에 해당하는 달부터 시작하여 12월로 끝났다. 1년의 길이는 304일이었고, 12월 30일과 3월 1일 사이에는 날짜가 없는 날이 약 61일간 이어졌다. 농업력이었기 때문에 농사일이 없는 계절에는 날짜가 필요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로마인들은 1년의 길이가 약 365일이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날짜가 없는 날은 정확히 61일이 아니었고, 봄이 다가오는 날 왕이 새해를 선포하는 형태를 취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No. | 라틴어 월명 | 읽기 | 일수 | 유래 | 현재 해당하는 달 |
---|---|---|---|---|---|
1 | Martius | 마르티우스 | 31일 | 군신 마르스(Mars)의 달 | 3월 |
2 | Aprīlis | 아프릴리스 | 30일 | 미의 여신 베누스(Venus)의 달, 아마도 그리스어 아프로디테(Aphrodite)를 기원으로 하는 에트루리아어 Apru에서 유래 | 4월 |
3 | Māius | 마이우스 | 31일 | 풍요의 여신 마이아(Maia)의 달 | 5월 |
4 | Jūnius | 유니우스 | 30일 | 결혼 생활을 수호하는 여신 유노(Juno)의 달 | 6월 |
5 | Quīntīlis | 퀸틸리스 | 31일 | quīntus(5번째 달) | 7월 |
6 | Sextīlis | 섹스틸리스 | 30일 | sextus(6번째 달) | 8월 |
7 | September[42] | 셉템버 | 30일 | septem(7의 달) | 9월 |
8 | Octōber[42] | 옥토버 | 31일 | octo(8의 달) | 10월 |
9 | November[42] | 노벰버 | 30일 | novem(9의 달) | 11월 |
10 | December[42] | 데셈버 | 30일 | decem(10의 달) | 12월 |
(달이 없음) | 약 61일 | colspan="2" | |
각 달의 명칭과 관련해서, 연초에 해당하는 Martius가 첫 번째 달이며, 네 번째 Junius까지는 신의 이름을 따랐다. 다섯 번째부터 열 번째에 해당하는 '''Quīntīlis'''부터 '''December'''까지의 달 이름은 라틴어 수사 5-10('''quīnque''', '''sex''', '''septem''', '''octō''', '''novem''', '''decem''')에서 유래하여, 5번째 달부터 10번째 달을 의미한다. 달의 순서와 달 이름 사이에 차이가 생긴 것은 후술하는 기원전 153년의 개정에 따른 것이다.
2. 2. 누마 폼필리우스의 개혁 (누마력)
기원전 8세기 말 ~ 기원전 7세기 초, 로마의 두 번째 왕 누마 폼필리우스는 1년을 12개의 태음월로 나누는 개혁을 시행했다.[9] 켄소리누스에 따르면, 기존 달력에 50일이 추가되었고, 30일이었던 달에서 하루씩을 제외하여 1월(야누아리우스)과 2월(페브루아리우스)을 만들었다. 이 두 달은 모두 28일이었다. 로마인들은 짝수를 불길하게 여겼기 때문에 1월에 하루를 더 추가하여 1년이 355일이 되도록 하였다. 3월(마르티우스), 5월(마이우스), 7월(퀸크틸리스), 10월(옥토버)은 31일을 유지했고, 다른 달들은 29일이었지만, 2월은 28일이었다.[9]355일의 태음력과 365.25일의 회귀년 사이에는 4년 동안 41일(10.25 × 4)의 차이가 발생했다.[9] 이를 보정하기 위해 4년 주기의 2년차에는 22일, 4년차에는 23일을 추가했다. 즉, 2월을 5일 단축하고 27일 또는 28일의 윤달을 2월 23일(일반적으로 터미날리아) 다음 날에 추가했다. 2월의 마지막 5일은 칼렌다이 이전 날짜로 계산되었기 때문에 보존되었다.[15]
로마인들의 이러한 달력 변화와 관련된 미신은 피타고라스파의 홀수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6]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누마는 12개월, 총 354일(태음력과 그리스 연도의 길이)의 달력을 만들고, 머세도니우스라고 불리는 2년마다 22일의 윤달을 사용하여 이전 달력의 혼란을 종식시켰다고 한다.[18][19]
순서 | 라틴어 월명 | 읽기 | 평년 일수 | 윤년 일수 | 유래 | 현재 월 (한국어) | 영어 월명 | 프랑스어 월명 |
---|---|---|---|---|---|---|---|---|
1 | Martiusla | 마르티우스 | 31일 | 전쟁의 신 마르스의 달 | 3월 | March | mars | |
2 | Aprīlisla | 아프릴리스 | 29일 | 미의 여신 베누스의 달 | 4월 | April | avril | |
3 | Māiusla | 마이우스 | 31일 | 풍요의 여신 마이아의 달 | 5월 | May | mai | |
4 | Jūniusla | 유니우스 | 29일 | 결혼의 여신 유노의 달 | 6월 | June | juin | |
5 | Quīntīlisla | 퀸틸리스 | 31일 | quīntus(다섯 번째 달) | 7월 | July | juillet | |
6 | Sextīlisla | 섹스틸리스 | 29일 | sextus(여섯 번째 달) | 8월 | August | août | |
7 | Septemberla | 셉템버 | 29일 | septem(일곱 번째 달) | 9월 | September | septembre | |
8 | Octōberla | 옥토버 | 31일 | octo(여덟 번째 달) | 10월 | October | octobre | |
9 | Novemberla | 노벰버 | 29일 | novem(아홉 번째 달) | 11월 | November | novembre | |
10 | Decemberla | 데셈버 | 29일 | decem(열 번째 달) | 12월 | December | décembre | |
11 | Ianuarius / Jānuāriusla | 야누아리우스 | 29일 | 시작과 끝의 신 야누스의 달 | 1월 | January | janvier | |
12 | Februāriusla | 페브루아리우스 | 28일 | 23일 | 정화의 신 페브루우스(Februs)의 달 | 2월 | February | février |
13 | Mercedinusla | 인테르칼라리스 | - | 27일 또는 28일 | merces(임금)에서 유래. 1년치 임금 지급 시기. | (윤2월) | ||
2. 3. 공화정 시대의 달력
기원전 509년부터 기원전 27년까지 존속한 로마 공화정 시대의 달력은 누마 왕이 제정했다고 알려진 누마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다. 누마력은 태음력을 기반으로 1년이 355일이었으며, 2년마다 윤달(메르체도니우스, Mercedonius)을 넣어 태양년과의 오차를 보정하려 했다.[9]
기원전 153년, 집정관의 임기 시작일이 3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되면서 새해의 시작도 1월 1일로 바뀌었다.[17] 이에 따라 달의 순서와 이름 사이에 차이가 발생했다.
영어 | 라틴어 | 의미 | 1년차 (평년) | 2년차 (윤년) | 3년차 (평년) | 4년차 (윤년) |
---|---|---|---|---|---|---|
1월 | 야누아리우스 | 야누스의 달 | 29 | 29 | 29 | 29 |
2월 | 페브루아리우스 | 페브루아의 달 | 28 | 23 | 28 | 23 |
윤달 | Intercalaris Mensis (머세도니우스) | 임금의 달 | 27 | 28 | ||
3월 | 마르티우스 | 마르스의 달 | 31 | 31 | 31 | 31 |
4월 | 아프릴리스 | 아프로디테의 달 – 에트루리아어 Apru에서 유래했을 수 있음 | 29 | 29 | 29 | 29 |
5월 | 마이우스 | 마이아의 달 | 31 | 31 | 31 | 31 |
6월 | 유니우스 | 유노의 달 | 29 | 29 | 29 | 29 |
7월 | 퀸틸리스 | 다섯 번째 달 (3월에 시작하는 이전 달력에서) | 31 | 31 | 31 | 31 |
8월 | 섹스틸리스 | 여섯 번째 달 | 29 | 29 | 29 | 29 |
9월 | 9월 | 일곱 번째 달 | 29 | 29 | 29 | 29 |
10월 | 10월 | 여덟 번째 달 | 31 | 31 | 31 | 31 |
11월 | 11월 | 아홉 번째 달 | 29 | 29 | 29 | 29 |
12월 | 12월 | 열 번째 달 | 29 | 29 | 29 | 29 |
전체 연도: | 355 | 377 | 355 | 378 |
윤달은 최고신기관이 결정하여 2년에 한 번씩 2월 23일 이후에 27일 또는 28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고신기관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윤달 삽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달력이 태양년과 일치하지 않는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2. 4. 율리우스력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승리 후 내전에서의 역할과 ''최고대제사''로서 기원전 46년에 달력 개혁을 명령했다.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소시게네스[42]를 포함한 학자 그룹과 로마인 M. 플라비우스에 의해 수행되었다.[46][47] 주요 내용은 달력 전체에 10일을 추가하고 4년마다 한 번씩 윤일을 정기적으로 삽입하여 로마 달력을 태양년과 거의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기원전 46년은 기존 시스템의 마지막 해였으며, 2월에 삽입된 첫 번째 윤달과 12월 카렌드 앞에 삽입된 두 개의 추가 윤달인 ''Intercalaris Prior|인테르칼라리스 프리오르la'' 및 ''Posterior|포스테리오르la''를 포함했다.카이사르 암살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탄생월인 퀸틸리스를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율리우스(''Iulius|이울리우스la'')로 개명했다. 안토니우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한 후, 옥타비아누스가 로마의 통치권을 장악하고, 사제들이 (포괄적인 계산으로 인해) 4년마다 윤년을 삽입하는 대신 3년마다 윤년을 삽입해 왔다는 것을 알게 되자, 달력의 올바른 위치가 복구될 때까지 10년에서 20년 동안 윤일 추가를 중단시켰다. 율리우스력: 윤년 오류 참조. 기원전 8년, 플레비시투스 ''Lex Pacuvia de Mense Augusto''는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섹스틸리스를 아우구스투스(''Augustus|아우구스투스la'')로 개명했다.
대체로 이 달력은 로마 제국 하에서 변경 없이 계속 사용되었다. (이집트인들은 로마와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의 떠돌이 고대 달력에서 옥타비아누스가 개조한 관련 알렉산드리아력을 사용했다.)
3. 달의 구성
기원전 753년(기원전 745년설도 있음)에 채택된 최초의 로마력은 로물루스의 이름을 딴 '''로물루스력'''이다. 29일 또는 31일로 이루어진 10개의 달로 구성되었으며, 1년은 304일이었다. 3월(Martius)부터 12월(December)까지였고, 나머지 약 61일간은 날짜가 없었다. 이는 농업 중심 사회였기 때문에 농한기에는 날짜가 불필요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No. | 라틴어 월명 | 읽기 | 일수 | 유래 | 현재 해당하는 달 |
---|---|---|---|---|---|
1 | Martius | 마르티우스 | 31일 | 군신 마르스(Mars)의 달 | 3월 |
2 | Aprīlis | 아프릴리스 | 30일 | 미의 여신 베누스(Venus)의 달 (그리스어 아프로디테(Aphrodite)에서 유래한 에트루리아어 Apru) | 4월 |
3 | Māius | 마이우스 | 31일 | 풍요의 여신 마이아(Maia)의 달 | 5월 |
4 | Jūnius | 유니우스 | 30일 | 결혼 생활을 수호하는 여신 유노(Juno)의 달 | 6월 |
5 | Quīntīlis | 퀸틸리스 | 31일 | quīntus(5번째 달) | 7월 |
6 | Sextīlis | 섹스틸리스 | 30일 | sextus(6번째 달) | 8월 |
7 | September[42] | 셉템버 | 30일 | septem(7의 달) | 9월 |
8 | Octōber[42] | 옥토버 | 31일 | octo(8의 달) | 10월 |
9 | November[42] | 노벰버 | 30일 | novem(9의 달) | 11월 |
10 | December[42] | 데셈버 | 30일 | decem(10의 달) | 12월 |
(달이 없음) | 약 61일 | colspan="2" | |
기원전 713년, 누마 폼필리우스는 1월(Iānuārius, 29일, 야누스(Janus)의 달)과 2월(Februārius, 28일, 정화의 달)을 추가한 '''누마력'''을 도입했다. 누마는 30일이었던 달을 모두 29일로 변경하고, 2년에 한 번씩 2월 23일 이후에 27일 또는 28일의 윤달인 메르케디누스(Mercedinus)를 삽입했다. 평년은 355일이었다.
No. | 라틴어 월명 | 읽기 | 평년 일수 | 윤년 일수 | 유래 | 현재 월 | ||
---|---|---|---|---|---|---|---|---|
1 | Martius | 마르티우스 | 31일 | 마르스(Mars) | 3월 | |||
2 | Aprīlis | 아프릴리스 | 29일 | 베누스(Venus) | 4월 | |||
3 | Māiusla | 마이우스 | 31일 | 마이아(Maia) | 5월 | |||
4 | Jūniusla | 유니우스 | 29일 | 유노(Juno) | 6월 | |||
5 | Quīntīlisla | 퀸틸리스 | 31일 | quīntus(5번째) | 7월 | |||
6 | Sextīlis | 섹스틸리스 | 29일 | sextus(6번째) | 8월 | |||
7 | September | 셉템버 | 29일 | septem(7) | 9월 | |||
8 | Octōber | 옥토버 | 31일 | octo(8) | 10월 | |||
9 | November | 노벰버 | 29일 | novem(9) | 11월 | |||
10 | December | 데셈버 | 29일 | decem(10) | 12월 | |||
11 | Ianuarius / Jānuārius | 야누아리우스 | 29일 | 야누스(Janus) | 1월 | |||
12 | Februārius | 페브루아리우스 | 28일 | 23일 | 정화(februum) | 2월 | ||
13 | Mercedinus | 인테르칼라리스 | - | 27일 또는 28일 | merces(임금) | (윤2월) | ||
이후 퀸틸리스(Quīntīlis)와 섹스틸리스(Sextīlis)는 각각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따 7월(Iulius)과 8월(Augustus)로 개명되었고, 윤달인 메르케디누스(Mercedinus)는 율리우스력에서 사라졌다.
3. 1. 달 이름의 유래
로마력의 달 이름은 대부분 로마 신화의 신, 숫자, 황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1월(Ianuarius): 문의 신 야누스(Janus)를 기념한다.[24]
- 2월(Februarius): 페브루아 축제 또는 그 명칭인 "februala"("정화, 속죄 제물")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34] 이 이름은 사비니어족 언어일 수도 있고, 황산을 의미하는 고대 단어를 보존하고 있을 수도 있다.[34]
- 3월(Martius): 군신 마르스(Mars)를 기념한다.[25]
- 4월(Aprilis): 에트루리아 여신 아프루 또는 동사 "aperirela"("열다")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5월(Maius): 풍요의 여신 마이아[35]를 기념하거나 "상급"을 의미하는 고대 용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 6월(Junius): 유노[36]를 기념하거나 "하급"을 의미하는 고대 용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 7월(Iulius): 율리우스 카이사르[26]를 기념한다.
- 8월(Augustus): 황제 아우구스투스[27]를 기념한다.
- 9월(September): 3월의 춘분을 기준으로 시작된 달력에서 5번째 달을 의미하며 어원은 숫자 7 (septem)이다.[30]
- 10월(October): 3월의 춘분을 기준으로 시작된 달력에서 8번째 달을 의미하며 어원은 숫자 8 (octo)이다.[31]
- 11월(November): 3월의 춘분을 기준으로 시작된 달력에서 9번째 달을 의미하며 어원은 숫자 9 (novem)이다.[32]
- 12월(December): 3월의 춘분을 기준으로 시작된 달력에서 10번째 달을 의미하며 어원은 숫자 10 (decem)이다.[33]
No. | 라틴어 월명 | 읽기 | 일수 | 유래 | 현재 해당하는 달 |
---|---|---|---|---|---|
1 | Martius | 마르티우스 | 31일 | 군신 마르스(Mars)의 달 | 3월 |
2 | Aprīlis | 아프릴리스 | 30일 | 미의 여신 베누스(Venus)의 달, 아마도 그리스어 아프로디테(Aphrodite)를 기원으로 하는 에트루리아어 Apru에서 유래 | 4월 |
3 | Māius | 마이우스 | 31일 | 풍요의 여신 마이아(Maia)의 달 | 5월 |
4 | Jūnius | 유니우스 | 30일 | 결혼 생활을 수호하는 여신 유노(Juno)의 달 | 6월 |
5 | Quīntīlis | 퀸틸리스 | 31일 | quīntus(5번째 달) | 7월 |
6 | Sextīlis | 섹스틸리스 | 30일 | sextus(6번째 달) | 8월 |
7 | September[42] | 셉템버 | 30일 | septem(7의 달) | 9월 |
8 | Octōber[42] | 옥토버 | 31일 | octo(8의 달) | 10월 |
9 | November[42] | 노벰버 | 30일 | novem(9의 달) | 11월 |
10 | December[42] | 데셈버 | 30일 | decem(10의 달) | 12월 |
3. 2. 날짜 표기법
로마력에서는 각 달의 특정한 날인 칼렌다이(Kalendae), 노나이(Nonae), 이두스(Idus)를 기준으로 날짜를 세었다.[21] 각 기준일은 다음과 같다.- '''칼렌다이''' (Kalendaela 또는 Kal.la): 매달 1일[21]
- '''노나이''' (Nonaela 또는 Non.la): "긴 달"[23]의 7일째, 짧은 달[21]의 5일째. 매달 이두스 8일 전(9일째)
- '''이두스''' (Idusla, Eid.la 또는 Id.la): "긴 달"[23]의 15일째, 짧은 달[21]의 13일째.
여기서 '긴 달'은 31일, '짧은 달'은 31일이 아닌 달을 의미한다.[23]
날짜는 기준일로부터 며칠 전(ante diemla)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역산하는 방식으로 표기했다.[22] 예를 들어 9월 2일은 '9월의 노나이 4일 전'(ante diem quārtum Nōnās Septembrēs/-īsla)과 같이 표현했다. 로마인들은 날짜를 셀 때 기준일도 포함하여 셌기 때문에,[23] 9월의 노나이는 9월 5일이므로 4일 전은 9월 2일이 된다.
기준일 전날은 pridiela라는 특별한 명칭으로 불렀다.[23] 예를 들어 9월 4일은 '9월의 노나이 전날'(prīdiē Nōnās Septembrēs/-īsla)이다.
9월의 날짜 표기 예시는 다음과 같다.
- 9월 1일: 9월의 칼렌다이(Kalendīs Septembribus)
- 9월 2일: 9월의 노나이 4일 전(ante diem quārtum Nōnās Septembrēs/-īsla)
- 9월 3일: 9월의 노나이 3일 전(ante diem tertium Nōnās Septembrēs/-īsla)
- 9월 4일: 9월의 노나이 전날(prīdiē Nōnās Septembrēs/-īsla)
- 9월 5일: 9월의 노나이(Nōnīs Septembribusla)
- 9월 6일: 9월의 이두스 8일 전(ante diem octāv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7일: 9월의 이두스 7일 전(ante diem septim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8일: 9월의 이두스 6일 전(ante diem sext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9일: 9월의 이두스 5일 전(ante diem quīnt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10일: 9월의 이두스 4일 전(ante diem quārt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11일: 9월의 이두스 3일 전(ante diem tertium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12일: 9월의 이두스 전날(prīdiē Īdūs Septembrēs/-īsla)
- 9월 13일: 9월의 이두스(Īdibus Septembribusla)
- 9월 14일: 10월의 칼렌다이 17일 전(ante diem duodēvīcēs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15일: 10월의 칼렌다이 16일 전(ante diem septimu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16일: 10월의 칼렌다이 15일 전(ante diem sextu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17일: 10월의 칼렌다이 14일 전(ante diem quīntu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18일: 10월의 칼렌다이 13일 전(ante diem quārtu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19일: 10월의 칼렌다이 12일 전(ante diem tertiu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0일: 10월의 칼렌다이 11일 전(ante diem duo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1일: 10월의 칼렌다이 10일 전(ante diem ūn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2일: 10월의 칼렌다이 9일 전(ante diem dec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3일: 10월의 칼렌다이 8일 전(ante diem nōn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4일: 10월의 칼렌다이 7일 전(ante diem octāv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5일: 10월의 칼렌다이 6일 전(ante diem septim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6일: 10월의 칼렌다이 5일 전(ante diem sext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7일: 10월의 칼렌다이 4일 전(ante diem quīnt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8일: 10월의 칼렌다이 3일 전(ante diem quārt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29일: 10월의 칼렌다이 2일 전(ante diem tertium Kalendās Octōbrēs/-īsla)
- 9월 30일: 10월의 칼렌다이 전날(prīdiē Kalendās Octōbrēs/-īsla)
- 10월 1일: 10월의 칼렌다이(Kalendīs Octōbribusla)
4. 요일
초기 로마력에는 요일 개념이 없었다. 그러나 누운디나에(Nundinae)라는 8일 주기의 시장일이 있었는데, 이는 일종의 주(週)와 같은 역할을 했다.[46] 로마인들은 포함적 계산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8일마다 열리는 시장일을 '9일째'라고 불렀다.
시간이 흐르면서 7일 주기의 요일제가 로마에 도입되었다. 이는 헬레니즘과 바빌로니아 점성술, 유대교의 안식일, 기독교의 주일 등 동방 종교의 영향 때문이었다.[46] 처음에는 개인적인 예배와 점성술에 사용되었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가 321년에 일요일을 공식 휴일로 지정하면서 누딘달 주간을 대체하게 되었다.
7일 주기의 요일 이름은 로마 신화의 신과 행성의 이름에서 유래했다.[47]
요일 | 라틴어 표기 | 읽기 | 유래 | 동일시되는 행성 |
---|---|---|---|---|
일요일 | Diēs Sōlis | 디에스 소리스 | 태양의 날 | 태양 |
월요일 | Diēs Lunae | 디에스 루나에 | 달의 날 | 달 |
화요일 | Diēs Martis | 디에스 마르티스 | 마르스의 날 | 화성 |
수요일 | Diēs Mercuriī | 디에스 메르쿠리이 | 메르쿠리우스의 날 | 수성 |
목요일 | Diēs Iovis | 디에스 이오비스 | 유피터의 날 | 목성 |
금요일 | Diēs Veneris | 디에스 베네리스 | 베누스의 날 | 금성 |
토요일 | Diēs Saturnī | 디에스 사투르니 | 사투르누스의 날 | 토성 |
5. 로마력과 한국의 역법
고대 한국의 역법은 농경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이는 로마력과 유사한 점이다. 그러나 한국의 역법은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아 로마력과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
6. 로마력과 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의 관계
로마력은 초기에는 태음력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잦은 윤달 삽입과 부정확성으로 인해 문제가 많았다. 특히, 최고신기관(Pontifex Maximus)이 윤달 삽입 시기를 결정하면서 정치적 의도에 따라 달력이 조작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6년에 율리우스력을 도입했다.
율리우스력은 이집트의 태양력을 참고하여 1년을 365.25일로 정하고,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윤년 규칙을 도입하여 태양년과의 오차를 줄였다. 율리우스력은 로마 제국 전역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서양 역법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율리우스력도 여전히 미세한 오차가 존재하여, 16세기에 이르러 그레고리력으로 개정되었다. 그레고리력은 윤년 규칙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하여 오차를 더욱 줄였으며,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준 역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분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그레고리력 |
---|---|---|---|
기준 | 태음태양력 (초기), 태양력 (후기) | 태양력 | 태양력 |
1년 길이 | 355일 (평년), 377일 또는 378일 (윤년) | 365.25일 | 365.2425일 |
윤년 규칙 | 최고신기관이 결정 (불규칙) | 4년마다 하루 추가 | 4년마다 하루 추가,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제외,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 |
도입 시기 | 기원전 8세기경 (추정) | 기원전 45년 | 1582년 |
문제점 | 잦은 윤달 삽입, 부정확성, 정치적 조작 | 미세한 오차 존재 | 없음 (오차 매우 적음) |
결론적으로, 로마력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의 기초가 되었으며, 서양 역법 체계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비록 로마력 자체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을 통해 개선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7. 율리우스력 이후
카이사르 암살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탄생월인 퀸틸리스를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율리우스(`Iuliusla`)로 개명했다.[20] 안토니우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한 후, 옥타비아누스는 로마의 통치권을 장악하고, 사제들이 (포괄적인 계산으로 인해) 4년마다 윤년을 삽입하는 대신 3년마다 윤년을 삽입해 왔다는 것을 알게 되자, 달력의 올바른 위치가 복구될 때까지 10년에서 20년 동안 윤일 추가를 중단시켰다. (율리우스력: 윤년 오류 참조) 기원전 8년, 플레비시투스 ''Lex Pacuvia de Mense Augusto''는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섹스틸리스를 아우구스투스(`Augustusla`)로 개명했다.
대체로 이 달력은 로마 제국 하에서 변경 없이 계속 사용되었다. 이집트인들은 로마와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의 떠돌이 고대 달력에서 옥타비아누스가 개조한 관련 알렉산드리아력을 사용했다. 일부 황제들은 자신이나 가족의 이름을 따서 월의 이름을 변경했지만, 그러한 변경은 후계자들에 의해 폐기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서기 297년 인구 조사부터 시작되는 15년 주기의 인디크티오를 시작했는데, 이것은 유스티니아누스 치하에서 공식적인 연대 표기의 필수 형식이 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321년에 일요일을 공식 휴일로 지정하여 7일 주를 공식적으로 확립했다. 서기 541년에 비황실 집정관 임명이 중단됨에 따라 집정관 연대 표기는 쓸모없게 되었다. 로마식 날짜 표기법은 헬레니즘화된 동부 지역에서는 널리 퍼지지 않았고, 결국 비잔티움 제국이 그들의 달력에서 폐기했다.
6세기,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를 기준으로 한 기존의 연표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기원후(A.D.) 1년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년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또한, 디오니시우스의 계산은 잘못되어 오늘날에는 그리스도의 탄생이 기원전 6년에서 기원전 4년 사이로 여겨진다. 기원전을 나타내는 B.C. 기호는 17세기가 되어서야 사용되기 시작했다.
종교적인 배려로 A.D.를 C.E.(Common Era, Christian Era), B.C.를 B.C.E.(Before C.E.)로 쓰는 경우도 있다. C.E. 1년은 서기 1년과 동일하고, B.C.E. 1년은 기원전 1년과 동일하다.(참고로, 0년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동로마 제국에서는 6세기까지 집정관을 기준으로 연대를 기록했지만, 541년에는 집정관 제도가 폐지되었다. 이 때문에 앞서 언급된 인디크티오를 사용하게 되었지만, 인디크티오는 15년 주기이기 때문에 단순히 "제3 인디크티오"라고 해도 여러 개가 존재하여 장기간 효력을 갖는 법률이나 칙령, 행정 문서 등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결국 황제의 재위 연수로 세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것 또한 정착되지 못하고, 10세기 레온 6세 시대가 되자 세계 창조 기원(5509 BC에 해당하는 해를 신이 천지를 창조한 해로 하고 이를 원년으로 하는 연호)이 채택되어 인디크티오와 함께 사용되었다. 세계 창조 기원은 러시아 등 정교회 국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Natal Day
https://elfinspell.c[...]
[2]
서적
On Agriculture
[3]
서적
Farming
[4]
서적
Georgics
[5]
서적
On Farming
[6]
서적
Natural History
[7]
서적
On Farming
[8]
서적
[9]
서적
https://archive.org/[...]
[10]
서적
The Natal Day
https://elfinspell.c[...]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April
http://www.dictionar[...]
Randomhouse Inc.
2018-01-09
[13]
웹사이트
May
http://www.dictionar[...]
Randomhouse Inc.
2018-01-09
[14]
서적
Life of Numa
[15]
서적
https://books.google[...]
[16]
서적
https://archive.org/[...]
[17]
웹사이트
Livy 47.13 and 47.14
https://www.livius.o[...]
[18]
서적
Life of Numa
[19]
서적
https://penelope.uch[...]
[20]
서적
https://books.google[...]
[21]
서적
https://books.google[...]
[22]
서적
https://books.google[...]
[23]
서적
https://books.google[...]
[24]
간행물
OED
[25]
간행물
OED
[26]
간행물
OED
[27]
간행물
OED
[28]
간행물
OED
[29]
간행물
OED
[30]
간행물
OED
[31]
간행물
OED
[32]
간행물
OED
[33]
간행물
OED
[34]
간행물
OED
[35]
간행물
OED
[36]
간행물
OED
[37]
기타
[38]
서적
The Natal Day
http://elfinspell.co[...]
New York
1900
[39]
서적
On the Latin language
https://ryanfb.githu[...]
London
1938
[40]
기타
[41]
서적
https://books.google[...]
2003
[42]
기타
[43]
기타
[44]
기타
[45]
기타
[46]
웹사이트
暦Wiki/要素/1週間とは? - 国立天文台暦計算室
https://eco.mtk.nao.[...]
2023-05-16
[4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