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비행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비행장은 한국 전쟁 중 대전 지역에서 주요하게 사용된 비행장으로, 1950년 7월 미군의 초기 전방 항공 통제 임무 수행 장소였다. 7월 중순, 금강 방어선이 붕괴된 후 미군은 대전 비행장을 방어했으나, 북한군의 공격으로 점령당했다. 이후 인천 상륙 작전 이후 UN군의 반격으로 1950년 9월 28일 탈환되었다. 1980년대 대전시에 흡수되어 현재는 상업 및 주거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여의도공항
    여의도공항은 1916년 일제에 의해 건설된 한국 최초의 비행장이자 군사 훈련장으로, 만주 침략의 교두보 역할과 국내외 항공편 운항 기지로 사용되었으나, 홍수와 김포국제공항 건설로 폐쇄되어 현재는 여의도공원의 일부인 5·16광장으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울산비행장
    울산비행장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에 개항한 경상남도 최초의 비행장으로, 일본이 대륙 진출을 위한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건설하여 초기에는 일본항공수송의 도쿄-다롄 노선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으나, 시설 노후화와 대구비행장 개설 등으로 기능이 축소되어 1980년대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주택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대전광역시 - 토지주택연구원
    토지주택연구원은 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연구 기관이며, 주택문제연구소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위치하며 토지주택대학을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 대전광역시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은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연구를 목표로 2011년 설립되었으며,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단을 운영하고 노벨상 수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대전비행장
비행장 정보
이름대전비행장 (K-5 공군 기지)
종류군용 비행장
위치대전광역시 인근
좌표36°21′28.8″N 127°23′42″E
건설 시기1940년대
건설 주체불명
사용 시기1940년대-1980년대
폐쇄 여부폐쇄됨
소유불명
관리미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
주둔 부대불명
지휘관불명
점유 부대불명
전투대전 전투
사건불명

2. 한국 전쟁

1950년 7월 9일, 제임스 A. 브라이언트와 프랭크 G. 미첼 중위는 대전(태전)에서 한국 전쟁 최초의 FAC 임무를 수행했으나, 무전기 문제로 대구로 이동했다.[2]

오산 전투, 평택 전투, 천안 전투에서 패배한 미군 제24 보병사단은 금강 방어선이 조선인민군(KPA)에 돌파되자 대전(태전)으로 후퇴했다.[3] 1950년 7월 18일, 제8군 사령관 월턴 워커 중장윌리엄 딘 소장에게 대전 사수를 지시했다.[4] 다음날 KPA는 조선인민군 공군(KPAF) Yak-9 전투기 6대 등의 지원을 받으며 대전 외곽을 공격, 7월 19일/20일 밤 대전 시와 비행장을 점령했다. 1950년 7월 20일 오후, 제24 보병사단 잔여 병력은 옥천영동으로 철수했다.[4]

이후 UN군은 제공권을 확보, KPAF는 대전 비행장을 제한적으로만 사용했다. 대전 비행장은 인천 상륙 작전 이후 UN군의 부산 교두보 돌파 작전 중 1950년 9월 28일 제24 보병사단에 의해 탈환되었다.[5][6]

2. 1. 초기 항공 통제 임무 (1950년 7월)

1950년 7월 9일, 제임스 A. 브라이언트와 프랭크 G. 미첼 중위는 한국 전쟁 최초로 대전에서 FAC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은 VHF 무선 장치가 장착된 L-5G 센티넬 두 대를 타고 대전에 도착했지만, 무전기를 작동시킬 수 없었다. 24 보병사단의 L-17s 두 대를 빌린 이 중위들은 진격하는 조선인민군(KPA) 부대에 대해 약 10번의 F-80s 출격을 요청했다.[2] L-17s는 곧 AN/ARC-3 무선 세트가 장착된 T-6s로 교체되었으며, 며칠 동안 그 가치를 입증한 후 대구로 작전을 옮겼다.[2]

2. 2. 대전 전투 (1950년 7월)

1950년 7월 태전 비행장에서의 워커 중장과 딘 소장


오산, 평택, 천안에서 패배한 후, 미군 제24 보병사단은 태전(현재의 대전) 북쪽 금강에 방어선을 구축했다.[3] 1950년 7월 14일, 조선인민군(KPA)은 금강 방어선을 공격했고, 7월 16일까지 미군 방어선을 돌파하여, 잔여 미군 부대는 태전으로 후퇴했다.[3]

1950년 7월 18일, 제8군 사령관 중장 월턴 워커는 태전에 도착하여 제24 사단장 소장 윌리엄 딘에게 제1 기병사단이 포항에서 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 태전을 사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4]

7월 19일, KPA는 비행장을 포함한 태전 외곽을 공격했으며, 이 공격은 6대의 조선인민군 공군(KPAF) Yak-9 전투기와 강력한 포병 지원을 받았다.[4] 비행장은 혼성 대대로 통합된 사단 포병대와 34 보병연대 제3대대가 방어했다.[3] 혼성 대대는 태전 시 남쪽으로, 34 보병연대 제3대대는 시 북쪽으로 철수했다.[4] 7월 19일/20일 밤, 전차 지원을 받은 KPA 부대가 태전 시를 포위하고 비행장을 점령한 후 이른 아침부터 시내 중심부를 공격하기 시작했으며, 제24 보병사단의 잔여 병력은 7월 20일 오후 옥천영동으로 철수했다.[4]

2. 3. 대전 비행장 탈환 (1950년 9월)

인천 상륙 작전 이후, 유엔군이 부산 교두보에서 돌파 작전을 펼치던 중, 1950년 9월 28일 미군 제24 보병사단이 대전을 탈환하였다.[5][6] 이 작전의 성공은 한국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한국 전쟁 이후

대전 전투 기념비


1980년대에 대전비행장은 대전시에 흡수되었고, 현재는 상업 및 주거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3. 1. 대전시 편입 및 개발

1980년대에 대전비행장은 대전시에 흡수되었고, 현재는 상업 및 주거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대전 전투 기념비가 있는 보라매공원은 과거 대전비행장이 있던 곳이다. 이러한 변화는 군사 시설이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으로, 대전 지역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1]

3. 2. 대전 전투 기념



대전 비행장은 1980년대에 대전시에 흡수되었고, 현재는 상업 및 주거 지역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 서적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 Museums Program
[3] 서적 KIMH
[4] 서적 KIMH
[5]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6] 서적 KIM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