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F. 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F. 딘은 1899년 일리노이주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위를 받은 후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대장으로 참전, 이후 제44보병사단장을 거쳐 소장으로 진급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24보병사단장으로 대전 전투에 참여했으나,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다. 1953년 포로에서 석방된 후 육군 중장으로 예편했으며, 1981년 사망했다. 그는 한국 전쟁에서 보여준 용맹함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군정청 군정장관 - 존 R. 하지
존 R. 하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1945년 인천에 상륙하여 일본 총독부의 항복을 받고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군정청 사령관을 겸임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남한을 통치했으며, 195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 사망했다. - 미군정청 군정장관 -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는 미국의 군인으로, 웨스트포인트 졸업 후 제1, 7보병사단에서 복무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고, 전쟁 후에는 한국 주둔 미 군정 장관을 역임했으며, 퇴역 후에는 사업 및 자선 활동에 참여했고, 육군 공로 훈장, 청동 참나무 잎 훈장, 은성 훈장, 공로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 태극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김영옥 (군인)
김영옥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운 미국 육군 대령으로, 전역 후에는 소수 민족 권익 보호와 전쟁 피해자 지원 등 사회 사업가로서 헌신했다. - 태극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매슈 리지웨이
매슈 리지웨이는 한국 전쟁에서 미 8군 및 유엔군 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NATO 최고 연합군 사령관 및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한 미국의 5성 장군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마거리트 히긴스
마거리트 히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분쟁 지역을 취재하고 한국 전쟁 보도로 여성 최초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종군 기자이자 작가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 최고 사령관을 지낸 5성 장군이자, 1950년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한국 전쟁 종식, 냉전 시대 핵 억제 정책 추진, 사회보장제도 강화,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건설, 아이젠하워 독트린 발표, 리틀록 고등학교 사건 개입 등 국내외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F. 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윌리엄 프리시 딘 |
출생일 | 1899년 8월 1일 |
사망일 | 1981년 8월 24일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칼라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매장지 | 샌프란시스코 국립묘지 |
![]() | |
군사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21년 ~ 1955년 |
최종 계급 | 미국 육군 소장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제주 봉기 한국 전쟁 대전 전투 |
지휘 | |
지휘 부대 | 제44보병사단 제7보병사단 제24보병사단 |
훈장 및 표창 | |
훈장 | 명예 훈장 수훈 십자장 수훈 복무 훈장 훈공장 동성 훈장 태극무공훈장 |
기타 | |
포로 여부 | 포로 |
학력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육군보병학교 |
군정 | 미군정청 군정장관 |
2. 출생과 성장
윌리엄 F. 딘은 1899년 8월 1일 일리노이주 칼라일에서 태어났다.[8] 아버지는 치과의사인 찰스 와츠 딘이고, 어머니는 독일계 미국인인 엘리자베스 프리시 딘이다.[2] 딘에게는 데이비드라는 형제와 엘리자베스라는 자매가 있었다.[1]
딘은 연대장으로 활약했으며, 특히 "전투에서 가장 치욕스러운 것은 적에게 포로로 잡히는 것이다."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포로를 최소화하는 전술을 활용했다. 실제로 그의 부대는 포로가 적기로 유명했다.[8]
1941년 태평양 전쟁 당시 윌리엄 F. 딘은 극동군에 배속되어 활동하였다. 1945년 9월 미군이 남한에 주둔하자 군정청에 파견되었고, 2대 군정 장관 러치가 갑자기 병사하면서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딘은 어릴 때부터 군인이 되고 싶어 했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 만국박람회에서 미국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군사 훈련을 본 후 군인의 꿈을 키웠다.[2] 체력 단련에도 관심이 많아 역도와 달리기를 꾸준히 했다.[2] 첫 직업은 잡지 판매였고,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의 주요 신문 배달원으로 일하며 용돈을 벌었다.[2]
고등학교 졸업 후 딘은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지원했지만 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에 입대하려 했으나, 나이가 어려 부모님의 허락을 받지 못했다. 대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진학하여 법학 예비 과정을 공부했다.[1] 대학 시절에는 샌프란시스코 부두의 항만 노동자, 기관사, 버클리 경찰서 순찰 경찰관 등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했다.[1]
딘은 법학 박사 학위를 받으려 했지만, 192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후 육군에 입대했다.[1] ROTC 출신인 딘은 1921년 캘리포니아 주방위군에서 소위로 임관되었고,[8] 1923년에는 미국 육군 현역 보병 중위로 임관하였다.[8]
3. 제2차 세계대전
1944년 9월 15일, 제44보병사단은 오마하 해변을 통해 프랑스에 상륙했다.[6] 1개월간 훈련 후, 10월 18일 루네빌 동쪽 파르와 숲 부근에서 미 제79보병사단을 교대하며 전투에 참여, 보주 산맥의 여러 고개 확보 작전에 투입되었다. 10월 25~26일 나치 독일군의 강력한 반격을 격퇴했고, 11월 13일 북동쪽으로 공격을 개시하여 랭트레 동쪽 보주 산맥을 거쳐 도센하임으로 진격, 11월 17일 아브리쿠르를 점령했다. 이후 프랑스 제2기갑사단과 함께 스트라스부르 해방 작전에 참여했다. 재편성 후 제44보병사단은 다시 공격을 개시하여 랏츠빌러를 점령하고 마지노선을 따라 비슈에 진입했다.[7]
1944년 12월, 사단장 로버트 L. 스프래긴스 소장이 부상으로 지휘권을 물러나자 딘이 사단장으로 승진했다.[6] 같은 달, 사단은 알자스에서 독일군의 노르트벤트 작전에 휘말렸다. 12월 19일, 독일군이 짐제르호프 요새를 점령하자 제44보병사단은 사르게밍 동쪽 방어진지로 후퇴했다. 12월 21~23일, 제44사단은 독일군의 블리스 강 도하 시도 3차례를 격퇴했다. 1945년 2월과 3월 대부분 동안 사르게밍 지역의 적극적인 방어가 계속되었고, 이 기간 딘은 소장으로 승진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 딘은 수훈 십자훈장, 공로훈장, 육군 수훈장을 받았다.[89]
4. 군정기
1947년 10월, 딘은 존 R. 호지 중장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미군정이 종료될 때까지 한국의 정치적 통제를 맡았다.
딘은 미군정청(USAMGIK)의 역할을 통해 1948년 4.3 사건 진압을 감독했다. 대한민국 노동당과 그 지지자들의 경찰 공격으로 시작된 반란에 대해, 딘은 평화 협정을 거부하고 강경 진압을 명령했다. 1949년 3월, 대한민국 제1공화국은 제주도 농촌 지역에서 반군에 대한 "토벌 작전"을 펼쳐 두 달 만에 진압했으며, 이 과정에서 최소 14,373명의 민간인을 포함, 총 3만 명이 사망했다.[16]
딘과 4.3 사건 진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4.3 사건 진압회의 관련 해프닝 === 섹션을 참조.
4. 1. 4.3 사건 진압회의 관련 해프닝
1948년 5월 5일, 4.3 사건 해결을 위해 미군정청 군정장관 겸 주한미군 부사령관 윌리엄 F. 딘 장군, 민정장관 안재홍, 경비대 총사령관 송호성 준장, 경무부장 조병옥, 제주도 군정장관 맨스필드 대령 등이 제주도에 도착했다. 이날 제주중학교 미군정청 회의실에서 열린 회의에서 경무부장 조병옥과 제9연대장 김익렬 사이에 난투극이 벌어졌다.
조병옥은 김익렬을 공산주의자로 몰아세웠고, 이에 격분한 김익렬은 조병옥에게 달려들어 폭력을 행사했다. 유도 3단이었던 김익렬은 주먹으로 조병옥의 복부를 치고 멱살을 잡아 내동댕이치려 했으나, 조병옥은 강하게 저항했다. 김익렬이 조병옥의 넥타이를 잡아당기자 조병옥은 숨을 못 쉬고 비명을 질렀고, 이를 말리려던 최천 제주경찰청장도 김익렬의 발길질에 급소를 맞고 쓰러졌다.
딘 장군은 송호성에게 싸움을 말리라고 고함쳤고, 맨스필드 대령과 안재홍이 달라붙어 김익렬과 조병옥을 떼어놓으려 했으나, 김익렬은 계속해서 조병옥에게 욕설을 퍼부으며 "취소하지 않으면 죽여버리겠다"고 위협했다. 송호성은 앉은 채로 김익렬에게 폭행을 멈추라고 소리쳤고, 안재홍도 "외국 사람들이 우리를 야만인이라고 흉본다"며 제지했다.
회의장은 순식간에 난장판이 되었고, 딘 장군은 통역관 김모 씨에게 안재홍과 송호성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물었다. 그러나 통역관은 딘 장군에게 안재홍과 송호성이 김익렬에게 "너는 공산주의자이며 나쁜 놈"이라고 욕하고 있다고 오역했다. 이성을 잃은 김익렬은 통역관에게 달려가 발길질로 음낭을 걷어찼다.
놀란 딘 장군은 회의실을 빠져나갔고, 대기 중이던 미군 헌병을 불러 장내 질서를 정리하도록 명령했다. 헌병들은 김익렬의 팔을 붙잡아 조병옥에게서 떼어놓고 의자에 앉힌 뒤 결박했다. 결국 진압 회의는 결말을 보지 못한 채 종결되었다.[7]
5. 한국 전쟁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에 주둔 중이던 미 제24보병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은 사단을 이끌고 한국에 급파되어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다.[18] 딘 소장은 미 제21보병연대의 일부로 스미스 특수 임무부대를 편성하여 선발대로 한국에 투입했으나, 오산 전투에서 패배했다.[19][22]
이후 딘 소장은 미 제34보병연대 등에게 지연 작전을 명령했지만, 평택 전투와 천안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했다.[24][25] 딘 소장은 제34보병연대의 부진한 성과에 분노하여 연대장을 교체하기도 했다.[27][28] 조치원 전투에서도 패배한 후, 딘 소장은 대전 전투에서 직접 바주카를 들고 북한군 전차를 격파하는 등 분전했다.
하지만, 제24보병사단은 궤멸되었고, 딘 소장은 1950년 8월 25일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다.[89] 그는 1953년 9월 4일 석방될 때까지 북한에 억류되었다.[89] 딘 소장은 포로로 잡힌 동안 인천 상륙 작전 계획을 알고 있었기에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고문은 당하지 않았고 72시간에 걸친 심문을 받았다.[89]
1951년 1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대전 전투에서 딘 소장의 분전을 기려 그의 가족에게 명예 훈장을 수여했다.[89]
5. 1. 대전 전투
한국 전쟁 초기 대전 전투에서 딘 장군은 미8군 제24보병사단을 지휘하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그는 전차 특공조를 직접 이끌고, 사단장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차 화기를 직접 사용하여 T-34-85 전차를 파괴하는 등 최전선에서 분투했다.[52]7월 20일, 딘 소장은 대전에서 철수를 결정하고 부관과 함께 지휘소를 출발했다. 그러나 세천터널 부근에서 매복 중이던 북한군의 기습을 받아 차량과 장비를 버리고 흩어져야 했다. 이 과정에서 딘 소장은 부상병에게 물을 떠다 주려다 낭떠러지에 떨어져 실종되었다.[58]
이후 딘 소장은 제24보병사단 19연대 소속 스탠리 테이버 소위를 만나 함께 이동했으나, 주민의 밀고로 북한군에게 발각될 위기에 처했다. 테이버 소위의 도움으로 탈출에는 성공했지만, 결국 헤어지게 되었다. 테이버 소위는 북한군에게 포로로 잡혀 포로수용소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은성훈장이 추서되었다.[91]
딘 소장은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에서 농부 박종구의 집에 며칠간 머물며 도움을 받았고,[92] 1963년 딘 소장의 아들은 박종구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93][94] 그러나 딘 소장은 결국 8월 25일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주민 한두규와 최종봉의 밀고로 북한군에게 생포되었다.[95][96]
딘 소장은 자신을 밀고한 두 한국인에게 관대한 처벌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이승만 대통령에게 보내는 관용을 보였다.[95][96] 한두규와 최종봉은 5년형을 선고받았고,[97] 한두규는 1957년 전향 후 석방되었다.
딘 소장이 실종된 동안, 미군은 그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7월 22일 존 H. 처치를 제24보병사단장에 임명했다.[61]
5. 1. 1. 딘 소장 구출 작전 (보급품 후송 작전) 논란
1950년 7월 19일, 김재현 기관사 등 한국인 철도공무원들이 미군 결사대와 함께 딘 소장을 구출하기 위한 작전을 실행했다는 주장이 오랫동안 정설처럼 알려졌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109] 실제로는 대전역에 적재된 탄약 등 보급품을 후송하는 작전이었으며, 미군 측 기록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연구 결과에서도 이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109]한국철도공사는 철도청 시절부터 이 '딘 소장 구출 작전'을 호국철도의 상징으로 주도적으로 홍보해왔다. 이 이야기는 전쟁 영화의 시나리오처럼 화제성이 높아 오랫동안 국가보훈부 등 정부기관과 언론사 등에 의해 '세계 전쟁사에서도 유례를 찾기 힘든 구출 작전'[108] 등으로 확대·재생산되며 정설처럼 굳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기관차의 대전 진입 시점, 미 제24보병사단의 대전 철수 시점, 딘 소장의 실종 시점 등 대전 전투의 사건 발생별 시간 순서 비교와 미군 결사대원들의 소속 및 신원 파악 등 기본적인 팩트체크 및 교차검증은 생략되었다.
하지만 '딘 소장 구출 작전'은 사실이 아니며, 역사적 사실은 대전역 안의 화차 10량에 적재되어 있던 탄약 등 보급품의 후방 이송 작전이었다.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의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와 딘 장군 회고록 등의 과거 자료부터 현재 기밀해제되어 발굴된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 등 최신 자료까지 모든 미군 측 대전 전투 공식 전사(戰史) 및 기록에서 '보급품 후송 작전'으로 일관되게 기술하고 있다.
이 보급품 후송 작전은 도쿄 미 극동사령부의 7월 21일자(일본 시각) 전황 브리핑에서도 언급되었으며, AP통신을 통해 전 세계로 타전되어 'Journal-Every Evening', 'Spokane Daily Chronicle' 등 수많은 미국 신문에 7월 20일자(미국 시각)로 보도되었다.
- ''''Journal-Every Evening' 1950년 7월 20일자 기사 원문 발췌'''
'''"A locomotive crew trying to take a late haul of supplies from Taejon was ambushed en route to the station."'''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의 대전 전투 연구 항목에서 생존 기관사들의 증언과 미국 측 자료를 통해 작전 목적을 비교 분석한 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생존 철도공무원들의 증언에서 모두 이 열차작전의 목적이 딘 소장의 구출에 있다고 하였지만,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라고 결론 내렸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가 2008년에 발간한 6.25 전쟁 공식 전사(戰史)에서는 '대전역 보급품 후송 실패'라는 제목의 단락으로 기술하고 각주를 통해 '딘 소장 구출 작전'이 아닌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음을 다시 한번 명확히 기술하였다.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제4권 금강-소맥산맥선 지연작전' 각주 발췌 (p. 217)''''
'''"전사편찬위원회,『한국전쟁사 제2권』, p. 524, p. 536. 7월 20일 오후에 대전역에 열차가 돌입하였다가 다시 돌아 간 상황에 대한 기록과 증언들에 차이가 있으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열차회송 작전」의 목적이 딘 소장의 구출에 있었던 것은 아니고, 대전역의 보급품을 적재한 화차를 구출하기 위한 작전이었다.
국방부 소속 전쟁기념관에서는 2020년에 발간했던 학예지에서 기밀해제 된 미 제24보병사단 정보참모부(G-2) 보고서를 국내 최초로 입수하여 철도공무원들이 수행한 작전이 '딘 소장 구출 작전'이 아닌 '보급품 후송 작전'이었음을 이론의 여지없이 입증하여 기술하였고, 작전 목적의 오해에 대해 각주를 통해 한번 더 자세히 설명하였다.[109]
- '''국방부 전쟁기념관 '호국인물총서 (1): 6·25전쟁 개전의 순간' 각주 발췌 (p. 120)''''
'''"당시 김재현 기관사의 기관차에 부여된 임무를 두고 거듭되는 오해를 별기한다. 당시 승무원인 현재영·황남호의 수기 증언을 비롯해 국내의 각종 문헌과 현양 행사에서는 당시의 철도 수송 임무를 ‘딘 소장 구출 작전’으로 묘사해 왔다. 그러나 대전 철수작전 당시 작성된 미 제24사단 정보처 보고서와 미 육군, 국방부 군사편찬위원회에서 각각 발행된 공간사, 딘 소장의 회고록 등에 따르면 이들의 임무는 대전역에 적재된 보급품을 영동역으로 철수시키는 것으로 딘 소장의 구조와는 무관한 임무였다.[24th Infantry Division G-2 Journal, Vol. 8, For the Period 191700K July to 221550K July 50 ; Appleman, Roy E., South to the Nakdong, North to the Yalu ,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1992), 169쪽; Dean,William F. and Worden, William L., General Dean’s Story , the Viking Press(1954), 37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4: 금강-소백산맥선 지연작전』, 2008, 161∼162쪽]"'''
딘 소장은 7월 20일 16시경 대전역에 있던 탄약 등 보급품이 적재된 화차 10량의 후방 이송 명령을 영동에 위치한 사단 지휘소에 하달하였다. 이 명령에 따라 김재현 기관사와 황남호 본무기관조사, 현재영 보조기관조사가 운전을 맡고, 30명의 미군 특공대원이 아닌 6명의 미 제24보병사단 병참부대 소속 미군 6명이 호송병으로 탑승한 채 7월 20일 16시 20~30분경 기관차가 이원역을 출발하여 대전역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대전역 도착 전 북한군에 공격을 받아 손상된 탄수차로 인해 화차 10량을 견인할 수 있는 동력이 부족하여 보급품 후송 작전에 실패하고 복귀하는 도중 김재현 기관사가 순직하고 현재영 보조기관조사가 부상을 당하였다. 결국 후송에 실패한 대전역의 보급품 적재 화차들은 7월 21일 08시에 미 공군이 폭격으로 파괴하여 북한군에게 노획되는 것을 막았다.
5. 2. 포로 생활
딘 소장을 포로로 잡은 조선인민군은 그가 처음에 장군인 것을 알지 못하였고, 딘 소장은 맥아더의 인천 상륙 작전 계획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고문으로 정보를 누설할 것을 우려하여 자살을 시도하였으나 미수로 그쳤다.[8] 이 과정에서 계급이 밝혀졌지만, 인민군은 그로부터 첩보를 얻을 수 없었다. 한국 전쟁을 통틀어 포로로 잡힌 장성급 장교는 딘 소장이 유일했다.
그가 미군정의 군정장관 딘 소장인 것은 안재홍의 증언에 의해 확인되었다.[98] 평양에서 딘 소장의 통역을 맡았던 이규현에 의하면 딘 소장은 정치보위부장 방학세에게도 심문을 받았다고 한다.[99]
한편 미군에서는 실종 중 전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가 1950년 10월 북진 중 평양 부근에서 딘 소장 심문 시 통역을 맡았던 북한군 징집병 이규현이 귀순하여 진술함으로써 미군에서도 이때 딘 소장이 생존하여 북한군에 포로가 된 것을 인지하였다고 한다.[100][101]
그러나 미군에서는 이규현의 진술에도 불구하고 딘이 전사하였을 것으로 보고 1951년 1월 9일에 명예훈장(Medal of Honor) 수여식을 거행하였다.[102] (훈장 관련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날짜는 1951년 2월 16일).[103]
그 후 생사여부를 계속 조사 중 1951년 12월 21일 북한군이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공산계 언론사 종군기자 월프레드 G. 버체트(Wilfred Graham Burchett)를 초청해서 인터뷰를 시켰고, 1951년 12월 24일 딘 소장의 사진과 함께 전 세계로 기사가 배포되면서 포로 상태인 딘 소장의 상황이 명확하게 알려지게 되었다.
딘 소장이 포로로 생활하는 동안 6.25 전쟁 직전 키 약 1.83m, 몸무게 약 95.25kg였던 딘 소장은 포로 생활을 마치고 귀환할 당시 키 약 1.83m, 몸무게 약 58.97kg까지 줄어들었다.
딘은 인근 경찰서로 압송되어 하룻밤 감옥에 갇혔다. 북한군은 처음에 그의 신분을 알지 못했다.[62] 수원의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어 음식과 의료 치료를 받았지만, 이후 설사와 이질을 앓기 시작했다. 그 후 딘은 다른 미군 포로들과 함께 서울에 있는 주요 북한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었다. 그는 자신의 신분을 비밀로 유지하려고 했지만, 전쟁 전 그 밑에서 일했던 한국 관리에게 곧 알아채였다. 딘은 평양으로 이송되어 지하 북한 시설 내 더 넓은 거처를 제공받았다. 그는 조악한 음식으로 인해 계속해서 병을 앓았다.[84]
유엔의 북한 공습이 강화됨에 따라 딘은 평양 북쪽의 순안으로 이송되어 여러 명의 경비병과 함께 오두막에서 생활했다. 그들은 매일 심문을 시작했는데, 주된 목적은 그에게서 군사 정보를 강제로 얻어내거나 유엔의 한국 개입을 비난하는 서면을 작성하게 만드는 것이었지만, 딘은 단호하게 거부했다. 북한 고위 군부 지도자들은 1950년 10월까지 이러한 심문을 계속했지만, 결국 딘이 협조하지 않고 그들의 위협에 굴하지 않자 포기했다.[13] 딘은 열악한 음식으로 인한 질병을 계속 앓았지만, 통역관을 따로 제공받지 못했고 1950년 10월 이후에는 심문을 받지 않았다. 북한 지도자들은 딘이 협조하지 않으면 해칠 것이라고 위협했지만, 그는 실제로 고문을 당하지는 않았다.[84] 딘은 경비병들과 자주 체스를 두었고 매일 운동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혼자 지냈고, 감금 기간 동안 다른 미군 포로들과 함께 있지 않았다.[83] 딘은 나중에 1954년 자서전인 ''General Dean's Story''에서 자신의 체포와 수감에 대해 자세히 기술했다.[63] 그는 북한이 자신을 전쟁범죄자로 간주하고 미국 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해 그와 여러 차례 논의했다고 주장했다.[64]
딘은 고문을 받고 북한에 중요한 정보를 누설할까 봐 자살을 시도했다.[8] 심문 중에도 계속해서 반항적 태도를 유지하며 어떤 정보도 누설하지 않았고, 두려워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며, 때로는 위협을 비웃기도 했다.[84] 그는 북한의 대부분의 유엔 포로들보다 더 나은 대우를 받았는데, 정기적으로 식량을 제공받았고 초기 체포 후에는 거의 심문을 받지 않았다. 그는 몇 번이나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8] 유엔군이 평양을 점령했을 때 만포로 이송되었고, 중국 인민지원군이 전쟁에 개입하여 유엔군을 후퇴시켰을 때 돌아왔을 가능성이 있다.[65]
딘은 1951년 12월 21일, ''세 소아르''[66]라는 프랑스 좌파 신문의 전쟁 특파원인 호주 기자 윌프리드 버쳇이 그를 인터뷰할 때까지 외부 세계와 접촉하지 못했다.[66] 버쳇이 딘의 사진과 함께 한 인터뷰는 1951년 12월 24일 전 세계에 발표되었다. 이는 딘이 확실하게 살아있고 포로임이 전 세계에 처음으로 확인된 시점이었다.[8] 딘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이 사건을 "나의 친구 윌프리드 버쳇"이라는 제목으로 회고했다.[67] 버쳇의 방문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딘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수많은 뉴스 특파원의 방문을 받았다고 주장했다.[68] 그는 나머지 포로 생활을 비교적 편안하게 보냈다고 주장했다.[69]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딘은 정전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몇 주 동안 더 북한에 포로로 남아 있었다. 그는 1953년 9월 4일 판문점에서 빅 스위치 작전 중 유엔군에 송환되었고,[84] 마침내 1953년 9월 24일 미국으로 돌아왔다.
6. 은퇴와 사망
1953년 9월 4일, 정전 협정 이후 포로 교환에 의하여 판문점을 통해 귀환하였다.[104] 귀환 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프레시디오에 있는 미 육군 6군 부사령관으로 부임했다가 1955년 10월 31일 전역하였다. 그는 은퇴할 때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공로로 육군 무공 훈장을 받았다.
이후 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가 1981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샌프란시스코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8]
7. 가족 관계
윌리엄 F. 딘은 1926년 마일드리드 던과 결혼하여 아들 윌리엄 딘 2세와 딸 마조리 준 딘을 낳았다.[4] 아들 윌리엄 딘 2세는 주한 미공군으로 군산 공군 기지에서 근무했으며, 1963년 대전 전투 이후 딘 소장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던 농부 박종구의 집을 찾아가 감사를 표했다.[73][74][110][111][112][113]
8. 기타
국방홍보원에서는 대전 전투 당시 딘 소장의 행적을 그린 《딘스 루트》(Dean's Route)라는 제목의 세미 다큐멘터리 단편 영화를 2000년에 제작하였다.[114] 이 영화는 딘 소장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들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딘은 미국으로 돌아와 영웅적인 환영을 받았고, 여러 훈장을 받았다.[8] 1953년 10월 26일 뉴욕시에서 티커테이프 퍼레이드를 받았고, 1954년 1월 1일 대원수가 되었다.[70]
한국에서 돌아온 지 3개월 후, 딘은 캘리포니아주 프레시디오 오브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미육군 제6군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5년 10월 31일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 2년 동안 이 직책을 맡았다.[13] 은퇴 후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의 최전선 복무에 대한 전투 보병 휘장을 받았다. 딘은 이 상을 받은 두 번째 장군이었다.[71]
딘은 은퇴 후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용한 생활을 했다. 1981년 8월 24일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샌프란시스코 국립묘지에 묻혔다.[8]
딘 장군은 한국 전쟁에서 가장 계급이 높았던 유엔군 포로였으며, 한국 전쟁 중 최고 계급의 명예 훈장 수훈자이기도 했다. 그의 이야기는 여러 출판물에 기록되었고, ''라이프''지와 ''타임''지에 소개되기도 했다.[81][82][83][84]
딘 장군의 행동은 여러 방식으로 기념되었다. 딘 장군이 격파한 T-34 전차는 1977년까지 대전에 남아 전투를 기념하는 상징물이었다.[8] 1981년 대전시가 대전 전투 기념비를 건립할 때, 북한군 전차를 향해 바주카포를 발사하는 딘 장군을 묘사한 조각상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85] 그의 고향인 칼라일에는 1953년 새롭게 개조된 다리가 딘 장군 현수교(General Dean Suspension Bridge)로 명명되었다. 이 다리는 1973년 미국 국립사적지 목록(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에 등재되었다.[86] 딘 장군 사후, 그의 군복과 개인 물품은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ROTC 프로그램에 기증되어 기념관이 조성되었다.[87]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동문회(Cal Alumni Association)는 또한 딘 장군을 1953년 "올해의 동문"으로 선정했다.[88]
9. 수상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여러 차례 훈장을 받았다. 이 훈장들은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 전시되어 있다.[87]
훈장 | 전투 보병 휘장 (2차 수여, 명예) | |||||||||||
---|---|---|---|---|---|---|---|---|---|---|---|---|
1행 | 명예 훈장[9] | |||||||||||
2행 | 미 십자 훈장[9] | 미 육군 훈장[9] | 공훈 훈장[9] | |||||||||
3행 | 동성훈장[87] | 포로 훈장[87] | 미국 방위 훈장 | |||||||||
4행 | 미국 종군 훈장 | 유럽-아프리카-중동 종군 훈장 5개의 근무 성과장 포함 |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 |||||||||
5행 | 점령군 훈장 일본 종군 기장 포함 | 국가 방위 훈장 | 한국 종군 훈장 근무 성과장 포함 | |||||||||
6행 | 대한민국 국가안보훈장 | 한국전쟁 유엔 훈장 | 한국 전쟁 복무 훈장[76] | |||||||||
부대 훈장 | 대통령 부대 표창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 ||||||||||
훈장 | 제24보병사단 SSI-FWTS | 제44보병사단 SSI-FWTS |
1951년, 미국 의회는 대전 전투 방어 중 그의 행동에 대해 딘 장군에게 명예 훈장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명예 훈장은 1951년 1월 9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77] (미 육군성, 1951년 2월 16일자 훈령 제7호)[78] 딘 장군의 아내와 아들 윌리엄 딘 주니어, 딸 마조리 준 딘에게 수여되었다. 딘 장군 자신은 여전히 한국에서 행방불명으로 보고되었고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다.[53]
'''표창 내용:'''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Memorial, Robert L. Spragins
http://apps.westpoin[...]
West Point Association of Graduates
1965-01-01
[6]
논문
[7]
논문
[8]
웹사이트
Major General William F. Dean, Medal of Honor recipient
http://www.militarym[...]
California Military Department
2008-05-18
[9]
웹사이트
Military Times Hall of Valor: William Frishe Dean
http://militarytimes[...]
Gannett Company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서적
Korea's Grievous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01-01
[16]
서적
Blowback: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Empire
https://archive.org/[...]
Holt Paperbacks
2004-01-01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웹사이트
Silver Star Citation: Stanley Eugene Tabor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서적
Autobiography: General Dean's Story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웹사이트
Grand Marshals of the Tournament of Roses Parade
https://web.archive.[...]
Tournament of Roses
2010-12-13
[71]
뉴스
Obituary, Retired Maj. Gen. William F. Dean
http://www.upi.com/A[...]
1981-08-25
[72]
논문
[73]
뉴스
딘少将(소장) 숨겨줬던 德裕山幕(덕유산막)에 「報恩(보은)의 별나무」
https://newslibrary.[...]
1972-06-25
[74]
뉴스
한국전 교환포로 1호 美딘소장 일화 冊 펴내
https://www.donga.co[...]
[75]
논문
[76]
기타
[77]
웹사이트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Society
https://www.cmohs.or[...]
[78]
웹사이트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79]
서적
Official Register of Commissioned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Army
[80]
웹사이트
https://www.korea.kr[...]
2023-02-02
[81]
간행물
The Story of a Soldier
https://books.google[...]
1950-07-31
[82]
간행물
Men at War: The Dean Story
https://web.archive.[...]
1951-12-31
[83]
간행물
The General Must Still Wait On
https://books.google[...]
1953-04-27
[84]
간행물
Heroism of General Dean is revealed when a North Korean relates details
https://books.google[...]
1953-09-14
[85]
웹사이트
https://www.korea.kr[...]
2023-02-02
[86]
웹사이트
History of Carlyle, Illinois
https://web.archive.[...]
City of Carlyle, Illinois
2010-12-13
[87]
웹사이트
History of Berkeley ROTC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2010-12-13
[88]
웹사이트
Alumnus/a of the Year recipients
https://web.archive.[...]
Cal Alumni Association
2010-12-15
[89]
웹사이트
Major General William F. Dean
http://www.militarym[...]
캘리포니아주립군사박물관
2010-08-22
[90]
서적
한국전쟁의 진실 (상)
이담북스
[91]
웹사이트
Stanley Eugene Tabor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92]
뉴스
대전의 25시(14)
https://www.joongang[...]
[93]
뉴스
장군면모 지금도 생생..." 박종구옹 회고
https://www.jjan.kr/[...]
[94]
뉴스
딘少将(소장) 숨겨줬던 德裕山幕(덕유산막)에 「報恩(보은)의 별나무」
https://newslibrary.[...]
1972-06-25
[95]
뉴스
密告嫌疑韓人二名(밀고혐의한인이명) 띤少將(소장)이釋放要請(석방요청)
https://newslibrary.[...]
1953-09-28
[96]
뉴스
密告韓人寬大措置(밀고한인관대조치) 띤少將再次書翰(소장재차서한)
https://newslibrary.[...]
1953-10-25
[97]
뉴스
띤少將(소장) 密告犯(밀고범)에 各五年(각오년) 懲役言渡(징역언도)
https://newslibrary.[...]
1954-09-02
[98]
서적
한국전쟁의 기원 1
나남출판
[99]
웹사이트
그때 그시절 딘 소장의 평양 생활 - 포로수용소 통역 이규현 진술서
https://dhna999.tist[...]
[100]
웹사이트
그때 그시절 딘 소장의 평양 생활 - 포로수용소 통역 이규현 진술서
https://dhna999.tist[...]
[101]
웹인용
'6.25 전쟁사 제4권 금강-소백산맥선 지연작전 (p. 166)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https://www.imhc.mil[...]
2023-04-12
[102]
웹사이트
William Frishe Dean - Congressional Medal of Honor Society
https://www.cmohs.or[...]
[103]
웹사이트
William Frishe Dean - Hall of Valor: The Military Medals Database
https://valor.milita[...]
[104]
뉴스
우리의恩人(은인)「띤」將軍(장군)돌아오다
https://newslibrary.[...]
1953-09-05
[105]
뉴스
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12화 - 태전역(太田驛)으로 시작된 대전역(大田驛)
https://www.megaecon[...]
[106]
Youtube
6.25 남북전쟁의 숨은 영웅, 철도 기관사 김재현
https://www.youtube.[...]
[107]
위키
6.25 전쟁에서 미 해병대의 한국 전개
[108]
뉴스
6·25때 딘 소장 구출작전, 美 장군 구출 나선 한국 철도원들 세계 전쟁사에 '전무후무한 영웅'
https://www.ggilbo.c[...]
[109]
논문
6.25전쟁사 제4권 금강-소맥산맥선 지연작전 및 호국인물총서 (1): 6·25전쟁 개전의 순간
[110]
뉴스
딘少将(소장) 숨겨줬던 德裕山幕(덕유산막)에 「報恩(보은)의 별나무」
https://newslibrary.[...]
1972-06-25
[111]
뉴스
한국전 교환포로 1호 美딘소장 일화 冊 펴내
https://www.donga.co[...]
[112]
뉴스
장군면모 지금도 생생..." 박종구옹 회고
https://www.jjan.kr/[...]
[113]
뉴스
미군 '딘' 소장
http://www.sjbnews.c[...]
[114]
블로그
<딘스루투> Dean's Root
https://blog.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