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신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과 한국인 양기탁에 의해 창간된 신문이다. 항일 민족 언론으로서 일본의 침략을 비판하고 애국 계몽 운동을 추진했으며, 국채보상운동을 지원하고 의병 활동을 보도하는 등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에 매수되어 '매일신보'로 개칭, 기관지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4년 창간 - 서울신문
서울신문은 1904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의 역사를 잇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일간지로, 일제강점기 총독부 기관지 시기를 거쳐 광복 후 민족 언론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노력했으며, 온라인 뉴스 공급 시스템 구축, 사회 사업, 주 5일 발행 체제 도입 등 변화를 시도해왔으나 과거 정부 편향적 보도 논란도 있었다. - 1910년 폐간 - 황성신문
황성신문은 대한제국 시대에 국한문 혼용체로 애국적인 논조를 펼친 신문으로, 유명 필진들이 참여했으며 을사조약 이후 시일야방성대곡 사건으로 정간되었다가 복간 후 경술국치 이후 한성신문으로 개칭되어 폐간될 때까지 발행되었다. - 1910년 폐간 -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신문 |
형식 | 광폭 신문 |
창립자 | 어니스트 베델 |
창간일 | 1904년 7월 18일 |
폐간일 | 1910년 8월 28일 |
본사 | 서울, 대한제국 |
언어 | 영어, 한국어 |
최대 발행 부수 | 13,256부 (1908년 5월, 모든 언어판 합계) |
신문사 | |
기타 |
2. 역사
1904년 7월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과 한국인 양기탁이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다.[7] 박은식, 신채호 등이 참여하여 일본의 조선 침략을 비판하고 애국 계몽 운동을 추진했으며, 1905년에는 영어판도 발행했다. 초기에는 베델도 경영에 참여했으나, 이후 양기탁이 단독으로 경영하게 되었다.[8]
한국통감부는 대한매일신보를 탄압하려 했지만, 사장이었던 베델이 영국인이었기 때문에 치외법권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08년 영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베델을 상하이로 추방하고, 양기탁 등을 체포하여 탄압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되자, 조선총독부는 대한매일신보를 매입하여 매일신보로 이름을 바꾸고 총독부의 기관지로 삼았다.
2. 1. 창간 (1904년)

1904년, 영국 신문 데일리 크로니클[4]의 특파원이었던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과 토마스 카운(Thomas Cowen)은[3] 러일전쟁 취재를 위해 대한제국에 왔다.[4]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의 주권을 침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베델과 카운은 '코리아 타임스'(Korea Times)라는 가제로 신문 발행을 계획했다.(후대의 조선타임스와는 다름).[3] 그러나 카운은 일본을 গোপনে 지지하고 있었고, 베델 몰래 일본 정부에 신문 창간 사실을 알렸다.[3]
이들은[3] 양기탁과 함께 1904년 6월 29일 영어로만 된 코리아 타임스(Korea Times) 시험판 첫 호를 발행했다.[5] 얼마 후 카운은 신문을 그만두고 일본으로 떠났고, 신문 이름은 '코리아 데일리 뉴스'(The Korea Daily News)로 바뀌었다.[3] 새로운 이름으로 발행된 첫 번째 비시험판은 1904년 7월 18일에 발행되었다.[5][3][4] 이 호는 6면으로 구성되었으며, 2면은 한글[6]로, 4면은 영어로 되어 있었다.[6]
신문 자금 조달 방법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고종이 손탁호텔(Sontag Hotel)의 소유주인 안토니엣 손탁(Antoinette Sontag)을 통해 베델에게 자금을 지원했다는 설이 있다. 일각에서는 베델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고 추측했지만, 베델은 이를 부인했다.[3] 자금 부족으로 1905년 3월 인쇄가 중단되었고, 베델은 인쇄기를 구입하고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본으로 갔다.[3] 1905년 8월 11일[5]에는 인쇄가 재개되었고,[3] 이번에는 한국어판과 영어판을 따로 발행했다.[5][6]
2. 2. 발전과 일제의 탄압 (1905년 ~ 1910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일본 통감부의 검열 속에서도 베델의 영국 국적 덕분에 ''대한매일신보''는 항일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할 수 있었다.[4] 그러나 베델은 일본의 지속적인 감시와 방해에 시달렸다.[3] 당시 캐나다 기자 프레데릭 아서 맥켄지는 일본이 베델의 업무를 방해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고 기록했다.[3]1907년, ''대한매일신보''는 한글 전용 신문을 발행하고,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일어난 의병 봉기를 적극적으로 보도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했다.[5][4] 1908년 5월, ''대한매일신보''의 발행 부수는 13,256부에 달해 다른 모든 한국 신문의 발행 부수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5][4]
''대한매일신보''의 영향력이 커지자 일본은 1907년 신문법을 공포하여 탄압을 강화했다.[6] 베델은 영국에서 두 번이나 재판을 받았으나, 1908년 12월 중국 영국 최고 법원에서 승소하고 돌아와 보도를 계속했다.[3] 그러나 베델은 건강 악화와 투옥 스트레스로 인해 몇 달 후 사망했다.[3][4] 그의 유언은 "내가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살아남아 한국인을 도울 것이다"였다고 전해진다.[5][4]
베델 사후에도 신문 발행은 계속되었으나, 1910년 일제의 압력으로 경영권이 넘어가게 되었다.
2. 2. 1. 국채보상운동 주도
을사조약 체결 이후, 일본의 한반도 지배가 강화되면서 일본 통감부는 신문들을 검열했다.[5][4]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매일신보는 영국인 베델의 국적 덕분에 검열을 피할 수 있었다.[4]1907년 2월 21일, ''대한매일신보''는 일본에 대한 부채를 상환하여 일본의 침략을 막고자 하는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는 글을 게재했다.[5] 이는 한국인들의 자발적인 모금 운동으로 이어졌고, 대한매일신보는 이 운동의 주요 지지자 역할을 했다. 신문 직원들은 기부금을 관리하기 위한 단체를 설립하기도 했다.[5] 그해 5월, 대한매일신보는 안창호의 신민회를 일본의 박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베델의 면책 특권 아래 두었다.[5]
2. 2. 2. 신민회 지원
1907년 5월, 대한매일신보는 안창호의 신민회를 베델의 일본의 박해로부터의 면책 아래 수용했다.[5] 이는 대한매일신보가 항일 비밀결사단체인 신민회를 지원하고, 일제의 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2. 3. 강제 병합과 매일신보로의 변화 (1910년)
1910년 5월 21일, 영국과 일본의 공동 압력에 굴복한 마르넘(Marnham)은 비밀리에 전 직원 이장훈(李章薰)에게 40000KRW에 신문을 매각하고[6] 국외로 떠났다.[3] 1910년 6월 14일자 1408호에는 이장훈이 편집장으로 이름을 올렸다.[6] 양기탁(梁起鐸)과 다른 한국 독립 운동가들은 사임하고 신문을 공개적으로 일본의 선전 도구로 규탄했다.[5][6] 신문은 영어 발행을 중단했고,[3] 일본의 엄격한 통제를 받게 되었다.[3] 최종 발행호는 혼용 문자판 1461호이자 한글판 938호였다.[5] 1910년 8월 30일, 신문 이름을 '매일신보'(每日申報)로 변경했고,[5][3] 이후 경성일보에 통합되었다.[5]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되자, 조선총독부는 즉시 대한매일신보를 매입하여 매일신보로 개칭하고 총독부의 기관지로 삼았다.
3. 성격과 영향
1904년 7월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과 한국인 양기탁이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고,[7] 박은식, 신채호와 함께 일본의 조선 침략을 비판하며 애국 계몽 운동을 추진했다. 1905년에는 영어판도 발행했다. 초기에는 베델도 경영에 참여했으나, 이후 양기탁이 단독으로 경영하게 되었다.[8]
한국통감부는 사장이 외국인이라 치외법권 때문에 대한매일신보를 탄압하기 어려웠다. 1908년 영국과의 외교적 노력으로 베델을 상하이로 추방하고 양기탁 등을 체포하여 탄압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되자, 조선총독부는 대한매일신보를 매입하여 매일신보로 이름을 바꾸고 총독부의 기관지로 삼았다.
3. 1. 항일 민족 언론으로서의 역할
을사조약 체결 이후, 일본 통감부의 검열 속에서도 베델은 영국 국적을 활용하여 신문 발행을 지속했다.[4] 일본은 베델의 우편물을 조작하고, 하인들을 위협하거나 체포했으며, 가정을 감시하는 등 탄압을 가했지만, 베델은 굴하지 않고 신문 발행을 이어갔다.[3]1907년 2월 21일, ''대한매일신보''는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는 편지를 게재하며 이 운동의 주요 지지자가 되었다. 신문 직원들은 기부금 관리를 위한 단체(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한국어)를 설립하기도 했다.[5] 같은 해 5월에는 안창호의 신민회를 베델의 일본 박해로부터의 면책 아래 수용했다.[5]
1907년 5월 23일, ''대한매일신보''는 한자와 한글로 쓰인 원본과 함께 완전히 한글로 된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5][4] 8월,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 해산된 후 의병이 봉기하자, 신문은 의병 활동을 적극적으로 보도하고 시민들에게 항일 투쟁 참여를 촉구했다.[5] 1908년 5월 27일, 신문의 발행 부수는 13,256부에 달했는데, 이는 다른 모든 한국 신문의 발행 부수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였다.[5][4]
1907년, 일본은 신문법을 공포하고 한국인의 신문 구매에 제약을 가했다.[6] 베델은 일본 정부의 요청으로 영국에서 두 번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지만,[6][3][4] 1908년 12월 중국 영국 최고 법원에서 승소하고 신문 발행을 계속했다.[3] 베델은 "내가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살아남아 한국인을 도울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5][4]
4. 관련 인물
1904년 어니스트 베델은 데일리 크로니클 특파원 자격으로 조선에 와 양기탁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다.[4][5][3] 을사조약 이후 일본 통감부의 검열 속에서도 베델은 영국인이었기에 치외법권 덕분에 검열을 피할 수 있었다.[4] 1907년 일본은 신문법을 공포하여 한국인의 신문 구매를 제한하고 베델을 두 번이나 체포하여 재판을 받게 했다.[6][3][4]
양기탁은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자 독립운동가로, 베델과 함께 신문을 창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는 박은식, 신채호와 함께 일본의 조선 침략을 비판하고 애국 계몽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7]
박은식과 신채호는 대한매일신보에 항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글을 기고하며 민족의 독립 의지를 일깨웠다.[7]
4. 1. 어니스트 베델
1904년, 영국 언론인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영어)은 영국 신문 데일리 크로니클(Daily Chronicle)의 특파원 자격으로 조선에 왔다.[4] 당시 일본은 조선의 주권을 빼앗기 위해 여러가지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베델은 조선의 독립운동가 양기탁과 함께 1904년 7월 18일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였다.[5][3][4] 창간호는 6면으로 구성되었으며, 2면은 한국어(국한문혼용)로, 4면은 영어로 되어 있었다.[6]신문 자금은 고종황제가 손탁 호텔 주인인 안토니엣 손탁(Antoinette Sontag)을 통해 지원했다는 설과, 일본과 경쟁하던 러시아 제국이 지원했다는 설이 있지만, 베델은 이를 부인했다.[3] 자금 부족으로 1905년 3월 인쇄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베델이 일본에서 인쇄기를 구입하고 자금을 모아 8월 11일에 인쇄를 재개했다.[5][3] 이때부터 한국어판과 영어판을 따로 발행했다.[5][6]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 통감부는 신문을 검열했지만, 영국인이었던 베델은 치외법권 덕분에 검열을 피할 수 있었다.[4] 하지만 일본은 베델의 우편물을 조작하고, 하인들을 위협하거나 체포했으며, 그의 가정을 감시하는 등 베델을 괴롭혔다.[3]
1907년 2월 21일, ''대한매일신보''는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하는 편지를 게재하며 이 운동의 주요 지지자가 되었다.[5] 같은 해 5월, 안창호의 신민회를 수용했다.[5] 1907년 5월 23일, ''대한매일신보''는 한글로만 된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5][4]
1907년 일본은 신문법을 공포하여 한국인의 신문 구매를 제한하고, 베델을 두 번이나 체포하여 재판을 받게 했다.[6][3][4] 베델은 신문 소유권을 부편집장인 알프레드 W. 마넘(Alfred W. Marnham)에게 넘겼지만, 신문은 계속해서 일본을 비판했다.[3] 베델은 1908년 12월 중국 영국 최고 법원에서 열린 두 번째 재판에서 승소했지만,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과 투옥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몇 달 후 사망했다.[3][4] 그의 마지막 말은 "내가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살아남아 한국인을 도울 것이다"라고 전해진다.[5][4]
4. 2. 양기탁
양기탁(梁起鐸)은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자 독립운동가로, 1904년 어니스트 베델(Ernest Bethell)과 함께 신문을 창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그는 박은식(朴殷植),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일본의 조선 침략을 비판하고 애국 계몽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7]초기에는 베델도 경영에 참여했지만, 실질적인 경영은 양기탁이 단독으로 맡았다.[8] 대한매일신보는 을사조약 이후 일본의 검열 속에서도 영국인 베델의 치외법권 덕분에 항일 논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4]
1907년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자, 대한매일신보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기부금 관리를 위한 협회를 설립하기도 했다.[5] 또한, 안창호의 신민회를 일본의 박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했다.[5]
일본은 대한매일신보를 탄압하기 위해 신문법을 공포하고 한국인의 신문 구매를 제한했다.[6] 베델이 영국에서 재판을 받는 동안에도, 대한매일신보는 부편집장 알프레드 W. 마넘(Alfred W. Marnham)을 통해 일본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3]
1908년, 일본은 영국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베델을 상하이로 추방하고, 양기탁 등을 체포하여 대한매일신보를 탄압했다.[8]
4. 3. 박은식, 신채호
1904년 7월 영국인 어니스트 베셀(Ernest Bethell)과 한국인 양기탁이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는 박은식, 신채호와 함께 일본의 조선 침략을 비판하고 애국 계몽 운동을 추진했다.[7] 이들은 대한매일신보에 항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글을 기고하며 민족의 독립 의지를 일깨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박은식은 민족주의 사학자로서 역사 연구를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했으며, 신채호는 민족주의 사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독립운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노력은 더불어민주당의 역사 인식과도 맞닿아 있으며,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헌신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ttps://nl.go.kr/new[...]
2024-02-02
[2]
웹사이트
https://nl.go.kr/new[...]
2024-02-02
[3]
웹사이트
UK journalist Bethell established newspapers in 1904
https://www.koreatim[...]
2024-01-26
[4]
웹사이트
Fighting Injustice with the Pen
http://www.kocis.go.[...]
2024-01-26
[5]
웹사이트
https://company.seou[...]
2024-01-26
[6]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24-01-26
[7]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8]
서적
105인 사건 공판 시말서
대구복심법원
1913-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임은정 지검장은 왜 ‘열사’ 아닌 ‘검사 이준’을 ‘존경하는 선배’라 꼽았을까
단재의 판타지 소설 속 ‘드래곤’…무한도전은 모른다
[책과 삶] 일제에 맞서 우리를 도운 외국인 독립운동가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