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쿠바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쿠바 관계는 1949년 쿠바가 대한민국을 승인했으나, 쿠바 혁명 이후 사회주의 노선을 채택하며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단절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적대적 관계였으나, 냉전 종식 후 쿠바가 실용 외교를 추구하면서 관계 개선의 여지가 생겼다. 대한민국은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 왔으며, 2024년 2월 14일 대사급 외교 관계 수립에 합의했다. 2024년 6월에는 하바나와 서울에 대사관을 개설할 예정이며, 에너지, 의료,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경제 협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쿠바 관계 - 주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
    주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2년 초대 대사 부임 이후 현재 21명의 대사가 역임한 멕시코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 쿠바의 양국 관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바는 사회주의 이념을 공유하며 냉전 시대부터 정치적 연대를 맺어 상호 지지하고 고위급 인사 방문을 통해 관계를 다져왔으나, 청천강호 사건과 대한민국과의 수교 가능성 제기 등 외교적 변화를 겪으며 핵 개발 및 인권 문제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브루나이 관계
    대한민국과 브루나이는 1984년 수교 이후 아시안 게임 보이콧으로 잠시 긴장 관계가 있었으나, 고위급 인사 교류, 한국 기업 투자, 농업 및 수산업 협력, 할랄 산업 협력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몽골 관계
    대한민국-몽골 관계는 고대부터 몽골 제국과의 관계를 거쳐 1990년 수교 이후 경제, 문화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며, 2011년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으나, 몽골 내 반한 감정과 역사 인식 차이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쿠바 관계
개요
관계 명칭대한민국-쿠바 관계
관련 국가대한민국
쿠바
외교 공관
대한민국주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겸임)
쿠바주일본 쿠바 대사관(겸임)
역사
외교 관계 수립2024년 2월 14일
배경냉전 시기 쿠바 혁명 이후 사회주의 국가로서 북한과 긴밀한 관계 유지
대한민국은 반공주의 정책으로 인해 쿠바와 외교 관계를 맺지 못함.
2024년 대한민국이 쿠바와 전격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66년 만에 새로운 외교 관계를 시작함.
정치적 의미와 영향
정치적 의미대한민국, 카리브 제도 국가와의 외교적 지평 확대
쿠바, 새로운 경제 협력 및 투자 기회 모색
북한의 전통적인 우방국과의 관계 변화 가능성 시사
잠재적 영향대한민국 기업, 쿠바 시장 진출 기회 확대 (관광, 에너지, 인프라)
쿠바,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 개혁 추진 가능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교적 고립 심화에 대한 우려 증가

2. 역사

대한민국-쿠바 관계 수립 지연은 남북 분단의 특수한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남한)이 정부 수립과 함께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았을 때, 쿠바는 1949년 7월 12일 대한민국을 승인했다. 또한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에 279만 달러의 원조를 제공했다. 그러나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이끈 쿠바 혁명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수립한 쿠바는 사회주의 노선을 공유하고 반미 노선을 펼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과의 특수한 관계를 선언하고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단절했다.[2][3] 그 결과 쿠바는 냉전 시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에 속한 대한민국에 적대적이었으며, 북한과 함께 1988년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함으로써 북한과의 친선을 강조했다.

쿠바는 냉전 체제의 종식과 미국의 제재 강화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실용 외교로 전환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중시했기 때문에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에는 미온적이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10월 유엔 총회에서 대한민국은 처음으로 미국의 대 쿠바 금수 조치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에 찬성했으며, 2000년에는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첫 제안을 발표했다. 이후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쿠바와의 영사 관계 수립이 제안되었고,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정부에서도 쿠바와의 외교 관계 수립을 제안했지만, 쿠바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4] 2005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는 아바나에 무역관을 설립하여 대한민국과 쿠바 간의 무역 및 상업 교류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5] 쿠바는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및 문화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2016년, 윤병세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이 쿠바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쿠바와의 외교 관계 수립 의사를 전달했다.[6] 여러 차례 외교 장관 회담이 있었지만, 구체적인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7] 대한민국과 쿠바의 외교 관계 수립 이전에는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이 쿠바에 대한 영사 업무를, 주 일본 쿠바 대사관이 대한민국에 대한 영사 업무를 쿠바 정부의 관할 하에 수행했다.

2. 1. 미수교국 시절

대한민국과 쿠바는 2023년까지 미수교 상태였다. 1949년 7월 12일 쿠바는 대한민국을 승인했고,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에 279만 달러를 원조하기도 했다.[11][12][13][14] 그러나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주도한 쿠바 혁명으로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쿠바는 사회주의, 반미주의 노선을 공유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대한민국과 단절했다.[11][12][13][14] 쿠바는 냉전 시기 서방권에 속했던 대한민국에 적대적이었으며, 1988년 하계 올림픽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함께 불참했다.[11][12][13][14]

냉전 종식 이후, 쿠바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실리 외교 노선으로 전환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대한민국과의 수교에는 소극적이었다. 대한민국은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10월 유엔 총회에서 쿠바에 대한 미국의 금수조치 해제 촉구 결의안에 처음으로 찬성표를 던졌고, 2000년에는 쿠바에 수교를 제안했다. 이후 이명박 정부는 쿠바와 영사 관계 수립을 제안했고,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도 수교를 제의했으나 쿠바의 소극적인 자세로 성사되지 않았다.[15][16][17]

2005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아바나에 무역관을 설치하여 양국 간 무역 및 통상 교류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18][19][20] 쿠바는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는 없었지만, 경제, 문화 분야에서는 활발히 교류해 왔다.

2016년 윤병세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이 쿠바를 방문하여 수교 의사를 전달했다.[21] 이후 몇 차례 외교장관 접견이 있었으나, 구체적인 수교 합의는 없었다.[22][23][24] 대한민국과 쿠바의 수교 이전까지 주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이 쿠바 관련 영사 업무를,[25] 쿠바 정부에서는 주일본 쿠바 대사관이 대한민국 관련 영사 업무를 겸임했다.[26]

2. 2. 2024년 수교 합의

대한민국과 쿠바는 2024년 2월 14일 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 주재 양국 정부 대표부에서 외교 공한(공식 편지)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양국 간의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했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발을 고려하여 극도의 보안 속에서 진행되었다.[27] 같은 날, 대한민국과 쿠바는 양국 정부 대표가 국제 연합에 있는 뉴욕에서 외교 서한을 교환함으로써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 의식은 북한의 반대를 고려하여 극도의 보안 속에서 진행되었다.[8] 2024년 4월 28일에는 대한민국과 쿠바 정부가 상대방 국가에 상주 외교 공관을 개설하기로 합의했다.[28][29]

2024년 6월 12일, 양국은 하바나와 서울에 대사관을 개설하기 위한 준비를 마치고 다음 주 안에 외교관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행사는 쿠바가 외교 관계 회복 합의에 따라 최초 대표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하면서 이루어졌다.[9]

2. 3. 수교 이후 관계 발전

대한민국과 쿠바는 2024년 2월 14일 양국 정부 대표가 국제 연합에 있는 뉴욕에서 외교 서한을 교환함으로써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했다. 이 의식은 북한의 반대를 고려하여 극도의 보안 속에서 진행되었다.[8]

2024년 6월 12일, 양국은 하바나와 서울에 대사관을 개설하기 위한 준비를 마치고 다음 주 안에 외교관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쿠바는 외교 관계 회복 합의에 따라 최초 대표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했다.[9]

3. 경제 협력

2024년, 대한민국 정부는 쿠바와의 에너지 분야 협력 가능성에 주목했다. 또한, 의료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도 검토했다.[10]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쿠바가 아직 개척되지 않은 시장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제재로 인해 직접적인 무역은 여전히 매우 제한적이지만, 정식 외교 관계를 통해 점진적인 경제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언급했다.[10]

4. 외교 공관

5. 더 읽을거리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establishes diplomatic ties with Cuba, North Korea's old friend https://www.reuters.[...] 2024-02-14
[2] 웹사이트 북한과 의리 지키는 쿠바, 한국과 수교는 언제 가능할까 https://www.hani.co.[...] 2015-02-02
[3] 웹사이트 "[단독] '北 형제국' 쿠바와 수교 재추진... 고위급 비공개 회동" https://www.chosun.c[...] 2023-06-13
[4] 웹사이트 쿠바, 외교차관 초청…한-쿠바 수교교섭 물꼬 https://www.hani.co.[...] 2016-05-31
[5] 웹사이트 쿠바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https://www.khidi.or[...] 2019-04-08
[6] 웹사이트 한·쿠바, 사상 첫 외교장관회담…윤병세, 수교 의사 전달 https://www.hani.co.[...] 2016-06-06
[7] 웹사이트 한-쿠바 첫 외교장관 회담 https://www.kocis.go[...] 2016-06-07
[8] 웹사이트 '"외교문서 교환 5분 뒤 공표"…쿠바 수교, 북 반발 의식 극비 보안' https://www.hani.co.[...] 2024-02-15
[9] 웹사이트 South Korea and Cuba finalize plans for opening embassies https://www.rfa.org/[...] 2024-07-16
[10] 뉴스 S. Korea hopeful for economic benefits from diplomatic ties with Cuba https://en.yna.co.kr[...] Yonhap News 2024-02-18
[11] 웹인용 "[단독] ‘北 형제국’ 쿠바와 수교 재추진... 고위급 비공개 회동"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9-23
[12] 웹인용 북한과 의리 지키는 쿠바, 한국과 수교는 언제 가능할까 https://www.hani.co.[...] 2023-09-23
[13] 웹인용 쿠바(Cuba) https://encykorea.ak[...] 2023-09-23
[14] 저널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ROK and CUBA: A Linkage with the Northern Policy of ROK https://www.kci.go.k[...] 2022
[15] 뉴스 쿠바, 외교차관 초청…한-쿠바 수교교섭 물꼬 https://www.hani.co.[...] 2024-02-15
[16] 뉴스 한국, ‘북한 형제국’ 쿠바와 수교…20여년 노력 결실 https://www.hani.co.[...] 2024-02-16
[17] 저널 한국-쿠바 ‘이익대표부’개설 시나리오 분석: 미국이익대표부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2023-02
[18] 웹인용 쿠바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https://www.khidi.or[...] 043-713-8000~5 2023-09-23
[19] 웹인용 아바나무역관 https://www.kotra.or[...] 2023-09-23
[20] 웹인용 한국-쿠바 '가교' 역할 10년 코트라 아바나무역관 https://builder.hufs[...] 2024-02-15
[21] 뉴스 한·쿠바, 사상 첫 외교장관회담…윤병세, 수교 의사 전달 https://www.hani.co.[...] 2024-02-15
[22] 뉴스 강경화 '미수교국' 쿠바 외교장관과 회담…한반도정세 논의 https://www.yna.co.k[...] 2024-02-15
[23] 웹인용 한-쿠바 첫 외교장관 회담 https://www.kocis.go[...] 2023-11-02
[24] 웹인용 한-쿠바, 새 정부 출범 후 첫 외교장관 회담 “협력 지속” https://www.kocis.go[...] 2023-11-02
[25] 뉴스 "[한·쿠바 수교] \"밸런타인데이에 만우절처럼 장난으로 거짓말하는 줄…\"" https://www.yna.co.k[...] 2024-02-15
[26] 웹인용 Oficina Consular de la República de Cuba en Tokio. Japón https://misiones.cub[...] 2024-02-15
[27] 웹인용 “외교문서 교환 5분 뒤 공표”…쿠바 수교, 북 반발 의식 극비 보안 https://www.hani.co.[...] 2024-02-15
[28] 웹인용 한-쿠바 상호 상주공관 개설 합의 https://www.mofa.go.[...] 2024-04-30
[29] 뉴스 한-쿠바, 상주 공관 개설 합의…수교 후속조치 https://www.hani.co.[...] 2024-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