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 외국인 투자 유치, 정부 위탁 사업 수행 등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기관이다. 1962년 대한무역진흥공사로 설립되어, 199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Invest KOREA를 운영하고 있다. KOTRA는 전 세계에 무역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수출 인큐베이터 운영, 지사화 사업, 해외시장조사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KOTRA Seal of Excellence 마크를 통해 품질 보증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특수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경제 단체로, 국가기술자격검정, 인력개발, 정보화 지원, 국제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 72개 지역 상공회의소와 주한외국상공회의소를 통해 지역 경제 및 국제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고, 회장은 서울상공회의소 회장이 겸임하며 현 회장은 최태원이다. - 공공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공공기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1962년 설립된 기업 - 타코벨
타코벨은 1948년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멕시코 음식 프랜차이즈로, 타코를 주 메뉴로 전 세계적으로 매장을 운영하며 얌! 브랜드의 자회사이다. - 1962년 설립된 기업 - LS그룹
LS그룹은 1962년 한국케이블공업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서 분리된 후 200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력, 에너지, 소재,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계열사를 거느린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大韓貿易投資振興公社) |
| 영문 명칭 |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
| 약칭 | 코트라 |
| 설립 | 1962년 6월 21일 (대한무역진흥공사) |
| 형태 | 공기업 |
| 산업 | 무역-투자 진흥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13 (염곡동 300-9) |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경영진 | |
| 사장 | 유정열 (2021년 5월 ~) |
| 조직 규모 | |
| 직원 수 | 약 1840명 |
| 주요 사업 | |
| 주요 제품 | 무역-투자 진흥 |
| 재무 정보 | |
| 자본금 | (정보 없음) |
| 매출액 | (정보 없음) |
| 순이익 | (정보 없음) |
| 자산 총액 | (정보 없음) |
| 영업 이익 | (정보 없음) |
| 관련 기관 | |
| 모기업 | 대한무역진흥공사 |
| 주요 자회사 | (정보 없음) |
2. 주요 기능 및 역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지원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개척 지원: 전략 산업에 대한 해외 마케팅을 지원하고, 기업별 맞춤형 수출 지원 활동을 제공한다.
- 해외 진출 지원 및 정보 조사: 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 및 프로젝트 진출을 돕고, 해외 시장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1]
- 외국인 투자 유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관련 홍보 및 지원을 제공한다. 또한, 이미 진출한 외국인 투자 기업의 정착을 돕고 고충 처리를 지원한다.[1]
- 정부 수임 사업 수행 및 무역·투자 전문 인력 양성: 엑스포(EXPO) 참가, 무역·투자 유치 정책 수립 지원, 국가 무역·투자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한다. 또한, KOTRA 아카데미를 통해 무역·투자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1] KOTRA 아카데미는 2003년에 설립된 국제 무역 분야 전문 교육 기관이다.[4]
- 국가 브랜드 제고 및 방산 물자 등의 수출 지원[1]
- 기타: 글로벌 마케팅 인턴 사업, 무역 관련 관세 유치 및 도입, 정착 지원[1]
1995년 8월, KOTRA는 국경 간 투자 유치, 기술 및 제조 협력 사업 지원을 추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KOTRA는 현재 국가 투자 유치 기관인 Invest KOREA를 운영하고 있다.[3] Invest KOREA는 1998년 한국투자서비스센터(KISC)로 시작하여 2003년 11월 재출범, 외국인 투자자에게 더욱 확대된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3]
전자 상거래 시대를 맞아 KOTRA는 2003년에 Invest KOREA Online (구 Cyber KISC)을, 2004년에는 BuyKorea라는 양방향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개설했다.[4]
KOTRA는 전 세계에 광범위한 해외 한국 무역관(KTC)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 11월 28일 기준, 전 세계 84개국에 127개의 사무소와 10개의 지역 본부를 두고 있다.[5]
3. 연혁
- 1962년 6월 21일: 대한무역진흥공사 창립[1]
- 1968년 9월 9일: 국내 최초 국제박람회 "한국무역박람회" 개최[1]
- 1995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로 개정[1]
- 1998년: 외국인 투자지원센터(KISC) 신설[1]
- 1999년: 외국인투자 옴부즈만 사무소 개설[1]
- 2003년: Invest Korea 발족, KOTRA 아카데미 설립[1]
- 2004년: 세계무역기구(WTO) / ITC 세계 최우수 무역투자진흥관 선정[1]
- 2006년: IKP(Invest KOTRA Plaza) 사옥 신축[1]
- 2008년: Contact Korea 신설[1]
- 2009년: 해외진출지원센터,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설치[1]
- 2010년: 외국인투자정책센터 개소[1]
- 2011년: 한국HRD대상 수상[1]
- 2012년: KOTRA 창립 50주년[1]
- 2013년: 글로벌M&A지원센터 설치[1]
- 2014년: 해외 취·창업, 일반물자 정부간 거래(G2G) 지원 기능 추가[1]
- 2015년: 대한민국 해외진출종합대전 개최(KOIF 2015)[1]
- 2016년: 글로벌비즈니스연구센터(GBRC) 개소[1]
4. 역사
1962년 일본의 수출진흥기관 JETRO를 벤치마킹하여 대한무역진흥공사를 설립하였다.[1] 1995년 해외 투자 유치 기능을 강화하면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1998년 외국인 투자지원센터를 신설하고, 1999년 외국인투자 옴부즈만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외국인 투자 유치에 힘썼다.[1] 2003년에는 CRM-BSC를 도입하고 외국인 투자 유치 전담 기관인 Invest KOREA를 발족하였다.[1]
2004년에는 WTO/ITC에서 세계 최우수 무역투자진흥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1] 2006년에는 IKP(Invest Kotra Plaza) 사옥을 신축하였다.[1] 2008년에는 해외 전문 인력 유치를 위한 Contact Korea를 설치하고, 2009년에는 해외진출지원센터와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를 설치하였다.[1] 2010년에는 외국인투자정책센터를 개소하고, 2011년에는 한국HRD대상을 수상하였다.[1]
2012년 창립 50주년을 맞았으며, 2013년 글로벌M&A지원센터 설치, 2014년 해외 취·창업 및 일반물자 정부간 거래(G2G) 지원 기능 추가, 2015년 대한민국 해외진출종합대전(KOIF 2015) 개최, 2016년 글로벌비즈니스연구센터(GBRC) 개소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1]
4. 1. 1960년대: 빈곤의 시대, 수출 드라이브
1962년 6월 21일,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대한무역진흥공사가 출범하였다.[1] 이는 당시 빈곤했던 한국 경제 상황에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1968년 9월 9일에는 국내 최초의 국제박람회인 "한국무역박람회"를 개최하였다.[2] 이 박람회는 한국 상품을 해외에 널리 알리고 수출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4. 2. 1970년대: 세계 무대 진출, 고도 성장
1970년대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세계 무대로 진출하여 고도 성장을 이룬 시기이다. 1977년 12월에는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1974년에는 중동 시장 개척을 위한 한국 상품 종합전시회를 개최하여 오일 쇼크를 극복하고 중동 진출 기반을 마련하였다.4. 3. 1980년대: 수출 경쟁력 강화, 수입 자유화 확대
1977년 12월, 대한민국은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세계 무역 규모에서 수출과 수입 모두 1%대를 차지하며 세계 시장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당초 100억 달러 수출은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였기에, 이날은 국가적인 경축일로 지정되어 온 국민이 열광했고, 외신들은 '한강의 기적'이라며 칭찬했다.[1]1974년 10월 22일에는 중동 지역에서 처음으로 '한국 상품 종합전시회'를 개최했다. 이 전시회에는 양국의 각료급 인사가 참여했으며, 전기·전자제품, 가구류, 공예품, 신변 장신구, 의류, 건축자재, 어망 등 다양한 상품을 전시하여 총 310만달러의 계약 실적을 달성했다. 이 전시회는 대한민국의 오일쇼크 극복에 기여했고, 중동지역 국가 진출의 발판이 되었다.[2]
4. 4. 1990년대: 세계화, 개방화, 수출 1000억 달러 시대
1995년, 대한무역진흥공사는 해외 투자 유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1990년대는 세계화와 개방화가 가속화되면서 한국의 수출이 1000억 달러를 돌파한 시기였다. KOTRA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1992년부터 지사화 사업을 시작하여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1] 1999년에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에 신사옥을 준공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1]4. 5. 2000년대: 무역 1조 달러 시대, 세계 무역 중심국
2003년, KOTRA는 외국인 투자 유치 전담 기관인 Invest KOREA를 출범시켰다.[1] Invest KOREA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더욱 확대된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1] 2008년에는 해외 전문 인력 유치를 위한 Contact KOREA가 개소되었다.[2]4. 6. 2010년대 ~ 현재
KOTRA는 2012년에 창립 50주년을 맞았다.[1] KOTRA는 같은 해 서울 국제 식품산업대전, FTA Business Plaza, Global Project Plaza, Foreign Investment Week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글로벌 취업·창업 대전, 아프리카 비즈니스 위크 등도 개최하였다.[1] 2013년에는 글로벌M&A지원센터를 설치하였고,[1] 2014년에는 해외 취·창업, 일반물자 정부간 거래(G2G) 지원 기능을 추가하였다.[1] 2015년에는 대한민국 해외진출종합대전(KOIF 2015)을 개최하였고,[1] 2016년에는 글로벌비즈니스연구센터(GBRC)를 개소하였다.[1]5. 조직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조직도 | |||||
|---|---|---|---|---|---|
| 이사회 | 감사 | 감사실 | 사장 | 비서실 | 홍보실 |
|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6] | |||||
| GtoG교역지원센터 | |||||
| KOTRA아카데미 | |||||
| 외국인투자옴브즈만 | |||||
| 경영지원본부 | 중소중견기업본부 | 혁신성장본부 | |||
| 경제통상협력본부 | 무역기반본부 | Invest KOREA | |||
| 종합행정지원센터 | |||||
중소중견기업본부 산하에는 지역지원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 지역지원단 |
|---|
| 부산KOTRA지원단 |
| 대구경북KOTRA지원단 |
| 광주전남KOTRA지원단 |
| 경기KOTRA지원단 |
| 인천KOTRA지원단 |
| 대전충남KOTRA지원단 |
| 강원KOTRA지원단 |
| 전북KOTRA지원단 |
| 울산KOTRA지원단 |
| 경남KOTRA지원단 |
| 경기북부KOTRA지원단 |
해외지역본부는 다음과 같다.
2020년 11월 28일 기준으로, KOTRA는 전 세계 84개국에 127개의 해외 무역관과 10개의 지역 본부를 두고 있다.
6. 역대 사장
|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
| 1 | 김기엽 | 1962년 ~ 1964년 |
| 2 | 김동조 | 1964년 |
| 3 | 오범식 | 1964년 ~ 1970년 |
| 4 | 안광호 | 1970년 ~ 1976년 |
| 5 | 장성환 | 1976년 ~ 1982년 |
| 6 | 윤자중 | 1982년 ~ 1983년 |
| 7 | 한봉수 | 1983년 ~ 1987년 |
| 8 | 박영수 | 1987년 ~ 1988년 |
| 9 | 이선기 | 1988년 ~ 1991년 |
| 10 | 김철수 | 1991년 ~ 1993년 |
| 11 | 박용도 | 1993년 ~ 1996년 |
| 12 | 김은상 | 1996년 ~ 1999년 |
| 13 | 황두연 | 1999년 ~ 2001년 |
| 14 | 오영교 | 2001년 ~ 2005년 |
| 15 | 홍기화 | 2005년 ~ 2008년 |
| 16 | 조환익 | 2008년 ~ 2011년 |
| 17 | 홍석우 | 2011년 |
| 18 | 오영호 | 2011년 ~ 2014년 |
| 19 | 김재홍 | 2015년 ~ 2018년 |
| 20 | 권평오 | 2018년 ~ 2021년 3월 |
| 21 | 유정열 | 2021년 4월 ~ 현재 |
7. 추진 사업
KOTRA는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무역사절단 사업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KOTRA가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해외에 세일즈단을 파견하여 현지 바이어와 수출 상담 기회를 제공한다. KOTRA 해외무역관은 현지 바이어와의 상담을 지원하여 국내 업체의 수출을 돕는다.[7]
; 수출인큐베이터 사업
중소기업이 효율적으로 수출 판로를 개척하고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교역 거점에 수출인큐베이터를 설치하고, 현지 마케팅 전문가 및 법률/회계 고문의 자문, 사무공간 및 공동 회의실을 제공하여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비용 절감과 조기 정착을 돕는다.[7]
; 지사화 사업
해외에 지사를 설치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공공기관의 해외 네트워크가 현지 지사 역할을 대행하여 수출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7]
; 해외물류 네트워크 사업
KOTRA 무역관과 해외 전문 물류 서비스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수출 기업이 저렴하게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한다. 현지 물류창고 이용을 지원하고, 물류 컨설팅을 제공하여 국내 수출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돕는다.[7]
; 수출상담회
한국 상품(및 서비스) 수입을 희망하는 구매단 또는 개별 바이어의 방한을 유치하여 국내 업체와 1:1 상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업체의 수출을 지원한다. 수출상담회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7]
- 일반 수출상담회: 다수의 해외 바이어와 국내 업체가 참여하는 상담회로, 개최 형태별(단독, 전시회 연계), 상담 품목별(종합, 전문)로 분류된다.
- 핀포인트 수출상담회: 특정 산업의 바이어가 4개사 이하로 방한하여 수요에 맞는 국내 업체에 한해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상담회이다. 종합상담이 어렵거나 글로벌 기업이 특정 품목만 상담하고자 할 때 추진된다.
; 한국관 참가 지원
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KOTRA와 유관단체가 공동으로 한국관을 구성하여 국내 수출업체의 전시회 참가를 지원한다.[7]
; 해외시장조사 사업
KOTRA의 전 세계 해외무역관(85개국 127개 무역관)을 통해 해외 잠재 파트너 발굴, 시장조사 등을 지원한다.[7]
; 신규 수출 기업화 지원 사업
내수∙수출 초보 기업 중 글로벌 역량진단 및 선정 절차를 거쳐 선정된 기업에 대해 KOTRA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밀착 지원하는 맞춤형 무료 사업이다.[7]
; 글로벌 역량진단(GCL) 사업
기업의 수출 및 해외 마케팅 역량을 확인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시장 추천(빅 보사) 무역 투자 데이터를 종합 분석, 해외 진출에 필요한 역량 분석, 유망시장 추천, 지원 사업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 맞춤형 빅데이터 컨설팅 서비스이다.[7]
; 해외 비즈니스 출장 지원 사업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해외 바이어 발굴 및 상담 주선 등 출장 업무를 지원한다. 프리미엄 지원의 경우, KOTRA에서 주선한 상담에 한하여 KOTRA 직원이 동행하여 통역 및 차량을 지원한다.[7]
; (2일 내)해외시장 설명회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해외시장 정보를 필요로 하는 국내 기업에 세계 각국의 시장 동향, 상품 및 마케팅 정보, 투자환경 및 투자절차 등의 무역 및 투자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업계의 수출 증진 및 해외 투자 진출을 지원한다.[7]
; 서울 국제 식품산업대전
1983년 최초 개최 이후 36년간 지속된 국내 최대 규모 식품산업전시회이자 국내 식품업계의 해외 수출을 지원하는 KOTRA 대표 전시회이다. 전시 품목은 식품, 식품 관련 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
; 월드챔프
월드클래스 300·글로벌 전문 기업,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마케팅 사업을 지원하여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세계 일류상품 육성을 위해 세계시장 점유율 5위 이내 품목(7년 이내 진입 가능 품목 포함)을 선정하여 생산기업의 해외 마케팅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7]
; 열린 무역관 사업
KOTRA 해외무역관 중 지원 가능한 무역관에서 무료로 사무공간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7]
; 국제수송기계부품산업전(GTT, Global TransporTech)
2018년 12회를 맞이하는 KOTRA 주관 국내 대표 자동차 부품 수출상담회이다. 2017년부터 KOAASHOW와 공동 개최하여 폭넓은 세계 완성차 제조업체 및 Tier 1, 2 부품 공급업체를 초청, 자동차 연관산업 종합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7]
; Korea Autoparts Plaza(KAP)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Korea Auto Parts Park(KAPP)는 글로벌 완성차 거점지역에 공동 사무공간을 운영하여 현지 전담 마케팅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7]
; Korea Sale Festa 연계 온·오프라인 융합 마케팅(O2O)
해외 현지 유력 온라인 유통망과 연계하여 한국 상품전, 직파 전 및 판촉전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중국 및 동남아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패키지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7]
; 글로벌 모바일 비전(GMV)
2008년 최초 개최 이후 매년 진행된 ICT 분야의 해외 진출을 위한 B2B 전시상담회이다. 모바일, 무선통신, AI, IoT, VR/AR, 스마트팩토리, 전자정부/정보 보안, 핀테크 등 ICT 분야의 우수 국내 기업이 해외 바이어와 직접 상담을 통해 신시장 개척, 계약 체결 및 투자유치 등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후속 지원을 한다.[7]
; K-글로벌
주요 ICT 시장에 중소·중견기업 해외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ICT 분야 전시상담, 콘퍼런스, 기술교류, IR 등을 복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7]
; Korea Service Market(KSM)
국내 최대 서비스산업 전문 수출상담회로, 세계 각국의 유력 바이어 150개사와 일 대 일 비즈니스 상담 기회를 마련하여 국내 서비스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한다.[7]
; ASIA EU Cartoon Connection(애니메이션)
OTT 플랫폼 콘텐츠 트렌드 및 구매 동향, (웹툰) 해외 진출 성공사례, (VC 펀딩) 해외 및 국내 콘텐츠 투자 펀드 설명회이다.[7]
; 한중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상담회
국내 애니메이션, 웹툰, 콘텐츠 제작 및 배급사와 중국 콘텐츠 제작사/방송 배급사 및 완구/아동극/테마파크 등 파생상품 유통 플랫폼 기업들의 수출입 상담회를 지원한다.[7]
; Game Connection America(GCA)
북미시장 진출 사전 간담회를 통해 북미 진출 전략 청취 및 질의응답, 북미 퍼블리셔와의 사후 네트워킹, IR 피칭으로 자사 콘텐츠 해외 투자 유치를 한다.[7]
; 한류 상품 박람회(KBEE)
B2B 수출상담(전시 병행), 개막식 및 한류스타 공연, SBS 콘텐츠 커머스 홍보관(100개사), MCN 파워블로거 마케팅, 홈쇼핑 한국 상품 MD 쇼, 제품 시연회, K-Food 쇼, 메이크업 시연회, 팬 사인회 등 사업을 진행한다.[7]
; 정상외교 경제협력(경제사절단)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협력과제, 협력 모델(G2G, G2B, B2B) 등 개발, 정상외교 경제 행사 추천 및 후속 지원을 하며, 정상 해외순방/해외 정상 방한 연계 비즈니스 파트너십 일 대 일 상담회, 세미나 등을 개최한다.[7]
;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 지원(Global Project Plaza)
토목·건설, 수송 인프라, 에너지·플랜트 분야 등의 해외 공공사업 발주 책임자를 초청해 우리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한다.[7]
; 방산물자 교역지원
KOTRA가 내수기업 수출 기업화와 국내 방위·보안 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유관 정부부처 및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방위·보안 물자의 수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KOTRA 아카데미 무역실무 교육, 해외 파견 주재원 교육을 한다.[7]
; Invest Korea Week(IKW)
국내외 외국인 투자가를 초청하여, 산업·지역별 포럼, 1:1 투자 상담회, 산업입지 시찰 등을 통해 대한민국의 투자유치 환경을 홍보하여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확대를 유도하는 사업이다.[7]
; Invest KOREA Market Place(IKMP)
KOTRA 내 외국인 투자유치를 담당하는 Invest KOREA에서는 우리 기업 및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국내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적격 해외 투자가’를 발굴 및 지원하는 사업을 KOTRA 36개 투자유치 거점 무역관을 통해 추진하고 있다. 한국 투자환경 홍보 한국 투자환경 홍보를 위해 국가투자유치 포털, InvestKOREA.org를 4개 언어(국, 영, 중, 일)로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해외 언론 간담회, 한국 투자홍보대사 운영, 공사 방문 사절단 연수, IK SNS 운영 등 다양한 경로로 잠재 투자가들에게 한국 투자 매력을 알리고 있다.[7]
; 해외취업(K-MOVE) 사업
KOTRA 해외무역관을 활용하여 구인 수요를 발굴하고, 해외취업의 장을 마련하여 국내 청년인재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K-Move 센터 및 해외취업 거점 및 지원 무역관을 통한 해외 구인 수요 발굴[7]
| 구분 | 무역관 (총 40개소) |
|---|---|
| K-MOVE 센터 무역관 (16개소) | 도쿄, 오사카, 나고야, 실리콘밸리, 뉴욕, 로스앤젤레스, 밴쿠버, 자카르타, 호찌민, 싱가포르, 베이징, 홍콩, 시드니, 프랑크푸르트, 멕시코시티, 두바이 |
| 해외취업 거점 무역관 (11개소) | 토론토, 함부르크, 후쿠오카, 상하이, 쿠알라룸푸르, 하노이, 멜버른, 오클랜드, 뉴델리, 도하, 상파울루 |
| 해외취업지원 무역관 (23개소) | 디트로이트, 런던, 스톡홀름, 암스테르담, 모스크바, 양곤, 프놈펜, 첸나이, 워싱턴, 시카고, 애틀랜타, 댈러스, 바르샤바, 부다페스트, 칭다오, 톈진, 광저우, 선양, 타이베이, 다롄, 난징, 항저우, 방콕 |
IBIMP, Leadersmate 와 같은 컨벤션, 국제회의 기획, 아웃소싱 기업이 KOTRA 사업에 입찰 등을 받아 계약을 체결하여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을 통한 해외취업 정보 전파[7]
- 대표카페: KOTRA와 함께 하는 해외취업
글로벌 취업박람회 양질의 해외 기업을 다수 초청하여, 국내 구직자와의 일 대 일 상담 기회 제공 및 취업설명회 개최(연 2회) 하고 있다.[7]
8. KOTRA 품질보증 마크 (KOTRA Seal of Excellence)

KOTRA 품질보증 마크(KOTRA Seal of Excellence)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품질, 고기술, 신뢰성의 세 가지 주요 기준에 따라 자격을 갖춘 기업에 부여하는 품질 보증 마크이다. 2010년 6월 현재, KOTRA는 이 마크를 430개의 회사에 수여했다. 이 마크의 목적은 외국 기업이 한국에서 우수한 제품과 회사를 식별하도록 돕는 것이다.
참조
[1]
뉴스
Kotra is not a tourist agency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3-10-19
[2]
뉴스
(Editorial) Appointing Presidents at State Companies
http://english.hani.[...]
Hankyoreh
2005-04-12
[3]
웹사이트
KOTRA Seal of Excellence
http://kotraseal.kot[...]
2010-06-04
[4]
법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법 제1조
[5]
문서
한국무역협회와의 구분
[6]
문서
대한민국 병무청과의 구분
https://ko.wikipedia[...]
[7]
문서
지스타 행사와의 구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