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는 1980년 8월 27일, 전두환을 대통령으로 선출하기 위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치러진 간접 선거이다. 1979년 12·12 군사 반란5·17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은, 최규하 대통령을 하야시킨 후,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2,524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 선거는 신군부에 의해 조직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전두환 정권 출범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탄압 등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 - 통일주체국민회의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유신헌법에 의해 대통령 선출, 국회의원 추천, 헌법 개정안 의결 등의 기능을 수행한 헌법기관이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 집권 도구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으며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존속했다.
  •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 -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8년 5월 18일에 실시된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2,583석을 두고 5,577명이 경쟁하여 78.9%의 투표율을 기록, 현직 대의원의 다수 낙선과 신인 대의원의 대거 당선, 기업인들의 약진이 두드러졌으며 유신 체제 하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재선을 확정짓고 제10대 국회 전반기 유신정우회 의원 선출 투표로 이어졌다.
  • 단일후보 선거 - 대한민국 제9대 대통령 선거
    1978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박정희가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유신 체제 하 두 번째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형식적인 절차와 민주주의 원칙 위배로 비판받는 선거이다.
  • 단일후보 선거 - 3·15 부정선거
    3·15 부정선거는 1960년 자유당 정권이 이승만과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공권력과 정치 깡패를 동원하여 저지른 대규모 부정행위로,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어 이승만 대통령 하야와 선거 결과 무효화로 이어졌다.
  • 1980년 8월 - 1980년 하계 올림픽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항의로 서방 국가들의 보이콧 속에 80개국만 참가하여 소련의 압도적인 우승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갈등과 도핑 문제 의혹으로 냉전 시대 올림픽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1980년 8월 - 1980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전두환 군사정권 시기에 국민 관심 전환과 애국심 고취 목적으로 기획된 1980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는 대한민국 화랑팀의 우승으로 끝났으나,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
선거 개요
국가대한민국
국기 연도1949년
선거 유형대통령
투표 방식간접 선거 (선거인단)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9년
선거일1980년 8월 27일
다음 선거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81년
선거인단
선거인 수2,540명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당선 필요 득표수1,271표
후보 정보
전두환
전두환
후보전두환
소속 정당무소속 (정치인)
득표수2,524
투표 결과
1980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결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 결과
대통령 당선 및 정부 구성
직책대통령
선거 전 대통령박충훈 (권한대행)
선거 전 소속 정당무소속
당선인전두환
당선인 소속 정당무소속

2. 역사적 배경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고, 1979년 12월 선거를 통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고, 5·17 쿠데타를 통해 최규하 대통령을 강제로 하야시켰다.

이후 전두환은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에 취임하여 권력의 정점에 섰다. 1980년 8월 5일, 전두환은 대장으로 진급한 후 8월 22일 퇴역하였다. 8월 16일, 최규하 대통령은 "평화적인 정권 교체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통령직을 사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4]

2. 1. 12·12 군사반란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국무총리 최규하가 1979년 12월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전두환 장군은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실질적으로 정부를 장악했고, 최규하 대통령은 허수아비 신세가 되었다.

2. 2. 5·17 쿠데타

1979년 10월 군사 독재자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 이후, 국무총리 최규하가 1979년 12월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전두환 장군은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실질적으로 정부를 장악했고, 최규하 대통령은 허수아비 신세가 되었다. 1980년 8월 16일, 5·17 쿠데타 이후 전두환은 최규하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자신이 대통령이 되었다.[3]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거쳐 정치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중앙정보부 부장 대리(육군 보안사령관 겸임)는 1980년 5월 30일 대통령 자문 및 보좌 기관으로 발족한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의 상임위원장에 취임했다.

2. 3. 최규하 대통령 하야

1979년 10월 군사 독재자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 이후,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1979년 12월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전두환 장군은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실질적으로 정부를 장악했고, 최규하 대통령은 허수아비 신세가 되었다.[3]

5·17 쿠데타 이후, 전두환최규하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하였다. 최규하 대통령은 전두환 위원장의 사퇴 압력을 받고 1980년 8월 16일 평화적인 정권 교체의 전통을 남긴다는 명분 하에 물러났으며, 헌법에 따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대통령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4]

3. 선거 과정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숙군 쿠데타,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거쳐 정치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중앙정보부 부장 대리(육군 보안사령관 겸임)는 1980년 5월 30일 대통령 자문 및 보좌 기관으로 발족한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3]의 상임위원장에 취임했다.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은 8월 5일, 대장으로 진급한 후 같은 달 22일에 퇴역했다. 한편, 최규하 대통령은 8월 16일에 "이 나라에서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통령직을 사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갑작스럽게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최규하의 사임으로 박충훈 국무총리가 권한 대행을 맡았고, 8월 27일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를 통해 전두환을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4]

9월 1일, 제11대 대통령 취임식이 거행되었고, 전두환은 정식으로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다음날 2일에는 남덕우 (박정희 정권 시절 재무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등 요직 역임)를 국무총리로 하는 내각을 발족시켰다.

당시 대통령 선거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에 의한 간접 선거였으며, 입후보를 위해서는 대의원 200명 이상의 추천을 얻어야 했다. 당선자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정되었다.

3. 1. 전두환 지지 분위기 조성

신군부는 8월 초부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에게 접촉해 전두환을 지지하도록 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8월 18일부터 23일까지 각 지역에서 연쇄적으로 열린 모든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회의에서 잇따라 만장일치로 전두환 추대가 결의되었다. 8월 21일 국방부에서 개최된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도 전두환 지지 선언이 발표되는 등, 각 관변 단체에서도 전두환 지지 선언이 나왔다.[5]

3. 2. 전두환 단독 입후보

1980년 8월 25일, 국보위 상임위원장 전두환은 이춘기, 김일환, 정희택, 이정식, 탁병희 등 대의원 737명의 추천을 받아 단독 입후보했다.[6]

3. 3. 통일주체국민회의 투표

1980년 8월 27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가 진행되었다.[6]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12·12 군사반란,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거쳐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은 8월 5일 대장으로 진급 후 8월 22일 퇴역하였다. 한편, 최규하 대통령은 8월 16일 대통령직 사임 성명을 발표하였고, 박충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 결과, 단독 후보였던 전두환 위원장이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

선거인 수와 투표율
선거인 수2,540
투표자 수2,525
기권자 수15
투표율99.4%



당선자 득표율
선거인 수투표수기권 수당선자
합계유효표무효표이름득표수득표율
2,5402,5252,524115전두환2,52499.96%



출처: <표 2-3> 간접선거로 치러진 역대 대통령선거의 선거인수 및 투표 상황, <표 2-4> 간접선거로 치러진 역대 대통령선거의 당선인 득표율. 『대한민국선거사』 제4집, 56~57쪽

4. 선거 결과



투개표 과정은 전례대로 전국에 텔레비전 및 라디오로 생방송되었다. 단일후보였던 전두환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2,540명 중 과반인 2,524표를 얻어 당선되었다.[9]

당선을 위해서는 재적 대의원 과반수의 지지가 필요했다. 2,540명의 대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전두환은 최소 1,271표를 얻어야 했으며, 총 유효 투표수의 99.37%인 2,524표를 획득하였다.

선거인 수와 투표율
선거인 수2,540
투표자 수2,525
기권자 수15
투표율99.4%



당선자 득표율
선거인 수투표수기권 수당선자
합계유효표무효표이름득표수득표율
2,5402,5252,524115전두환2,52499.96%



: 출처: <표 2-3> 간접선거로 치러진 역대 대통령선거의 선거인수 및 투표 상황, <표 2-4> 간접선거로 치러진 역대 대통령선거의 당선인 득표율. 『대한민국선거사』 제4집, 56~57쪽

4. 1. 지역별 대의원 수

대의원 정수는 2,583석이었으나, 그 중 43명이 사망하거나 사퇴하여 재적 대의원 수는 2,540명이었다.[7]

지역재적공석정원
서울3883391
부산1450145
경기도3154319
강원도1483151
충청북도1292131
충청남도2296235
전라북도2021203
전라남도3084312
경상북도36712379
경상남도2828290
제주27027
총계2,540432,583


5. 영향 및 평가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는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전두환은 숙군 쿠데타,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1980년 5월 30일,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상임위원장에 취임한 전두환은, 같은 해 8월 대장으로 진급 후 퇴역하였다.[3]

최규하 대통령은 1980년 8월 16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박충훈 국무총리가 권한 대행을 맡았다. 8월 27일,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에서 전두환은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 1980년 9월 1일, 전두환은 제11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하였고, 다음 날 남덕우를 국무총리로 하는 내각을 구성하였다.

5. 1. 전두환 정권의 출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숙군 쿠데타,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거쳐 정치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중앙정보부 부장 대리(육군 보안사령관 겸임)은 1980년 5월 30일 대통령 자문 및 보좌 기관으로 발족한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국보위)[3]의 상임위원장에 취임했다.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은 1980년 8월 5일, 대장으로 진급한 후 같은 달 22일에 퇴역했다. 한편, 최규하 대통령은 8월 16일에 "이 나라에서의 평화적인 정권 교체의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통령직을 사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갑작스럽게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최규하의 사임으로 박충훈 국무총리가 권한 대행을 맡았고, 8월 27일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투표 결과, 유일한 후보인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을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4]

1980년 9월 1일, 제11대 대통령 취임식이 거행되었고, 전두환은 정식으로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다음날 2일에는 남덕우 (박정희 정권 시절 재무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등 요직 역임)를 국무총리로 하는 내각을 발족시켰다.

참조

[1] 웹사이트 Electoral Politics in South Korea http://library.fes.d[...] Friedrich Ebert Foundation
[2]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s://www.history.[...] 2019-03-29
[3] 문서
[4] 간행물 全斗煥후보 11代大統領당선(全斗煥候補 11代大統領当選) http://gonews.kinds.[...] 東亜日報 1980-08-27
[5] 서적 대한민국 선거사 제5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9
[6] 웹인용 제4공화국의 선거 http://www.jbelectio[...]
[7]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07
[8]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07
[9] 웹인용 12. 제11 대 대통령 선거 (1980.8.27) http://jj.electi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