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9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9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는 1976년 3월 12일에 치러졌다. 국회의장 선거에서는 정일권이, 유신정우회 몫 국회부의장 선거에서는 구태회가, 신민당 몫 국회부의장 선거에서는 이민우가 각각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9대 국회 - 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는 박정희 대통령의 주도하에 결성되어 국민회의 추천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정권의 국회 장악 수단으로 기능하다 박정희 대통령 암살 후 해체된 대한민국의 정치 조직이다.
  • 대한민국 제9대 국회 - 대한민국 제9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제9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는 1973년 3월 12일에 실시되어 민주공화당의 정일권이 국회의장으로, 유신정우회의 김진만과 신민당의 이철승이 국회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유신 체제 하 여당의 국회 장악력과 신민당 내부 갈등을 보여주었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단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1967년 7월 7일과 10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7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의 이효상이 국회의장에, 신민당의 윤제술과 민주공화당의 장경순이 국회부의장에 각각 선출되었으며, 신민당은 윤제술 외에 윤보선 또한 국회부의장 후보로 나서 당내 분열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단 선거 - 대한민국 제8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는 제8대 국회의 국회의장과 부의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백두진, 장경순, 정해영이 각각 국회의장, 민주공화당 몫 부의장, 신민당 몫 부의장에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9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선거 정보
선거명1976년 대한민국 국회의장 선거
국가대한민국
유형대통령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9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3년
선거일1976년 3월 12일
차기 선거대한민국 제10대 국회 전반기 의장단 선거
차기 선거 연도1979년
투표율98.2%
후보
정일권
후보'정일권'
선거구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강원 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정당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득표수'206'
득표율'96.3%'
당선 정보
직책국회의장
선거 전정일권
선거 전 정당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선거 후정일권
선거 후 정당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선거인단재적 국회의원 수 214명
당선을 위해 필요한 표 수108표
국기 이미지

2. 선거 제도

국회의장과 부의장은 국회의원들의 무기명 투표로 선출한다. 만약 1차 투표 결과 재적 의원의 과반수를 득표한 사람이 없으면 2차 투표를 실시한다. 2차 투표에서도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최고 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3차 결선 투표를 실시하며, 이때는 단순 다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한다.

3. 배경

대한민국 제9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정일권과 국회부의장 김진만은 1973년 3월 12일에 선출되었으므로, 3년 임기가 끝나는 1976년 3월 12일에 임기가 만료되는 것에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반면, 또 다른 부의장인 이철승은 이들보다 두 달 늦은 1973년 5월 26일에 선출되었기 때문에 그의 임기 만료일을 언제로 해야 할지를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철승 부의장 자신은 임기 만료 시점을 5월로 주장하면서도,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다른 의장단의 임기 만료에 맞춰 부의장직을 사임하겠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세 의장단 직책 모두 같은 날에 후임자 선거를 치를 수 있게 되었다.[2]

4. 후보

민주공화당은 국회의장 후보로 정일권 의장을 재지명하였고, 국회부의장 후보로는 유신정우회에서 구태회 의원을, 신민당에서 이민우 의원을 각각 지명하였다.[1][3]

4. 1. 국회의장 후보

(내용 없음)

4. 1. 1. 민주공화당

박정희 민주공화당 총재는 3월 8일 여권의 국회의장 후보에 현직의 정일권 의장을 재지명한다고 발표하였다.[1]

4. 2. 국회부의장 후보

유신정우회에서는 구태회 의원을, 신민당에서는 이민우 의원을 각각 국회부의장 후보로 지명하였다.[1][3]

4. 2. 1. 유신정우회

박정희 민주공화당 총재는 3월 8일 여권의 국회부의장 후보에 유신정우회 소속 구태회 의원을 지명한다고 발표하였다.[1]

4. 2. 2. 신민당

당초 신민당 측 국회부의장 후보로는 고흥문, 이충환, 이민우, 정해영, 김원만, 정운갑 등이 거론되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김영삼 신민당 총재와 가까운 이민우 의원과 이충환 의원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2] 결국 김영삼 총재는 3월 12일 아침 의원총회를 열고 이민우 의원을 국회부의장 후보로 지명한다고 발표하였다.[3]

5. 선거 결과

국회의장에는 민주공화당 소속의 정일권 의원이 선출되었다. 국회부의장에는 유신정우회 소속 구태회 의원과 신민당 소속 이민우 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

5. 1. 국회의장 선거

강원도 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지역구의 정일권 민주공화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후보소속득표%비고
정일권민주공화당20696.3당선
김용태민주공화당10.5
무효20.9
결석52.3
재적214100


5. 2. 유신정우회 몫 국회부의장 선거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 선거로 선출된 유신정우회 소속 구태회 의원이 국회부의장으로 당선되었다.


5. 3. 신민당 몫 국회부의장 선거

충청북도 청주시·청원군 지역구의 이민우 신민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후보소속득표%비고
이민우신민당18385.5당선
김영삼신민당115.1
이충환신민당31.4
김형일신민당10.5
문부식신민당10.5
박찬신민당10.5
서영희유신정우회10.5
송원영신민당10.5
이효상민주공화당10.5
무효62.8
결석52.3
재적214100


참조

[1] 웹인용 국회·여당권 요직 개편 확정 https://newslibrary.[...] 2019-07-20
[2] 웹인용 친주류 측 두 의원으로 압축 https://newslibrary.[...] 2019-07-20
[3] 웹인용 내가 욕심낸 것 아니다 해명 https://newslibrary.[...] 2019-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