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정해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정해영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에서 태어나 부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사업가로 활동하며 대동연탄주식회사 사장 등을 역임하며 '석탄왕'으로 불렸고,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공천으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후 총 7선의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정당, 신한당, 신민당 등에서 활동하며 국회 부의장, 부총재 등을 역임했다. 국회의원 은퇴 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아시아문제연구소를 수료하고 중국문화대학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0년에는 트루먼-레이건 자유기업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 9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지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 부산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인 김지태는 동양척식주식회사 근무를 시작으로 제지업과 섬유업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부산일보 사장과 부산상공회의소 초대 회장, 제2, 3대 민의원을 지냈으나, 사사오입 개헌 반대와 부정축재 혐의, 친일 행위 논란으로 재산을 몰수당하는 등 그의 재산 형성 과정과 정치 활동, 박정희 정권과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 연일 정씨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연일 정씨 - 정희택
    정희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 중앙수사국장 등 요직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언론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정해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해영
한자鄭海永
본관迎日 鄭氏
출생일1915년 9월 19일
사망일2005년 11월 11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정치 경력
의원 선수7
의원 대수3·5·6·7·8·9·10
기타

2. 학력

3. 생애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현 울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3][4]

1954년 5월 20일 실시된 제3대 총선에 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1955년 서울 성북동에 동천학사를 설립하여 최형우, 김대호 등 부산·울산 출신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울 유학생들의 생활을 지원했다.[3][4]

이후 총 7선의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의원 은퇴 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아시아문제연구소를 수료하고, 1982년에는 중국문화대학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외에도 한영의회협회 회장, 아시아의원연맹회의 한국측 의장, 한미의회안보회의 대표, 원불교 중앙교회 회장, 국토통일고문, 보은사상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1][3]

2000년 미국 공산주의 희생자 기념 재단의 “트루먼-레이건 자유기업상”을 수상했다.[3] 2005년 11월 11일, 향년 90세로 별세했다.

3. 1. 기업인 활동

1943년 부산대양산업, 1949년 대동연탄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며 19공 연탄을 개발, "석탄왕"으로 불렸다.[3][4]

3. 2. 정치 활동

정해영은 7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63년 민정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사무총장, 1966년 신한당 정책위원회 의장, 1969년 신민당 원내총무·정무위원을 역임했다. 1971년에는 제8대 국회 부의장을 지냈고, 1973년에는 신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1]

3. 2. 1. 초기 정치 경력 (자유당, 무소속)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현 울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창업하여 1943년에 부산대양산업, 1949년에 대동연탄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며 19공 연탄을 개발, “석탄왕”으로 불렸다.[3][4]

1954년 5월 20일 실시된 제3대 총선에 자유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1955년 서울 성북동에 동천학사를 설립하여 최형우, 김대호 등 부산·울산 출신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울 유학생들의 생활을 지원했다.[3][4]

3. 2. 2. 야당 정치인 (민정당, 신한당, 신민당)

1963년 민정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사무총장을 맡았다.[1] 1966년 신한당 정책위원회 의장, 1969년 신민당 원내총무·정무위원을 역임했고, 1971년 제8대 국회 부의장, 1973년 신민당 부총재를 지냈다.[1]

3. 2. 3. 은퇴 후 활동

1963년 민정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사무총장, 1966년 신한당 정책위원회 의장, 1971년 제8대 국회 부의장, 1973년 신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1] 국회의원 은퇴 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아시아문제연구소를 수료하고, 1982년에는 중국문화대학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외에도 한영의회협회 회장, 아시아의원연맹회의 한국측 의장, 한미의회안보회의 대표, 원불교 중앙교회 회장, 국토통일고문, 보은사상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1][3]

4. 수상

2000년 미국 공산주의 희생자 기념 재단에서 트루먼-레이건 자유기업상을 수상했다.[3]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54년총선자유당16,325표 (42.80%)1위당선초선
1958년총선무소속14,703표 (40.68%)2위낙선
1960년총선무소속15,879표 (38.62%)1위당선재선
1963년총선민정당1,870,976표 (20.1%)전국구 2번당선3선
1967년총선신민당3,554,224표 (32.7%)전국구 3번당선4선
1971년총선신민당69,182표 (58.86%)1위당선5선
1973년총선신민당87,384표 (37.95%)1위당선6선
1978년총선신민당119,539표 (38.39%)1위당선7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8-11
[2] 웹사이트 “[부산/경남]“고 정해영 선생이 세운 동천학사 덕에 편히 공부할 수 있었죠” https://www.donga.co[...] 2012-11-14
[3] 웹사이트 정해영(鄭海永) https://encykorea.ak[...] 2023-08-16
[4] 웹사이트 정해영 전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joongang[...] 2005-11-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