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트랜스젠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트랜스젠더는 역사를 거쳐 사회, 문화, 법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를 겪어왔다. 1955년 한국 최초의 성전환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2000년대 초 하리수의 등장으로 트랜스젠더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레이디, 최한빛 등 연예계 활동도 이어졌으나, 2020년 숙명여대 입학 논란, 변희수 하사의 강제 전역 및 사망 사건 등으로 사회적 논쟁이 일기도 했다. 법적으로는 국가인권위원회법에서 성적 지향 및 성별 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나, 엄격한 요건 하에 신분증의 법적 성별 변경이 가능하다. 사회적으로는 유교적 가치관의 영향으로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트랜스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트랜스젠더 - 카토이
    카토이는 태국에서 트랜스젠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게이 남성을 포함하기도 하며, 사회적으로 비교적 폭넓게 수용되지만, 법적, 사회적 차별에 직면하여 관련 운동과 옹호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아시아의 트랜스젠더 - 히즈라 (젠더)
    히즈라는 남아시아 지역에서 제3의 성으로 여겨지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나 식민 시대 이후 차별과 소외를 겪고 있으며, 종교적 혼합주의를 실천하고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존재이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 대한민국 차별금지법
    대한민국 차별금지법은 차별 금지를 위한 법률 제정 시도와 관련되어 2005년 법 제정 추진이 무산된 후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국회 통과에 이르지 못했고, 2020년에는 차별금지법안 및 평등법안이 발의되었으며, 국민 여론은 긍정적이나 세부 내용과 사회적 파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 대한민국 국군의 성적 지향 및 성정체성
    대한민국 국군의 성적 지향 및 성정체성은 군형법과 징병 신체검사 규정으로 인한 성 소수자 차별, 이로 인한 위헌성 및 찬반 논쟁, 그리고 성 소수자 군인들이 겪는 어려움과 인권 단체의 개혁 요구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대한민국의 트랜스젠더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용어트랜스젠더
다른 용어성전환자, 트랜스섹슈얼
정의자신의 성별 정체성이 지정된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 사람
현황
법적 성별 변경대법원의 성별 정정 허가 조건을 충족해야 함
대한민국에서는 비교적 엄격한 기준 요구
성별 정정 요건20세 이상
미혼
자녀가 없을 것
정신과 진단
성전환 수술 완료
법적 권리
차별 금지법대한민국에는 포괄적인 차별 금지법이 부재
성별 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법률은 아직 없음
의료 접근성성별 확인 치료에 대한 접근성은 제한적
건강보험 적용 범위도 좁음
사회적 인식
사회적 인식트랜스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점차 개선되는 추세
여전히 편견과 차별이 존재
미디어미디어에서 트랜스젠더를 다루는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음
긍정적인 묘사와 함께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도 여전히 존재
역사
역사한국의 트랜스젠더 역사는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움
과거에는 여장남자나 남장여자와 같은 형태로 존재
하리수와 같은 유명인의 등장으로 사회적 관심 증가
기타
관련 단체트랜스 해방 전선
한국 성소수자 지원 센터
참고대한민국의 성소수자
트랜스젠더

2. 역사

대한민국에서 트랜스젠더의 존재가 기록된 것은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들이 사회적으로 가시화되고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초기에는 성전환 수술과 같은 개별적인 사례가 기록되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연예계 활동이나 인권 문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트랜스젠더의 존재가 점차 드러나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55년 8월 13일, 서울 적십자병원에서 한국 최초의 성전환 수술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2]

2. 2. 연예계

2000년대 초반부터 대한민국 연예계에는 여러 트랜스젠더들이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가수, 모델, 배우로 활동한 하리수가 있으며, 그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법적으로 성별을 변경한 인물이기도 하다. 하리수는 "나처럼 상처받고 선배와 후배들 사이에서 약간 고립된 많은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마음으로 2009년 6월 서울 압구정동에 "트랜-믹스"라는 공간을 열기도 했다.[3]

하리수의 활동에 영향을 받아, 2005년에는 신애, 사하라, 비누, 유나 4명의 멤버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트랜스젠더 그룹 레이디가 데뷔했다. 레이디는 2007년에 해체되었다. 이후 모델이자 가수인 최한빛이 2016년 걸그룹 머큐리의 멤버로 데뷔하여 활동했다.[4]

2. 3. 2020년대

대한민국 국군은 역사적으로 LGBT로 식별되는 군인들을 차별해 왔다. 2020년에는 두 명의 군인이 합의하에 구강성교를 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는데, 이는 군형법(제92조의6)에 따르면 "강간에 준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군인들은 또한 근무 외 시간에도 이 법 조항에 따라 기소되었다.[5] 트랜스젠더는 군 복무가 허용되지 않는다.

2020년 1월에는 숙명여자대학교성전환 수술을 받은 트랜스여성이 합격했으나, 입학을 둘러싼 찬반 논쟁 끝에 결국 입학을 포기하였다.

변희수(Byun Hui-su), 대한민국 국군에서 복무했던 최초의 공개 트랜스젠더 군인으로, 성전환 수술을 받은 후 '신체 장애' 판정을 받아 2020년 1월 22일 육군에서 강제 전역되었다.


같은 해 1월 22일, 대한민국 육군 하사 변희수성전환 수술을 받았다는 이유로 '신체 장애' 판정을 받아 강제 전역되었다.[6] 그는 대한민국 국군 최초로 공개적으로 복무한 트랜스젠더 군인이었다. 변희수 하사는 이에 불복하여 전역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2020년 4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인 김기홍과 임푸른 후보가 출마했다.

그러나 2021년 2월 24일 김기홍, 같은 해 2월 28일 변희수 하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이후 2021년 10월 7일, 법원은 변희수 하사가 제기했던 전역 취소 소송 1심에서 그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 판결은 트랜스젠더 군인의 권리 보장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3. 병역



대한민국 국군은 역사적으로 LGBT로 식별되는 군인들을 차별해 왔다. 2020년에는 두 명의 군인이 합의 하에 구강성교를 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는데, 이는 군형법 제92조의6(추행)에 따른 조치였다. 해당 조항은 근무 외 시간에 발생한 경우에도 적용되어 기소된 사례가 있어 인권 침해 논란이 있다.[5]

현재 대한민국에서 트랜스젠더는 군 복무가 허용되지 않는다. 변희수 하사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복무했던 최초의 공개 트랜스젠더 군인이었다. 그러나 성전환 수술을 받은 후 '신체 장애' 판정을 받아 2020년 1월 22일 육군에서 강제 전역되었다.[6] 이 사건은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4. 법률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제정되지 않았으나, 국가인권위원회법을 통해 일부 차별에 대한 시정 권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 조항을 성 정체성 및 트랜스젠더에 대한 차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7]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기반한 권고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국가인권위원회는 실질적인 집행 권한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8]

트랜스젠더는 법원 판결을 통해 신분증의 법적 성별을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19세 이상이어야 하고, 미혼 상태이며, 미성년자 자녀가 없어야 한다는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부모의 동의 또한 필요하다. 성인의 성별 변경에 부모 동의를 요구하는 국가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며, 미혼 상태를 증명해야 하는 국가는 대한민국과 일본뿐이다.[9] 또한, 혼인 관계에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 정정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 법적으로 인정되는 성별은 남성과 여성 두 가지뿐이며,[9] 이 외의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맞게 신분증 상의 성별을 변경할 법적 방법이 없다.

한편, 2015년 6월에는 법원이 서울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 금지 통고 처분의 효력을 정지하는 결정을 내렸다. 당시 경찰의 금지 통고는 15년 축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으나, 법원의 결정으로 퍼레이드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었다.[10]

5. 사회와 문화

유교와 그 원리는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원전 2세기 한나라의 공식 국교가 된 이래, 특히 14세기 이후 널리 받아들여진 신유학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모두에서 엄격한 계층적 역할을 강조하였다.[11] 이러한 유교적 배경은 한국 사회에서 성별을 바꾸는 것을 단순히 개인의 정체성 변화를 넘어 사회적 역할의 변경으로 인식하는 경향과 연결되며[9], 이는 개인의 법적 신분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9]

5. 1. 사회적 인식

대한민국 사회에서 개인의 성별은 법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모든 국민에게 부여되는 주민등록번호는 일곱 번째 자리를 통해 성별을 명시하며, 이는 개인 식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9] 이러한 맥락에서 성별 변경은 단순히 개인의 정체성 변화를 넘어 사회적 역할의 변경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가족관계등록부와 같은 법적 신분 기록과 밀접하게 연관된다.[9]

2019년 UCLA 로스쿨 윌리엄스 연구소가 실시한 대한민국 국민 대상 설문조사는 트랜스젠더 권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보여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대다수는 성전환 수술 접근권, 임신 및 출산권, 차별로부터의 정부 보호, 군 복무 권리 등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서는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트랜스젠더 개인이 자신의 성별 정체성과 동일한 성별의 사람과 결혼할 권리, 입양할 권리, 그리고 성 정체성에 맞는 화장실을 사용할 권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지지율을 보였다.[7] 이는 트랜스젠더의 기본적인 권리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영역에서는 여전히 사회적 수용도가 낮음을 시사한다.

의료계 내에서도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식은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일부 의료 전문가들은 트랜스젠더 개인에 대해 강한 부정적 의견을 가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트랜스젠더 및 관련 문제에 대한 지식이 높은 의료 제공자일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의료 제공자들이 오히려 트랜스젠더 관련 데이터 수집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12] 이는 의료 현장에서 트랜스젠더가 겪을 수 있는 잠재적인 어려움을 암시한다.

5. 2. 문학

하성란의 소설 《푸른 수염》에는 트랜스젠더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편 "너의 뒷모습"이 수록되어 있다. 이 캐릭터의 이야기는 일부 비평가들로부터 트랜스포비아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3]

6. 용어


  • 성전환자(性轉換者): 문자 그대로 "성(性)을 바꾸는 사람"을 의미한다.
  • 트랜스젠더(teuraenseujendeo): 영어 단어 "transgender"의 음역이며, 대부분의 구어 및 문어 맥락에서 사용된다.
  • 트젠(teujen): 트랜스젠더의 줄임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ogress is slow for Korea's transgenders https://koreajoongan[...] 2011-05-10
[2] 간행물 Korean Red Cross Annual Report https://data-api.ifr[...] 2017
[3] 웹사이트 하리수, 트렌스젠더 클럽 '믹스 트랜스' 오픈 http://autotimes.han[...]
[4] 웹사이트 트렌스젠더 최한빛 걸그룹 '머큐리'로 데뷔 https://www.huffingt[...] 2016-03-09
[5] 웹사이트 South Korea says consensual sex act between male soldiers 'bordered on rape' http://www.theguardi[...] 2021-06-15
[6] 웹사이트 LGBT rights movement in South Korea facing challenges in law and practice from conservative groups - CIVICUS - Tracking conditions for citizen action https://monitor.civi[...]
[7] 간행물 Public Opinion of Transgender Rights in South Korea https://williamsinst[...] UCLA Williams Institute 2019-11
[8] 웹사이트 FACT SHEET: LGBTQ Rights in South Korea – NQAPIA https://www.nqapia.o[...]
[9] 간행물 The South Korean Gender System: LGBTI in the Contexts of Family, Legal Identity, and the Military https://www.jstor.or[...] 2014
[10] 웹사이트 South Korean court overturns ban on gay pride parade - UCA News https://www.ucanews.[...]
[11] 웹사이트 Confucianism in Ancient Korea https://www.worldhis[...]
[12] 간행물 Korean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 knowledge, and behaviors regarding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 cross-sectional survey 2022-03-30
[13] 웹사이트 The Character's Problem Should not be the Story's Problem: Flowers of Mold by Ha Seong-nan https://koreanlite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