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은 1894년 갑오개혁으로 내각 제도가 도입되면서 신설된 직책으로, 1896년 9월 24일까지 존속했다. 김홍집, 박정양, 김병시, 윤용선 등이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으며, 1907년부터 1910년까지는 이완용이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이후 대한제국은 의정부 의정대신 체제로 전환되었고, 1907년 내각총리대신 직책이 부활하여 이완용이 다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사람 목록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은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만세 시위를 주도한 천도교, 기독교, 불교의 종교 지도자들로, 3·1 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나 일부는 친일 행위로 비판받기도 한다. -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박제순
박제순은 1858년에 태어나 1916년에 사망한 대한제국의 문신으로, 을사오적 및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비판받았으며, 1905년 제2차 한일 협약과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에 서명하여 외교권 박탈에 기여하고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다. -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이완용
이완용은 대한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모두 포함되어 친일 행위로 막대한 재산을 축적했지만, 한일 병합에 기여하고 1926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 총리 목록 - 바하마의 총리
바하마의 총리는 바하마의 정부 수반으로서 하원 다수 의원의 지지를 받는 의원을 총독이 임명하며, 총리실 등의 부처를 관할하고 1955년 수석 장관 직책에서 시작하여 1973년 독립 이후 현재의 총리직으로 이어져 왔으며 현 총리는 2021년 9월 17일에 취임한 필립 데이비스이다. - 총리 목록 -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무원 총리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는 정부의 최고 행정 책임자로서, 국가 경제 및 사회 개발 계획과 예산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책임을 지는 직책으로, 중국 공산당 지도부 내에서 선출된다.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
---|---|
직위 정보 | |
직위명 | 내각총리대신 |
관할 국가 | 대한제국 |
총리 공관 | 총리공관 |
직위 스타일 | 각하 |
임명권자 | 황제 |
임기 | 4년 이하 |
직위 신설 | 1895년 |
직위 폐지 | 1910년 |
초대 총리 | 김홍집 |
상세 정보 | |
로마자 표기 | Naegak Chongri Daeshin |
한자 표기 | 內閣總理大臣 |
2. 조선의 역대 내각총리대신
갑오개혁으로 내각 제도가 도입되면서 조선의 내각총리대신 직책이 신설되었다. 이 직책은 이전의 영의정을 대체하는 것이었다.
1896년 9월 24일부터 1907년 6월 14일 이전까지는 의정부 의정대신이 존재하였다.
의정부 의정대신 | |||||
---|---|---|---|---|---|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1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9월 24일 - 1897년 1월 10일 | ||
2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2월 19일 - 1896년 4월 18일 | ||
3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897년 8월 1일 - 1897년 12월 10일 | ||
4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8년 7월 21일 - 1898년 8월 12일 | ||
5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898년 9월 24일 - 1898년 10월 11일 | ||
6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8년 10월 21일 - 1898년 10월 27일 | ||
7 | |||||
조병세 | 조병세 | 양주 조씨 | 1898년 11월 5일 - 1898년 12월 6일 | ||
임시 서리 | ![]() | 조병직 | 조병직 | 양주 조씨 | 1899년 3월 6일 - 1899년 3월 15일 |
임시 서리 | |||||
신기선 | 신기선 | 평산 신씨 | 1899년 3월 | ||
8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9년 6월 27일 - 1900년 1월 2일 | ||
9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1월 29일 - 1900년 8월 10일 | ||
10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8월 10일 - 1900년 9월 1일 | ||
11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9월 1일 - 1901년 4월 7일 | ||
12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1년 6월 15일 - 1901년 8월 24일 | ||
13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901년 8월 25일 - 1901년 9월 12일 | ||
14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1년 9월 23일 - 1902년 5월 24일 | ||
15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902년 5월 24일 - 1902년 6월 2일 | ||
16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2년 6월 7일 - 1902년 12월 14일 | ||
17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3년 1월 22일 - 1903년 5월 15일 | ||
18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3년 9월 12일 - 1904년 1월 22일 | ||
19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3년 9월 12일 - 1904년 3월 17일 | ||
20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4년 11월 5일 - 1905년 1월 7일 | ||
21 | |||||
민영규 | 민영규 | 여흥 민씨 | 1906년 5월 28일 - 1906년 6월 12일 | ||
22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6월 18일 - 1906년 7월 5일 | ||
23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12월 22일 - 1907년 2월 4일 |
2. 1. 내각총리대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조선의 영의정이었던 김홍집이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면서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직책이 시작되었다.내각총리대신 | |||||
---|---|---|---|---|---|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1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4월 25일 - 1895년 5월 28일 | |
2 | ![]() | 박정양 | 박정양 | 반남 박씨 | 1895년 5월 31일 - 1895년 8월 24일 |
3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8월 24일 - 1895년 10월 8일 | |
4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10월 8일 - 1896년 2월 11일 | |
5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2월 11일 - 1896년 4월 22일 | |
6 |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6년 4월 22일 - 1896년 9월 24일 |
7 | ![]() | 이완용 | 이완용 | 우봉 이씨 | 1907년 6월 14일 - 1910년 8월 22일 |
2. 2. 의정대신
3. 대한제국의 역대 총리대신
대한제국 시기에는 총리 역할을 하는 직책으로 의정대신, 참정대신, 내각총리대신 등이 있었다.
총리대신 | |||||
---|---|---|---|---|---|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1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4년 8월 15일 - 1895년 1월 12일 | |
2 |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1월 12일 - 1895년 4월 25일 | ||
내각총리대신 | |||||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1 |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4월 25일 - 1895년 5월 28일 | ||
2 | 박정양 | 박정양 | 반남 박씨 | 1895년 5월 31일 - 1895년 8월 24일 | |
3 |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8월 24일 - 1895년 10월 8일 | ||
4 | |||||
김홍집 | 김홍집 | 경주 김씨 | 1895년 10월 8일 - 1896년 2월 11일 | ||
5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2월 11일 - 1896년 4월 22일 | |
6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6년 4월 22일 - 1896년 9월 24일 |
이후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은 1907년 6월 14일부터 1910년 8월 22일까지 재임하였다.
3. 1. 의정대신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
1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9월 24일 - 1897년 1월 10일 | ||
2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6년 2월 19일 - 1896년 4월 18일 | ||
3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897년 8월 1일 - 1897년 12월 10일 | ||
4 | |||||
김병시 | 김병시 | 안동 김씨 | 1898년 7월 21일 - 1898년 8월 12일 | ||
5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898년 9월 24일 - 1898년 10월 11일 | ||
6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8년 10월 21일 - 1898년 10월 27일 | ||
7 | |||||
조병세 | 조병세 | 양주 조씨 | 1898년 11월 5일 - 1898년 12월 6일 | ||
임시 서리 | 조병직 | 조병직 | 양주 조씨 | 1899년 3월 6일 - 1899년 3월 15일 | |
임시 서리 | |||||
신기선 | 신기선 | 평산 신씨 | 1899년 3월 | ||
8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899년 6월 27일 - 1900년 1월 2일 | ||
9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1월 29일 - 1900년 8월 10일 | ||
10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8월 10일 - 1900년 8월 24일 | ||
11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0년 9월 1일 - 1901년 4월 7일 | ||
12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1년 6월 15일 - 1901년 8월 24일 | ||
13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901년 8월 25일 - 1901년 9월 12일 | ||
14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1년 9월 23일 - 1902년 5월 24일 | ||
15 | |||||
심순택 | 심순택 | 청송 심씨 | 1902년 5월 24일 - 1902년 6월 2일 | ||
16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2년 6월 7일 - 1902년 12월 14일 | ||
17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3년 1월 22일 - 1903년 5월 15일 | ||
18 | |||||
윤용선 | 윤용선 | 해평 윤씨 | 1903년 9월 12일 - 1904년 1월 22일 | ||
19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3년 9월 12일 - 1904년 1월 22일 | ||
20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4년 1월 25일 - 1904년 3월 17일 | ||
21 | |||||
이근명 | 이근명 | 전의 이씨 | 1904년 11월 5일 - 1905년 1월 7일 | ||
22 | |||||
민영규 | 민영규 | 여흥 민씨 | 1906년 5월 28일 - 1906년 6월 12일 | ||
23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6월 18일 - 1906년 7월 5일 | ||
24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12월 22일 - 1907년 2월 4일 |
3. 2. 참정대신
요약에 언급된 조병식, 심상훈, 한규설, 박제순, 민영규, 조병호는 대한제국 시기 참정대신을 역임한 인물들이다. 주어진 자료에는 이들의 이름만 언급되어 있고, 참정대신 재임 기간에 대한 정보는 없다.자료에 따르면, 민영규와 조병호는 의정부 의정대신을 역임한 기록이 있다.
대 | 사진 | 성명 | 한글 | 본관 | 재임 기간 |
---|---|---|---|---|---|
22 | -- | 민영규 | 민영규 | 여흥 민씨 | 1906년 5월 28일 - 1906년 6월 12일 |
23 |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6월 18일 - 1906년 7월 5일 |
24 | -- | 조병호 | 조병호 | 임천 조씨 | 1906년 12월 22일 - 1907년 2월 4일 |
'의정부 의정대신'과 '참정대신'이 동일한 직책인지, 아니면 다른 직책인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이들이 참정대신을 역임했는지 확신할 수 없다.
3. 3. 내각총리대신
1894년 갑오개혁으로 김홍집이 마지막 영의정에서 새로운 내각총리대신 직책으로 임명되면서, 내각총리대신 제도가 시작되었다.
1910년 한국이 일본 제국에 병합되면서 이 직책은 종말을 맞이했다. 이완용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을사오적과 경술국적 중 한 명이다.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에는 국무총리직이 잠시 부활되었다. 이승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19년에 행정 수반으로 변경되었다가, 1926년까지 다시 국무총리로, 이후 1948년까지는 대통령으로 직책명이 변경되었다.
5. 현대 한국의 총리
현재 분단된 한국에는 대한민국 국무총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무총리가 있다.[1]
5. 1.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는 대한민국의 행정부 2인자로서 대통령을 보좌하고 행정 각 부처를 통할한다.5.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는 현재 분단된 한국의 북쪽에 해당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부 수반이다.참조
[1]
논문
The Government of Korea
https://www.jstor.or[...]
1909
[2]
서적
《고종실록》 34년(1897) 12월 8일 3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