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보좌하고 행정 각 부를 통할하는 최고 행정 책임자이다. 국무총리는 국무회의의 부의장이며,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행한다. 국무총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며, 헌법이나 법률 위반 또는 직무상 범죄를 저지를 경우 국회의 탄핵 소추 대상이 될 수 있다. 역대 국무총리 중에는 두 번 이상 재임하거나, 최장 기간 재임한 경우, 또는 최연소·최고령 취임 기록을 가진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총리 목록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총리 목록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기본 정보
대한민국 국무총리 깃발
국무총리 깃발
직위국무총리
소속대한민국 정부 행정부
국무총리실
지위부통령
약칭해당 없음
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
국무총리 문장
호칭국무총리님 (비공식)
각하 (공식)
각하 (외교)
임명권자대통령
임명 방식대통령이 지명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음
구성원국무회의
국가안전보장회의
관저총리공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임기대통령의 재량에 따름
현직한덕수
현직 취임일2022년 5월 21일
근거 법령대한민국 헌법
직위 생성일1948년 7월 31일
초대 총리이범석
전신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공식 명칭대한민국 국무총리
부총리부총리
연봉₩191,000,000 (한화 약 1억 9천 1백만원)
공식 웹사이트 (영어)국무총리실 영문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국무총리실 한글 웹사이트
다른 명칭
로마자 표기법Gungmuchongni
한글국무총리
한자國務總理
가타카나クンムチョンニ
직무
주요 역할국가 원수인 대통령을 제외하고 대한민국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를 이루는 3부 요인 중 행정부 수반의 역할 수행
구성국회의장(입법부), 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사법부), 국무총리(행정부)
권한대행
권한대행최상목
최상목
최상목
권한대행 취임일2024년 12월 27일
사진
한덕수
한덕수

2. 관련 헌법 조항

대한민국의 헌법에 따르면 국무총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군인은 현역을 면한 후가 아니면 국무총리로 임명될 수 없다.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3. 국무총리의 권한과 역할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는 최고 책임 행정관이며, 대통령이 실질적인 정부 수반이다.[5] 국무총리는 대한민국의 명목상 내각인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다음으로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국무총리는 각 부처를 감독하고, 장관에 대한 추천을 하고, 국무총리의 부의장으로서 대통령을 보좌한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권한대행으로서 대통령 직무를 대행하는 서열 1순위이다. 가장 최근 권한대행을 역임한 사람은 2024년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한 직무정지 기간 동안 한덕수이다. 국무총리의 역할은 의원내각제 국가의 총리보다는 미국 부통령에 더 가깝다.

대통령이 임명했지만 국회의 인준을 아직 받지 못한 국무총리는 비공식적으로 권한대행 국무총리라고 불린다. 이 용어는 사임했지만 임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직 역할로 남아있는 국무총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국무총리는 두 명의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보좌한다. 대한민국 국무총리는 때때로 전문적이거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대통령은 항상 정치인이다.[6]

대한민국 헌법의 규정에 따르면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고, 행정에 관한 대통령의 명령을 받으며, 각 행정기관(부처)을 통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헌법 제86조 제2항). 따라서 대통령이 의장을 맡는 국무회의(일본의 각의에 해당)에서는 부의장을 맡고(제88조 제3항),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무위원(일본의 국무대신에 해당)을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제87조 제1항). 또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도 있다(제87조 제3항). 만약 대통령이 탄핵 등으로 인한 결원이나 사고로 인한 직무 수행 불능 상태에 빠지면 국무총리가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한다(제71조). 한국의 국가공무원법에서는 공무원을 일반직과 특별직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무총리는 특별직의 일부로 취급된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의 유고 및 사고시 대통령의 직무를 임시적으로 이어받아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행정 각부를 통할하고, 지휘할 수 있으며 국무위원을 통솔한다. 또한,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국무를 조정하고 통할한다. 만일 국무총리가 유고시에는 국가 정부조직 법률상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시적으로, 차기 국무총리가 정식으로 임명될때까지 총리직을 대행한다.

3. 1. 탄핵

대한민국 헌법 제65조에 따르면, 국무총리는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하거나 직무상 범죄를 저지른 경우 국회의 탄핵 소추 대상이 될 수 있다.[7] 탄핵소추안은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와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가결된다.[7]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있을 때까지 국무총리의 권한 행사는 정지된다.[7] 헌법재판소는 탄핵 사건을 접수한 후 180일 이내에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7] 심판 결정 선고 전에 피청구인이 이미 직무에서 물러났다면, 해당 사건은 각하된다. 탄핵 결정은 파면에 그치며, 민사상 또는 형사상의 책임이 면제되지 않는다.[7]

4. 명칭

"국무"(國務)는 한자로 "국가의 중요한 일"을 의미하며, "총리"(總理)는 "총리", "수상" 또는 "총재"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어 직함은 문자 그대로 "국무총리"를 뜻하지만, 공식 영어 직함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국어 약칭은 "총리"이다.

5. 국무총리실

국무총리실 (세종특별자치시)


국무총리실은 정부정책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이라는 두 개의 조직으로 구성되며, 각각 장관급인 정부정책조정장관과 차관급인 국무총리실장이 이끈다.

'''정부정책조정실'''은 다음과 같은 업무를 통해 국무총리를 보좌한다.

  • 국무총리실 산하 중앙행정기관의 지휘, 조정 및 감독
  • 주요 국정 정책의 기획 및 조정
  • 사회적 위험, 갈등 및 현안에 대한 정책 관리, 분석 및 평가
  • 규제 개혁의 이행
  •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기타 업무


'''국무총리비서실'''은 다음과 같은 업무를 통해 국무총리를 보좌한다.

  • 국회 관련 활동, 특히 행정부와 여당 간의 협력 사항 담당
  • 국무총리에 대한 국정 자문
  • 국내외 주요 정보 및 상황 관련 사항
  • 민원 관리 및 조정
  • 시민단체 지원 및 협력
  • 국정 관련 국무총리 활동 홍보
  • 국무총리 연설문 및 성명서 작성
  • 정부정책조정실 활동 지원 및 협력
  •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에 대한 의전 및 경호
  • 국무총리 공관 관리
  • 국무총리의 지시에 따른 기타 업무

5. 1. 정부정책조정실



'''정부정책조정실'''은 국무총리실 산하 중앙행정기관의 지휘, 조정 및 감독, 주요 국정 정책의 기획 및 조정, 사회적 위험, 갈등 및 현안에 대한 정책 관리, 분석 및 평가, 규제 개혁의 이행, 국무총리가 특별히 위임하는 기타 업무를 통해 국무총리를 보좌한다.

5. 2. 국무총리비서실



국무총리비서실은 국무총리를 보좌하며, 국회 관련 활동, 국정 자문, 국내외 주요 정보 및 상황 관련 사항, 민원 관리 및 조정, 시민단체 지원 및 협력, 국정 관련 국무총리 활동 홍보, 국무총리 연설문 및 성명서 작성, 정부정책조정실 활동 지원 및 협력, 국무총리 및 주요 인사에 대한 의전 및 경호, 국무총리 공관 관리, 국무총리의 지시에 따른 기타 업무를 담당한다.

6. 급여

국무총리의 연봉은 국회에서 정하며, 2023년 현재 16만 3천 달러이다. 전직 국무총리에게는 평생 연금이 지급된다.

7. 공관

총리 관저는 청와대와 거의 같은 시기인 1990년대 초 건설이 완료된 청니공관이다. 한국 정부 소유이자 운영되며, 건설이 완료된 이후부터 총리 관저로 사용되어 왔다.

8. 역대 국무총리

공화국
(이승만
정권)11이범석 (이범석)
イ ボムソク일본어1948년7월 31일 - 1950년4월 20일서울특별시대리-신성모 (신성모)
a/シン・ソンモ}}1950년4월 21일 - 1950년11월 22일경상남도최초의 국무총리 대리{{ref일본어。22장면 (장면)
チャン・ミョン일본어1950년11월 23일 - 1952년4월 23일서울특별시대리-허정 (허정)
ホ・ジョン일본어1951년11월 6일 - 1952년4월 9일경상남도대리-이윤영 (이윤영)
イ・ユニョン일본어1952년4월 24일 - 1952년5월 5일평안남도33장택상 (장택상)
チャン・テクサン일본어1952년5월 6일 - 1952년10월 5일경상북도대리-백두진 (백두진)
ペク・トゥジン일본어1952년10월 9일 - 1953년4월 23일황해도44백두진 (백두진)
ペク・トゥジン일본어1953년4월 24일 - 1954년6월 17일황해도55변영태 (변영태)
ビョン・ヨンテ일본어1954년6월 27일 - 1954년11월 28일서울특별시임시대리-백한성 (백한성)
ペク・ハンソン일본어1954년11월 18일제2차 헌법 개정에 따라 직책 폐지.


8. 1.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제헌 헌법 초안에서는 정부를 내각책임제로 운영하고자 명목상의 대통령과 총리직을 두었으나, 이후 대한민국 국무총리직은 1948년 7월 31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2주 전에 신설되었다.[13][14] 초대 국무총리는 이범석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총리직이 궐위되었을 때 후임자를 바로 지명하는 대신 총리 서리를 임명하여 정식 총리가 취임하기 전까지 그 직을 수행토록 했는데, 이는 법적 근거가 없어 논란이 되었다.[13][14] 신성모는 이범석 총리 사임 후, 허정백한성은 각각 장면변영태 총리의 해외 체류 기간 동안 총리직을 대리하기 위해 서리로 임명되었다.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서리이윤영(李允榮)1948년 7월 27일 ~ 1948년 7월 31일평북 영변평양숭실사범
초대이범석(李範奭)1948년 8월 2일 ~ 1950년 4월 20일경기 한성
(현 서울)
중국 윈난 육군강무학교
(현 윈난 대학)
서리신성모(申性模)1950년 4월 21일 ~ 1950년 11월 22일경남 의령보성법률전문학교
(현 고려대 법대)
2대장면(張勉)1950년 11월 23일 ~ 1952년 4월 23일경기 한성
(현 서울)
수원고등농림
(현 서울대 농대)
서리허정(許政)1951년 11월 6일 ~ 1952년 4월 9일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보성전문학교
(현 고려대)
서리이윤영(李允榮)1952년 4월 24일 ~ 1952년 5월 5일평북 영변평양숭실사범전문학교
(현 숭실대 기독교학과)
3대장택상(張澤相)1952년 5월 6일 ~ 1952년 10월 5일경북 칠곡
(현 경북 구미)
영국 에딘버러대
직무대행이갑성(李甲成)1952년 10월 5일 ~ 1952년 10월 9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현 연세대 의대)
서리[15]백두진(白斗鎭)1952년 10월 9일 ~ 1953년 4월 23일황해 신천일본 히토쓰바시 대학
4대1953년 4월 24일 ~ 1954년 6월 17일
5대변영태(卞榮泰)1954년 6월 27일 ~ 1954년 11월 28일경기 부천중국 푸젠 셰훠 대
임시 서리백한성(白漢成)1954년 11월 18일 ~ 1954년 11월 28일충남 대전
(현 충남과 분리)
경성법학전문학교
(현 서울대 법대)
내각수반허정(許政)1960년 4월 27일 ~ 1960년 6월 15일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보성전문학교
(현 고려대)


8. 2.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제3차 개헌을 통하여 대통령 중심제에서 내각책임제로 전환한 후 부통령직을 폐지하고 국무총리직을 다시 부활시켰다. 제2공화국 시대에는 의원내각제가 도입되어 국무총리가 최고 권력자가 되었고, 대통령은 명목상의 지위로 전락하였다.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6대허정(許政)1960년 6월 15일~1960년 8월 18일경남 부산(현 경남과 분리)보성전문학교
7대장면(張勉)1960년 8월 19일~1961년 5월 18일경기 한성(현 서울)수원고등농림
군사 쿠데타로 헌정 중단. 이후 1963년까지 국무총리 직함은 내각수반으로 변경됨.
내각수반장도영(張都映)1961년 5월 20일~1961년 7월 2일평북 용천군사영어학교
내각수반송요찬(宋堯讚)1961년 7월 3일~1962년 6월 15일충남 청양미국 지휘참모대
내각수반최덕신(崔德新)1962년 6월 16일~1962년 6월 18일평북 의주육사
내각수반박정희(朴正熙)1962년 6월 18일~1962년 7월 9일경북 선산(현 경북 구미)육사
내각수반김현철(金顯哲)1962년 7월 10일~1963년 12월 16일경기 한성(현 서울)경성고등공업학교


8. 3.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제3공화국 헌법에 의하여 대통령중심제로 돌아왔다.

박정희 정부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8대최두선1963년 12월 17일~1964년 5월 9일경기 한성
(현 서울특별시)
일본 와세다대
9대정일권1964년 5월 10일~1970년 12월 19일러시아 우수리스크군사영어학교
(현 육사)
10대백두진1970년 12월 19일~1971년 6월 3일황해도 신천일본 히토쓰바시 대학
11대김종필1971년 6월 4일~1975년 12월 18일충청남도 부여육사


8. 4.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제4공화국 시기에는 총 4명의 국무총리가 임명되었다. 최규하는 1975년 12월 19일부터 국무총리 서리로 재직하다가 1976년 3월 13일 정식 국무총리가 되었다. 그는 박정희 대통령 사망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대통령에 취임하기 전까지 1979년 12월 5일까지 국무총리직을 수행했다.

신현확은 1979년 12월 13일 국무총리에 취임하여 1980년 5월 21일까지 재임하였다. 그의 취임 전날 12·12 사태가 발생하였다.

박충훈은 1980년 5월 22일부터 1980년 9월 1일까지 국무총리 서리로 재직하였다. 이후 남덕우가 1980년 9월 2일부터 국무총리 서리로, 1980년 9월 22일에는 정식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1982년 1월 3일까지 재임하였다.

8. 5.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대한민국 제5공화국에서는 5명의 국무총리가 임명되었다. 1982년 1월 4일 유창순이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고, 1월 23일 정식 취임하여 1982년 6월 24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김상협이 1982년 6월 24일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고, 9월 21일 정식 취임하여 1983년 10월 14일까지 재임하였다. 진의종은 1983년 10월 14일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고, 10월 17일 정식 취임하여 1985년 2월 18일까지 재임하였다.

1984년 11월 8일부터 1985년 2월 18일까지는 신병현이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 이후 노신영이 1985년 2월 19일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고, 5월 16일 정식 취임하여 1987년 5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1987년 5월 26일부터 7월 13일까지는 이한기가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고, 김정렬이 1987년 7월 14일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된 후 8월 7일 정식 취임하여 1988년 2월 24일까지 재임하였다.

8. 6.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제6공화국에서는 여러 국무총리가 임명되었다.

2014년 4월 27일, 정홍원 국무총리는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2] 후임자 지명이 실패함에 따라 2015년 2월까지 직무를 수행하였다.

2015년 1월 23일, 박근혜 대통령은 새누리당 원내대표 이완구를 신임 국무총리로 지명하였다. 이완구2015년 2월 16일 국회에서 국무총리로 인준되었으나,[3] 같은 해 4월 20일, 뇌물 수수 스캔들 속에서 대통령에게 사임 의사를 밝혔다.[4]


6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권)
대리-이현재 (이현재)
イ・ヒョンジェ일본어
1988년2월 25일 - 1988년3월 1일충청남도
2020이현재 (이현재)
イ・ヒョンジェ일본어
1988년3월 2일 - 1988년12월 4일
대리-강영훈 (강영훈)
カン・ヨンフン일본어
1988년12월 5일 - 1988년12월 15일평안북도
2121강영훈 (강영훈)
カン・ヨンフン일본어
1988년12월 16일 - 1990년12월 26일평안북도
대리-노재봉 (노재봉)
ノ・ジェボン일본어
1990년12월 27일 - 1991년1월 22일경상남도
2222노재봉 (노재봉)
ノ・ジェボン일본어
1991년1월 23일 - 1991년5월 23일경상남도
대리-정원식 (정원식)
チョン・ウォンシク일본어
1991년5월 24일 - 1991년7월 7일
2323정원식 (정원식)
チョン・ウォンシク일본어
1991년7월 8일 - 1992년10월 7일
2424현승종 (현승종)
ヒョン・スンジョン일본어
1992년10월 8일 - 1993년2월 24일평안남도
문민
정부
(김영삼
정권)
2525황인성 (황인성)
ファン・インソン일본어
1993년2월 25일 - 1993년12월 16일전라북도
2626이회창 (이회창)
イ・フェチャン일본어
1993년12월 17일 - 1994년4월 21일충청남도
2727이영덕 (이영덕)
イ・ヨンドク일본어
1994년4월 30일 - 1994년12월 16일평안남도
2828이홍구 (이홍구)
イ・ホング일본어
1994년12월 17일 - 1995년12월 17일서울특별시
2929이수성 (이수성)
イ・スソン일본어
1995년12월 18일 - 1997년3월 4일경상북도
3030고건 (고건)
コ・ゴン일본어
1997년3월 5일 - 1998년3월 2일전라북도
국민의
정부
(김대중
정권)
대리-김종필 (김종필)
キム・ジョンピル일본어
1998년3월 3일 - 1998년8월 17일
31-김종필 (김종필)
キム・ジョンピル일본어
1998년8월 18일 - 2000년1월 12일2차.
3231박태준 (박태준)
パク・テジュン일본어
2000년1월 13일 - 2000년5월 18일경상남도
대리-이한동 (이한동)
イ・ハンドン일본어
2000년5월 23일 - 2000년6월 28일경기도
3332이한동 (이한동)
イ・ハンドン일본어
2000년6월 29일 - 2002년7월 10일
대리-장상 (장상)
チャン・サン일본어
2002년7월 11일 - 2002년7월 31일
대리-장대환 (장대환)
チャン・デファン일본어
2002년8월 9일 - 2002년8월 28일서울특별시
대리-김석수 (김석수)
キム・ソクス일본어
2002년9월 10일 - 2002년10월 4일경상남도
3433김석수 (김석수)
キム・ソクス일본어
2002년10월 5일 - 2003년2월 26일
참여
정부
(노무현
정권)
35-고건 (고건)
コ・ゴン일본어
2003년2월 27일 - 2004년5월 24일2차. 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중, 대통령 권한 대행.
3634이해찬 (이해찬)
イ・ヘチャン일본어
2004년6월 30일 - 2006년3월 15일충청남도
권한대행-한덕수 (한덕수)
ハン・ドクス일본어
2006년3월 16일 - 2006년4월 19일전라북도
3735한명숙 (한명숙)
ハン・ミョンスク일본어
2006년4월 20일 - 2007년3월 7일평안남도평양시최초의 여성 총리
권한대행-권오규 (권오규)
クォン・オギュ일본어
2007년3월 7일 - 2007년3월 9일강원도
3836한덕수 (한덕수)
ハン・ドクス일본어
2007년3월 9일 - 2008년2월 24일
이명박
정권
3937한승수 (한승수)
ハン・スンス일본어
2008년2월 25일 - 2009년9월 28일강원도
4038정운찬 (정운찬)
チョン・ウンチャン일본어
2009년9월 29일 - 2010년8월 11일충청남도
권한대행-윤증현 (윤증현)
ユン・ジュンヒョン일본어
2010년8월 11일 - 2010년10월 1일경상남도
4139김황식 (김황식)
キム・ファンシク일본어
2010년10월 1일 - 2013년2월 26일전라남도
박근혜
정권
4240정홍원 (정홍원)
チョン・ホンウォン일본어
2013년2월 26일 - 2015년2월 17일경상남도
4341이완구 (이완구)
イ・ワング일본어
2015년2월 17일 - 2015년 4월 27일충청남도
권한대행-최경환 (최경환)
チェ・ギョンファン일본어
2015년4월 27일 - 2015년6월 18일경상북도
4442황교안 (황교안)
ファン・ギョアン일본어
2015년6월 18일 - 2017년5월 11일서울특별시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중, 대통령 권한 대행
문재인
정권
권한대행-유일호 (유일호)
ユ・イルホ일본어
2017년5월 11일 - 2017년5월 31일서울특별시
4543이낙연 (이낙연)
イ・ナギョン일본어
2017년5월 31일 - 2020년1월 14일전라남도
4644정세균 (정세균)
チョン・セギュン일본어
2020년1월 14일 - 2021년4월 16일전라북도
권한대행-홍남기 (홍남기)
ホン・ナムギ일본어
2021년4월 16일 - 2021년5월 13일강원도
4745김부겸 (김부겸)
キム・ブギョム일본어
2021년5월 14일 - 2022년5월 11일경상북도
윤석열
정권
권한대행-추경호 (추경호)
チュ・ギョンホ일본어
2022년5월 12일 -2022년5월 20일경상북도
48-한덕수 (한덕수)
ハン・ドクス일본어
2022년5월 21일 - (직무정지)전라북도2차.
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중, 대통령 권한 대행
권한대행-최상목 (최상목)
チェ・サンモク일본어
2024년12월 27일 - (현직)서울특별시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중, 대통령 권한 대행


8. 6. 1.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에서는 총 5명의 국무총리가 임명되었다. 초대 국무총리는 이현재로, 1988년 2월 25일부터 1988년 12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현재는 충남 홍성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현재의 후임으로는 강영훈이 임명되어 1988년 12월 16일부터 1990년 12월 26일까지 재임하였다. 강영훈은 평북 창성 출신으로 군사영어학교(현 육사)를 졸업했다.

강영훈의 사임 이후, 노재봉이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1991년 1월 23일부터 1991년 5월 23일까지 재임하였다. 노재봉은 경남 마산(현 경남 창원)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노재봉의 후임으로는 정원식이 임명되어 1991년 7월 8일부터 1992년 10월 7일까지 재임하였다. 정원식은 황해 재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노태우 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는 현승종으로, 1992년 10월 8일부터 1993년 2월 24일까지 재임하였다. 현승종은 평남 개천 출신으로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을 졸업했다.

8. 6. 2. [[김영삼 정부]]

김영삼 정부 (문민정부)에서는 총 6명의 국무총리가 임명되었다.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25대황인성1993년 2월 25일~1993년 12월 16일전북 무주육사
26대이회창1993년 12월 17일~1994년 4월 22일황해 서흥서울대
직무대행정재석1994년 4월 22일~1994년 4월 29일전북 장수서울대
27대이영덕1994년 4월 29일~1994년 12월 16일평남 강서서울대
28대이홍구1994년 12월 17일~1995년 12월 17일경기 고양서울대
29대이수성1995년 12월 18일~1997년 3월 4일함남 함흥서울대
30대고건1997년 3월 5일~1998년 3월 3일전북 옥구서울대

8. 6. 3. [[김대중 정부]]

김대중 정부의 국무총리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서리김종필(金鍾泌)1998년 3월 3일~1998년 8월 17일충남 부여육사
31대1998년 8월 18일~2000년 1월 12일
32대박태준(朴泰俊)2000년 1월 13일~2000년 5월 19일경남 양산육사
직무대행[16]이헌재(李憲宰)2000년 5월 19일~2000년 5월 23일중국 상하이서울대
서리이한동(李漢東)2000년 5월 23일~2000년 6월 28일경기 포천서울대
33대2000년 6월 29일~2002년 7월 10일
서리장상(張裳)2002년 7월 11일~2002년 7월 31일평북 용천이화여대
직무대행전윤철(田允喆)2002년 8월 1일~2002년 8월 8일전남 목포서울대
서리장대환(張大煥)2002년 8월 9일~2002년 8월 28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
직무대행전윤철(田允喆)2002년 8월 29일~2002년 9월 9일전남 목포서울대
서리김석수(金碩洙)2002년 9월 10일~2002년 10월 4일경남 하동연세대
34대2002년 10월 5일~2003년 2월 26일


8. 6. 4. [[노무현 정부]]

2003년 2월 27일부터 2004년 5월 24일까지 고건 총리가 재임하였다. 고건 총리는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동안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기도 했다.[8]

2004년 5월 24일부터 2004년 6월 29일까지는 이헌재 총리 직무대행이 재임했다. 이헌재 직무대행은 중국 상하이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2004년 6월 30일부터 2006년 3월 15일까지는 이해찬 총리가 재임하였다. 이해찬 총리는 충남 청양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2006년 3월 16일부터 2006년 4월 19일까지는 한덕수 총리 직무대행이 재임하였다. 한덕수 직무대행은 전북 전주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2006년 4월 20일부터 2007년 3월 7일까지는 한명숙 총리가 재임하였다. 한명숙 총리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총리로, 평양 출신이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2007년 3월 7일부터 2007년 4월 2일까지는 권오규 총리 직무대행이 재임하였다. 권오규 직무대행은 강원 강릉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2007년 4월 3일부터 2008년 2월 29일까지는 한덕수 총리가 재임하였다.

8. 6. 5. [[이명박 정부]]

2008년 2월 29일부터 2009년 9월 28일까지 한승수 총리가 재임하였다. 한승수 총리는 강원도 춘천 출신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였다.[8]

2009년 9월 29일부터 2010년 8월 10일까지는 정운찬 총리가 재임하였다. 정운찬 총리는 충청남도 공주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2010년 8월 10일부터 2010년 9월 30일까지는 윤증현 총리 권한대행이 직무를 수행했다. 윤증현 권한대행은 경상남도 마산(현 창원)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2010년 10월 1일부터 2013년 2월 26일까지는 김황식 총리가 재임하였다. 김황식 총리는 전라남도 장성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8. 6. 6. [[박근혜 정부]]

2013년 2월 26일부터 2015년 2월 16일까지 정홍원이 국무총리직을 수행했다.[2] 정홍원경상남도 하동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다.

2014년 4월 27일, 정홍원 국무총리는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후임자 지명이 실패하면서 2015년 2월까지 직무를 계속 수행했다.[2]

2015년 1월 23일, 박근혜 대통령은 새누리당 원내대표였던 이완구를 신임 국무총리로 지명했다. 이완구2015년 2월 16일 국회에서 국무총리로 인준되었으나,[3] 같은 해 4월 20일, 뇌물 수수 스캔들로 인해 대통령에게 사임 의사를 밝혔다.[4] 이완구충청남도 청양군 출신이며,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다.

2015년 4월 27일부터 2015년 6월 17일까지 최경환이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 최경환경상북도 경산시 출신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2015년 6월 18일, 황교안이 국무총리로 취임하여 2017년 5월 11일까지 재임하였다. 황교안서울특별시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 기간 동안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다.

8. 6. 7.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의 국무총리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
직무대행유일호(柳一鎬)2017년 5월 11일~2017년 5월 31일서울서울대
45대이낙연(李洛淵)2017년 5월 31일~2020년 1월 13일전남 영광서울대
46대정세균(丁世均)2020년 1월 14일~2021년 4월 16일전북 진안고려대
직무대행홍남기(洪楠基)2021년 4월 16일~2021년 5월 13일강원 춘천한양대
47대김부겸(金富謙)2021년 5월 14일~2022년 5월 11일경북 상주서울대


8. 6. 8. [[윤석열 정부]]

2022년 5월 12일부터 5월 20일까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았다. 추경호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2022년 5월 21일, 한덕수가 제48대 국무총리로 취임했다. 한덕수는 전라북도 전주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2024년 12월 27일부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최상목은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9. 역대 임명동의안 국회 표결 결과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헌법 제86조 제1항). 대통령이 임명 대상자에 대한 국무총리 임명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국회가 인사청문회와 투표를 거쳐 가결한 후 대통령이 임명 대상자를 공식 임명하는 절차이다. 이때 국회에서는 재적 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승인된다(국회법 제112조). 의원내각제와 달리, 국무총리는 국회의원일 필요가 없다. 단, 현역 한국군 군인은 국무총리로 임명될 수 없다(제86조 제3항).

제2공화국 국회는 양원제로, 국무총리 인준권을 가졌던 민의원의 표결을 기재하였다. 허정 국무총리는 헌법 부칙에 따라 수석국무위원에서 그대로 총리로 자동 취임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표결이 진행되지 않았다. 제3공화국 헌법에는 국무총리 임명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이 존재하지 않아 임명 동의 표결이 진행되지 않았다.

임명권자후보자날짜투표 결과결과국회
기권무효
이승만이윤영1948년 7월 27일591322제헌
이범석1948년 8월 2일110843
이윤영1950년 4월 6일68843
백낙준1950년 11월 3일211002제2대
장면1950년 11월 23일1486
장택상1952년 5월 6일95811
이윤영1952년 10월 17일351283
이갑성1952년 11월 20일76943
백두진1953년 4월 24일1036421
변영태1954년 6월 28일1571788제3대
윤보선김도연1960년 8월 17일1111121제5대
장면1960년 8월 19일1171071
박정희김종필1973년 3월 13일170375제9대
최규하1976년 3월 13일163346
최규하신현확1979년 12월 12일143제10대
전두환남덕우1980년 9월 22일15716111
유창순1982년 1월 23일2361413제11대
김상협1982년 9월 21일225288
진의종1983년 10월 17일2104476
노신영1985년 5월 16일1551311제12대
김정렬1987년 8월 7일1447216
노태우이현재1988년 3월 2일1951861
강영훈1988년 12월 16일160101231제13대
노재봉1991년 1월 21일189694
정원식1991년 7월 8일20365
현승종1992년 10월 8일266911제14대
김영삼황인성1993년 2월 25일1885
이회창1993년 12월 16일2203622
이영덕1994년 4월 29일17010
이홍구1994년 12월 17일177341
이수성1995년 12월 18일2063613
고건1997년 3월 4일1985134제15대
김대중김종필1998년 8월 17일17165712
박태준2000년 1월 13일17410032
이한동2000년 6월 29일13913021제16대
장상2002년 7월 31일10014211
장대환2002년 8월 28일1121513
김석수2002년 10월 5일2103126
노무현고건2003년 2월 26일163812
이해찬2004년 6월 29일200845제17대
한명숙2006년 4월 19일1827732
한덕수2007년 4월 2일210519
이명박한승수2008년 2월 29일1749411
정운찬2009년 9월 28일164931제18대
김황식2010년 10월 1일169714
박근혜정홍원2013년 2월 26일197679제19대
이완구2015년 2월 16일1481285
황교안2015년 6월 18일1561202
문재인이낙연2017년 5월 31일1642022제20대
정세균2020년 1월 13일16410914
김부겸2021년 5월 13일168512제21대
윤석열한덕수2022년 5월 20일208366


10. 기록

; 두 번 재직

장면은 2대와 7대, 백두진은 4대와 10대, 김종필은 11대와 31대, 고건은 30대와 35대, 한덕수는 38대와 48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 재직 일수 관련

; 최장기 순위(단일 재직 일수)



; 최장기 순위(재임 재직 일수)

; 최단기 순위

; 취임 연령 관련

; 최고령 순위

; 최연소 순위

10. 1. 두 번 재직

장면은 2대와 7대, 백두진은 4대와 10대, 김종필은 11대와 31대, 고건은 30대와 35대, 한덕수는 38대와 48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10. 2. 재직 일수 관련

; 최장기 순위(단일 재직 일수)

; 최장기 순위(재임 재직 일수)

; 최단기 순위

; 취임 연령 관련

; 최고령 순위

; 최연소 순위

10. 2. 1. 최장기 순위(단일 재직 일수)

10. 2. 2. 최장기 순위(재임 재직 일수)

정일권 - 2,416일

김종필 - 2,172일(두 번 재직)

최규하 - 1,363일

한덕수 - (두 번 재직)

이낙연 - 959일

10. 2. 3. 최단기 순위

10. 3. 취임 연령 관련

; 최고령 순위

; 최연소 순위

10. 3. 1. 최고령 순위

10. 3. 2. 최연소 순위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s annual salary set at W225m http://www.koreahera[...] 2018-01-16
[2] 웹사이트 S. Korean PM resigns over government response to ferry disaster https://www.asiaone.[...] 2016-09-29
[3] 웹사이트 Parliament endorses PM nominee http://english.yonha[...] 2016-09-29
[4] 뉴스 S. Korean PM to resign after 2 months amid bribe scandal http://the-japan-new[...] 2015-04-21
[5] 웹사이트 Government > Executive Branch http://eng.pmo.go.kr[...]
[6] 웹사이트 Government > Organization Chart http://eng.pmo.go.kr[...]
[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moleg.go.[...] South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12-26
[8] 뉴스 訃報欄 1974-09-09
[9] 뉴스인용 청와대, 헌재소장 의전서열 국무총리 앞으로 https://www.lawtimes[...] 2006-04-01
[10] 뉴스인용 총리는 헌법재판소장 뒤에 앉아야…靑, '의전서열' 변경 https://n.news.naver[...] 2006-03-31
[11] 뉴스 “청와대 의전서열 헌재소장·총리順” https://n.news.naver[...] 2006-04-01
[12] 뉴스 <'3부요인 및 헌법기관장' 명칭과 의전서열> https://n.news.naver[...] 2006-03-29
[13] 웹인용 '총리서리제도' 또 다시 위헌논란 https://www.lawtimes[...] 2020-09-24
[14] 웹인용 새정부 초대총리 좌초 제헌국회 이후 65년만에 처음 https://www.yna.co.k[...] 2020-09-24
[15] 기타 6·25 전시 체제 당시 임시 총리 서리
[16] 뉴스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http://www.donga.com[...] 2007-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