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해협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해협 해전은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백두산함이 북한 무장 수송선을 격침시킨 해전이다. 북한의 남침 당시, 북한 해군은 766 독립 보병 연대 병력 600명을 태운 무장 수송선을 부산으로 침투시키려 했다. 백두산함은 이 수송선을 발견하고 교전 끝에 격침시켰으며, 이 승리로 부산 방어에 기여하여 한국 전쟁 초기 대한민국의 전략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 전쟁의 해전 - 한강 해전 (1951년)
한강 해전은 한국전쟁 중 유엔 해군이 한강 하구에서 중공군과 벌인 해상 전투로, 유엔 해군이 포격 지원을 시도했으나 중공군의 공격으로 어려움을 겪어 결국 작전을 중단하게 된 사례이다. - 6.25 전쟁의 해전 - 주문진항 해전
주문진항 해전은 1950년 한국 전쟁 초기에 동해 주문진 인근 해상에서 유엔군이 북한 해군 어뢰정 및 화물선을 격침시켜 승리한 해전으로, 유엔군의 제해권 확보와 북한군의 해상 수송 차질에 기여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해전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고속정이 침몰한 해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발생하여 관심이 낮았으나 사후 정부 차원의 기념 행사 격상 및 관련 특별법 제정 등의 조치가 있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해전 -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발생한 대청해전은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과 조준 사격으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대응 사격으로 마무리되었으며, 남북 관계 경색과 교전 수칙 논란, 북한 피해 규모 은폐 의혹을 낳았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해전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고속정이 침몰한 해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발생하여 관심이 낮았으나 사후 정부 차원의 기념 행사 격상 및 관련 특별법 제정 등의 조치가 있었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해전 -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발생한 대청해전은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과 조준 사격으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대응 사격으로 마무리되었으며, 남북 관계 경색과 교전 수칙 논란, 북한 피해 규모 은폐 의혹을 낳았다.
대한해협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명칭 | 대한해협 해전 |
관련 전쟁 | 6.25 전쟁 |
시기 |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
장소 |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대한해협 앞바다 |
결과 | 대한민국의 승리 |
세부 결과 | 부산 수비 성공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대한민국 | 김성삼 통제부 사령관 대령, 김충남 제2정대 사령관 중령, 김두찬 묵호경비부 사령관 중령, 최용남 PC 701함장 중령, 양해경 YMS 512함장 소령, 박창제 YMS 518함장 소령, 김상도 YMS 509함장 소령 |
조선인민군 | 불명 |
병력 규모 | |
대한민국 | 구잠정 1척 |
조선인민군 | 증기선 1척 |
사상자 규모 | |
대한민국 | 조선인민군 85mm 포탄 1발 PC-701 백두산함 조타실에 피격, 2명 전사, 2명 부상 |
조선인민군 | 1000톤 수송함 격침, 600명 익사 |
관련 이미지 | |
![]() |
2. 전투 배경
2. 1. 한국 전쟁 발발
2. 2. 조선인민군의 해상 침투
2. 3.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
3. 전투 과정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다.[3][7] 침공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동남쪽 해안을 따라 제766독립보병연대 병력 600명을 포함한 군대를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다.[4][8] 이들은 85mm 함포 및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0톤급 상선을 이용했다.
대한민국 해군 최초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6월 25일 오후 3시 진해 해군본부 명령에 따라 긴급 출항했다. 18시 30분 오륙도 등대를 지나 북상하던 중, 20시 12분 영일만 부근에서 우현 45도 수평선쪽에서 검은 연기를 발견했다. 밤 9시 30분,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괴선박을 발견하고 국제기준에 따라 검문을 시도했지만, 반응이 없었다.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탐색등을 켜자, 괴선박 갑판에는 대포로 보이는 물체가 포장되어 있었고,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원들과 중갑판 양쪽에 중기관총 2정이 배치되어 있었다. 26일 00시 30분경 백두산함이 3인치 함포를 발포하자, 북한 무장수송선은 즉각 백두산함의 함교를 공격했다.[5] 이 공격으로 71포 탄약수 전병익 이등병조, 조타수 김창학 삼등병조가 사망했고 김종식 소위는 중상을 입었다.
백두산함은 3인치 함포 20발 중 5발을 적함에 명중시켰다. 1시간 이상 교전 끝에 6월 26일 새벽 1시 38분, 북한 무장수송선은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다.[5] 이 승리로 부산을 지켜낼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 전쟁 초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성과였다.[1]
3. 1. 무장 수송선 발견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다.[3][7] 침공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동남쪽 해안을 따라 제766독립보병연대 소속 600명의 군인들을 포함한 병력을 투입하는 임무를 맡았다.[4][8] 이들은 85mm 함포 및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0톤급 상선을 이용했다.[4]대한민국 해군 최초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진해 해군본부 명령에 따라 6월 25일 오후 3시 긴급출항했다. 18시 30분을 지나 부산 오륙도 등대를 통과하면서 북쪽으로 침로를 잡고 북상하던 중, 20시 12분 영일만 부근(북위 35도 15분, 동경 129도 31분)에서 우현 45도 수평선쪽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는 괴선박을 발견했다. 밤 9시 30분,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이었다.[4][9]
백두산함은 국제기준에 따라 검문을 시작하였지만, 괴선박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탐색등을 켜자, 괴선박의 갑판 앞쪽에는 대포로 보이는 커다란 물체가 포장되어 있었고, 갑판에는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원들이 앉아 있었으며, 중갑판 양쪽에는 중기관총 2정이 배치되어 있었다.
3. 2. 교전 시작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다.[3][1] 침공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동남부 해안에 병력을 투입하는 임무를 맡았다.[3] 1,000톤급 상선은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766 독립 보병 연대의 병사 600명을 태우고 있었다.[4][8]대한민국 해군 최초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진해 해군본부 명령에 따라 6월 25일 오후 3시 긴급출항했다. 18시 30분을 지나 부산 오륙도 등대를 통과하면서 북상하던 중, 20시 12분 영일만 부근(북위 35도 15분 동경 129도 31분)에서 우현 45도 수평선쪽에서 검은 연기를 발견했다. 밤 9시 30분,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백두산함은 이 괴선박을 발견하고 국제기준에 따라 검문을 시작했지만,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했다.[4][9]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탐색등을 켜자, 괴선박의 갑판 앞쪽에는 대포로 보이는 커다란 물체가 포장되어 있었고, 갑판에는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원들과 중갑판 양쪽에 중기관총 2정이 배치되어 있었다. 북한 무장수송선은 즉각 백두산함의 함교를 공격했고, 26일 00시 30분 경 백두산함이 3인치 함포를 발포하며 교전이 시작되었다.[5][10]
3. 3. 백두산함의 피해와 반격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다.[3][7]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동남쪽 해안을 따라 766 독립보병연대 소속 600명의 군인들을[4][8] 85mm 함포 및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0톤급 상선에 태워 투입하려 했다.[3]대한민국 해군 최초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진해 해군본부 명령에 따라 6월 25일 오후 3시 긴급출항했다. 18시 30분을 지나 부산 오륙도 등대를 통과하면서 북상하던 중, 20시 12분 영일만 부근에서 우현 45도 수평선쪽에서 검은 연기를 발견했다. 밤 9시반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괴선박을 발견하고 국제기준에 따라 검문을 시작했지만,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했다.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탐색등을 켜자, 괴선박의 갑판에는 대포로 보이는 물체가 포장되어 있었고,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원들과 중갑판 양쪽에 중기관총 2정이 배치되어 있었다. 북한 무장수송선은 즉각 백두산함의 함교를 공격했고, 이로 인해 조타수 김창학 삼등병조, 71포 탄약수 전병익 이등병조가 사망했고 김종식 소위는 중상을 입었다.
26일 00시 30분 경 백두산함이 3인치 함포를 발포, 20발을 쏴서 5발을 적함에 맞췄다. 1시간 이상 교전 끝에 6월 26일 새벽 1시 38분, 북한 무장수송선은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다.[4]
이 승리는 부산이 함락될 위기를 막는 등 큰 전략적 이득을 가져왔다.[1]
3. 4. 무장 수송선 격침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다.[3][7] 침공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동남쪽 해안을 따라 제766독립보병연대 병력 600명을 포함한 군대를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다.[4][8] 이들은 85mm 함포 및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0톤급 상선을 이용했다.대한민국 해군 최초 전투함인 백두산함은 6월 25일 오후 3시 진해 해군본부 명령에 따라 긴급 출항했다. 18시 30분 오륙도 등대를 지나 북상하던 중, 20시 12분 영일만 부근에서 우현 45도 수평선쪽에서 검은 연기를 발견했다. 밤 9시 30분,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괴선박을 발견하고 국제기준에 따라 검문을 시도했지만, 반응이 없었다.
백두산함 승조원들이 탐색등을 켜자, 괴선박 갑판에는 대포로 보이는 물체가 포장되어 있었고,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원들과 중갑판 양쪽에 중기관총 2정이 배치되어 있었다. 26일 00시 30분경 백두산함이 3인치 함포를 발포하자, 북한 무장수송선은 즉각 백두산함의 함교를 공격했다.[5] 이 공격으로 71포 탄약수 전병익 이등병조, 조타수 김창학 삼등병조가 사망했고 김종식 소위는 중상을 입었다.
백두산함은 3인치 함포 20발 중 5발을 적함에 명중시켰다. 1시간 이상 교전 끝에 6월 26일 새벽 1시 38분, 북한 무장수송선은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다.[5] 이 승리로 부산을 지켜낼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 전쟁 초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성과였다.[1]
4. 전투 결과 및 영향
한국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규모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전역을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갔다.[3] 이 해전의 승리는 주요한 전략적 이득을 가져왔는데, 부산은 매우 중요했지만 방어가 취약했기 때문이다. 만약 부산이 함락되었다면 조선인민군은 대한민국을 완전히 점령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갔을 것이다.[1]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백두산함은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766 독립 보병 연대의 병사 600명을 태운 북한의 1,000톤급 증기선을 발견했다.[4] ''백두산함''은 신호등으로 교신을 시도했으나 응답이 없었고, 탐조등을 켜자 북한군은 먼저 사격을 가해 ''백두산함''의 함교에 명중시켜 타수가 사망하고 당직 사관이 중상을 입었다.[5][10] ''백두산함''은 3인치 대공포와 6정의 50구경 기관총으로 반격했고, 북한군이 피해를 입고 교전을 피하려 했지만, ''백두산함''의 추격을 받아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으며,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5]
비록 우발적이고 소규모의 전투였지만, 대한해협 해전은 한국 측에 큰 전략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특히, 부산 상륙을 시도하던 북한군 766 독립 보병 연대 병력 600명을 태운 증기선을 격침함으로써, 부산 방어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당시 부산은 방어가 취약했기 때문에, 북한군의 상륙을 허용했다면 대한민국 전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었다.
4. 1. 부산 방어 성공
한국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규모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전역을 함락할 뻔한 위협이었다.[3] 침공 당시,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766 독립 보병 연대의 병사 600명을 태운 1,000톤급 북한 상선이 한반도 동남부 해안에 병력을 투입하려 했다.[4]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백두산함은 새벽녘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증기선을 발견했다.[4] 백두산함은 이전에는 미국에서 운용되던 함선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선두 함선이었다.[5] 백두산함은 신호등으로 교신을 시도했지만 응답이 없었고, 탐조등을 켜자 북한군은 먼저 사격을 가해 타수가 사망하고 당직 사관이 중상을 입었다.[5] 백두산함은 3인치 대공포와 6정의 50구경 기관총으로 반격했다.[5] 북한군이 피해를 입기 시작하자, 교전을 피하려 했지만, 백두산함의 추격을 받아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으며,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1]
이 승리는 주요한 전략적 이득을 가져왔다. 부산은 매우 중요했지만 방어가 취약했는데, 만약 함락되었다면 북한군은 대한민국을 완전히 점령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갔을 것이다.[1]
4. 2. 대한민국 해군의 사기 진작
한국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규모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전역을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갔다.[3] 이 침공에서 조선인민군 해군은 한반도 남서부 해안에 병력을 상륙시키려 했다.[7]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766 독립 보병 연대의 병사 600명을 태운 1,000톤급 북한의 상선이 부산으로 향했다.[4][8]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백두산함은 새벽녘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이 증기선을 발견했다.[4][9] ''백두산함''은 신호등으로 교신을 시도했으나 응답이 없었고, 탐조등을 켜자 북한군은 먼저 사격을 가해 ''백두산함''의 함교에 명중시켰다. 타수가 사망하고 당직 사관이 중상을 입었으나, ''백두산함''은 3인치 대공포와 6정의 50구경 기관총으로 반격했다.[5][10] 북한군이 피해를 입고 도주를 시도했지만, ''백두산함''의 추격을 받아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으며,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승리는 주요한 전략적 이득을 가져왔다.[1] 부산은 매우 중요했지만 방어가 취약했는데, 만약 함락되었다면 북한군은 대한민국을 완전히 점령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갔을 것이다.[1]
4. 3. 전략적 의의
한국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규모 대한민국 침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전역을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갔다.[3] 이 승리는 주요한 전략적 이득을 가져왔는데, 부산은 매우 중요했지만 방어가 취약했기 때문이다. 만약 부산이 함락되었다면 북한군은 대한민국을 완전히 점령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갔을 것이다.[1]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백두산함은 부산에서 18마일 떨어진 곳에서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766 독립 보병 연대의 병사 600명을 태운 북한의 1,000톤급 증기선을 발견했다.[4] ''백두산함''은 신호등으로 교신을 시도했으나 응답이 없었고, 탐조등을 켜자 북한군은 먼저 사격을 가해 ''백두산함''의 함교에 명중시켜 타수가 사망하고 당직 사관이 중상을 입었다.[5][10] ''백두산함''은 3인치 대공포와 6정의 50구경 기관총으로 반격했고, 북한군이 피해를 입고 교전을 피하려 했지만, ''백두산함''의 추격을 받아 쓰시마 섬 근처에서 침몰했으며,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5]
5. 논란
5. 1. 엇갈리는 침몰 위치 기록
6. 기념 및 추모
6. 1. 전사자 추모
6. 2. 부산 해전 전승 기념 행사
참조
[1]
웹사이트
How a Lone $60,000 Patrol Boat and Its Single Deck Gun Changed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https://nationalinte[...]
The National Interest
2019-09-07
[2]
웹사이트
Naval Battles
http://www.history.n[...]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10-11-20
[3]
웹사이트
Submarine Chaser Photo Archive: PC-823
http://www.navsource[...]
NavSource
2010-11-20
[4]
서적
[5]
웹사이트
ROK Navy Ships: ''Pak Tu San'' (PC-701, 1950–60)
http://www.history.n[...]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10-11-20
[6]
웹사이트
Naval Battles
https://web.archive.[...]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10-11-20
[7]
웹사이트
Submarine Chaser Photo Archive: PC-823
https://www.navsourc[...]
NavSource
2010-11-20
[8]
서적
[9]
서적
[10]
웹사이트
ROK Navy Ships: ''Pak Tu San'' (PC-701, 1950–60)
http://www.history.n[...]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1999-10-17
[11]
뉴스
6.25 당시 우리 해군의 첫승리인 대한해협 해전
https://imnews.imbc.[...]
1992-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