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진항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문진항 해전은 1950년 7월 2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동해에서 미국 해군 순양함 주노 호, 영국 해군 슬루프 블랙스완 호, 경순양함 자메이카 호가 북한 어뢰정 및 포함과 벌인 해전이다. 북한군이 주문진항을 점령한 상황에서 유엔군은 북한군의 상륙을 막기 위해 해군을 투입했다. 전투 결과, 유엔군은 북한 어뢰정 3척을 격침시키고 탄약 수송선단을 파괴하여 승리했다. 이 해전으로 북한군은 해상 침투 및 수송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한국군과 유엔군은 제해권을 장악했다. 북한은 이 해전을 왜곡하여 김군옥의 어뢰정이 USS 볼티모어 호를 격침시켰다고 주장하는 선전물을 전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 전쟁의 해전 - 대한해협 해전
대한해협 해전은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백두산함이 대한해협에서 북한 무장 수송선을 격침시켜 부산 방어에 기여하고 해군의 사기를 진작시킨 중요한 해전이다. - 6.25 전쟁의 해전 - 한강 해전 (1951년)
한강 해전은 한국전쟁 중 유엔 해군이 한강 하구에서 중공군과 벌인 해상 전투로, 유엔 해군이 포격 지원을 시도했으나 중공군의 공격으로 어려움을 겪어 결국 작전을 중단하게 된 사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해전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고속정이 침몰한 해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발생하여 관심이 낮았으나 사후 정부 차원의 기념 행사 격상 및 관련 특별법 제정 등의 조치가 있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해전 -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발생한 대청해전은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과 조준 사격으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대응 사격으로 마무리되었으며, 남북 관계 경색과 교전 수칙 논란, 북한 피해 규모 은폐 의혹을 낳았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해전 - 제2연평해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에 전사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고속정이 침몰한 해전으로,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발생하여 관심이 낮았으나 사후 정부 차원의 기념 행사 격상 및 관련 특별법 제정 등의 조치가 있었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해전 -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발생한 대청해전은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과 조준 사격으로 시작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대응 사격으로 마무리되었으며, 남북 관계 경색과 교전 수칙 논란, 북한 피해 규모 은폐 의혹을 낳았다.
주문진항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분쟁 명칭 | 주문진항 해전 |
위치 | 동해,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연안 |
날짜 | 1950년 7월 2일 |
관련 전쟁 | 한국 전쟁 |
결과 | 유엔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유엔군 | |
지휘관 | |
유엔군 | 제시 D. 소웰 |
북한 | 김건옥 |
병력 규모 | |
유엔군 | 순양함 2척 프리깃함 1척 |
북한 | 고속 어뢰정 4척 포함 2척 탄약선 10척 |
피해 규모 | |
유엔군 | 피해 없음 |
북한 | 사상자 불명 어뢰정 3척 침몰 탄약선 10척 침몰 |
기타 정보 |
2. 배경과 원인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은 동해안 지역에서도 제5사단과 제766유격대, 제945육전대 등을 동원해 남침을 시작했다. 북한군 제5사단과 제1경비여단은 38선을 넘어 양양에서 주문진 방면으로 공격했으며, 제945육전대와 제766유격대는 정동진과 삼척 인근 해안에 상륙하여 협공을 가했다. 이 지역 38선 경비를 담당하던 대한민국 육군 제8사단은 6월 28일까지 강릉에서 북한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대관령 일대로 후퇴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북한군은 동해안 지역에서도 제5사단과 제766유격대, 제945육전대 등을 동원해 남침을 시작했다. 북한군 제5사단과 제1경비여단은 38선을 넘어 양양에서 주문진 방면으로 공격했으며, 제945육전대와 제766유격대는 정동진과 삼척 인근 해안에 상륙하여 협공을 가했다. 이 지역 38선 경비를 담당하던 국군 제8사단은 6월 28일까지 강릉에서 북한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 대관령 일대로 물러났다.
주문진항 해전은 대한해협 해전과 함께 한국 전쟁 발발 직후에 벌어진 가장 대표적인 해전이다. 이 전투에서 한국군과 유엔군은 모두 북한군에 승리하며 제해권을 장악했다. 그 결과, 북한군은 해상을 통한 대규모 침투와 상륙 작전을 포기해야 했고, 해상 수송도 할 수 없게 되어 군수품 보급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평양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는 김군옥의 지휘를 받는 조선인민해군 소속의 고속 어뢰정이 미국 해군의 중순양함 USS 볼티모어를 격침시켰다고 주장하는 여러 전시물이 있다.[1][6] 전시물에는 관련 포스터와 미국 순양함을 격침시킨 어뢰정이라고 주장하는 "실제" 어뢰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1]
뉴스
North Korea says it has produced a ‘tactical nuclear attack submarine’
https://www.washingt[...]
2023-10-20
국군 제8사단이 물러나면서 동해안 방어 체계가 약화되자, 북한군 제5사단은 6월 29일 울진 일대까지 남하했다. 이에 육군본부는 포항 방어를 위해 국군 제3사단을 해당 지역으로 급파했고, 제3사단은 울진과 평해 지역에 방어선을 구축하여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려 했다.
한편,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미국은 공군과 해군 지원을 우선 결정했다. 미 극동해군사령부 소속 순양함인 주노 호가 즉시 투입되어 북한군의 해상 침투 및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동해를 순항하기 시작했다. 주노 호는 6월 29일 묵호항에 집결해 있던 북한군을 향해 함포 사격을 가하기도 했다. 이러한 동해안의 급박한 전황과 미 해군의 개입은 이후 주문진항 해전이 발생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3. 발발과 전개 과정
국군 제8사단이 퇴각하면서 동해안의 방어 체제가 무너지자, 북한군 제5사단은 6월 29일 울진 일대까지 남하했다. 이에 육군본부는 포항을 지키기 위해 국군 제3사단을 급파했고, 제3사단은 울진과 평해 지역에 방어선을 구축하여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려 했다.
한편, 미국은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지상군 투입 결정에 앞서 공군과 해군을 먼저 파견하여 한국군을 지원했다. 미 극동해군사령부 소속의 미국 해군 순양함 USS 주노 (CL-119)도 즉시 투입되어 북한군의 해상 침투를 막기 위해 동해를 순항했다. 주노 호는 6월 29일, 묵호항에 집결해 있던 북한군을 향해 함포 사격을 가하기도 했다.
1950년 7월 2일, 미 해군 순양함 주노 호는 영국 해군 소속의 슬루프 HMS 블랙스완 (L57) 및 경순양함 HMS 자메이카 (44)와 함께 함대를 이루어 동해안을 초계하던 중이었다. 이들은 주문진 인근 해상에서 북한군 함대와 마주쳤다. 북한 함대는 어뢰정 4척과 포함 2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탄약을 실은 화물선 10척을 호위하는 임무를 막 마친 상태였다.
북한 어뢰정들이 유엔군 함대를 향해 먼저 공격을 시도하면서 해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북한 어뢰정들이 어뢰를 발사하기도 전에 주노 호를 비롯한 유엔군 함정들의 강력하고 정확한 포격이 집중되었다. 이 포격으로 북한 어뢰정 3척이 즉시 격침되었고, 나머지 북한 함선들은 교전을 포기하고 뿔뿔이 흩어져 도주했다. 다음 날인 7월 3일 아침, 주노 호는 주문진항으로 도망친 북한군 화물선들을 발견하여 모두 격침시켰다.
4. 결과와 영향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왜곡
그러나 ''볼티모어''는 1946년부터 1951년까지 미국 해군의 퇴역 예비 함대에 소속되어 있었고, 워싱턴주 브레머턴에서 모스볼 상태로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1950년에는 어떤 전투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따라서 북한의 이러한 주장은 사실이 아닌 날조이며, 주문진항 해전에서의 패배를 숨기기 위한 선전 선동으로 평가된다.[2]
덧붙여, ''볼티모어''는 1951년에 재취역했을 때 태평양 함대가 아닌 대서양 함대에 배속되었고, 한국 전쟁이 정전된 2년 후인 1955년에야 태평양 함대로 전속되었다. 1971년 2월 15일에 해군 명부에서 삭제되었고, 1972년 4월 10일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지델 선박 해체 회사에 매각되어 같은 해 9월에 폐기되었다.
참조
[2]
웹사이트
北朝鮮が戦術核攻撃潜水艦「第841号」を進水、「金君玉英雄」艦と命名
https://news.yahoo.c[...]
2024-01-14
[3]
웹사이트
注文津沖海戦
http://www.uriminzok[...]
[4]
웹사이트
Naval Battles
http://www.history.n[...]
2010-08-15
[5]
웹사이트
미 해군 “북한 정권이 한국전쟁 주문진 해전 승리 왜곡”
https://www.voakorea[...]
2020-06-20
[6]
뉴스
North Korea says it has produced a ‘tactical nuclear attack submarine’
https://www.washingt[...]
2023-10-20
[7]
웹인용
Naval Battles
http://www.history.n[...]
2010-08-15
[8]
웹인용
미 해군 “북한 정권이 한국전쟁 주문진 해전 승리 왜곡”
https://www.voakorea[...]
2020-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