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해협은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지리적으로는 폭 약 200km, 평균 수심 약 90~100m이다. 쓰시마 섬에 의해 서쪽 수로와 동쪽 수로로 나뉘며, 동중국해와 일본해를 연결하는 국제 해협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가 흐르고, 오징어 어장으로도 활용된다. 한국, 북한,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이 다르며, 국제 해상 운송로의 중요한 부분으로, 한국과 일본의 주요 항구를 연결하는 여객선이 운항된다. 역사적으로는 고대부터 중요한 항로였으며, 육교 역할을 하기도 했다. 몽골의 일본 침략, 쓰시마 해전, 한국 전쟁 중 대한해협 해전 등이 벌어졌으며, 한일 해저터널 건설이 논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협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대한민국의 해협 - 명량해협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명량해협은 폭이 좁고 조류가 매우 빠른 해협으로, 조류발전소 건설이 추진 중이며 이순신 장군이 명량 해전에서 승리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 대한민국-일본 국경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일본 국경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 동중국해의 수역 - 남해
    남해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해역이며,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기관별로 경계 설정이 달라 부산 해운대구와 남구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동중국해의 수역 - 대만 해협
    대만 해협은 중국 푸젠성과 타이완 사이에 위치한 해역으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잇는 주요 항로이며 양안의 정치적·군사적 대치가 지속되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대한해협
지도
명칭
한국어대한해협
한자大韓海峽
북한어조선해협
북한 한자朝鮮海峽
일본어쓰시마 해협/조선 해협
일본어 표기対馬海峡/朝鮮海峡
일본어 로마자 표기Tsushima Kaikyō /Chōsen kaikyō
영어Korea Strait
지리
위치대한민국일본 사이
해협 종류해협
유입낙동강
동해
남해
태평양
쓰시마섬
기타
관련 정보현해탄

2. 지리

한반도 남쪽 해안과 규슈, 혼슈일본 열도 남서부 사이의 해역이다. 너비는 약 200km이며, 평균 수심은 약 90~100m이다.

쓰시마 섬대한해협을 서쪽 수로와 쓰시마 해협으로 나눈다. 서쪽 수로는 쓰시마 해협보다 수심이 깊고(최대 227m) 폭이 좁다. 동중국해와 일본해를 잇는, 길이와 너비가 각각 약 200km인 특정해역이다.[6][7] 최협부의 너비는 약 48km이며, 최대 수심은 228m이다.[8] 해협 내 해저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이 약 130km, 너비 약 15km의 '''쓰시마 주상 해분'''이 있다.[9]

고대부터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에 이르는 중요한 항로였다.[7][8]

동중국해에서 일본해를 향해 난류인 쓰시마 난류의 본류가 흐르고 있으며, 쓰시마 해협 동수도(쓰시마-규슈 간)보다 유속이 빠르다.[8][10]

오징어 등의 좋은 어장이다.[8]

2. 1. 해류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가 대한해협을 통과한다.[8][10] 이 난류는 일본해를 거쳐 사할린 양쪽 해안을 따라 갈라져 홋카이도 북쪽 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으로, 블라디보스토크 근처 오호츠크해로 흘러 들어간다.[6][7] 한국과 중국 남동부 해안의 저염분 해수 때문에 수괴 특성이 크게 다양하다.

3. 명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에는 차이가 있다.[7]

구분해협부산-쓰시마 섬쓰시마 섬-규슈
국제 명칭코리아 스트레이트/Korea Strait영어웨스턴 채널/Western Channel영어
서수로
이스턴 채널/Eastern Channel영어
동수로
대한민국대한해협(大韓海峽)서수로(西水路)동수로(東水路)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해협(朝鮮海峽)(없음)
일본쓰시마 카이요/対馬海峡일본어
쓰시마해협
죠센 카이요/朝鮮海峡일본어/니시 스이도/西水道일본어
조선해협/서수도
히가시 스이도/東水道일본어
동수도



북한에서는 “'''조선'''(조선)'''해협'''”이라는 명칭을 규슈와 한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 전체를 가리키며, 한국에서는 “'''대한'''(대한)'''해협'''”이라고 부르며 북한과 마찬가지로 쓰시마 해협 전체를 의미하는 데 사용한다.[7]

4. 경제적 중요성

대한해협은 국제 해상 운송로의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대한민국 남부 항구로 향하는 물동량이 많다. 대한민국일본은 해협 내 자유로운 통행을 위해 영토 주장을 해안선으로부터 3해리로 제한하고 있다.

부산, 거제 등 한국 항구와 후쿠오카, 쓰시마, 시모노세키, 히로시마 등 일본 항구를 연결하는 여객선이 운항된다. 제주도와 한국 본토, 쓰시마섬후쿠오카를 잇는 여객선도 운항된다. 부산과 일본 도시를 중국 항구와 연결하는 여객선도 대한해협을 통과한다.

일본의 영해는 일반적인 12해리 대신 3해리로 해협에 확장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 영토 내 핵무기 반입 금지 규정을 위반하지 않고 미국 해군의 핵무기를 탑재한 군함과 잠수함이 해협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알려져 있다.[1]

5. 역사적 영향

5. 1. 육교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한국 해협베링 해협, 그리고 황해는 종종 좁아졌고, 일본 열도는 때때로 유라시아 대륙과 한반도 또는 사할린을 통해 연결되었을 수 있다.[2] 때때로 일본해는 따뜻한 쓰시마 난류가 부족하여 얼어붙은 내륙호였다고 여겨지며, ''나우만 코끼리''와 같은 다양한 식물과 대형 동물들이 일본으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2]

5. 2. 고대 및 중세

역사적으로 대한해협은 위험한 항해를 위한 주요 항로 역할을 했다. 대한민국 부산일본 쓰시마 섬 사이의 최단 거리는 약 50km이며, 쓰시마 섬에서 일본 이키 섬까지의 최단 거리도 마찬가지이다.

6세기, 백제 사람들에 의해 불교 (마하야나 불교)가 긴메이 천황 시대의 일본 동쪽 끝으로 이 해협을 통해 전파되었다. (관련 항목: 동아시아 불교, 일본의 불교)

몽골-고려 연합 함대가 이 해협을 건너 1274년과 1281년에 일본을 침략하려 했다. 이 함대는 일본으로 가는 도중 쓰시마 섬을 크게 유린했지만 일본을 정복하는 데 실패했다.

몽골의 침략이 쓰시마를 황폐화한 후, 쓰시마는 왜구(일본 해적)의 근거지가 되었다. 조선 왕조는 1419년 왜구 활동 진압을 위해 쓰시마에 함대를 파견했다. 조선은 그 후 일본에 제한적인 무역 특권을 부여하는 데 동의했다.

5. 3. 근현대

1905년 5월 27일과 28일에 쓰시마 해전쓰시마섬 북부 동쪽, 이키섬 북쪽에 있는 대한해협의 쓰시마 해협에서 발생했다. 이 해전에서 일본 해군은 러시아 해군을 격파했다.

한국 전쟁 첫날인 1950년 6월 25일~26일에는 대한해협 해전이 벌어졌다. 수백 명의 병사를 태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송선이 부산 근처에 상륙하려다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에 의해 침몰되었다. 이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에 있었던 중요한 해상 전투 중 하나이며, 대한민국의 중요한 승리로 이어졌다.[3][4]

6. 미래

대한민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해저터널(한일 해저터널) 건설이 논의되고 있다. 이 터널은 영국 해협을 지나 프랑스영국 사이를 잇는 해저터널과 유사한 방식으로 건설될 가능성이 수십 년 동안 논의되어 왔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 left key straits open for U.S. nukes https://web.archive.[...] 2017-04-01
[2] 논문 Last glacial sea-level changes and paleogeograph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2000-09-26
[3] 웹사이트 Naval Battles https://web.archive.[...]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03-08-26
[4] 웹사이트 Submarine Chaser Photo Archive: PC-823 http://www.navsource[...] NavSource 2010-11-20
[5] 웹사이트 対馬海峡(つしまかいきょう)とは https://kotobank.jp/[...] 2019-05-27
[6] 웹사이트 特定海域 https://www1.kaiho.m[...] 海上保安庁 2019-05-27
[7] 웹사이트 朝鮮海峡(ちょうせんかいきょう)とは https://kotobank.jp/[...] 2019-05-27
[8] 웹사이트 西水道(にしすいどう)とは https://kotobank.jp/[...] 2019-05-27
[9] 웹사이트 対馬舟状海盆(つしましゅうじょうかいぼん)とは https://kotobank.jp/[...] 2019-05-27
[10] 웹사이트 対馬海峡での対馬暖流 http://www-ocea.kugi[...] 京都大学 2019-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