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1836년 설립된 더비 시/군 박물관·박물학 협회에서 시작되었으며,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과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중심지였던 더비의 역사를 보여주는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은 물론, 보니 프린스 찰리 룸과 렙턴 석상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을 전시한다. 1936년 알프레드 E. 구디의 기증으로 확충되었으며, 2010-2011년 개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2년 설립된 미술관 - 캐나다 국립미술관
    캐나다 국립미술관은 1880년에 설립되어 93,625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캐나다 미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국립미술관법에 따라 관영 기업으로 운영된다.
  • 1882년 설립된 미술관 - 글립토테크 미술관
    글립토테크 미술관은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칼 야콥센의 조각품 컬렉션을 전시하며, 고대 조각, 이집트 및 근동 유물, 19세기 프랑스 및 덴마크 회화와 조각, 유럽 조각 작품 등을 소장하고 특히 로댕과 고갱의 작품을 대규모로 소장하고 있다.
  • 잉글랜드의 박물관 - 블레츨리 파크
    블레츨리 파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정부 암호 학교 본부로서 독일군 에니그마 암호 해독을 수행하며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나 오랫동안 비밀에 부쳐졌고, 현재는 암호 해독의 역사와 중요성을 기리는 박물관이자 여러 기관이 공유하는 캠퍼스이다.
  • 잉글랜드의 박물관 - 햄프턴코트궁
    햄프턴코트궁은 16세기 초 토머스 울지가 건축을 시작하여 헨리 8세에 의해 확장, 윌리엄 3세 시대에 크리스토퍼 렌 경에 의해 일부 재건축된 튜더 및 바로크 양식의 왕궁으로, 잉글랜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일반에 공개되어 미술품과 정원을 감상할 수 있고 왕립 자수 학교가 위치하며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4년 증축된 현재의 박물관 및 미술관 건물
1964년 증축된 현재의 박물관 및 미술관 건물
설립일1879년
위치더비 더 스트랜드
소유주더비 시 의회(더비 박물관에서 관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소장품
주요 소장품조셉 라이트의 그림

2. 역사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의 역사는 1836년 2월 10일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과 자연사 모임"(Derby Town and County Museum and Natural History Societyeng)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2][39][27] 초기에는 회원들의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사적인 모임이었으나, 더비 철학 모임(Derby Philosophical Society)과의 합병 등을 통해 소장품과 규모를 확장해 나갔다.[2][39][27]

1870년 박물관의 소유권이 더비 시로 이전되었고, 전시 공간 확보 등의 과정을 거쳐 1879년 6월 28일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문을 열었다.[2][39][27] 미술관은 1882년에 개관하였으며, 이후 앨프레드 E. 굳디(Alfred E. Goodey)의 기증과 유산을 바탕으로 1964년 현재의 모습으로 확장되었다.[45][20][38] 2010년부터 2011년 사이에는 건물 개조 공사가 이루어졌으며,[42][5] 2012년에는 소장품 도난 사건을 겪기도 했다.[6][7]

2. 1. 설립 초기

박물관의 기원은 1836년 2월 10일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과 자연사 모임"(Derby Town and County Museum and Natural History Society)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2] 이 모임은 풀 스트리트 공중 목욕탕(Full Street Public Baths) 건물을 사용했지만, 회원들이 내는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사적인 성격의 모임이었다. 모임의 첫 소장품은 더비 철학 모임(Derby Philosophical Society)의 회장이었던 포레스터 박사(Dr. Forrester)가 기증한 것이었다. 모임의 후원자는 윌리엄 카벤디쉬, 6대 데번셔 공작(William Cavendish, 6th Duke of Devonshire)이었고, 회장은 열정적인 박물학자였던 조지 하퍼 크루 경, 8대 준남작(Sir George Harpur Crewe, 8th Baronet)이었다.[2] 군인이자 관료였던 조지 골러(George Gawler) 대령은 자신이 남호주 총독으로 재직하던 시절 수집한 광물과 알바트로스를 포함한 이국적인 새 박제 컬렉션을 기증했다.[1]

1839년에는 기계공 협회(Mechanic's institute)에서 대규모 전시회가 열렸는데, 여기에는 자선가 조지프 스트럿(Joseph Strutt)의 소장품이 다수 포함되었다. 이 전시회의 많은 유물들이 이후 더비 박물관 소장품의 기반이 되었다.[20] 모임은 1840년 빅토리아 거리(Victoria Street)의 아테네움(Athenaeum)으로 이전했다. 소장품은 계속 늘어나 1856년에는 윌리엄 문디(William Mundy)가 시에 통합할 것을 제안했지만, 모임은 이를 거절했다.[2]

1857년 루엘린 주잇(Llewellyn Jewitt)이 간사(Secretary)로 임명되었고, 박물관은 토요일 오전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기 시작했다. 1858년에는 더비 철학 모임이 더비 워드윅(Wardwick)에 있는 건물로 이전하면서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과 자연사 모임"과 합병했다.[2] 이 합병으로 철학 모임이 소장하고 있던 4,000권의 서적, 수학 및 과학 기구, 화석 컬렉션 등이 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2] 1863년 식물학자 알렉산더 크로알(Alexander Croall)이 초대 도서관원(Librarian)이자 학예사(Curator)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864년 박물관과 도서관이 통합되었다. 크로알은 1875년 스털링의 스미스 연구소(Smith Institute in Stirling) 학예사로 자리를 옮기기 위해 박물관을 떠났다.[2][3]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은 1870년 마침내 더비 법인(Derby Corporation, 더비 시)에 소유권이 이전되었으나, 소장품을 전시할 공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모든 유물을 3년 동안 창고에 보관한 후, 박물관은 1879년 6월 28일에야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문을 열었다.[2] 미술관은 1882년에 개관했으며, 1883년에는 새로운 조명을 위해 박물관에 전기가 공급되었다.[4]

1876년에 지어진 건물. 초기에는 더비 중앙 도서관과 공간을 공유했다.

2. 2. 발전과 확장

1857년 루엘린 주잇이 모임의 간사가 되면서 박물관은 토요일 오전에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기 시작했다.[39][2] 1858년에는 더비 철학 모임이 더비의 워드윅으로 이전하면서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과 자연사 모임"과 합병하였다.[39][2] 이 합병으로 더비 철학 모임이 소장하고 있던 4,000권의 도서, 수학 및 과학 기구, 화석 컬렉션 등이 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39][2]

1863년 식물학자 알렉산더 크로알(Alexander Croall)이 초대 사서 겸 큐레이터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864년에는 박물관과 도서관이 통합되었다.[39][2] 크로알은 1875년에 스코틀랜드 스털링에 있는 스미스 연구소의 큐레이터로 자리를 옮기기 위해 더비 박물관을 떠났다.[39][41][2][3]

1870년 더비 타운 및 컨트리 박물관은 최종적으로 더비 시의 소유가 되었으나, 소장품을 전시할 공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9][2] 모든 유물을 3년 동안 창고에 보관한 후, 박물관은 1879년 6월 28일에 마침내 대중에게 문을 열었다.[39][2] 미술관은 1882년에 개관했으며, 1883년에는 박물관에 새로운 조명을 위해 전기가 공급되었다.[4]

1936년에는 앨프레드 E. 굳디(Alfred E. Goodey)가 50년 동안 수집한 상당한 양의 미술품 컬렉션을 박물관에 기증했다.[45][20] 굳디는 1945년 세상을 떠나면서 박물관 확장을 위해 1.3만파운드를 유산으로 남겼다. 이 기금으로 현재 박물관 건물이 들어선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1964년에 완공되었다.[45][20] 이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옛 건물과 새 건물의 일부를 개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42][5]

2. 3. 현대

1936년 박물관은 50년 동안 예술품을 수집해 온 알프레드 E. 굳디로부터 상당한 양의 그림 컬렉션을 기증받았다.[20][45] 굳디는 1945년 세상을 떠나면서 박물관 확장을 위해 1.3만파운드를 유증하였다.[20][45] 이 기금을 바탕으로 현재 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는 건물이 1964년에 완공되었다.[20][45]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옛 건물과 새 건물의 일부를 개조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5][42]

2012년 5월 2일부터 6월 19일 사이에 박물관의 보관 시설에서 동전, 메달, 시계 등 1,000점 이상의 물품이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박물관 측은 보관 시설에서 해당 물품들을 꺼내려 할 때까지 도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6][7] 이듬해인 2013년 1월, 절도 및 장물 취득 혐의로 한 남성이 기소되었으며, 도난당한 물품 중 일부는 회수되었다.[6][7]

3. 더비와 계몽주의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더비는 과학과 철학이 당시 지배적이었던 왕권신수설 등 기존의 권위에 도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지역이었다. 계몽주의는 철학자 데이비드 흄을 중심으로 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진 정치적 변화 등 다양한 흐름을 포함했지만, 특히 잉글랜드 미들랜드 지역은 산업과 과학 분야의 중요 인물들이 교류하던 중심지였다.

이러한 지적 교류의 대표적인 예로 루나 소사이어티를 들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이래즈머스 다윈, 매슈 볼턴, 조지프 프리스틀리, 조시아 웨지우드 등이 참여했고, 미국에서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서신으로 교류했다.[8][29][43]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이기도 한 이래즈머스 다윈은 1783년 더비로 이주하여 더비 철학회를 창립했다. 이 모임은 더비 최초의 도서관 설립에 기여하는 등 지역의 지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

더비 출신의 화가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들은 이러한 계몽주의 시대의 과학적 탐구와 지적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주요 작품들은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30] 이처럼 더비는 계몽주의 사상이 확산되고 과학적 발견이 이루어지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도시이다.

3. 1. 루나 소사이어티와 산업 혁명



더비는 18세기, 과학과 철학이 통치에 대한 왕권신수설에 도전했던 계몽주의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계몽주의는 철학자 데이비드 흄을 중심으로 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포함하여 많은 흐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프랑스 혁명으로 절정에 달한 정치적 변화도 동반했다. 이 시기 잉글랜드 미들랜드 지역은 산업과 과학 분야에서 많은 주요 인물들이 활동하던 중심지였다. 유명한 루나 소사이어티에는 에라스무스 다윈, 매튜 볼턴, 조지프 프리스틀리, 조시아 웨지우드 등이 회원으로 참여했으며, 벤저민 프랭클린은 미국에서 서신을 통해 교류했다.[29]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인 에라스무스 다윈은 1783년 더비로 이주하여 더비 철학회를 창립했다. 이 모임은 더비 최초의 도서관 설립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9]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 조지프 라이트 그림, 1771년


빛과 그림자의 극적인 사용으로 유명한 화가 조지프 라이트 오브 더비의 그림 중 일부는 루나 소사이어티 회원들과 관련이 있거나 그들이 소유했던 작품들이다.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라이트의 스케치 300점 이상과 유화 34점, 관련 문서들을 소장하고 있다.[30]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인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1771년)는 1669년 독일의 연금술사 헤닝 브란트가 (燐)을 발견하는 극적인 순간을 묘사한다. 다량의 소변을 끓이는 플라스크에서 인 성분이 공기 중에서 자연 발화하며 강렬한 빛을 내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10]

''오러리 강연하는 철학자'', 조지프 라이트 그림, 1766년


박물관의 조지프 라이트 갤러리에 있는 현대식 오러리


또 다른 주요 작품인 《오러리 강연하는 철학자》(1766년)는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의 운동을 보여주는 기계 장치인 오러리(태양계의)를 중심으로 과학 강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담고 있다. 그림 속 오러리와 유사한 실제 오러리가 박물관 갤러리 중앙에 전시되어 있다. 이 그림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과학자이자 천문학자, 강사였던 제임스 퍼거슨(1710–1776)이 1762년 7월 더비에서 진행한 강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퍼거슨은 1760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역학, 유체 정역학, 공기 역학, 광학 등에 관한 선택된 주제에 대한 강연》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계와 모델을 활용하여 강연했다.[31] 라이트는 퍼거슨의 강연에 참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그의 가까운 이웃이자 시계 제작자 겸 과학자였던 존 화이트허스트로부터 강연 정보를 얻거나 오러리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을 얻었을 수 있다.[12]

라이트의 과학 관련 그림들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시대적 변화와 갈등에 대한 은유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에서 기도하는 인물 앞에서 격렬하게 빛나는 인광은 신앙 중심의 세계관에서 과학적 이해와 계몽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어려움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에서의 새 실험》에서 다양한 표정으로 실험을 지켜보는 인물들은 과학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윤리적 문제나 잔혹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31] 이러한 그림들은 서구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과학적 탐구가 부상하던 시대상을 반영한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과 계몽 사상의 확산은 기존 질서와의 충돌을 야기하기도 했다. 산소를 발견한 루나 소사이어티 회원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프랑스 혁명 지지를 공개적으로 밝혔다는 이유로 반동적인 군중의 공격을 받았다. 1791년 버밍엄 폭동 당시 그의 실험실과 집이 파괴되었고, 결국 1794년 영국을 떠나야 했다.[32] 프랑스에서는 저명한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혁명의 혼란 속에서 단두대에서 처형당하는 비극도 있었다. 보수주의 정치인이자 철학자인 에드먼드 버크는 그의 저서 《프랑스 혁명에 대한 성찰》(1790년)에서 프리스틀리와 같은 자연 철학자들을 프랑스 혁명과 연결 지으며, 이들이 "실험에서 인간을 다루는 것을 공기 펌프의 쥐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라이트가 20여 년 전에 그린 《공기 펌프에서의 새 실험》은 과학 발전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과 갈등을 예견한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러한 과학적 탐구와 사회적 긴장의 역사는 에라스무스 다윈의 손자인 찰스 다윈에게도 이어졌다. 그는 반세기 후인 1859년 《종의 기원》을 출판하여 과학과 종교적 신념 사이의 오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들을 통해 과학과 산업이 태동하던 시대의 지적 열정과 사회적 긴장감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단순한 미술품 전시 공간을 넘어, 방문객들에게 현대 과학과 산업 문명의 탄생 현장을 목격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당시 버밍엄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의 활발한 과학 및 산업 활동은 오늘날 "18세기의 실리콘 밸리"라고 불리기도 한다.[33]

3. 2. 계몽주의 사상과 사회 변화

더비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도시였다. 이 시기 과학과 철학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왕권신수설에 도전하며 사회 변화를 이끌었다. 계몽주의는 여러 흐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철학자 데이비드 흄을 중심으로 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진 정치적 변화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잉글랜드 미들랜드 지역은 산업과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활동하던 중심지였다. 유명한 루나 소사이어티에는 이래즈머스 다윈, 매슈 볼턴, 조지프 프리스틀리, 조시아 웨지우드 등이 참여했으며, 미국에서는 벤저민 프랭클린이 서신을 통해 교류했다.[8][29]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인 이래즈머스 다윈은 1783년 더비로 이주하여 더비 철학회를 창립했고, 이 모임은 더비 최초의 도서관 설립에 기여했다.[9]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 조지프 라이트 그림, 1771년


빛과 그림자를 탁월하게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 조지프 라이트의 그림 중 일부는 루나 소사이어티 회원들과 관련이 있다.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라이트의 스케치 300여 점, 유화 34점 및 관련 문서를 소장하고 있다.[30]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인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1771)는 1669년 독일 연금술사 헤닝 브란트가 (燐)을 발견하는 극적인 순간을 묘사한다. 그림 속 플라스크에서는 끓고 있는 다량의 소변에서 추출된 인이 공기 중에서 밝게 빛나고 있다.[10]

또 다른 주요 작품인 ''태양계의를 강의하는 철학자''(1766)는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의 운동을 보여주는 초기 기계 장치인 태양계의를 중심으로 과학 강의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담고 있다. 그림 속 태양계의 모형은 현재 박물관 갤러리 중앙에 전시되어 있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과학자이자 천문학 강사였던 제임스 퍼거슨은 1762년 7월 더비에서 연속 강의를 진행했는데,[11][44] 이는 그의 저서 ''역학, 유체 정역학, 기력학, 광학 등에서 선별 주제 강의''(1760)를 바탕으로 했다. 퍼거슨은 강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 장치와 모형을 활용했다. 라이트는 퍼거슨의 강의에 참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가까운 이웃이었던 시계 제작자이자 과학자 존 화이트허스트를 통해 강의 내용을 접하고 태양계의 모형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얻어 그림에 반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이러한 사실적인 그림들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시대상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어, ''연금술사'' 그림에서 기도하는 인물 앞에서 밝게 빛나는 인(燐)은 신앙 중심의 세계관에서 과학적 이해와 계몽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어려움을 암시한다. 또한 ''공기 펌프에서의 새 실험''에서 다양한 표정으로 실험을 지켜보는 인물들은 과학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비인간적인 측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11][31] 이 그림들은 과학적 탐구가 서구 사회에서 종교의 권위에 도전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그러나 계몽주의 사상의 확산과 과학의 발전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약 10년 후, 프랑스 혁명(1789)의 여파로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박해와 탄압에 직면하게 되었다. 루나 소사이어티 회원이자 산소 발견자인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 때문에 반혁명 폭도들의 표적이 되었다. 1791년 버밍엄 폭동 당시 그의 연구실과 집이 파괴되었고, 결국 영국을 떠나야 했다.[13][32] 프랑스에서는 그의 동료 과학자 라부아지에단두대에서 처형당하는 비극을 맞았다. 정치 철학자 에드먼드 버크는 그의 저서 ''프랑스 혁명에 대한 성찰''(1790)에서 프리스틀리를 비롯한 자연 철학자들을 프랑스 혁명과 연결 지으며, 이들이 "실험에서 인간을 기압 펌프 속 쥐처럼 취급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20여 년 전에 그려진 라이트의 ''공기 펌프 속 새 실험''은 마치 미래를 예견한 듯한 통찰력을 보여준다.[11]

이처럼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단순히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과학과 산업 혁명의 태동기였던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의 역동적인 지적 분위기와 사회 변화의 긴장감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이다. 당시 과학과 산업의 중심지였던 버밍엄은 '18세기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기도 했다.[14][33] 더비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과학적 탐구와 예술적 성취가 교차하며 현대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한 의미 있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4. 조지프 라이트 오브 더비

더비는 과학과 철학이 당시 왕권신수설에 도전하던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다. 특히 영국 중부지역은 산업과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교류하던 중심지였으며, 유명한 루나 협회에는 이래즈머스 다윈, 매슈 볼턴, 조지프 프리스틀리, 조시아 웨지우드 등이 참여했고, 벤저민 프랭클린도 미국에서 서신으로 교류했다.[29] 찰스 다윈의 할아버지인 이래즈머스 다윈은 1783년 더비로 이주하여 더비 철학회를 창립하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활동한 더비 출신의 화가 조지프 라이트는 명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으로 유명하다.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은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장한 곳 중 하나로, 그의 스케치 300점 이상, 유화 34점, 그리고 관련 문서들을 보유하고 있다.[30] 이 중요한 컬렉션은 2011년 2월 박물관,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 위원회(MLA)로부터 국가적으로 중요한 소장품임을 인정받아 '지정 지위'(Designated status)를 부여받았다.[18] 라이트의 작품들은 당시 과학적 발견과 산업 혁명의 분위기, 그리고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4. 1. 대표작 소개



더비 박물관은 명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화가 조지프 라이트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라이트의 스케치 300점 이상, 유화 34점, 그리고 관련 문서들이 이곳에 보관되어 있다.[30] 그의 작품 중 일부는 루나 소사이어티 회원들을 묘사하기도 했다.

대표작 중 하나인 ''철학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 (1771)는 1669년 독일의 연금술사 헤닝 브란트가 (燐)을 발견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담고 있다. 그림은 다량의 오줌이 담긴 플라스크를 가열할 때, 그 안에 포함된 인 성분이 공기 중에서 밝게 빛을 내는 장면을 보여준다.[10] 이 작품은 단순히 과학적 발견의 순간을 넘어, 기도하는 인물 앞에서 인광이 빛나는 모습을 통해 신앙 중심의 세계관에서 과학적 이해와 계몽주의 시대로 넘어가는 복잡하고 어려운 전환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44][11]

또 다른 주요 작품인 ''태양계의(太陽系儀)를 강의하는 철학자'' (1766)는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초기 기계 장치인 태양계의(오러리)를 보여준다. 이 그림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과학자이자 천문학 강사였던 제임스 퍼거슨(1710–1776)이 1762년 더비에서 진행한 강연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라이트는 퍼거슨의 강연에 참석했을 수 있으며, 시계 제작자이자 과학자였던 이웃 존 화이트허스트로부터 태양계의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얻어 그림에 반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31] 박물관 갤러리 중앙에는 그림 속 태양계의와 유사한 실제 모형이 전시되어 있어 그림의 이해를 돕는다.

라이트의 그림들은 종종 과학 발전의 이면이나 윤리적 문제를 성찰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공기 펌프 속의 새 실험''에서는 기압 펌프 안의 새를 둘러싼 인물들의 다양한 표정을 통해 과학 실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인간성이나 생명 경시 풍조에 대한 우려를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11][31] 이러한 해석은 프랑스 혁명 당시 에드먼드 버크가 과학을 지지하는 급진주의자들이 "실험에서 인간을 기압 펌프 속 쥐 이상으로 여기지 않았다"고 비판했던 발언과 연결되면서 더욱 설득력을 얻는다.[11] 당시 과학 연구는 기존의 종교적 권위에 도전하며 사회 변화를 이끌었지만, 프랑스 혁명 이후 조지프 프리스틀리의 망명[13]이나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처형[32]에서 보듯 과학자들은 박해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라이트의 작품은 이러한 과학 발전의 명암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다.

4. 2. 조지프 라이트와 더비

2011년, 더비 시의회는 도시 브랜드를 위해 조지프 라이트를 활용한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박물관은 정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위키백과와 협력한다고 밝혔다.[16][17] 2011년 2월, 박물관,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 위원회(Museums, Libraries and Archives Council, MLA)는 더비 박물관과 미술관이 소장한 조지프 라이트의 회화 및 드로잉 작품이 국가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하여 '지정 지위'(Designated status)를 부여했다.[18]

5. 보니 프린스 찰리 룸

보니 프린스 찰리 룸 (Bonnie Prince Charlie room) (현재)


이 박물관에는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영국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남쪽으로 향하던 1745년에 전쟁 회의를 열었던 더비의 방을 재현한 공간이 있다. 이 방의 패널들은 1854년에 철거된 원래의 엑서터 하우스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후 패널들은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이와 관련된 물품들이 기증되었다. 특히 빅토리아 여왕은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보니 프린스 찰리의 친필 편지를 기증했다.[19]

6. 기타 소장품

(내용 없음)

6. 1. 다른 예술가들

조지프 라이트 컬렉션 외에도 박물관은 윌리엄 프레데릭 오스틴, 어니스트 엘리스 클라크, 해럴드 그레슬리, 알프레드 존 킨, 조지 베일리, 윌리엄 에드윈 모슬리, 데이비드 페인, 조지 터너, 윌리엄 우드 (화가), 어니스트 타운센드, 조지 프랜시스 야넬, 새뮤얼 레이너, 루이스 레이너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45][38] 또한 벤자민 웨스트, 로버트 프리즈먼, 게오르그 홀첸도르프, 윌리엄 레이킨 터너 등의 작품도 있다.[20]

6. 2. 주요 유물

솔저스 스토리 갤러리[21]는 제9/12 로열 랜서스, 셔우드 포레스터스, 그리고 더비셔 예오메너리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22]

더비 박물관에 있는 렙턴 석상의 기마 인물은 머시아의 애설발드 왕으로 확인되었다.


렙턴에서 발견된 십자축의 파편에는 한 면에 말을 탄 인물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머시아의 애설발드 왕을 기리기 위한 기념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조각상의 인물은 갑옷을 입고 칼과 방패를 들었으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애설발드 왕은 757년 워릭셔주 세킹턴에서 살해되었고, 탬워스의 왕실 근처에 묻혔다. 만약 이 조각상이 애설발드 왕을 묘사한 것이 맞다면, 이는 잉글랜드 군주를 그린 가장 오래된 대형 그림 표현 중 하나로 여겨질 수 있다.[23][24]

또한, 박물관은 브레트비 아트 도자기의 방대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25]

참조

[1] 서적 The history and directory of the borough of Derby, a guide p.430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Newsletter of the Geological Curators Club http://www.geocurato[...] 1976
[3] 웹사이트 Old Town Cemetery, Stirling http://www.oldtownce[...] 2011-10-24
[4] 웹사이트 Derby Museum and Art Gallery: Home to a fascinating range of nationally important collections http://www.derbyshir[...] Derbyshire Gazette 2018-03-28
[5] 뉴스 Closure could be small step back for a giant leap forward. The building was closed on 18 October so asbestos could be removed and other refurbishment work started. A lighting upgrade and installation of a disabled lift will continue, with completion expected in March 2011 2010-10-19
[6] 웹사이트 Derby museum theft: Police arrest two men https://www.bbc.com/[...] BBC 2012-08-29
[7] 웹사이트 Derby museum theft: Man charged https://www.bbc.co.u[...] BBC 2013-01-16
[8] 웹사이트 Lunar http://jquarter.memb[...] 2008-02-07
[9]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Light and Enlightenment in Joseph Wright of Derby's The Alchymist http://www.reocities[...] ReoCities 2011-04-26
[11] 웹사이트 Search.revolutionaryplayers.org.uk http://www.search.re[...] 2012-06-19
[12] 서적 Joseph Wright of Derby: painter of light Taylor & Francis
[13] 서적 The enlightened Joseph Priestley: a study of his life and work from 1773 to 1804 Penn State Press
[14] 웹사이트 BOOKS: The outsiders who made the future by moonlight http://thescotsman.s[...] 2002-09-07
[15] 웹사이트 Famous Derbyshire People: Herbert Spencer 1820–1903 http://www.derbyshir[...] derbyshireuk.net 2013-04-24
[16] 뉴스 City curators unveil hidden treasures to website Wikipedia 2011-01-15
[17] 웹사이트 Derby Museums and Wikipedia Join Forces to Improve Content http://www.derby.gov[...] Derby.gov.uk 2011-01-20
[18] 웹사이트 MLA.gov.uk http://www.mla.gov.u[...] 2011-02-21
[19] 웹사이트 Architecture treasure - Exeter House Panelling http://www.derby.gov[...] Derby.gov.uk
[20] 서적 Goodey's Derby Breedon Books
[21] 웹사이트 Soldiers Story Gallery http://www.derbymuse[...] Derby Museums 2018-02-09
[22] 뉴스 Soldiers' Story gallery celebrates Derby's 300-year link with the Lancers http://www.derbytele[...] 2015-08-11
[23] 논문 The Repton Stone https://www.cambridg[...] 1985
[24]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Blackwell Publishing
[25] 서적 Art Pottery, Accepting the Inevitable
[26] 서적 The history and directory of the borough of Derby, a guide p.430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Newsletter of the Geological Curators' Club http://www.geocurato[...] Geological Curators' Group 2010-05-05
[28] 웹사이트 Alexander & Annie Croall http://www.oldtownce[...] Old Town Cemetery, Stirling 2010-05-05
[29] 웹사이트 Lunar http://jquarter.memb[...] jquarter.members.beeb.net 2008-06-30
[30] 뉴스 Closure could be small step back for a giant leap forward. The building was closed on 18 October so asbestos could be removed and other refurbishment work started. A lighting upgrade and installation of a disabled lift will continue, with completion expected in March 2011 2010-10-19
[31] 웹사이트 Joseph Wright of Derby: Art, the Enlightenment and Industrial Revolution http://www.search.re[...] Revolutionary Players 2010-05-05
[32] 서적 The enlightened Joseph Priestley: a study of his life and work from 1773 to 1804 Penn State Press
[33] 웹사이트 BOOKS: The outsiders who made the future by moonlight http://thescotsman.s[...] The Scotsman - Scotland's national newspaper 2010-05-05
[34] 웹사이트 Herbert Spencer - founder of modern sociology http://www.derbyshir[...] Derbyshire UK 2010-05-05
[35] 뉴스 City curators unveil hidden treasures to website Wikipedia 2011-01-15
[36] 웹사이트 Derby Museums and Wikipedia Join Forces to Improve Content http://www.derby.gov[...] Derby.gov.uk 2011-01-20
[37] 웹사이트 Three collections join the Designation Scheme http://www.mla.gov.u[...] The Museums, Libraries & Archives Council 2011-02-07
[38] 서적 Goodey's Derby Breedon Books
[39] 간행물 Newsletter of the Geological Curators Club http://www.geocurato[...] 1976
[40] 서적 The history and directory of the borough of Derby, a guide p.430 http://books.google.[...]
[41] 웹사이트 Old Town Cemetery, Stirling http://www.oldtownce[...] 2011-02
[42] 뉴스 Closure could be small step back for a giant leap forward. The building was closed on 18 October so asbestos could be removed and other refurbishment work started. A lighting upgrade and installation of a disabled lift will continue, with completion expected in March 2011 Evening Telegraph 2010-10-19
[43] 웹사이트 Lunar http://jquarter.memb[...]
[44] 웹인용 Search.revolutionaryplayers.org.uk http://www.search.re[...] 2007-11-23
[45] 서적 Goodey's Derby Breedo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