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사는 도교 종파, 역사, 복식, 식생활, 대중문화, 한국 도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도교 종파는 크게 전진교와 정일교로 나뉘며, 전진교는 수도원에서 독신, 채식주의 생활을 하는 반면, 정일교는 결혼과 육식이 가능하다. 명나라 시대에는 도교 사제 제도가 정비되었고, 복식과 식생활에도 특징이 있었다. 도교 사제는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한국의 도교 역시 독자적인 역사와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사 - 구처기
구처기는 금나라 말에서 원나라 초에 활동한 전진교의 도사로, 칭기즈 칸의 초청을 받아 가르침을 설파하고 몽골 제국 내에서 전진교 보호에 대한 특허를 받아 전진교를 융성시키는 데 기여했다.
| 도사 | |
|---|---|
| 일반 정보 | |
| 구분 | 직업 |
| 종교 | 도교 |
| 성별 | 남성 |
| 관련 용어 | 도관, 도교 |
| 역할 및 임무 | |
| 주요 임무 | 의례 집행 경전 연구 및 해석 신도 교육 및 상담 수련 참선 기도 |
| 수행 업무 | 부적 제작 점술 풍수지리 양생 지도 치료 퇴마 |
| 자격 및 수련 | |
| 입문 과정 | 도교 사원 (도관) 입문 일정 기간의 수련 시험 (경전 지식, 의례 숙련도 평가) |
| 자격 획득 | 도사 임명 계율 준수 서약 |
| 추가 수련 | 개인의 선택에 따라 심화 수련 가능 내단, 외단 등 고급 기법 연마 |
| 복장 및 도구 | |
| 복장 | 도포 |
| 주요 도구 | 경전 부적 검 향로 방울 |
| 기타 정보 | |
| 특징 | 도교 신앙 지도자 신과 인간 사이의 매개자 |
| 현대적 변화 | 전통적 역할 유지 현대 사회에 맞는 새로운 역할 모색 명상 지도 심리 상담 사회 봉사 |
2. 도교 종파
도교 종파는 크게 전진교와 정일교 두 가지로 나뉜다. 전진교는 중국 북부에 주로 있으며, 불교 승려처럼 독신 생활과 채식주의를 지키며 수도원에서 생활한다. 베이징의 백운관은 전진교 용문파의 중심 사찰이자 중국 도교 협회의 본부이다.
정일도교 사제는 결혼과 육식이 허용되며, 집에서 살면서 사원을 운영하거나 민간 신앙 사원에서 일한다. 이들은 대부분 다른 직업을 가진 시간제 사제이다. 역사적으로 천사의 승인을 받았으나, 천사 계보 분열 이후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정일교는 중국 전역에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2. 1. 전진교 (Quanzhen Taoism)
전진교는 사실상 중국 북부에만 존재하며, 수도원이 있는 모든 도교 종파를 포함한다. 전진교의 생활 방식은 독신, 채식주의를 실천하며 수도원에서 생활한다는 점에서 불교 승려들과 유사하다.[20] 베이징의 백운관은 전진교 용문파의 주 사찰이며, 중국 도교 협회의 본부이기도 하다.도사의 식사는 주로 죽이다. 백운관에서는 현재는 쌀로 만든 죽을 먹지만, 1942년 당시에는 조로 만든 죽을 먹었다. 채식 요리로, 아침 식사는 죽과 절임 반찬, 점심과 저녁 식사는 죽과 배추, 두부, 오이 등으로 구성되며, 고기나 생선은 나오지 않고 기름도 동물성은 사용되지 않았다.[20]
2. 2. 정일교 (Zhengyi Taoism)
정일교 사제는 결혼하여 가정을 꾸리고, 고기를 먹을 수 있으며, 자신의 집에서 생활한다. 이들은 주로 파트타임으로 다른 직업을 가지면서, 자체 사원을 운영하거나 민간 신앙 사원에서 봉사한다.[1] 정일교는 중국 전역에 존재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계보와 명칭을 가진다. 화북 지역에는 영보도교의 하위 전통인 '음양' 전문가가 있다.[1]역사적으로 정일교 사제들은 천사의 승인을 받았으나, 천사 계보의 분열로 인해 독립성이 강화되었다. 중국 본토에서 도교 교회는 이론적으로 사제를 관리하는 권한을 인수했지만, 교회에 등록된 사람은 소수이다.[1]
3. 역사
분열 시대에는 관료를 아홉 개의 품계로 나누었는데, 품계가 낮을수록 지위가 높았다. 도교 사제는 5품 이상으로 책정되었고, 내공(內功)을 수련했기 때문에 공식 의례(科仪, 科仪|커이중국어)에 참여할 수 있었다. 내공을 수련하지 않은 도교 사제는 6품 이하로 강등되었고, "삼오도공(三五度公, 三五度公|싼우두궁중국어)"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
3. 1. 명나라 이전 시대 (Pre-Ming Period)
분열 시대에는 관료 체계 내에서 도교 사제의 품계가 결정되었다. 관료는 아홉 개의 품계로 나뉘었는데, 품계가 낮을수록 지위가 높았다. 도교 사제는 5품 이상으로 책정되었고, 내공(內功)을 수련했기 때문에 공식 의례(科仪, 科仪|커이중국어)에 참여할 수 있었다. 내공을 수련하지 않은 도교 사제는 6품 이하로 강등되었고, "삼오도공(三五度公, 三五度公|싼우두궁중국어)"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3. 2. 명나라 시대 (Ming Dynasty, 1368-1644)
명나라 시대에는 도교와 불교가 국가의 지원을 받는 종교였으며, 다른 모든 종교는 금지되었다.[5] 도교 사제는 지정된 사찰에 거주하는 '주관'(住觀, zhù guān중국어) 사제와 정해진 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유관'(遊觀, yóu guān중국어) 사제로 분류되었다.[6]명나라 정부는 도교 사제가 되기 위한 시험 제도를 도입하여 관리했다. 3년에 한 번 수도에서 시험을 치러 도교 문헌에 대한 지식을 평가했고, 합격자에게는 '도첩'(度牒, dù dié중국어)이라는 성직 증서를 발급하여 정식 사제로 인정했다.[5]
사제 자격 요건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1392년 태조는 40세 이상 남성과 50세 이상 여성만 사제가 될 수 있도록 제한했다.[9] 1419년에는 14세 이상 20세 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사람이 사찰에서 공부하고 5년 후 시험을 볼 수 있게 하여 사제의 연령대가 낮아졌다. 시험에 불합격한 사람은 세속으로 돌아가야 했으며, 부모나 조부모에게 의지할 자식이 없는 십 대는 승려나 사제가 될 수 없었다.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한때 승려나 사제였지만 나중에 세속으로 돌아간 사람은 다시 사제가 될 수 없었다.[10]
1380년에는 지역별 할당제를 통해 사제 수를 제한했다. 각 부(府, fǔ중국어)에는 40명, 각 독립 주(州, zhōu중국어)에는 30명, 각 현(縣, xiàn중국어)에는 20명으로 제한했다.[5] 이러한 할당량은 영락 치세(1403-1425)까지 원격 지방에서는 느슨하게 규제되었으나, 영종 치세(1435-1464) 동안 할당량과 기타 규정이 약화되면서 사제의 수가 지역 할당량을 초과하고, 공식 시험에 합격하지 않은 사제에게 '도첩'이 판매되기도 했다.[9]
명나라 중후반에는 규제가 완화되고 '도첩' 남용이 증가했다. 1435년 이후 '도첩' 남용이 만연했고 할당량 시스템은 무시되었다. 초창기에는 수백 장이 발급되던 '도첩'이 매 기간 10,000장 이상 발급되었으며, 3년의 발급 기간도 정부의 뜻에 따라 자주 변경되었다.[10] 1487년 이후, 기근이나 자연 재해 발생 시 정부는 국가 수입을 늘리기 위해 '도첩'을 대량 발급했으며, 곡물을 국가에 바쳐 '도첩'을 얻는 것도 가능했다.[10]
도교 사제들은 다양한 의식을 수행했다. 황록재(黃籙齋) 의식, 장례 의식, 금록교(金籙醮) 또는 사찰 갱신형 의식 등에서 도교 사제가 서명한 의식 기록을 태웠다. 일부 학자들은 의식에 사용될 원고를 필사하는 역할을 맡았다.[7][8]
도교 신앙은 상업 발달과 함께 다양한 산업의 수호신 숭배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잉크 제조업자는 문창제군(文昌帝君, wén chāng dì jūn중국어)을, 대장장이는 태상노군(太上老君, tài shàng lǎo jūn중국어)을, 매춘부와 도둑은 관중(管仲, guǎn zhòng중국어)과 시천(時遷, shí qiān중국어)을 숭배했다.[5]
도교 사제는 후원자를 위해 춤을 추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음악 공연을 하기도 했고,[12] 장례 의식에도 참여했다. 그러나 일부 부유한 가문은 유교적 신념 때문에 도교 장례식의 사치스러운 음악 공연을 반대하며 도교 사제 고용을 꺼렸다.[13] 도교 사제는 질병 치료와 가뭄 해결을 위한 엑소시즘과 의식을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의식은 사원 근처나 사원 안, 또는 대중의 눈에 띄지 않는 순수한 지역에서 수행되었으며, 집주인의 허락 하에 사제는 집에 들어가 의식을 위한 신성한 공간을 세울 수 있었다.[15][16]

3. 3. 청나라 시대 (Qing Dynasty, 1644-1911)
청나라 시대에 도교 사제들은 점술, 사건에 대한 설명, 약이나 침술을 이용한 치유 서비스를 제공했고, 사람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 도교 사제들을 방문했다.[17] 일부 도교 사제들은 새로운 약제법을 고안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도 했다.도교 사원은 다리나 도로와 같은 새로운 공동체 구조를 건설하기 위한 기부금을 모으는 장소로 활용되었다.[17]
4. 복장
도사의 복장은 한족 의복, 도교 의복, 도포와 관련이 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도사는 평상시나 의례를 행할 때 도복(道服) 또는 도의(道衣)를 착용하고, 머리에는 도모(道帽)를 쓴다. 도교에서는 머리카락에도 신이 깃든다고 여겨 삭발하지 않고, 머리에 수건이나 관을 쓰는 것이 관례이다.[19][20]
4. 1. 도복 (道服)
도사가 평상시 또는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하는 의복을 도복(道服) 또는 도의(道衣)라고 한다. 도복은 소매가 넓은 형태를 띠고 있으며, 베이징 백운관에서는 청람색(푸른색과 남색)을, 타이난 천단에서는 유교적인 붉은색을 착용한다.[19][20] 속옷은 흰색이며, 흰색 각반과 펠트 재질의 검은색 신발을 착용한다.[19][20]도복의 기원은 고대 중국 샤먼의 의상 및 예제(禮制)의 의관(衣冠) 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9][20] 도교 성립 이전에는 주술 의사나 방사(方士)가 나뭇잎을 걸치거나 깃털로 만든 우의(羽衣)를 입고 활동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9][20]
명나라 시대의 도교 의상은 이전 왕조의 의상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주권 영왕은 자신의 책에서 명나라 시대 도사들의 의상이 남북조 시대(420-589년)의 "고대" 스타일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언급했다.[11] 1382년의 사치 금지법은 다양한 계급의 도사들의 의상을 규제했는데, 수도에서 관료로 일하는 도사들은 금색 자수가 놓인 붉은 가운을, 다른 곳에서 관료로 일하는 도사들은 장식이 없는 붉은 가운을, 일반 사제들은 청록색 가운을 입어야 했다.[10]
4. 2. 도모 (道帽)
도모(道帽)는 도교 사제가 머리에 쓰는 수건 종류나 관을 말한다. 도교에서는 머리카락에도 신이 깃든다고 여겨 삭발하지 않고, 머리에 수건이나 관을 쓰는 것이 관례이다.[19][20] 도모에는 아홉 가지 종류가 있다.[19]명나라 시대에는 사치 금지법에 따라 도교 사제들의 의상이 규제되었다. 수도에서 관료로 일하는 도사들은 금색 자수가 놓인 붉은 가운을 입어야 했고, 일반 사제들은 청록색 가운을 입어야 했다.[10]
5. 식생활
도사는 주식으로 죽을 먹는다. 백운관에서는 현재 쌀로 만든 죽을 먹지만, 1942년 당시에는 조로 만든 죽을 먹었다. 전진교에서는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며, 아침 식사는 죽과 절임 반찬, 점심과 저녁 식사는 죽과 배추, 두부, 오이 등으로, 고기나 생선은 나오지 않고 동물성 기름도 사용하지 않았다.[20]
6. 대중문화 속 도교 사제
도교 사제는 여러 영화와 문학 작품에 등장했다.
7. 한국의 도교와 도교 사제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할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Daoist identity: history, lineage, and ritual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2]
서적
The Ageless Chinese: A History
Charles Scribner's Sons
[3]
문서
Jones, 2007. p. 5
2007
[4]
학술지
The Daoist Jiao Celebration
2015
[5]
학술지
明朝皇帝的崇道之风
http://oversea.cnki.[...]
2004
[6]
학술지
道与庶道:蒲松龄心目中的道教形象
http://oversea.cnki.[...]
2011
[7]
학술지
Review of Daoism Handbook.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Handbuch der Orientalistik. Section Four
2002
[8]
학술지
The Daoist Jiao Celebration
2015
[9]
학술지
明代道教与政治的关系
http://oversea.cnki.[...]
2002
[10]
학술지
从"方外之人"到"宇内之民"——明代国家体制中的道士
http://g.wanfangdata[...]
2015-11-12
[11]
학술지
道教宫观文化及其功能研究
http://g.wanfangdata[...]
2007-09-03
[12]
학술지
The Penetration of Taoism Into the Ming Neo-Confucianist Elite
1971-01-01
[13]
서적
The Taoists of Peking, 1800–1949: A Social History of Urban Cleric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4]
학술지
The Taoist Canon and the Representation of Taoist Exorcist Traditions
2014
[15]
학술지
The Amulet in Thunder Magic Rituals as Prism of Taoist Exorcist Power. The Amulet of Comprehensive Support due to the Commands of Thunders and Thunderclaps 雷霆號令總攝符
2017
[16]
학술지
Taoist Ritual Space and Dynastic Legitimacy
1995
[17]
서적
The Taoists of Peking, 1800–1949: A Social History of Urban Cleric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8]
뉴스
中国道教平稳发展 现有近10万道士
http://culture.ifeng[...]
2018-06-15
[19]
서적
道教事典
平河出版社
1994-03-15
[20]
서적
道教の世界
学生社
1987-07-25
[21]
웹사이트
“도사”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2017-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