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진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진교는 12세기 중국에서 왕중양이 창시한 도교의 한 종파이다. 왕중양은 종리권과 여동빈에게 도교 신념을 배운 후 제자들을 길렀으며, 그의 제자들은 전진교를 각지로 전파했다. 전진교는 내단 수행을 통해 불멸을 추구하며, 유교, 불교 사상을 융합한 삼교합일 사상을 강조한다. 칭기즈 칸과의 만남을 통해 원나라에서 크게 발전했으며, 이후 명, 청 시대를 거치며 베이징의 백운관을 중심으로 융성했다. 전진교는 마유, 구처기, 손부이 등 일곱 제자를 중심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교의 종파 - 태평도
    태평도는 장각이 창시한 도교 종파로, 《태평청령서》를 기반으로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교세를 확장하여 황건적의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이후 쇠퇴했지만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도교의 종파 - 오두미도
    오두미도는 2세기 후한 말 장도릉이 창시하여 쌀 다섯 말을 내게 하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장로에 의해 신정 국가를 세웠으나 조조에게 항복 후 세력이 약화되었지만 도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현대 정일교로 이어진 도교 종파이다.
전진교
개요
왕중양
왕중양
종교도교
창시자왕중양
설립 시기12세기
주요 경전도덕경, 황정경, 청정경
주요 사상삼교합일, 성명쌍수
본산백운관
파생 종파용문파, 우산파, 수산파, 화산파, 청정파, 우조파, 진선파
특징
수행 방법내단 수련, 금욕 생활
주요 인물북칠진 (구처기, 마옥, 담처단, 왕처일, 학대통, 손불이, 유처현)
영향원나라 시대 도교의 주류 종파로 성장
역사
창립왕중양이 금나라 말기에 창립
발전구처기칭기즈 칸을 만나면서 크게 발전
쇠퇴명나라 이후 정일교에 밀려 쇠퇴
주요 종파 (전진칠진)
용문파구처기
우산파유처현
수산파담처단
화산파학대통
청정파손불이
우조파왕처일
진선파마옥
기타
관련 용어전진칠자, 삼교합일, 성명쌍수, 내단

2. 역사

왕중양은 1159년 여름 종리권, 여동빈 등 도교 불멸자들을 만나 도교 신념과 비법을 전수받았다. 1160년 이들을 다시 만나 가르침을 받고 종남산에 3년간 은둔했다.

7년간의 산중 생활(무덤 3년, "완전 완전 오두막" 4년) 후, 왕중양은 탄처단과 구처기를 제자로 삼았다. 1167년 산둥성에서 마유와 손부이 부부를 제자로 받아들였다. 이들은 훗날 전진칠자(全眞七子)로 불리며 전진교 핵심 인물이 되었다.

왕중양 사후, 제자들이 가르침을 이었다. 특히 구처기칭기즈 칸과의 만남으로 몽골 제국에서 종교 담당 관직을 맡아 전진교 발전에 기여했다.

명나라 때는 왕실의 정일교 우대와 전진교 배척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청나라 때 왕상월이 전진교를 부흥시켰다. 베이징의 백운관은 전진교 본산이다.

2. 1. 창시와 초기 발전

왕중양은 1159년 여름 종리권, 여동빈 등 두 도교 불멸자를 만나 도교 신념과 비밀 의식을 배웠다고 전해진다. 1160년, 왕중양은 이들을 다시 만나 가르침을 받고 종남산에 3년간 은둔했다.

7년간의 산중 생활(무덤 3년, "완전 완전 오두막" 4년) 후, 왕중양은 탄처단과 구처기를 제자로 삼았다. 1167년 산둥성에서 마유와 손부이 부부를 제자로 받아들였다. 이들은 훗날 전진칠자(全眞七子)로 불리며 전진교 핵심 인물이 되었다.

왕중양 사후, 제자들이 가르침을 이었다. 마유는 교단 지도자가, 손부이는 청정파(淸淨派)를 세웠다.[7]

구처기는 베이징 백운관을 세운 용문파 창시자로, 칭기즈 칸과의 인연으로 몽골 제국에서 종교를 담당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전진교는 현재까지 번성하고 있다.[7]

2. 2. 남송과 원나라 시대

왕중양은 산둥성에서 제자를 받아 엄격한 수련을 통해 뛰어난 제자를 길러내고, 일반인을 위한 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대정(大定) 10년(1170년) 정월에 사망한 후[7], 3년 상을 치른 제자들은 각자의 수행 목표를 말하고 사방으로 흩어져 수행과 가르침 전파에 힘썼다.[7] 최고령자이자 가장 수련을 많이 한 마단양(馬丹陽)이 전진교의 흥망을 짊어지고 산시 각지에서 기반을 닦는 데 노력하여, 전진교가 서서히 알려지게 되었다.[7]

대정 27년(1187년) 칠진인(七眞人) 중 한 명인 왕우양(王玉陽)이 금나라 세종에게 불려가 질문에 답하고, 이듬해 대정 28년(1188년) 구장춘(丘長春)이 세종으로부터 법사호를 받으면서 전진교는 금나라에 의해 공인되었다.[7] 이후 도첩 지급과 관액의 관매도 인정받아 점차 교세가 확장되었다.[7]

서쪽에서 칭기즈 칸몽골이 세력을 확장하자, 구장춘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멀리 인더스 강 강변까지 서쪽으로 원정 길에 오른 칭기즈 칸을 방문했다(1220년 - 1224년).[7] 이 여행기는 「'''장춘진인서유기'''」로 오늘날까지 전해진다.[7] 그 결과, 대에도 전진교는 더욱 발전하여, 도장 편찬이나 도교 석굴 개착 등의 대사업이 이루어졌고, 강남의 용호산(龍虎山)에 본거지를 둔 정일교와 세력을 양분하게 되었다.[7]

쿠빌라이 칸 시대에 원나라 국교가 불교로 정해지면서 도교는 금령에 의해 지하로 숨었지만, 원나라는 전진교에 호의적이었기에 그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다.[7]

2. 3.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

명대에는 왕실이 정일교를 우대하고 전진교를 배척하는 종교 정책을 펼쳤고, 영향력 있는 도사가 나오지 못해 침체기를 맞았다.[7] 그러나 만주족이 남하하여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을 건국하는 변혁기에 왕상월(1520년 - 1680년)이 나타나 공개적으로 전계(傳戒)를 행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남북에 계단(戒壇)을 설치하고 많은 도사에게 전계를 행했으며, 청나라 왕실의 인정을 받게 되면서 전진교는 다시 융성하게 되었다.[7]

베이징의 유명한 도관인 백운관은 전진교의 본산이다.[7]

2. 4. 현대

왕중양이 산둥성에서 제자들을 받아들인 이후, 제자들은 전진교의 가르침을 이어갔다. 마유는 왕중양의 뒤를 이어 전진교의 수장이 되었고, 손부이는 전진교의 주요 분파 중 하나인 청정파를 설립했다.

구처기는 베이징에 백운관을 건립하고 용문파를 창시했다. 그는 칭기즈 칸과의 인연으로 몽골 제국 내 종교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전진교는 왕중양 사후에도 오랫동안 번성하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3. 주요 사상 및 수행법

전진교(全真敎)는 "모두 참됨" 또는 "완전무결의 도(道)"를 의미한다. 산둥성 웨이하이시의 쿤위 산은 전진도교의 발상지이다.[4]

전진교는 장수와 불멸, 도(道)와의 조화, 오행 연구, 음양 이론에 따른 균형을 중시한다. 왕중양은 불교, 유교, 도교삼교가 삼각대의 세 다리와 같다고 보았으며, 효경반야심경 연구를 장려했다.[5]

3. 1. 삼교합일(三敎合一)

전진교의 교리는 유교 신봉자에서 도교로 개종한 당대 도사 여동빈이 설하는 내단적 도교 사상에 기원을 두고 있다.[7] 그 교리의 근본은 왕중양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중양립교십오론'''』에 언급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설해지는 내용은 더 이상 도교 본래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불교, 특히 선종의 영향을 짙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후대 남송주자(1130년 - 1200년)가 세운 새로운 유교인 주자학의 영향도 받았다. 왕중양이 적극적으로 유불도의 "'''삼교일치'''"를 표방한 것에서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왕중양에게 전진교는 단순히 기존 도교에 대한 새로운 도교가 아니라, 그 이름 아래 유교와 불교까지 포함한 삼교를 섭취하고 융합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도사의 수련에 관해서는, 자기 자신의 수행인 '''진공'''과 사람들을 구제하는 '''진행'''의, 공과 행을 모두 행하는 "'''공행양전'''"을 주장하며, 자기 구제의 수행뿐만 아니라 타인의 구제도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3. 2. 내단(內丹) 수행

강력한 도교적 뿌리를 가진 전진교는 ''내단''(신체 내부의 연금술) 과정에 특화되어 있으며, 이는 초약 및 광물 섭취 등을 실험하는 ''외단''(외부 연금술)과는 대조적이다.[4]

외단 전통은 내단에 의해 대체되었는데, 외단은 때때로 위험하고 치명적인 추구였기 때문이다. 전진교는 본질적으로 무의식적인 행동인 무위를 달성하려는 도교적 열망과 일치하는 개인의 내면적 수양에 초점을 맞춘다.

대부분의 도교도와 마찬가지로 전진교 사제들은 연금술을 통한 장수와 불멸, 도(道)와의 조화, 오행 연구, 음양 이론과 일치하는 균형에 대한 아이디어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이 학파는 불교와 유교 사상을 활용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5]

백운관 비석에 새겨진 내단 그림 "내경도"


전진교의 수행은 다른 도교 종파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전진교는 특히 독신을 강조하며, 수행자들은 이를 준수하고 자기 수양에 힘써야 한다. 전진교 신봉자들은 깨달음에 도달할 때까지 연금술(내단) 시에 명상을 해야 한다. 그들은 속세와의 연을 끊기 위해 독방에서 수행한다.

전진교의 교리는 유교 신봉자에서 도교로 개종한 당대 도사 여동빈이 설하는 내단적 도교 사상에 기원을 두고 있다.[7] 그 교리의 근본은 왕중양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중양립교십오론'''』에 언급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설해지는 내용은 더 이상 도교 본래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불교, 특히 선종의 영향을 짙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후대 남송주자(1130년 - 1200년)가 세운 새로운 유교인 주자학의 영향도 받았다. 왕중양이 적극적으로 유불도의 "'''삼교일치'''"를 표방한 것에서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왕중양에게 전진교는 단순히 기존 도교에 대한 새로운 도교가 아니라, 그 이름 아래 유교와 불교까지 포함한 삼교를 섭취하고 융합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도사의 수련에 관해서는, 자기 자신의 수행인 '''진공'''과 사람들을 구제하는 '''진행'''의, 공과 행을 모두 행하는 "'''공행양전'''"을 주장하며, 자기 구제의 수행뿐만 아니라 타인의 구제도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3. 3. 청규(淸規)

전진교의 수행은 다른 도교 종파와 크게 다르지 않다. 1244년에 발행된 전진교의 서임 증명서는 당나라 시대의 계율을 실질적인 변경 없이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진교는 특히 독신을 강조하며, 수행자들은 이를 준수하고 자기 수양에 힘써야 한다. 전진교 신봉자들은 깨달음에 도달할 때까지 연금술(내단) 시에 대해 명상을 해야 하며, 속세와의 연을 끊기 위해 독방에서 수행한다.

또한, "'''전진청규'''"라는, 선종총림에서 발전한 교단 규율인 "청규"를 도입한 규칙도 제정하고 있다. 여기서 중시되는 것은 출가의 입장이며, 타좌, 내단이다. 또한, 불립문자의 생각도 받아들여지고 있다.

3. 4. 공행양전(功行兩全)

왕중양은 불교, 유교, 도교삼교가 삼각대의 세 다리와 같다고 믿었으며, 유교의 효경과 불교의 반야심경 연구를 장려했다.[5] 도사 수련에 관해서는 자기 자신의 수행인 '''진공'''과 사람들을 구제하는 '''진행'''을 모두 행하는 "'''공행양전'''"을 주장하며, 자기 구제뿐만 아니라 타인 구제도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4. 주요 경전

왕중양에 따르면, 전진교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경전은 다음과 같다.[3]


  • ''도덕경''
  • ''청정경''(清静经, '청정하고 고요한 경전')
  • ''황제음부경''(黃帝陰符經, '내부 부적에 관한 경전')


이 텍스트들은 마음을 중심으로 하는 도교적 자기 수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식과 정신의 순수성을 최우선으로 한다.[3]

이 외에도 왕중양의 저술도 중요하며, 특히 ''입교십오론''(立教十五論, '가르침을 세우는 15가지 담론')이 영향력 있는 텍스트 중 하나이다. 용문파 전진교에서는 구처기의 저술 또한 중요하다.

전진교의 교리는 유교 신봉자에서 도교로 개종한 당대 도사 여동빈이 설하는 내단술적 도교 사상에 기원을 두고 있다.[7] 왕중양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중양립교십오론'''』에는 도교 본래의 불로장생 추구를 넘어, 불교, 특히 선종의 영향과 남송 주자의 주자학의 영향을 받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왕중양은 유불도의 "'''삼교일치'''"를 적극적으로 표방하였으며, 전진교는 단순히 기존 도교에 대한 새로운 도교가 아니라 유교와 불교까지 포함한 삼교를 융합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도사의 수련에 관해서는, 자기 자신의 수행인 '''진공'''과 사람들을 구제하는 '''진행'''을 모두 행하는 "'''공행양전'''"을 주장하며, 자기 구제뿐만 아니라 타인 구제도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5. 분파


  • 마옥: 옥선파(遇仙派)
  • 탄처단: 남무파(南無派)
  • 류처쉬안: 수산파(隨山派)
  • 구처기: 용문파(龍門派, 용문 도교)
  • 왕처일: 우산파(崳山派)
  • 하오다퉁: 화산파(華山派, 화산)
  • 손불이: 청정파(清靜派)

6. 관련 자료

전진교 연구는 1941년 천위안의 『남송 초 하북 신도교 고』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유물사관의 저항사관을 배경으로 한다. 1967년 쿠보 토쿠츄의 『중국의 종교 개혁: 전진교의 성립』[8]은 전진교를 도교의 구습을 폐지한 종교로 묘사하고 내단의 혁신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전진교의 "성명쌍수"는 북송장백단이 제창한 것으로, 기존 도교와의 단절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사상적 관계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9][10]

최근에는 내단학을 포함한 전진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1] 왕중양은 선승이 아니라 내단의 도사였으며, 전진교는 정신적인 깨달음을 전면적으로 추진했다는 점에서 도교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2][13][9][10]

고다 로한의 「활사왕해풍」은 왕중양을 높게 평가한 논고이다.

6. 1. 관련 인물

왕중양의 제자들은 '칠진인(七眞人)'이라고 불린다. 칠진인은 마옥, 담처단, 유처현, 구처기, 왕처일, 학대통, 손불이이다. 이들은 각각 전진교의 주요 분파를 세웠다.[3]

인물분파
마옥옥선파(遇仙派)
담처단남무파(南無派)
유처현수산파(隨山派)
구처기용문파(龍門派)
왕처일우산파(崳山派)
학대통화산파(華山派)
손불이청정파(清靜派)



왕중양은 1159년 여름, 종리권여동빈이라는 두 도교 불멸자를 만나 도교 신념과 비밀 의식을 배웠다고 전해진다.[3] 1160년에 이들을 다시 만나 세 가지 서면 지침을 받았고, 종남산에 무덤을 만들어 3년간 은둔 생활을 했다. 이후 산둥성으로 가서 마옥과 그의 아내 손불이 등을 제자로 삼았다.[3]

구처기는 베이징의 백운관을 세웠으며, 칭기즈 칸과의 인연으로 전진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

6. 2. 관련 장소



산둥성 웨이하이시의 쿤위 산은 전진도교의 발상지이다.[4] 베이징의 백운관은 전진교의 본산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Quanzhen Tradition http://www.taoists.c[...] British Taoist Association 2014-04-03
[2] 서적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Routledge 2004
[3] 서적 Dao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2014
[4] 문서 Kunyu mountain-birthplace of Quan Zhen Religion
[5] 서적 The Open Empire: A History of China to 1600 W. W Norton 2000
[6] 서적 The Open Empire: A History of China to 1600 W. W Norton 2000
[7] 서적 道教 青土社 1994
[8] 서적 中国の宗教改革:全真教の成立 アジアの宗教文化2 法蔵館
[9] 간행물 東京外国語大学 アジア・アフリカ言語研究所「遼・金・西夏に関する総合的研究」第1回研究会 2008年 http://www.aa.tufs.a[...]
[10] 간행물 東京大学文学部・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 全真教における性命説の成立と展開 2009年 http://web.l.u-tokyo[...]
[11] 서적 講座道教 第三巻 道教の生命観と身体論 雄山閣出版
[12] 서적 煉丹修養法 附・道語字解 たにぐち書店
[13] 서적 講座道教 第三巻 道教の生命観と身体論 雄山閣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