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시 건설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 건설 게임은 가상의 도시를 건설하고 관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장르이다. 1960년대 텍스트 기반 게임인 '수메르 게임'을 시작으로, 1989년 '심시티'의 출시로 장르가 확립되었다. 이후 '아노' 시리즈, '심시티 4'와 같은 작품들이 등장하며 발전해왔으며, 2010년대에는 '시티즈: 스카이라인'과 같은 게임이 인기를 얻었다. 미래 배경의 도시 건설 게임과 캐주얼 게임도 등장했으며, 인디 게임과 샌드박스 게임의 영향도 받고 있다. 한국에서의 도시 건설 게임과 관련하여 역사 왜곡, 단순화, 캐주얼 게임의 과금 유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 건설 게임 - 심시티 3000
    심시티 3000은 맥시스가 개발하고 일렉트로닉 아츠가 배급한 도시 건설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향상된 그래픽과 도시 관리 시스템, 새로운 도시 서비스와 시설, 이웃 도시와의 교류, 쓰레기 관리, 농업, 다양한 밀도의 도시 구역 설정, 실제 랜드마크 건설 등의 요소를 통해 현실적이고 깊이 있는 도시 건설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도시 건설 게임 - 심시티 4
    심시티 4는 플레이어가 시장이 되어 도시를 건설하고 관리하며, 시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도시를 확장하는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비디오 게임 장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장르 - 전쟁 게임
    전쟁 게임은 18세기 후반 프로이센의 크리크슈필에서 시작되어 전투나 전쟁을 시뮬레이션하는 게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 목적과 오락 목적, 그리고 현실성과 게임성, 규모, 전장의 안개 등의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된다.
도시 건설 게임
도시 건설 게임
유형전략 게임, 건설 및 경영 시뮬레이션
디자인건설, 관리, 전략
일반적인 설정역사적 또는 현대적 도시
조작 방식실시간 또는 턴 방식
게임 플레이
목표도시 건설 및 관리
핵심 요소자원 관리, 기반 시설 건설, 시민 만족도 관리, 경제 발전
시점주로 탑 뷰 또는 아이소메트릭 뷰
상호 작용마우스 및 키보드
특징복잡한 시뮬레이션, 다양한 건물 및 시설, 경제 시스템, 자연 재해 요소 포함
하위 장르
하위 장르도시 시뮬레이션
교통 시뮬레이션
자원 관리 게임
역사
기원1980년대 초 심시티의 성공 이후 대중화
발전3D 그래픽, 멀티플레이어, 복잡한 경제 시스템 도입
주요 게임
주요 게임심시티 시리즈
시티즈: 스카이라인
트로피코 시리즈
파라오
카이사르
아노 시리즈
LINC 도시
기타
관련 주제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전략 게임, 타워 디펜스

2. 역사

도시 건설 게임의 역사는 1960년대 텍스트 기반 메인프레임 게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심시티를 필두로 여러 게임들이 출시되면서, 도시 건설 게임은 하나의 장르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이후,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발전하고 다양화되었다. 특히, 아노 시리즈는 뛰어난 그래픽과 경제 시뮬레이션을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2000년대 이후, 심시티 4가 도시 건설 게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지만, 이후 시리즈는 부진을 겪었다. 한편, 시티즈: 스카이라인과 같은 새로운 게임들이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최근에는 미래를 배경으로 하거나, 캐주얼 요소를 도입하거나, 독립 개발자가 제작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 건설 게임이 등장하고 있다.

2. 1. 초기 도시 건설 게임 (1960년대 ~ 1980년대)

메이블 애디스가 고대 수메르의 도시 라가쉬를 기반으로 제작한 텍스트 기반 메인프레임 게임인 ''수메르 게임''(1964년)은 가장 초창기의 도시 건설 게임이었다. 이 게임은 이후 ''수메르 게임''(1968년)으로 개작되었으며, 나중에는 ''하무라비''로 알려졌다.[2]

매텔 인텔리비전 콘솔 시스템용으로 개발된 최초의 시뮬레이션 게임 유토피아 (1982년)는 도시 건설과 동일한 요소들을 다루었지만, 당시 시대의 조악한 화면 해상도로 인해 제약이 있었다. ''유토피아''의 각 섬에는 학교, 공장 및 기타 건설을 위한 29개의 "건설 가능" 공간만 있었는데, 이는 몇 년 후 ''심시티''에서 가능한 수천 개의 개별 공간과 비교된다. 플레이어의 점수는 시민들의 안녕을 기반으로 했다.

2. 2. 장르의 확립과 발전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1989년 심시티의 출시는 도시 건설 게임 장르를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 이 게임은 정해진 목표 없이 지속적인 도시 건설과 성장을 추구하는 방식을 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도시를 디자인하고 성장시킬 수 있었으며, 긍정적인 예산 균형과 시민 만족도를 유지하는 것이 성공의 지표였다. 높은 판매량으로 인기를 입증한 이후, 심시티 4와 같은 후속작이 출시되었다.

1993년에는 여러 게임이 출시되면서 도시 건설 게임 장르의 인기가 다시 한번 높아졌다.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더 세틀러는 복잡한 정착지 및 경제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여 당시 혁신적인 게임으로 평가받았다.[3] 이 게임은 이후 시리즈로 이어졌다. 같은 해, 고대 로마 도시를 모델로 한 시저가 출시되었다. 이는 도시 건설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역사 기반 도시 건설 게임의 유행을 이끌었다. 이 게임들은 학교와 병원을 포함했지만 노예 제도는 제외하는 등, 역사적 정확성보다는 ''심시티''의 스타일을 따랐다.[3]

PC 게임 스트롱홀드 역시 1993년에 출시되었으며, "''심시티''와 ''던전 & 드래곤''의 3D 만남"으로 광고되었다. 엘프, 인간, 드워프는 각각 플레이어의 마을 내에서 독특한 건축물을 가진 구역을 건설했다. 이 게임은 적들이 도시를 공격할 때 실시간 전략 게임의 요소도 가지고 있었으며, 도시 건설과 RTS 게임 사이의 경계는 이러한 종류의 하이브리드 게임으로 인해 자주 모호해졌다.

2. 3. 아노 시리즈와 그래픽 발전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아노 시리즈는 1998년에 시작되어 뛰어난 그래픽 디테일과 강렬한 경제 시뮬레이션, 그리고 독특한 게임 플레이를 확립했다.[3] 이는 도시 건설 게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 4. 심시티 4와 이후의 발전 (2000년대 ~ 현재)

2003년 출시된 ''심시티 4''는 도시 건설 게임의 표준을 설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복잡하고 깊이 있는 시뮬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이 장르 최고의 게임 중 하나로 여전히 평가받고 있다.[4][5] 이후, 심시티 소사이어티(2007년)와 같이 도시 시뮬레이션 대신 소셜 관리 등 다른 게임 플레이 요소를 통합한 후속작이 출시되었으나, 기존 팬들에게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5]

2013년 출시된 ''심시티''(리부트)는 프랜차이즈를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려 했으나, 강제적인 온라인 접속, 서버 문제, 시뮬레이션 버그, 약속된 기능 추가 실패, 도시 크기 제한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혹평을 받았다. 결국 심시티 프랜차이즈는 중단되었다.

''심시티'' 시리즈의 부진 속에서, 시티즈 XL(2009년)과 같은 다른 도시 건설 게임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2015년 출시된 ''시티즈: 스카이라인''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5] 2023년 10월에는 후속작 ''시티즈: 스카이라인 II''가 출시되었다.[6]

2. 5. 미래 배경 도시 건설 게임과 캐주얼 게임의 부상

2011년 아노 2070을 시작으로, 아노 2205(2015년), 서바이빙 마스(2018년), 프로스트펑크(2018년) 등 미래를 배경으로 한 도시 건설 게임들이 다시 인기를 얻었다.[7]

2010년대에는 소셜 게임, 모바일 게임의 부상과 함께 부분 유료화 및 마이크로 결제 모델이 부상하면서, 시티빌, 심시티 빌드잇, 시티 아일랜드와 같이 시간 기반 "생산 및 업그레이드" 기능 등을 갖춘 캐주얼 도시 건설 게임이 급증했다. 이러한 캐주얼 게임들은 단순한 메커니즘과 소액 결제 등으로 인해 기존 도시 건설 게임 팬들에게 비판받기도 했지만,[8] 이전의 대부분의 도시 건설 게임보다 전 세계적으로 더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9]

2. 6. 인디 게임과 샌드박스 게임의 영향

아일랜더스(2019년), 타운스케이퍼(2020년)[10], 디스토피카(2024년)와 같이, 단순한 게임 플레이와 분위기 있는 분위기를 특징으로 하는 독립 개발자들이 제작한 도시 건설 게임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11] 또한 2011년에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은 샌드박스 게임마인크래프트는 여러 도시 건설 게임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다.

3. 비판적 시각

도시 건설 게임은 현실의 복잡한 도시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 도시 계획에는 경제, 환경, 사회, 정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게임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간략하게 처리되거나, 아예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는 도로를 건설하거나 건물을 배치하는 것이 비교적 자유롭지만, 현실에서는 토지 소유권, 환경 규제, 주민 의견 수렴 등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1] 또한, 게임에서는 도시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 체증, 환경 오염, 주택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비교적 쉽지만, 현실에서는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이다.[2]

특히, 한국의 경우 수도권 집중화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한데, 게임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도시를 확장하고 발전시킬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소멸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3] 이는 게임이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여 보여줌으로써, 플레이어에게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참조

[1] 서적 Andrew Rollings and Ernest Adams on Game Design http://safari.adobep[...] New Riders Publishing 2008-05-23
[2] 서적 Classical Antiquity in Video Games: Playing with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1-09
[3] 서적 Classical Antiquity in Video Games: Playing with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1-09
[4] 웹사이트 5 Reasons To Go Back To SimCity 4 [Opinion] http://www.makeuseof[...] 2012-09-20
[5] 웹사이트 From SimCity to, well, SimCity: The history of city-building games https://arstechnica.[...] 2015-10-11
[6] 웹사이트 Cities: Skylines 2 has bigger cities and will release this October https://www.rockpape[...] Gamer Network Limited 2023-06-11
[7] 웹사이트 Are city-builders having a renaissance? https://mcvuk.com/de[...] MCV 2018-07-26
[8] 웹사이트 "SimCity" Purists Are Understandably Upset About The Newest "SimCity" http://kotaku.com/si[...] 2014-12-26
[9] 웹사이트 EA Mobile Claims that 'SimCity BuildIt' is Now The Most-Played 'SimCity' Game Ever http://toucharcade.c[...] 2015-06-08
[10] 웹사이트 A game for our times: Townscaper https://www.cnet.com[...] 2020-07-20
[11] 뉴스 In Dystopika you are the chill landscaper of a vast cyberpunk city, and it is exactly my cup of noodles https://www.rockpape[...] 2024-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