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교통 (경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원교통 (경기)은 1990년대 초 성민버스로 설립되어 2004년 선진네트웍스에서 청우운수로 매각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회사이다. 부천시의 별칭인 '복사골'을 한자로 표기하여 회사명을 정했으며, 인천광역시의 청룡교통, 천지교통, 서울특별시의 원버스, 부천시의 청우운수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2017년 기준 3개의 도시형버스 노선과 78대의 차량을 운행하며, 2021년 1월에도 동일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운행 노선으로는 12-1번, 50번, 50-1번이 있으며, 자일대우, 현대 등의 버스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정평운수
정평운수는 2004년 설립되어 서울 강서구와 송파구에 본사를 두고 4433번, 6642번 등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며, 친환경 차량 도입으로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 경기도의 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버스 기업 -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네트웍스는 2004년 설립되어 전국 철도역 역무 및 창구 서비스, 주차장 운영, 레일플러스 교통카드 운영 및 관리, 철도고객센터 운영 등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 회사이다.
| 도원교통 (경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원어 | Dowon Traffic Corp. |
| 산업 | 운수업 |
| 창립 | 2004년 1월 16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경기도 부천시 봉오대로556번길 26 (성곡동) |
| 인물 | 이삼구 (대표이사) |
| 제품 | 시내버스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100,000,000원 |
| 매출액 | 12,119,750,681원 |
| 영업이익 | -472,293,470원 |
| 순이익 | -459,775,097원 |
| 자산총액 | 2,254,665,920원 |
| 종업원 | 159명 |
| 주주 구성 | |
| 주주명 | 박종윤 |
| 지분율 | 20.00% |
| 주주명 | 이삼구 |
| 지분율 | 13.50% |
| 주주명 | 성정근 |
| 지분율 | 13.50% |
| 주주명 | 이영옥 |
| 지분율 | 10.00% |
| 주주명 | 박선희 |
| 지분율 | 10.00% |
| 주주명 | 박태호 |
| 지분율 | 10.00% |
| 주주명 | 박천규 |
| 지분율 | 10.00% |
| 주주명 | 기타 |
| 지분율 | 13.00% |
| 기타 정보 | |
2. 역사
1990년대 초반 '''성민버스'''라는 상호로 설립되었고, 2004년 초 선진네트웍스에서 청우운수로 매각되면서 '''도원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계열사로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인 청룡교통, 천지교통, 서울특별시 전환시내업체인 원버스,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인 청우운수 등이 있다. 12-1번 노선을 제외한 전 노선이 부천시계를 벗어나 운행하며, 시흥교통 12번, 소신여객 3번, 71번 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천시 ~ 김포국제공항행 노선을 독점하고 있다.
'''도원'''(桃源)이라는 회사명은 부천시의 별칭인 '복사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2017년 현재 총 3개의 도시형버스 노선과 총 78대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며, 모든 노선은 일반버스 및 저상버스로 운행한다.[1]
2. 1. 설립 초기 (1990년대 ~ 2004년)
1990년대 초반 '''성민버스'''라는 상호로 설립되었고, 2004년 초 무렵 선진네트웍스에서 청우운수로 매각되면서 '''성민버스'''에서 '''도원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계열사로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인 청룡교통, 천지교통, 서울특별시 전환시내업체인 원버스,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인 청우운수 등이 있다. 또한 12-1번 노선을 제외한 전 노선이 부천시계를 벗어나서 운행하고 있으며, 시흥교통 12번, 소신여객 3번, 71번 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천시 ~ 김포국제공항행 노선을 독점하고 있다.'''도원'''(桃源)이라는 회사명은 부천시의 별칭인 '복사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서울의 도원교통(道原交通)[1] 과는 전혀 무관하다.
2. 2. 운영 현황 (2004년 ~ 현재)
2004년 초 무렵 선진네트웍스에서 청우운수로 매각되면서 사명을 '''성민버스'''에서 '''도원교통'''으로 변경하였다. 계열사로는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인 청룡교통, 천지교통, 서울특별시 전환시내업체인 원버스,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인 청우운수 등이 있다. 12-1번 노선을 제외한 전 노선이 부천시계를 벗어나서 운행하고 있으며, 시흥교통 12번, 소신여객 3번, 71번 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천시 ~ 김포국제공항행 노선을 독점하고 있다.[1] 2017년 현재 총 3개의 도시형버스 노선과 총 78대의 차량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모든 노선이 일반버스 및 저상버스를 운행한다.3. 운행 노선
도원교통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 12-1번 | 대장동 | OBS경인TV - 부천우편집중국 - 약대오거리 - 부천시청역/현대백화점 중동점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역 - 소사고등학교 | 괴안동사거리 | 소신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1] |
| 50번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역 - 춘의역 - 성곡동행정복지센터 - 김포국제공항 | 고강공영차고지 | 소신여객 550번 좌석버스[2] |
| 50-1번 | 부천시청역 | 상동역, 홈플러스 상동점 - 부천체육관 - 도당사거리 - 김포국제공항 | 고강공영차고지 | 2018년 9월 15일부터 노선 단축 |
3. 1. 도시형버스
12-1번: 대장동 - OBS경인TV - 부천우편집중국 - 내촌고가자도 - 약대오거리 - 부천교육지원청 - 덕유마을 - 부천시청역/현대백화점 중동점 / 이마트 중동점 - 꿈동산마을, 사랑마을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공업고등학교 - 부천소사경찰서 - 자유시장 - 부천역 남부광장 - 소사삼거리 - 대보시장 - 소사고등학교 - 소사주공아파트 - 괴안동사거리 (소신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1]50번: 송내역 남부 - 중동역 - 팰리스카운티/부천서초교입구 - 부천시민회관 - 부천역 - 대성병원 - 원미어울마당 - 춘의역 - 페어차일드반도체 - 도당사거리 - 복지아파트 - 여월중학교 - 성곡동행정복지센터 - 원종사거리 - 오정초등학교 - 오쇠동 - 김포국제공항 - 고강공영차고지( 소신여객 550번 좌석버스)[2]
50-1번: 부천시청역/현대백화점 중동점 / 이마트 중동점 - 상동역, 홈플러스 상동점 /세이브존 부천상동점 - 라일락마을 - 다정한마을 - 부천체육관 - 신흥시장 - 신흥동주민센터 - 도당사거리 - 원종사거리 - 고강사거리 - 김포국제공항 - 고강공영차고지 (2018년 9월 15일부터 노선 단축)
4. 보유 차량
| 차종 |
|---|
| 자일대우 NEW BS106 |
| 자일대우 NEW BS110 |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현대 일렉시티 |
참조
[1]
문서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893-1번지 소재, 양천영업소 포함
[2]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