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홈플러스는 1997년 삼성물산 유통 부문이 대구점을 열면서 시작된 대형 할인점이다. 1999년 영국 테스코와 합작하여 삼성테스코를 설립하고, 2011년 삼성물산이 지분을 매각하면서 테스코가 대주주가 되었다. 2015년에는 MBK파트너스 컨소시엄에 매각되었으며, 2018년부터는 창고형 할인점인 홈플러스 스페셜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현재, 대형마트, 홈플러스 스페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다양한 형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알뜰폰 서비스인 홈플러스 모바일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 KT스카이라이프
KT스카이라이프는 KT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위성방송 사업자로, 고화질 방송 서비스와 다양한 채널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동 수신 안테나 방식과 IP 네트워크 방식으로 수신 가능하다. -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 세종텔레콤
세종텔레콤은 DX융합, 모바일, 전기공사 분야 사업을 전개하는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으로, 토큰증권 플랫폼 운영, 알뜰폰 서비스 제공, 5G 특화망 구축, 국내외 전기 공사 수행 등의 사업을 하며, 2024년 통신사업 부문을 분사하여 세종네트웍스를 출범시켰다. -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1996년 LG텔레콤으로 설립되어 유무선 통신, IPTV, B2B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통신 회사로, 2010년 LG데이콤, LG파워콤을 흡수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이 되었으며 5G, LTE, CDMA 등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 - LG그룹
LG그룹은 1947년 구인회 회장이 락희화학공업사로 설립하여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한 대한민국의 재벌 그룹으로, 1995년 LG로 명칭을 변경하고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현재는 구광모 회장이 이끌고 있다. - 할인점 - 테스코
테스코는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다국적 식료품 소매업체로, 성장과 인수합병을 통해 세계적인 유통업체가 되었으나, 논란과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매장 형태와 온라인 서비스, 자회사 운영을 통해 사업을 다각화하며 지속적인 비판과 경쟁에 직면해 있다. - 할인점 - 롯데마트
롯데마트는 1998년 롯데쇼핑 할인점 사업부문으로 시작하여 200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브랜드로, 국내외 점포 운영, 해외 시장 진출, PB 상품 '통큰' 브랜드 출시, 창고형 할인매장 '빅마켓' 운영, 그리고 '스마트 스토어' 도입을 통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홈플러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홈플러스 주식회사 |
영문 회사 이름 | Homeplus Co., Ltd |
로마자 표기 | Hompeulleoseu |
설립일 | 1997년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禾谷路398 |
사업 종류 | 소매업 |
주요 제품 | 식료품 소비재 |
소유주 | MBK 파트너스 캐나다 연금 투자 위원회 테마섹 홀딩스 |
웹사이트 | 홈플러스 공식 웹사이트 |
직원 수 | 20,466명 (2015년 2월 기준) |
자본금 | 616,700,020,000 원 (2015년 2월) |
매출액 | 7,052,578,504,148 원 (2016년) |
사업 현황 | |
대형마트 | 142개 (2021년 11월 기준) |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 333개 (2021년 11월 기준) |
365 플러스 | 331개 (2017년 말 기준) |
역사 | |
이전 이름 | 홈플러스 테스코 |
연혁 | 1997년 회사 설립 2011년 3월 삼성과 결별 2015년 테스코 매각 2018년 체험형 3세대 할인점 시도 |
관련 회사 | |
주요 자회사 | 홈플러스 테스코 홈플러스 베이커리 홈플러스 금융 서비스 |
기타 | |
특징 | 온라인 쇼핑몰 운영 |
편의점 사업 진출 | 중소상인 반발 |
2. 연혁
- 1997년 9월: 삼성물산 유통 부문이 홈플러스 1호점(대구점)을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에 개설.
- 1999년 1월: 2호점 서부산점 개점.
- 1999년 5월: 삼성물산과 영국 테스코의 합작 투자로 삼성테스코 설립.
- 2000년 8월: 첫 합작 1호점 안산점 개점.
- 2001년 7월: 홈플러스 PB 상품 및 상품권 출시.
- 2001년 10월: 산업자원부 서비스 품질 우수 기업 인증, 유통업 회사 중 최단 시간 최소 점포 매출 1조 돌파.
- 2002년 11월: 훼밀리 카드(Family Card) 발행.
- 2004년 6월: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1호점(중계점) 개점.
- 2008년 5월: 이랜드의 홈에버(구 까르푸) 인수, 홈플러스테스코 출범.
- 2011년 3월 1일: 법인명을 삼성테스코 주식회사에서 '''홈플러스 주식회사'''로 변경 (상호 계약 기간 만료).[13]
- 2011년 7월 1일: 삼성물산, 잔여 지분(5.32%) 매각.[14]
- 2011년 11월 22일: 편의점 브랜드인 홈플러스 365 1호점 출점.[15]
- 2013년 3월 20일: 홈플러스 모바일 (알뜰폰) 출시.[16]
- 2015년 10월: 테스코, MBK 파트너스에 홈플러스 매각.[17]
- 2016년 4월: 본사 이전 (강남 선릉 → 강서점).
- 2017년 11월: 훼밀리 카드(Family Card) 발행 중단.
- 2018년 2월: 마이홈플러스 포인트 카드 발행.
- 2018년 6월 27일: 홈플러스 스페셜 1호점 (대구점) 개점 (2019년까지 19개 점포 리모델링).[18]
- 2021년 7월: 홈플러스 원주점과 청라점, 홈플러스 스페셜로 리모델링 예정 (연말까지 10개 점포 리모델링 예정).[18]
- 2021년 2월 28일: 홈플러스 대전탄방점 폐점.
- 2021년 12월 5일: 주말 통화 가능.
- 2021년 12월 23일: 홈플러스 스페셜 대구점 폐점.
- 2021년 12월 30일: 홈플러스 대전둔산점 폐점.
- 2022년 3월 3일: 홈플러스 가좌점, 인하점 리뉴얼 오픈.
- 2022년 3월 17일: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간석점, 인천송도점, 인천청라점, 작전점, 월드컵점 리뉴얼 오픈.
- 2024년 8월 31일: 홈플러스 안양점 폐점.
2. 1. 삼성물산-테스코 합작 이전 (1997년 ~ 1999년)
1997년 9월 삼성물산은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에 홈플러스 1호점을 개설하였다.[42] 이는 대한민국의 다른 대형할인점들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한 것과 달리, 영남권에 집중하여 이마트와의 경쟁을 피하고 초기 우위를 점하는 전략이었다.2. 2. 삼성테스코 합작 시기 (1999년 ~ 2011년)
1997년 9월, 삼성물산은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에 홈플러스 1호점을 개설하였다. 1999년 5월, 삼성물산은 영국의 테스코와 50:50 합작 투자를 통해 삼성테스코를 설립하였다. 이후 삼성그룹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삼성물산이 보유하던 지분 대부분을 테스코에 매각하면서, 테스코가 지분 100%를 보유한 외국계 기업이 되었다.[13]2008년 5월에는 이랜드로부터 홈에버(구 까르푸)를 인수하여 매장 수를 확장했다. 또한, 기업형 슈퍼마켓 브랜드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적극적으로 출점하여 2011년 2월 기준 123개의 대형 매장(홈플러스)과 209여 개의 소형 매장(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을 운영하게 되었다. 홈에버 인수 후, 기존 홈에버 매장은 홈플러스테스코라는 별도 법인의 자회사로 운영되었으며, 인수된 홈에버 매장은 36개였다.
2011년 3월 1일, 삼성그룹과의 상호 사용 계약 기간 만료로 법인명이 삼성테스코 주식회사에서 홈플러스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14] 2011년 7월 1일, 삼성물산은 잔여 지분 5.32%를 매각했다.[15]
2. 3. 테스코 단독 경영 시기 (2011년 ~ 2015년)
2011년 3월 1일, 삼성그룹과의 상호 사용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법인명이 삼성테스코 주식회사에서 홈플러스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13] 같은 해 7월 1일, 삼성물산은 잔여 지분 5.32%를 테스코에 매각했다.[14] 이로써 홈플러스는 테스코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2011년 11월 22일에는 편의점 브랜드인 홈플러스 365의 1호점을 출점하였다.[15]2. 4.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2015년 ~ 현재)
2015년 테스코 영국 본사의 분식회계 사실이 적발되어 홈플러스가 매물로 나왔고, 사모펀드인 MBK 파트너스에 매각되면서 홈플러스는 다시 대한민국 자본의 마트가 되었다.[17] MBK파트너스 인수 이전 테스코가 운영했을 당시에는 일부 테스코 상품을 판매했으나, 인수 이후에는 테스코 상품 판매가 자연스럽게 중단되었다.2018년 6월 27일에는 1호점인 홈플러스 대구점이 홈플러스의 새로운 창고형 매장인 홈플러스 스페셜 대구점으로 리모델링되었다.[18] 이후 6월 28일 서부산점, 7월 12일 목동점, 7월 13일 동대전점 등 여러 지점들이 홈플러스 스페셜로 리모델링되었다.
그러나 MBK파트너스가 매각에 난항을 겪으면서, 일부 지점들을 매각하고 폐점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다.
3. 점포
(영업종료)
예정 점포